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이 뇌졸중 환자의 앉은 자세 균형, 체간 조절 및 재활 동기에 미치는 효과

        황성환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이 앉은 자세 균형과 체간조절 및 재활 동기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실험군)과 일반적인 물리치료군(대조군)은 무작위 배정으로 각각 9명으로 분류되었고, 모두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6주간 주 10회(1일 2회 × 30분간)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은 부가적으로 6주간 주3회 × 30분간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을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앉은 자세 균형능력은 수정된 기능적 팔 뻗기 검사와 힘 측정판을 체간 조절 능력은 뇌졸중 자세 조절 평가 척도와 체간 손상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재활 참여도는 재활 동기 설문지로 평가하였다.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과 일반적인 물리치료군 모두 훈련 전 후 수정된 기능적 전측, 건측 팔 뻗기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과 일반적인 물리치료군 모두 훈련 전 후 결과, 힘 측정판의 동요 속도에서 눈 뜬 상태와 감은 상태의 좌우와 전후 동요 속도, 신체 중심 압력 거리 변화의 전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집단 간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과 일반적인 물리치료군 모두 훈련 전후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과 일반적인 물리치료군의 훈련 전후 체간 손상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과 일반적인 물리치료군 모두 훈련 전 후 재활 동기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이 일반적인 물리치료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본 연구에서 적용한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은 뇌졸중 환자들의 다양한 체간 근육의 강화, 고유수용성 감각 입력, 하지 근력 강화, 대칭적인 체중 부하와 이동이 가능한 특이성 과제 지향적 훈련 방법으로 체간 훈련에 유용한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슬래브교의 탄소섬유 보강판 보강효과에 대한 연구

        황성환 경상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각종 구조물의 수명이 30여 년이 지나는 시점인 최근에는 그 구조 성능 및 내구성에 대한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구조성능저하의 주요원인으로는 구조물 설계시의 오류, 시공오차 또는 불량시공, 기상조건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을 수 있으며, 적절한 절차를 무시한 용도변경 등으로 인한 과하중도 구조물의 내력저하를 유발시켜 장기적으로 구조물의 안전성에 저해가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구조설계, 재료, 시공면에서 결함이 있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 및 내용년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적절한 진단과 더불어 보수 보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에는 강판접착공법 및 콘크리트에 의한 단면증대 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공법은 구조물의 자중 증대, 건축물 사용면적의 감소, 시공의 난해성 등의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러나, 최근 유럽과 미국 등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탄소섬유 보강판(carbon fiber reinforced plate, CFRP)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력을 부담하는 철근의 탄성계수(Es)와 유사한 탄성계수(ECFRP)를 가지면서 철에 비해서 경량이고 인장강도가 철보다 월등하며 부식의 문제가 없다. 그리고, 시공으로 인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통기에 문제가 없기 때문에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으로서 주목을 받으면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실무에서 설계시 반영할 수 있도록 단부박리와 계면박리를 고려하지 않고 탄소섬유 보강판의 효율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델로 보강폭, 보강길이, 보강비를 변수로 하여 보강전/후의 슬래브 교에 작용하는 처짐과 단면력을 고찰하였다. 슬래브 교 해석을 위해 범용 해석 프로그램인 MIDAS를 사용하였다.

      •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PNF패턴 협응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동적균형 및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

        황성환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PNF패턴 협응운동이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시 동적균형 및 보행속도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들은 무작위로 PNF패턴 협응운동군(대조군, n=9)과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PNF패턴 협응운동군(실험군, n=9)으로 나누어졌다. 대조군과 실험군은 8주 동안 주 3회, 하루 30분씩 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주 5회, 하루 30분씩 신경발달치료를 시행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은 실험 전․후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10미터 걷기 검사(10-Meter Walk Test)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버그균형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05),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10미터 걷기 검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또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버그균형척도,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10미터 걷기 검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결론적으로, 뇌졸중 환자에게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PNF패턴 협응운동이 PNF패턴 협응운동만을 적용하였을 때 보다 동적균형 및 보행속도가 향상되었으며, 신경발달치료 등과 함께 병행되어질 때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 단어 : 동적균형, 보행속도, 뇌졸중, 리듬청각자극, PNF패턴 협응운동.

      • 輕電動手工具 使用時 防振장갑 着用의 有用性 評價

        황성환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anti-vibration gloves while operating an light-weighted powered hand drill. For the experimental design, five different kind of gloves(barehanded, cotton, partly coated, vibration and open finger vibration), two types of push force level(10N and 200N) and two types of drilling mode(impact and non-impulsive) were considered. Six healthy male subjects were employed to drive screws into a vertically mounted marble plate with a powered hand drill in the randomly ordered experimental condi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As for the larger push force and impact drilling mode con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significantly higher the vibration exposure levels compared with others. (2) It was found that the best combination of overall RMS transmissibility was using impact drilling mode with anti-vibration glove among evaluated experimental conditions. (3) The wearing open finger vibration glove in mid-frequency level and vibration glove with using impact drill in high-frequency were the best, in the result from mean corrected transmissibility equation of ISO 10819.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vibration attenuation effectiveness of the anti-vibration gloves was superior to other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glove which is adequate for the drilling type and working conditions, because the vibration attenuation depends upon whether the exposure is of impact or non-impulsive drilling as well as the types of gloves. Moreover, this results can be helpful in choosing the proper tools and gloves for the ergonomic tool handling method.

      • MMORPG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플레이어의 이탈 방지에 관한 연구 : 게임 제작자 입장에서 플레이어의 몰입 유지를 목적으로

        황성환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게임 연구가 재미 분석이나, 중독 방지에 관한 분야에만 치우쳐있을 뿐, 게임 몰입의 유지에 관하여 접근하는 연구가 없었기에, 이에 대한 필요성을 느껴서 시작되었다. 중독 방지에 관한 연구는 사회적으로는 중요한 연구이지만 게임을 제작하는 게임 업계 입장에서는 게임이 중독을 시킬 수 있을 정도로 성공했을 때에야 의미 있는 연구이다. 게임을 성공시킬 가능성이 5% 이하인 현재 상황에서 중독 방지 연구는 상당히 게임 제작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게임에 대한 재미 이론과 연구는 사례에 기반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는데, 외국의 경우 아직까지 콘솔 게임을 위시한 싱글 게임이 주류인 탓에 싱글 게임 위주의 연구가 대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MMORPG에서 나타나는 특수한 현상들을 기존의 이론들로 대입하기 힘들다. 싱글 게임에서는 스트레스의 강도가 약해서, 연구의 대상이 되지 않았지만 MMORPG에서는 싱글 게임과 달리 스트레스의 강도가 강하고, 통제하기 힘들다는 것을 밝혀냈다. 본 연구에서는 MMORPG는 왜 특별한 스트레스를 주는지 분석하고, 나아가서 MMORPG의 특별한 스트레스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써야하는지 탐색해 보겠다. 상업적으로 성공한 MMORPG가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사용한 방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래 재미 담보, 자격 부여와 복종, 이야기 부여, 공평한 대결의 주선, 책임 회피, 복잡성 증가, 현금 거래 등을 사용했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래서 이 요소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여 많은 MMORPG들이 당면한 콘텐츠 부족과 제작 비용 부족이라는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플레이어의 스트레스도 경감시켜 오랜 시간 즐길 수 있는 MMORPG를 만드는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

      •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웹 콘텐츠 설계 연구

        황성환 서울교육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개인의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여 소질을 최고도로 발휘하게 하는 헌법의 교육기본권에 충실하고, 그 결과 우수 인재를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자 2000년에 영재교육진흥법을 제정하였다. 그 후 영재교육과 관련된 많은 기관들이 설립되었으며 영재교육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 증가해 왔다. 하지만 영재교육기관과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전체 학생의 0.1%에 해당하는 소수의 학생들만이 영재교육의 혜택을 받아왔다. 따라서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웹 콘텐츠를 설계하여 영재교육의 수월성을 확보하고 영재교육 수혜자를 확대하는 한 방안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 국내?외 영재 웹 콘텐츠를 분류하고 유형별 특징을 파악한다. 나.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웹 콘텐츠 설계 방안을 구안한다. 연구 문제 가를 수행하기 위해 Moore(1996)와 남승인(2000)의 분류를 참고하여 웹 분류 기준은 ‘학습의 주도성이 누구에게 있는가’ 로 영재 프로그램 분류 기준은 ‘학습하는 내용이 무엇인가’로 설정하고 웹 콘텐츠 분석은 신종호(2006)와 정현철(2006)의 분석 방법을 참조하여 각 유형을 대표하는 웹 콘텐츠를 선정하여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 나를 수행하기 위해 수학교과의 특징, 수학과 학습이론, 영재 프로그램, 영재 교수-학습 모형,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 학습주제별 콘텐츠 유형, 사이버가정학습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웹 콘텐츠 설계 방안을 구안하였으며 초등학교 4학년 꺾은선 그래프 단원을 선정하여 설계된 내용에 따라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영재 웹 콘텐츠는 교수자중심 주제탐구형, 교수자중심 문제해결형, 교수자중심 과제개발형, 학습자중심 주제탐구형, 학습자중심 문제해결형, 학습자중심 과제개발형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에 따른 유형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교수자중심 주제탐구형: 교과와 관련된 내용이나 주제에 대해 연역적 과정을 통해 수학적 개념과 원리를 학습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으로 새로운 개념을 학습하는데 용이하고 수준이 낮은 학생들에게 유용하지만 학생이 수동적인 존재로 남게 된다. 2) 교수자중심 문제해결형: 모듈을 통해 다양한 문제를 제시하여 정규 교육과정에서 이미 학습한 지식을 통합하거나 이를 심화, 발전시키는 형태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지만 개념학습을 소홀히 할 수 있다. 3) 교수자중심 과제개발형: 교수자가 제시하는 과제를 수행해 가면서 반드시 보고서와 같은 산출물을 만들어 내는 형태로 전문가의 지속적인 조언 속에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가 이루어지지만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참여하기 어렵다. 4) 학습자중심 주제탐구형: 특정한 주제를 중심으로 내용을 보다 깊이 있게 탐구해 가는 형태로 교수자는 자료만 제시할 때뿐 이를 활용 및 탐구하는 방법은 학습자가 스스로 결정한다. 관련 내용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로 학습자의 지적 호기심을 만족시켜주지만 흥미위주의 학습이 될 수 있다. 5) 학습자중심 문제해결형: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제시하고 학습자는 관련 교과의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실생활과 관련된 과제를 통해 학습자의 탐구심과 흥미를 유발시켜 주지만 문제의 답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다. 6) 학습자중심 과제개발형: 교수자는 과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본 지식만 알려주고 학습자가 창의적으로 과제를 해결해 가면서 다양한 산출물을 만든다. GSP, LOGO등 웹 기반 교육공학 도구들이 주로 활용되어 학습자는 다양한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지만 도구들을 능숙하게 다루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둘째,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웹 콘텐츠는 개념 이해 및 탐색, 문제해결, 개념확장으로 설계할 수 있고 각각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개념 이해 및 탐색: 생각넓히기→개념확인하기→좀 더 알아보기 의 학습 단계를 거친다. 교과서의 내용을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교과서의 내용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불러일으킨다. 교과서에 나온 개념을 학습할 때는 교사 주도의 학습 단계이지만 기본 개념을 학습한 이후에는 학생들이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갖고 다양한 학습활동을 수행해 나갈 수 있게 된다. 2) 문제해결: 문제제시→탐색하기→해결하기의 학습 단계를 거친다. 교사가 제시한 여러 문제를 학생이 직접 선택하여 문제를 수정하고 이를 해결한다. 학생은 이 과정에서 문제의 해결 방안을 예측, 탐구, 분석하며 습득한 기본 개념을 적용하여 스스로 산출물을 작성하게 된다. 학생들은 학습한 개념과 관련된 과제를 수행해가면서 개념을 보다 공고히 하는 것이다. 3) 개념확장: 도전하기→수리논술→창의력키우기의 학습 단계를 거친다. 학습한 개념, 원리, 법칙에 관한 지식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새로운 상황이란 현실세계에서 발생하는 사회문제에 관한 것으로 지구온난화, 기름고갈 등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고 장차 미래의 주인공이 될 학생들이 직접 당면하게 될 문제들이다. To develop people's potential talent and be faithful to the basic rights of education, the result of excellent human resources to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promoting gifted education law enacted in 2000. Since then, many gifted education center and related institutions are established for gifted education and the interest of the people for gifted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But the shortage of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manpower only a small number of students receiving benefits. Therefore, Web content designed for gifted on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to secure gifted education efficiency and to expand the number of student who receive gifted education, The study follows a set of problems. Ⅰ . Domestic and foreign Web content categorization and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Ⅱ. Designing of Web content for Gifted Students on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Research done for the problem Ⅰ, refer to Moore (1996) and Namseung (2000) classification. By category, the Web is' who is leading a study of the', the category of gifted program is 'What is learning about 'setting in. The analysis of Web content, refer to Sinjongho(2006), Jeonghyeonchol(2006) select a representative of each type of Web content and analysis selected features. Research done for the problem Ⅱ, following study analysis (the characteristic of mathematics, learning theory of mathematics, Gifted program, the models of gifted learn-study, the models of cyber learn-study on mathematics, results of a survey of Web content designed for gifted elementary mathematics) and develop web content. Then, design Web content for line graph in fourth grade . The result i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follows. First, domestic and foreign Web content could be categorized into six types - Teacher central topic explores type, Teacher central problem solving, Teacher central project developing, Learner central topic explores, Learner central problem solving, Learner central project develop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ollows. 1) Teacher central topic explores type: It is useful to study new concept, principles and helpful for lower levels of students. but it's designed teacher central and students will remain passive. 2) Teacher central problem solving: Through the variety module students solve many problem . It will integrate knowledge in the process of deepening already learned and increase the learner's interest and trigger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but learning can be neglected the concept. 3) Teacher central project developing :The Learner solve the problem presented by teacher and produce a report to present the problem. By ongoing expert advice, learner participate the course voluntary. But low-level students are difficult to participate the course. 4) Learner central topic explores: focusing on Explores the specific subject in depth . The teacher just present information therefore the learner decide how to explore and utilize the information. The learner's intellectual curiosity will saticsfied , but it could be fun-oriented learn. 5) Learner central problem solving: It present the problem what Our society is faced, and the learner solve the problem using by learner's knowledge. Learner feel interest through the real problem and actively participate but the answer of problem is fixed. 6) Learner central project developing: Teacher teach the basic knowledge to solve the problem, learner solve the problem creatively. Web-based tools (GSP, LOGO, etc.) are primarily utilize. Learner can make a variety material creatively. but the tools to deal with them skillfully takes up a lot of time. Secondly, The step of web content for the gifted student on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can be design Understanding and navigation of concept, Problem solving, Extend concep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ep follows. 1) Understanding and navigation of concept: Widening think → Concept confirm → More step. It offer an opportunity think about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once again. When you are learning textbook central concepts, teacher-led learning phase, but after learning of basic concepts students who have some degree of autonomy can be carry out variety of learning activity. Think about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once again offers an opportunity to see. When you are learning from the textbook concept of teacher-led learning phase, but has since learned basic concepts of students have some degree of autonomy carries out a variety of learning activities can be. 2) Problem solving: Suggest problem → Explore the problem → Solve problem. Teacher suggest many problem, and issues then student select and revision the problem. Then they solve the problem. In the process, students study how to solve the problem of forecasting, explore, analyze and apply the basic concepts learned to write your own output. Students learned to perform tasks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textbook and strengthen obtained knowledge. 3) Extend concept : Challenge → Mathematics statement → Increase creativity. Learned concepts, principles, knowledge about the law applies to the new situation that will solve the problem. New situation mean in the real world situation that occur realistic problem for example global warming, oil depletion everyday life we embrace. Students who become masters of the future will be facing these problems.

      • 고장 기록 데이터 기반 발전설비 점검계획 수립 시스템 연구

        황성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ystem for establishing a power generation facility maintenance plan using fault record data. Recently, research has continued to perform sensor-based preventive maintenance through measurement data obtained by attaching a sensor to a facility. However, due to the structure of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attach sensors. This study proposes a system for establishing a power generation facility maintenance plan that can establish a preventive preservation environment by deriving proper maintenance cycles and ranges through failure record data obtained without sensors and selecting maintenance target groups. Method: This study uses failure record data obtained from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s life data to calculate the reliability scale for each sub system of the target facility through life distribution fitting, which is part of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Weibull distribution was adopted as the life distribution, and the proper maintenance cycle and range were derived through the scale. In addition,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s performed to generate failure record data and select an maintenance target group clustered between sub systems with a high probability of failure at the same time. The system for creating power generation maintenance plan uses the proper maintenance cycle, range and maintenance target group. Results: This study used the failure record data of the 'CSU-1B' unit, a coal unloading machine operated by Korea Midland Power CO., LTD, as Case Study. The proper maintenance cycles and ranges for each of the 17 target facility subsystems were derived, and three maintenance target group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a power generation facility maintenance plan for each maintenance target group was established. Conclusion: Among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hat are difficult to attach sensors, the proper maintenance cycle and range of each sub system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were derived through failure record data, and the maintenance target group was selected for sub systems with high correlation between failure history. Through this, a power generation facility maintenance plan was presented to establish a preventive maintenance environment fo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고장 기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전설비 점검계획 수립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최근 설비에 센서를 부착하여 얻은 계측 데이터를 통해 센서 기반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발전설비 구조상 센서를 부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센서 없이 얻을 수 있는 고장 기록 데이터를 통해 적정 점검 주기 및 범위 도출, 점검 그룹 선정을 통해 예방보전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발전설비 점검계획 수립 시스템을 제안한다. 방법: 이 연구는 발전설비에서 얻은 고장 기록 데이터를 수명자료로 채택하여 신뢰성 분석의 일환인 수명 분포 피팅을 통해 대상 설비의 하위 시스템별 신뢰성 척도를 산정한다. 수명 분포로는 와이블 분포를 채택하였으며, 해당 척도를 통해 적정 점검 주기 및 범위를 도출한다. 또한, 동시에 고장이 날 확률이 높은 하위 시스템끼리 군집화한 점검 그룹을 선정하기 위하여 계층적 군집 분석을 수행한다. 상기 방법론을 기반으로 한 발전설비 점검계획 수립 시스템을 통해 점검 그룹별 점검계획을 수립한다. 결과: 이 연구는 Case Study로 한국중부발전에서 운영 중인 석탄하역기인 ‘CSU-1B’호기의 고장 기록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17개의 대상 설비 하위 시스템별 적정 점검 주기 및 범위를 도출하였고 3개의 점검 그룹을 선정하였다.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점검 그룹별 설비 점검계획을 수립하였다. 결론: 센서 부착이 어려운 발전설비 중 사후보전을 수행하는 설비를 대상으로 고장 기록 데이터를 통해 발전설비의 각 하위 시스템별 적정 점검 주기 및 범위를 도출했으며, 고장 발생 이력 간의 상관이 높은 하위 시스템을 대상으로 점검 그룹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발전설비 점검계획을 제시하여 발전설비의 예방보전 환경을 구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