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hronological Harmonization between the Two Creation Accounts in Genesis

        황선우(Hwang, Sun-Woo) 한국개혁신학회 2011 개혁논총 Vol.18 No.-

        구약 오경의 문서설(JEDP)이 비평적 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진 이래로 비평적 학계에서는 창세기 1:1-2:3 (1:1-2:4a) 과 2:4-25 (2:4b-25)을 각각 P와 J문서로 보며 하나님의 이름과 문예적 특징, 창조순서가 서로 다른 두 개의 모순적인 기사들로 여겨 왔다. 이 소론에서 필자는 두 창조기사의 여러 대조점 가운데 특별히 창조기사의 순서를 분석하여 두 창조기사의 순서가 서로 모순적인 관계에 있지 않고 보완적이며 조화로운 관계에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분석을 위해 필자는 먼저 창조순서에 있어 여러 논쟁점을 지니고 있는 첫째 창조기사를 분석하였다. 첫째 창조기사의 창조순서를 인정하지 않는 학자들에게 중요한 두 논지는 첫째, 첫 번째 창조기사는 바벨론 신화에서 빌려온 비역사적 기사라는 것이고 둘째, 창조기사의 창조순서는 과학적으로 납득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두 번째 주장은 구체적으로 빛의 창조에 관한 첫째 날과 넷째 날의 관계에 주목한다. 이 두 논지에 반박하여 필자는 첫 번째 창조기사와 바벨론 신화 사이에 고대근동 문학으로서의 유사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이성이 있음을 확인함으로 첫째 창조 기사를 비역사적 고대 바벨론 신화의 아류라고 단정할 수 없음을 논증하였고, 넷째 날 태양의 창조 이전의 시간개념의 도입은 첫째 날 빛의 창조로 가능할 수 있음을 본문 주석을 통해 논증하였다. 두 창조기사의 관계에 관하여는 첫째 창조기사가 창조된 순서대로 (chronologically) 기술된 반면 둘째 창조기사는 인간의 창조에 초점을 맞추어 주제별로 (topically) 기술되었음을 논증하였다. 따라서 창조순서의 측면에서 볼 때 첫째 창조기사와 둘째 창조기사는 모순적 관계에 있지 않고 상호 보완적 관계를 지니며 두 창조기사를 통해 독자는 하나님의 창조를 다각적으로 이해 할 수 있다. Ever since the Documentary Hypothesis (JEDP) was widely accepted in the critical circle of the Old Testament studies, Genesis 1:1-2:3 (or 1:1-2:4a) and Genesis 2:4-25 (or 2:4b-25) have been considered as two different and contradictory creation stories that belong to P and J respectively by noticing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ccounts: names of God, literary style, and creation order, etc. Among the issues of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ccounts, I have focused on the creation order of the two to demonstrate that the two accounts are not contradictory but harmonizable. The first step, for the search of the harmonization, is to decide the debated issue of the chronological order of the first account. There are two major groups of supporting non-chronological reading of the first creation account. The first group believes that the first creation account is an unhistorical account borrowed from Babylonian myths. The second group claims a nonchronological reading of the text mainly from their desire to harmonize their scientific data with the first creation account, specially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day and the fourth day. In opposition to the both arguments I defended the chronological reading of the first account. Many uniquenesses of the first creation story were discovered in comparison with other ancient creation literatures. Concerning the question of the sun’s function before the creation of the sun on the fourth day, I argued that the light created on the first day carried the role of the sun, the light bearer, before it was created on the fourth day, although we do not know exactly how the first light functioned. As for the second creation account non-chronological, topical reading is compelling by observing the author’s intention of emphasis on the creation of man. Therefore, the two creation accounts do not have internal contradiction in terms of the chronology. The author of Genesis did not make a mistake on harmonization of the chronology between the texts. Rather he must have intended to make the accounts complementar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God’s creation of man and the world.

      • KCI등재후보

        사사기 13장의 여호와의 사자의 정체

        황선우 ( Hwang Sun Woo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ACTS 신학저널 Vol.31 No.-

        사사기 13장의 나타난 여호와의 사자는 문자 그대로 이해하면 여호와께서 보낸 사자이기 때문에 여호와의 사자의 정체성을 여호와나 그리스도라고 주장하려면 여호와의 사자의 정체가 여호와가 보낸 사자가 아님을 보여줄 강력한 증거가 필요하다. 이 소론에서 사사기 13장의 “여호와의 사자”의 정체를 여호와나 그리스도로 주장한 주요 논거들을 검토한 결과 사사기 13장의 “여호와의 사자”를 문자 그대로 여호와의 사자가 아닌 여호와나 그리스도로 이해해야 할 타당한 이유를 찾지 못했다. 사사기 13장의 여호와의 사자의 정체가 여호와임을 주장하기 위한 논증은 모두 약점을 드러냈다. 구약 다른 여러 곳에서 여호와의 사자가 여호와로 지칭되었기 때문에 사사기 13장의 여호와의 사자도 여호와로 볼 수 있다는 논증이 있었지만 구약의 여러 본문에서는 여전히 “여호와의 사자”는 여호와께서 주신 임무를 수행하는 전령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사사기 13장의 여호와의 사자의 정체는 사사기 13장의 본문을 통해 밝혀야 한다. 사사기 13장의 여호와의 사자는 초월적인 여호와가 인간과 직접 대화 하는 것이 어울리지 않아 완곡어법(euphemism)을 사용한 것이라는 논증은 구약 다른 곳에서 여호와께서 직접 인간과(예, 아브라함, 모세) 이야기 한 것을 설명하지 못한다. 사사기 13장 22절에서 마노아가 여호와의 사자를 하나 님이라고 부른 것이 여호와의 사자를 여호와로 보는 증거로 인용되지만 이 것은 전지적 시점을 가진 내레이터의 해설이 아닌 등장인물 마노아의 판단 이기 때문에 그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다. 무엇보다도 사사기 13장의 여호와 의 사자를 여호와로 보는 견해는 여호와의 사자가 자신을 여호와와 구분하 는 16절을 설명하기에 역부족이다. 구문론적으로 □□□□□□□□의 □□□□□와□□□□□를동격의 연계관계(appositional construct)로 보아 사자가 곧 여호와라고 말하 는 주장도 있었지만 고대근동언어의 구문에서 사자와 신명이 나란히 나올 때 일반적으로 동격관계가 아닌 종속관계(subordinate relationship)를 의미 하기 때문에 이 주장도 받아들이기 어렵다. 사사기 13장의 여호와의 사자를 미리 오신 그리스도로 보는 견해의 논거 도 여호와의 사자를 문자 그대로 여호와의 사자로 이해하는 것을 뒤엎을 만큼 강력하지 못하다. 이사야 9장 6절의 메시야 호칭인 (기묘자)는 구약에서 메시야에게만 붙여진 고유명사가 아니라 일반명사이기 때문에 사사기 13장 18절에서 여호와의 사자를 묘사하는 형용사 □□□□□를 메시야를 묘사하는 형용 사로 이해해야 할 이유가 없다. 예수 그리스도가 성육신하여 이 땅에서 사역 할 동안에 신약에 여호와의 사자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 사사기 13장을 포함 한 구약의 여호와의 사자가 예수 그리스도임을 말하는 것이라는 주장도 받아들이기 어렵다. 예수 그리스도가 육신이 되어 이 땅에서 사역할 동안에도 “주의 천사”가 나타났고(마 2:13, 19; 눅 2:9) 구약의 모든 □□□□□를 “an angel of Yahweh”가 아니라 “the angel of Yahweh”로 번역하여 특정한 한 사자로 이해하는 것도 담보되지 않은 가설에 불과하다 The messenger of Yahweh in Judges 13, literally, is understood as a messenger sent by Yahweh. If one contends that the messenger of Yahweh in Judges 13 is Yahweh or Christ, one should provide strong proof which can deny the literal understanding of the messenger of Yahweh. Having investigated the arguments for identifying the messenger of Yahweh in Judges 13 as Yahweh or Christ, I conclude that it is most plausible to identify the messenger of Yahweh as it literally means. Every argument for identifying the messenger of Yahweh as Yahweh discloses its weakness. Though some identify the messenger of Yahweh as Yahweh citing other places of the Old Testament where the messenger of Yahweh is Yahweh himself, there are still many passages of the Old Testament in which the messenger of Yahweh is distinguished from Yahweh. It is also claimed that since transcendent God could not com-municate directly with man, God, in the form of angel, communicated with man. However, we read other passages where transcendant God communicated directly with man like Abraham and Moses. Manoah`s judgment about the identification of the messenger of Yahweh as God in Judges 13:22 is not warranted because that is just a character`s thought. Syntactically though some view □□□□□□□□ as an appositional construct, this contention is to be dismissed. When a messenger appears with a divine name, generally, the relationship is to be viewed as not appositional but subordinate. Most of all, if we identify the messenger of Yahweh of Judges 13 as Yahweh, it is difficult to explain Judges 13:16 where the messenger of Yahweh clearly distinguished himself from Yahweh. It is also shown that identifying the messenger of Yahweh as Christ is not convincing. Since the messianic appellation (wonderful one) of Isaiah 9:6 is not a proper name only for the coming Messiah, there is no reason to count (wonderful) in Judges 13:18 as the description of Messiah. Moreover, it is not acceptable that the messenger of Yahweh did not appear while Christ was in the world. The angel of the Lord appears while Jesus was on the earth in Matthew 2:13, 19 and Luke 2:9. It is also not warranted that □□□□□□□□ in the many places of the Old Testament is the same one messenger of Yahweh.

      • 고효율 다결정 태양전지

        황선우(Hwang, Sun-Woo),김희재(Kim, Hee-Jae),이준신(Yi, Jun-Si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06

        태양광 주택 보급을 위해서는 기존에 고가의 실리콘 기판을 이용한 고효율 달성을 위한 연구중심의 태양전지 개발연구가 주축을 이루어왔다. 이는 개발에 성공하더라도 고가, 고난도, 복잡한 다단계 공정기술을 이용하는 단점 때문에 보급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저가의 다결정 실리콘 기판을 이용한 중 상급 태양전지 상용화 기술개발로 전환할 필요로 인하여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전력용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요소소자인 다결정태양전지 고효율화의 열쇠가 되는 기술력 확보를 통한 저가, 대면적, 고효율, 고수율 제품 대량생산 상용화에 중점을 두었다.

      • KCI등재후보

        파나무와 비문 연구

        황선우 ( Sun Woo Hwang ) 개혁신학회 2012 개혁논총 Vol.22 No.-

        파나무와 비문은 기원전 8세기의 비문으로 파나무와 2세의 아들 바-라키브가 북 시리아의 Y`DY 왕국을 회복한 그의 아버지 파나무와 2세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것이다. 이 소론에서 필자는 파나무와 비문의 역사적인 배경과 언어적 배경을 검토한 후 파나무와 비문을 사역하고 서론, 본론, 결론으로 나누어 주석한 후 이 비문과 구약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 비문의 언어는 페니키아어와 가나안어와도관련이 있지만 고문서학적으로, 철자법, 음성학적으로 볼 때 고대 아람어 비문으로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 비문에서 바-라키브는 하다드 신의 보호와 아시리아의 왕 디글랏 빌레셀 3세의 도움으로 Y`DY 왕국을 국내의 반란으로부터 회복시킨파나무와 2세를 칭송한다. 구약과의 관련성을 살펴 볼 때 이 비문은 구약에서 상징성을 지닌 수"70"과"병거 앞에서 달리는"등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디글랏 빌레셀 3세가 나오는 구약의 본문들 가운데 특히 열왕기하 16:5-9은 디글랏 빌레셀 3세에게 군사적인 도움을 청한 본문이라는 점에서 파나무와 비문과 유사성이 크다. 열왕기하 16:5-9에서 유다 왕 아하스는 유다에게 위협을 가하는 아람 왕 르신과 이스라엘 왕 베가의 동맹을 공격해 줄 것을 디글랏 빌레셀 3세게 요청한다. 두 본문 모두 아시리아 왕에게 조공을 바치는 것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으며 아시리아 왕 디글랏 빌레셀 3세에게 도움을 요청하기 전 파나무와 2세와 아하스 각각의 신인 하다드와 야웨 (왕하16:1:2)를 언급한다. 아울러 디글랏 빌레셀 3세가 다마스커스를 공격한 것도 두 본문의 유사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하지만 파나무와 비문이 한 개인의 업적을 칭송한 선전적(propagandistic)인 글인 반면 열왕기하16:5-9은 파나무와 비문에 비해역사기록적(historiographical) 글이라는 점에서 두 본문의 차이가 있다. The Panamuwa inscription was engraved in the lower part of a statute erected by Bar-Rakib to memorize his father Panamuwa II, who restored the kingdom of Y`DY, one of the city-states in the area of North Syria in the 8th century B.C. As for the inscription`s linguistic affiliation, though it includes some elements of Phoenician and Canaanite, it is an archaic Aramaic inscription as paleographical, orthographical and phonetical investigation revealed. In the inscription, Bar-Rakib praises Panamuwa II`s restoration of the kingdom of Y`DY under the support of the god, Hadad and the aid of Assyrian king, Tiglath-Pileser III. In terms of the inscription`s relation to the Old Testament, the inscription includes some noticeable phrases used in the Old Testament such as "seventy" and "running at the wheel". Among several passages of the Old Testament in which Tiglath-Pileser III appears, 2 Kings 16:5-9 is a kin to the Panamuwa inscription because both deal with the military intervention of Tiglath-Pileser III. If Panamuwa II appeals to Tiglath-Pileser III for the oppression of the usurpers within the kingdom Y`DY, then Judah`s King Ahaz asks Tiglath- Pileser III to attack the alliance of Rezin, King of Aram and Pekah, King of Israel. However, characteristically, the Panamuwa inscription is propagandistic filled with praise for personal works while 2 Kings 16:5-9 is more dispassionate and historiographical at least on a surface level in the text.

      • KCI등재

        北宋代 미륵 신앙과 도상 -중국 山西省 開化寺 <彌勒上生經變相圖>를 중심으로-

        황선우 ( Hwang Sun-woo ) 동양미술사학회 2022 동양미술사학 Vol.15 No.-

        도솔천(兜率天)에 머무르며 법문을 설하는 미륵보살은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사바세계에 다시 태어날 미래의 부처로서 아시아 전역에서 널리 신앙되어 왔다. 이에 미륵 신앙은 사후 미륵보살의 주처인 도솔천에 태어나기를 바라는 상생 신앙과 미래세에 출현할 미륵불의 설법을 듣고자 하는 하생 신앙으로 크게 나누어 보기도 한다. 중국 산서성(山西省) 고평(高平) 개화사(開化寺) <미륵상생경변상도(彌勒上生經變相圖)>는 북송대(960~1127)에 그려진 사찰 벽화로 오랜 기간 잘못된 명칭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에 이르러 작품의 주제가 명확해지면서 그 중요성이 새롭게 대두되었다. 미륵상생경변에 관한 선행 연구에서는 다수의 작품이 현존하는 서하와 천산 위구르의 사례를 통해 당대(618~907) 이후 불교가 쇠퇴한 중원(中原)과 달리 이 지역에서 미륵 신앙이 성행한 것으로 해석해 왔다. 하지만 최근 <미륵상생경변>으로 재규명된 본 벽화와 더불어 다양한 문헌 기록을 살펴보면 북송에서도 국가 차원에서 불교를 적극 후원하였고, 왕실과 사찰 그리고 민간에 이르기까지 미륵 신앙이 상당히 성행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개화사본과 유사한 도상과 화면구성을 보이는 서하와 천산 위구르 작품과 비교해 보면 본 벽화가 가장 많은 수의 장면을 보다 충실하게 도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개화사본을 비롯한 모든 작품에 표현된 건축물의 구조와 세부 부재가 정교한 계화(界畫) 기법으로 그려진 점으로 미루어 보아 한족 문화의 중심인 중원에서 성립한 도상이 이웃 국가로 확산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당시 북송과 이웃 이민족 국가 간에 불교문화가 적극적으로 공유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서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Maitreya has been widely venerated throughout Asia as the Future Buddha who will descend from the Tushita Heaven to this earth to deliver all sentient beings. According to this belief, two modes of the Maitreya cult developed in China: one stressing the motif of ascent and the other emphasizing the motif of descent. Buddhist devotees who believed in the ascent motif aspired to be reborn in the Tushita Heaven where Maitreya resides as a bodhisattva. On the other hand, those who espoused the descent motif wished to be reborn on earth along with Maitreya when he descends to become the Buddha. This paper focuses on a Northern Song (960~1127) mural that illustrates Maitreya bodhisattva in the Tushita Heaven situated in a Buddhist monastery named Kaihuasi in Shanxi province of northern China. The subject of the mural was long mistakenly identified and recent re-attribution has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this work. Whil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Maitreya devotion in neighboring kingdoms of Xixia and Tianshan Uighur where a number of Buddhist texts and arts related to Maitreya have survived, historical records along with Kaihuasi mural attest to the widespread worship of Maitreya during the Northern Song period. When compared with similar works from Xixia and Tianshan Uyghur, it becomes clear that Kaihuasi mural follows the scripture more closely than any other works and illustrates the greatest number of scenes. Further, the fact that celestial figures as well as architectural representations are depicted in a distinctly Han Chinese style across all works suggests that Chinese prototypes must have circulated across borders. In other words, Kaihuasi mural serves as important evidence of active artistic exchanges among the Northern Song and the neighboring states during the tenth to twelfth centuries.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아동학대 보호체계에 관한 학술연구 분석

        차은빈 ( Cha Eun Bin ),황선우 ( Hwang Sun Woo ),조은경 ( Jo Eun Kyung ) 한국경찰학회 2023 한국경찰학회보 Vol.25 No.1

        아동학대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짐에 따라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논의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1월에 시행된 아동학대 대응 강화방안이 아동학대 보호체계 학술연구의 동향에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하기 위해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출간된 논문을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F-IDF 수치를 살펴보면 2021년 이후 논문에서 ‘신고’, ‘처벌’, ‘대응’과 같이 아동학대 대응 강화방안과 관련된 키워드들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토픽모델링을 통해 연구동향이 피해아동의 인권 및 복지에서 학대피해의 신고와 처벌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네트워크 분석 결과 2021년 이후에는 ‘아동’보다 ‘학대’ 키워드의 중요성이 강화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2021년 이후의 아동학대 보호체계 관련 학술연구가 이전에 비해 형사사법체계 중심으로 논의가 확장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은 결론에서 다루었다. As social interest in child abuse grows, discussions to protect children are also increasing. In this paper, Text mining techniques were used to confirm whether the strenghtened measures regard child abuse implemented in January 2021 affected the trend of academic research on the child abuse protection syste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TF-IDF figures, the frequency of keywords related to measures to strengthen child abuse responses, such as ‘report’, ‘punishment’, and ‘response’, has increased in papers since 2021. Second, it was found that through topic modeling, research trends shifted from the human rights and welfare of victims to reporting and punishment of abuse perpetrator. Third,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keyword “abuse” has been strengthened over “child” after 2021. In conclusion, academic research on the child abuse protection system seems to have been discussed focusing o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ddressed in the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