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달과 화성의 토양에서 지하 깊이에 따른 고에너지 우주선 환경 영향 분석

        정종일,손종대,이유,오수연,Jeong, Jong-Il,Son, Jong-Dae,Lee, Yu,O, Su-Yeon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미국, 중국, 일본, 인도 등과 같은 세계 여러 국가들이 달 및 화성 탐사를 수행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우리나라도 2025년에 달 탐사를 계획하고 있다. 인간에게 있어서 우주공간은 고에너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곳이다. 향후 달, 화성과 같은 다른 행성으로의 이주를 생각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는 고에너지우주방사선 환경의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지구에서의 인간은 지구 자기장과 대기에 의해 고에너지 우주선 환경으로부터의 영향을 덜 받는다. 그러나 달과 화성의 경우는 다르다. 달의 대기는 거의 없고 자기장도 무시할 정도로 매우 작으며, 화성 또한 자기장이 거의 없으며 대기 또한 얇아서 Galactic Cosmic Ray (GCR)나 Solar Energetic Proton (SEP) 등으로부터 인간은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인간이 보호받을 수 있는 곳은 달과 화성의 지표 아래나 동굴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달 및 화성의 표면과 지하 영역에 대한 고에너지 우주선 환경의 깊이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여 어느 정도로 두터운 천장을 가진 동굴이어야 우주인들이 상주하는 지하공간을 지구표면에서의 방사선 환경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지를 추정해 보려고 한다. 달 표면 토양의 화학적 구성성분은 Maria와 Highlands로 구분되어 약간의 차이가 있다. 달의 Maria 토양은 $SiO_2$ - 45.4%, $Al_2O_3$ - 14.9%, CaO - 11.8%, FeO - 14.1%, MgO - 9.2%, $TiO_2$ - 3.9%, $Na_2O$ - 0.6%이고 Highlands의 토양은 $SiO_2$ - 45.5%, $Al_2O_3$ - 24.0%, CaO - 15.9%, FeO - 5.9%, MgO - 7.5%, $TiO_2$ - 0.6%, $Na_2O$ - 0.6%의 화학적인 구성비를 가진다. 또한 화성표면은 $SiO_2$ - 43.9%, $Al_2O_3$ - 8.1%, CaO - 6.0%, FeO - 18.1%, MgO - 7.1%, $Na_2O$ - 1.4%의 토양의 화학적인 구성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성비를 가지고 있는 달과 화성 표면에 대한 우주방사선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GEANT4를 사용하여 수행한 전산 모사의 결과를 발표할 것이다.

      • KCI등재

        대두 12 모본의 half diallel cross로부터 생성된 66 $F_2$ 분리집단에서의 종자크기와 잎 크기에 대한 관계

        정종일 한국생명과학회 1998 생명과학회지 Vol.8 No.4

        대두에서 종자크기와 앞 크기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형질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12 strain을 선택하여 half diallel mating system으로부터 만들어진 66개의 $F_2$ 분리집단을 대상으로 양 형질에 대한 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자크기 (g/100 seed)는 6.7에서 43.8의 변이를 보였고, 잎의 넓이와 길이(cm)에서는 각각 5.7에서 8.6과 9.4에서 12.9의 변이를 보였다. $F_2$ 집단에서의 잎의 넓이와 길이는 고도의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종자 크기와 잎 크기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보여, 잡종집단 및 germplasm 내에서 일반적으로 큰 잎 형질과 대립종자 형질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대두 잡종집단에서나 germplasm내에서 어린 식물체를 대상으로 하는 생육초기에서 대립종자를 가진 genotype를 선발하기 위해서 큰 잎을 가진 genotype의 선발은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Seed and leaf size is the important morphological traits considered by plant breeder and is the important yield components in soybea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seed size and leaf size in 66 $F_2$ populations derived from half diallel mating system with 12 soybean strains, representing distinct seed and leaf size. The range of seed size for 12 parents used was 6.7 to 43.8 g/100 seed. Leaf width leaf length ranged 5.7 to 8.6 cm and 9.4 to 12.9 cm, respectively. Leaf width was highly correlated with leaf length with an R square of 0.754 in the $F_2$ generation. The $F_2$ regression` coefficient indicated that leaves were, on average 1.4 times greater length than in width . Leaf size (width) was highly correlated (r.0.91) with seed size (g/100 seed) in the $F_2$ generation with an R square of 0.833. Our results indicate postive correlation within seed and leaf size is common in $F_2$ segregating populations derived from crossing with soybean. The strong liner relationship we observed between leaf size and seed size in $F_2$ segragating population is useful in that in that indirect selection for a secondary character may be superior to direct selection for the primary character.

      • KCI등재후보

        A New Soybean Cultivar ‘Jinyang’: Yellow Soybean Cultivar with Lipoxygenase 1,2,3 protein-free

        정종일 한국육종학회 2014 한국육종학회지 Vol.46 No.3

        Soybean is the main source of protein and oil for human and animal nutrition. However, antinutritional factors in theraw mature soybean are exist. Lipoxygenase protein is the main antinutritional factor in mature soybean seed. A new soybeancultivar, ‘Jinyang’ with yellow seed coat and free of lipoxygenase 1,2,3 protein was developed. It was selected from thepopulation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Jinpumkong2ho’ and GS301. ‘Jinyang’ has purple flowers, tawny pubescence, adeterminate growth habit, oval leaflet shape, and light brown pods at maturity. The seed has yellow hilum and yellow seed coatcolor. Seed protein and oil content on a dry weight basis were 33.5% and 16.6%, respectively. It has shown a resistant reactionto soybean necrosis, soybean mosaic virus, cercospora leaf spot and blight, black root rot, pod and stem blight, and soybean podborer. ‘Jinyang’ matured in 1 October with plant height of 65cm and a 100-seed weight of 21 g. Average yield of ‘Jinyang’was 300 - 330 kg/10a in 2010 - 2012. ‘Jinyang’ has been registered as a new soybean cultivar (registration number: 4279,registration date: Dec. 28, 2012) by Korea Seed & Variety Service,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조직 내 정치와 갈등이 조직공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종원(鄭淙元) 한국공공관리학회 2017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1 No.4

        본 연구는 조직 내 정치와 갈등이 조직공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그 인과관계 및 세부적 효과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조직 내 정치와 갈등은 비공식적 조직행태 변수로 모든 공공조직에 존재하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도 행정학 분야에서 그 연구가 미진한 상황이다. 연구결과 조직 내 정치는 직접적으로, 간접적으로 조직공정성 전 하위 요인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관계갈등은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에 직접적인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고, 업무갈등은 관계갈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부정적 영향을 분배공정성에 주고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조직공정성이 조직 내 정치와 갈등에 의하여 훼손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공공조직의 설립목적은 물론, 공공성을 훼손할 수 있는 비공식적 조직행태 현상인 공공조직 내의 조직 내 정치와 갈등에 관한 연구의 확대가 요망된다 할 수 있다.

      • KCI등재

        Identification of Martian Cave Skylights Using the Temperature Change During Day and Night

        정종일,이유,김어진 한국우주과학회 2014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Vol.31 No.2

        Recently, cave candidates have been discovered on other planets besides the Earth, such as the Moon and Mars. Whenwe go to other planets, caves could be possible human habitats providing natural protection from cosmic threats. In thisstudy, seven cave candidates have been found on Pavonis Mons and Ascraeus Mons in Tharsis Montes on Mars. The cavecandidates were selected using the images of the Context Camera (CTX) on the Mars Reconnaissance Orbiter (MRO). TheContext Camera could provide images with the high resolution of 6 meter per pixel. The diameter of the candidates rangesfrom 50 to 100m. Cushing et al. (2007) have analyzed the temperature change at daytime and nighttime using the ThermalEmission Imaging System (THEMIS) for the sites of potential cave candidates. Similarly, we have examined the temperaturechange at daytime and at nighttime for seven cave candidates using the method of Cushing et al. (2007). Among those, onlyone candidate showed a distinct temperature change. However, we cannot verify a cave based on the temperature changeonly and further study is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this method to identify caves more clearly.

      • KCI등재

        Identification of Molecular Markers Linked to Lf2 Locus in Soybean

        정종일,박민정,Woo Hyeun Jeong,Ki Chul Nam,Myung Sik Kim 한국작물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1 No.3

        : Leaflet number of soybean controlled by Lf2 locus is the important trait in photosynthesis and plant typ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molecular markers linked to the lf2 locus. A total of 115 F2 plants were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normal three-leaflet type Sinpaldalkong (Lf2Lf2) and seven-leaflet mutant type T255 (lf2lf2). All leaflet counts of parents and F2 individual plants were made in the field on fully expanded leaves on the main stem when terminal growth of the main stem had ceased. One-thousand 10-mer oligonucleotide RAPD primers and 664 SSR primers were used. The segregation ratios of 3 : 1 were observed in the F2 population and the Chi-square value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seven-leaflet was controlled by a single recessive gene. A genetic map was constructed from the 15 segregating markers (9 RAPDs, 5 SSRs, 1 lf2 locus). OPAD03 and OPAI13 RAPD markers were linked to the lf2 locus that controlled seven-leaflet type at a distance of 20.5 and 23.5 cM, respectively. Molecular markers identified in this study linked with lf2 locus will be helpful to locate lf2 locus on the public soybean molecular linkage map and would be useful for tagging the lf2 locus that controls seven-leaflet tra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