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습양식으로서의 다중지능이론

        황윤한,조영임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 2005 다중지능교육연구 Vol.2 No.-

        학습양식은 학습자들이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학습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최근의 교수 · 학습 과정은 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학습자들의 학습양식에 맞추어 개별화되는 경향이다. 기존에 많이 알려진 대표적인 학습양식 이론으로는 Rita Dunn과 Ken Dunn의 학습양식 (청각적(auditory learners)· 시각적(visual learners) · 촉각적(tactile learners)· 운동감각적(kinesthetic learners)), Anthony Gregorc의 사고양식(thinking style) 모형(구체적 무작위적 사고,구체적 연속적 사고,추상적 무작위적 사고,추상적 연속적 사고), David A. Kolb의 경험적 학습양식 모형(수렴적 학습자(convergers), 확산적 학습자(divergers), 순응적 학습자(assimilators), 조정적 학습자(accommodators)), Bernice McCarthy의 4Mat 학습양식 모형(혁신적 학습자,분석적 학습자,상식적 학습자,역동적 학습자), Katharine Briggs와 Isabel Myers의 학습양식 모형(MBTI)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하여 학습양식을 탐구하였다.학습자들의 가장 발달한 지능을 활용한 학습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한다면,바로 이 지능이 그 학습자의 학습양식이 될 수 있다.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맞추어 학습 활동과 학습 과제를 제시했을 때 보다 효율 적인 수업이 될 수 있다. A learning style is a student's consistent way of responding to and using stimuli in the context of learning. Simply, learning styles are different approaches or ways of learning. Understanding students' learning style helps teachers understand students better and assisted them in reenforcing skills they needs to succeed in school. This study examined traditional models of learning style such as Dunn & Dunn model. Gregorc's thinking style, Kolb's experiential learning style, McCarthy's 4Mat. and Briggs-Myers' MBTI model. These models are oriented toward learner's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 and personality traits rather than ways of learning. This study explored the multiple intelligences(MI) learning style as an alternative model for effective instruction. The MI learning style is focused on learner's way of learning in class. There are many ways of learning, but the best way is to use one's strongest intellectual ability. The efficiency of educational productivity can be raised by utilizing learner's multiple intelligences.

      • KCI등재

        미래지향적 교육대학 교육과정 시안 개발

        황윤한,권덕원,박상철,유광찬,이범웅,이원희,이환기,정규영,조기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 교육과정과 관련해서 직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들, 즉 ?교원자격검정령?의 개정으로 인한 무시험검정 요건 충족의 필요성, 정부의 영어 교육강화 방안, 정부 기관 및 지역사회의 요구, 중초교사의 초등현장 전입, 초등교육 현장의 교과전담교사 요구, 기타 현행 교육과정운영의 문제점 보완 등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대학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최근 초등 교육 현장의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교과 전담교사 확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교육대학 교육과정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각종 관련 자료 분석하였으며, 교육대학교육과정개정위원회의 전문가 협의회와 토론을 통하여 교육대학을 둘러싼 각종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자료분석 결과와 요구 수용 방안들을 토대로 전국 모든 교육대학들이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정 시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안은 교육대학 교육과정을 교실담임교사형과 교과전담교사형으로 이원화하여 교과전담교사 확보하는 복수전공제 방안이다. 이 안은 초등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중등교사의 초등학교 전입을 견제할 수 있으며, 기능 학습을 요하는 교과의 전담교사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교육감추천입학전형제도의 성과와 한계 분석 및 대안 탐색: 광주교육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황윤한,박남기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dmission System based on the Recommendation of the Chief Superintendent of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SRCSPOE) in terms of its attainments,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Design/Methods: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utilizing a literature review as its methodology. Literature produced by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NUE), Ministry of Education (MO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KCUE) pertinent to ASRCSPO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analytic framework of introduction, implementation, and the results of the ASRCSPOE. Findings/Results: After adopting the teacher recruitment test, remote and isolated and rural (RIR) elementary schools have been having difficulties recruiting and retaining teachers. The ASRCSPOE was first introduced in 1997 and implemented from 2002 to solve these problems. The ASRCUPOE has brought some positive attainments such as stable teacher supply for RIR elementary schools; normalizing high school education in RIR areas; relieving the imbalanc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regional, social, and economical isolation; and proving the effects on th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program. However, KCUE decided not to allow GNUE to implement ASRCUPOE without considering the real purpose which was also stated on 「Educational Officials Act」Article 32-2(1). This study suggested the reinstatement of ASRCSPOE or the expansion of the Admission by the Recommendation of the Principal (ARP). Furthermore, this study recommended mentoring between ASRCSPOE students and RIR teachers, forming a teacher community culture for RIR schools, and implementing curriculum for RIR teachers separately to improve ASRCSPOE or ARP. Value: The findings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good policy on education,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remote and rural area schools. 이 연구는 광주교대가 추진한 교육감추천입학전형제도의 도입, 시행, 결과와 관련된 문헌, 교육감추천입학제와 관련된 교육부, 광주교대, 대교협 등이 생산한 공문, 계획서, 연구보고서, 그리고 관련 법률 등을 분석하여, ⅰ) 제도 도입의 배경과 경과 및 발전, ⅱ) 제도 도입 성과와 한계, ⅲ) 제도의 대안과 보완책 등을 탐구하였다. 교육감추천입학제는 임용시험 도입 이후 나타난 도서벽지 및 농어산촌에 초등학교가 많은 지역의 임용시험 미달 및 현직교사 이탈 현상을 극복하고 안정적인 교사 공급을 위해 도입되어 광주교대는 그동안 1,210명(2018년 현재)을 이 제도에 적용하여 입학시켰다. 교육감추천입학제는 도서・벽지 초등학교에 안정적인 교사 공급, 농어산촌 고등학교 교육 정상화에 기여, 지역적・사회경제적 교육환경의 불균형을 완화, 초등 교사교육의 효과 입증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교육감과의 협약을 위반하고 타 시도 임용시험에 응시하거나 의무복무 기간을 채우지 않고 타 시도로 빠져나가는 현직 교사들을 방지할 대책이 부재하였고, 마침내 대교협은 일반전형과의 '형평성' 이유로 교육감추천입학제 불허 방침을 내렸다. 이 연구는 교육감추천입학제의 부활 또는 학교장추천입학제의 대폭 강화를 주장하면서, 도서벽지 및 농어산촌 학교의 멘토교사제 운영, 도서벽지 및 농어산촌 교사공동체 문화 형성, 도서벽지 및 농어산촌형 교사교육 교육과정 운영 등의 보완책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켄터키(Kentucky)州 교육개혁이 도서벽지 및 농어산촌 지역 교육개혁에 주는 시사점: 전라남도 교육을 중심으로

        황윤한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9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7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tract problems by analyzing the actual educational conditions and environment of Jeollanamdo, to draw implications from the educational reform in Kentucky that overcame the similar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Jeonnam, and to find out the ways of customized education reform for Jeonnam.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search methods were used. The most serious problems of Jeonnam education were the following: ⅰ) a serious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schools, and teachers; ⅱ) a decline in education due to leakage of excellent human resources; ⅲ)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migrant workers, ⅳ) the stigmatization of teachers in the avoided areas, v) the opportunity to develop poor teacher professionalism, and ⅵ) poor financial support for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of the initiative, progress, and outcomes of educational reform in Kentucky are as follows: ⅰ) bottom-up approach led by a coalition of private institutions; ⅱ) omnibus education reform; ⅲ) reform for students’ learning leaded by educational professionals; ⅳ) reform focusing on local issues; and ⅴ) reform sustained and supported by sufficient financial support. This study concluded tha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Jeonnam education, there are needed:ⅰ) a coalition of educational reform organizations; ⅱ) designation of all municipals for educational enterprise zone to expand educational budget; ⅲ) stable teacher recruit plan; ⅳ) creating a better teacher work environment; and ⅴ) set up a mid- and long-term reform plan and its implementing ordinances. 이 연구는 ⅰ) 전라남도 도서벽지 및 농어산촌 교육의 실태와 환경을 분석하여 문제들을 추출하고, ⅱ) 유사한 교육환경을 극복했던 켄터키州의 교육개혁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며, ⅲ) 이를 적용함으로써 도서벽지 및 농어산촌에 소인수/소규모 학교가 많은 전남지역의 맞춤형 교육개혁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전남 도서벽지 및 농어산촌 교육의 가장 심각한 문제들은 ⅰ) 학생, 학교, 교원 수의 심각한 감소, ⅱ) 우수 인적자원의 유출로 인한 학력 저하, ⅲ) 국제결혼 또는 이주 노동자 증가로 인한 새로운 가족 형태의 학생 수 증가, ⅳ) 교사들의 근무 기피지역으로의 낙인, ⅴ) 열악한 교사 전문성 계발 기회, ⅵ) 빈약한 교육재정 지원 등으로 파악되었다. 켄터키州의 교육개혁의 발단, 경과, 성과 등을 분석한 결과에서 도출한 시사점들은: ⅰ) 민간 기관들이 연합하여 주도한 Bottom-Up 개혁; ⅱ) 교육전반에 걸친 omnibus식 개혁; ⅲ) 학생들의 학업 향상을 위해 교육 전문가들이 주도하는 개혁; ⅳ) 지역의 현안을 중심으로 한 개혁; ⅴ) 지속적이고도 충분한 재정지원이 뒷받침되는 개혁 등이 추출되었다. 이 연구는 켄터키州 교육개혁에서 도출된 시사점들을 반영하여 전남 교육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ⅰ) 교육개혁을 위한 연합기구 조직 필요; ⅱ) 교육재정 확보를 위한 모든 시⋅군 자치단체의 교육특구 지정; ⅲ) 교사 확보 방안 강구; ⅳ) 교사 근무환경 조성; ⅴ) 중장기 교육개혁 방안 수립 및 실행의 법제화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교육대학 교수의 영어전용(EMI) 강의에 대한 자서전적 연구

        황윤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4

        이 연구는 교육대학 교수인 내가 영어전용(EMI) 강의 경험을 자서전적 방법을 통해 성찰한 연구이다. 나의 EMI 강의 경험을 드러내고, 그 경험이 나의 개인적 삶의 맥락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성찰하였다. 연구를 위해 나는 지난 22년간의 나의 교수생활이 들어 있는 약 75 Giga-bites 분량의 e-포트폴리오를 분석하였다. 여기에는 나의 EMI 강의 관련 자료뿐만 아니라, 칼럼, 학생들과의 면담, 학생들에 의해 작성된 강의평가 결과 및 강의평가 의견 등이 포함되어 있다. EMI 강의는 전공내용 학습과 제2언어 학습을 동시에 성취하기 위함이나, 나의 EMI 강의는 예비교사들에게 꿈과 비전을 심어주기 위해 처음 시작하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학이나 내 개인을 위한 EMI 강의로 목적이 바뀌어져갔다. 학생들의 EMI 강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강의 전 영어동요 부르기, 꿈과 비전 일깨우기, 부모님께 감사 전화하기, 미리 쓰는 자서전 쓰기 등의 전략을 활용하였고, EMI 강의의 질 향상을 위해 개강 일에 교재 단어 중간고사 실시, 강의노트 공유하기, 그룹스터디 룸 제공하기, 기말고사 오리엔테이션 등도 실시하였다. 나의 EMI 강의 경험에 의하면, EMI 강의의 질 향상과 학생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지만, 노력한 만큼의 결실은 얻지 못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전공내용 학습과 제2언어 학습을 동시에 만족할 만큼 성취하지도 못했다. 나의 EMI 강의에 대한 연구가 나에게 주는 의미는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강의, 학생들의 학습능력을 반영한 강의, 학생들에게 꿈과 비전을 주는 강의, 학습의 기쁨을 창출하는 강의가 되어야 함에도 그렇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 학생들이 선호하는 EMI 강의가 되어야 한다는 과제를 남겼다. This is an autobiographical study on English-medium Instruction(EMI) experience. The study focused on what were my EMI lectures experience and how they are related to my college life as an educator for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I analyzed my e-portfolio of 75 Giga-bites which includes all sort of my teaching materials, my diary which was written for my 20th anniversary of teaching at GNUE, my letters to students, columns, etc., 7 boxes of students’ anticipatory autobiography, and 2 boxes of students’ test materials. Even though the pure purposes of EMI are to have students learn their professional subjects as well as English as the second language, I had employed my EMI to encourage students to set their new dreams and visions at first, but later I practice EMI for the benefits of college innovation and for my record, too. Students were reluctant to study in EMI environment. Thus, I had tried to encourage them by introducing motivation strategies such as sing-a-song, vision plan, phone call for thanks to parents, and writing an anticipatory autobiography. I also have tried to raise the quality of EMI by giving spelling test at the first day of class, sharing my teaching note, providing group study rooms, and final exam orientation. The study of my experience on EMI provided me several assignments: Make my EMI meaningful to students, reflect students’ readiness, let students have dreams and visions for their future teaching profession, and create Flow for learning. These were hanging in my mind during the study of my EMI experience. These are the tasks that I have to figure out in my teaching to make my EMI meaningful and successful.

      • KCI등재

        음악을 접목한 STEM (M⋅STEM) 수업모형 개발

        황윤한,김고은,노원준,이지원,이호준,추국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EM instructional model incorporating music (M·STEM) so that students can enjoy and willingly studying STEM subjects that are hard, difficult, and uninteresting.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from their M·STEM classes for a year and a half. Three STEAM learning criteria suggested in the teacher's guide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guided the data analysis. These criteria are situational presentation,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experience. The most efficient M⋅STEM class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and organized according to the STEM lesson flow for the M⋅STEM instruction model. The M⋅STEM instructional model reflected the time for applying in the lesson and the instruction situation. This study suggests four M⋅STEM instructional models: 1) Analyzing the lyrics model (ALM), 2) Changing the lyrics model (CLM), 3) Writing the lyrics model (WLM), and 4) Producing a music video model (PMVM). A class with little experience in music activities can use the ALM for introducing a unit. Upon a lesson or a unit arrangement period, the students familiar with the M⋅STEM model can use the CLM. The WLM has two sub-model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type: lesson arrangement (LA-WLM) and unit arrangement (UA-WLM). At the end of a lesson and students with experience on the CLM can use the LA-WLM. At the end of a unit and with students with experience in LA-WLM can use UL-WLM. The last M⋅STEM model is the PMVM. Teachers use this model at the time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the students with experience on project learning to make the product. The M⋅STEM instructional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has been secured the validity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taught STEM subjects.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에겐 어렵고 힘들며 재미없는 STEM 교과들을 즐겁고 신나게 공부할 수 있도록 STEM 수업에 음악을 접목한 수업, 즉 M⋅STEM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이 M⋅STEM 수업을 하면서 수집한 음악 활동 자료들을 수업에 적용한 시기, 적용 대상, 그리고 교사용지도서가 제시한 세 가지 STEAM 학습 준거, 즉 상황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에 따라 분석하였다. STEM 수업의 흐름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M⋅STEM 수업의 모습을 체계화 시켰다. M⋅STEM 수업 모형은 수업의 적용 시기와 적용 대상에 따라 ⅰ) 가사분석 모형(단원 도입 시기; 음악 활동 경험이 적은 학급), ⅱ) 개사중심 모형(차시 및 단원 정리 시기; M⋅STEM 모형에 익숙해진 학급), ⅲ) 작사중심 모형(차시정리 유형(각 차시 마무리 시기; 개사 중심 모형을 경험한 학급)과 단원정리 유형(마지막 차시/단원 마무리 시기; 차시 정리/작사중심 모형을 완료한 학급)), ⅳ) 뮤직 비디오 제작모형(창의적 체험활동 시기; 활동 산출물 제작 프로젝트 학습을 진행하는 학급)으로 구분하였다. 연구자들이 개발한 M⋅STEM 수업 모형은 현장의 교사들의 평가를 통해 문항신뢰도와 모형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