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태원지> 서사분석에 의한 국적 규명

        황미숙 ( Mi Sook Hwang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한국고전연구 Vol.0 No.29

        <태원지>는 원 말, 천명을 받은 임성이 호걸을 모아 대사를 도모하다가 대해에 표류하게 되고, 요괴를 만나 고난을 겪지만 종황의 신술로 제거한다. 그리고 태원이라는 미지의 세계에 상륙하여 태원 오국을 평정하고 대흥을 창업하여 황제에 즉위하는 창업서사이다. <태원지>는 국적 문제가 명확히 해결되지 않은 작품이다. 『중국소설회모본』<소서>에 <태원지> 서명이 기록되어 있어 중국소설로 여겨졌지만, 내용 분석을 통해서 우리 고소설로 간주되었다. 그런데 우리 고소설에는 역성혁명을 성공시킨 창업주가 주인공이 되는 경우가 없는 점과 탈중화의식을 보이는 <태원지>는 1762년 이전 작품이므로 조선에서 상대적 세계관이 담론으로 작동하던 시기와 차이가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태원지>의 국적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국고전소설총목제요』에 실려 있는 <신무전>이라는 작품에 관한 간략한 설명과 <태원지> 서사의 특징과 유사한 점은 <태원지>가 우리 고소설이 아닌 중국소설이며, <신무전>을 번역 내지 번안한 작품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조선에서 중국소설인 <신무전>이 유입되고 <태원지>로 번역되었다면, 이는 영조의 주원장에 관한 높은 관심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영조는 즉위하는 과정에서 정통성의 시비로 많은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 왕권을 강화하고자 했던 영조는 강력한 군주체제를 지향했던 명 태조에 다방면으로 관심을 가졌다. 그 결과로 영조는 주원장이 창업을 이루는 과정을 다룬 <영렬전>, 창업 이후 명의 기반을 구축해나가는 과정을 담고 있는 <남계연담>에 애착을 보였고, 주원장이 명을 창업한 역사적 사실을 환상적 허구로 변형한 <신무전>을 <태원지>로 번역하도록 하는데 이르렀을 것으로 보인다. The Origin of <TaeWonJi>, whether it is the work of China or Korea, is not clear.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t is acknowledged as a Korean classical novel. However, there are certain questions existing regarding the novel. This dissertation is written to demonstrate that <TaeWonJi(太原誌)> could have been the work of Chinese. First of all, there had been no protagonist who created the nation in the novel written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Second, because <TaeWonJi> was written before 18th century, it must have been difficult to reflect the relative view of the world which was popular in the late 18th century in Joesen Dynasty era. Also, there is a mention on Chinese reference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narrative in <TaeWonJi>. While <TaeWonJi> fantasized historical facts and Jong Hwang’s amazing magic is narratively standing out, <ShinMuJun(神武傳)> has similar features. The reason why <TaeWonJi> could have been translated into <ShinMuJun> can be explained in relation to King YoungJo. In the late 18th century, King YoungJo wanted establish powerful monarch system that he was interested in Ming Firstking (JooWon-Jang) who sought the system beforehand. In addition, because novel was regarded as a type of history book that it is assumed that together with <DaeMyoungYoungRyulJun> <NamGyeYunDam>, which is related to the Joo Won-Jang, <ShinMuJun> could have been translated into <TaeWonJi>

      • KCI등재

        한국 남서해안 자연채묘 양식 김의 DNA 염기서열과 종 동정

        황미숙,김선미,하동수,백재민,김형섭,최한구,Hwang, Mi-Sook,Kim, Sun-Mi,Ha, Dong-Soo,Baek, Jae-Min,Kim, Hyeung-Seop,Choi, Han-Gu 한국조류학회(藻類) 2005 ALGAE Vol.20 No.3

        Nuclear SSU and ITS1 rDNA and plastid rbcL sequences were determined to identify the seven samples of Porphyra cultivated by means of natural seeding o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and analyzed to access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m with the natural populations of P. tenera and P. yezoensis from Korea and Japan. SSU, rbcL and ITS1 data from 18, 21 and 31 samples, respectively, including previously published sequences were investigated in the study. Results from our individual and combined data indicated that the seven samples were all P. yezoensis and the entities except one from Muan 2 aquafarm strongly grouped together with the natural populations of P. yezoensis from the south and the west coast of Korea. The sample from Muan 2 seems to be derived from a strain of P. yezoensis introduced from Japan by Porphyra farmers, based on DNA sequence data.

      • KCI등재
      • KCI등재

        18세기 말 수원 사대부, 李奭祚의 華城 진흥책

        황미숙(Hwang, Mi-Sook)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9

        李奭祚는 『집설』 「집설범례』에서 책의 구성방식을 유형원의 『磻溪隨錄』에서 참고하였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석조는 유형원의 『磻溪隨錄』을 비판하며 『輯說』의 체재를 종류별로 나누어 구성한 체재를 따르면서 근본에 중점을 두고 본말을 분명히 하여 맥락이 관통하며 조리 있게 개선했다고 강조하였다. 이석조는 10여 년간 經世濟國에 관련한 내용을 1책 2편(내․외편)으로 정리하여 두었다. 이 초본이 정조에게 알려졌고 책을 완성해서 올리도록 命을 받았다. 이에 이석조는 4책[元․亨․利․貞]으로 학문과 치국에 관한 견해를 정리하여 묶어서 『집설』이라 이름하고 정조에게 進御하였다. 이석조의 『輯說』 ‘定鄕制’에서 방리제도를 확립하고 자신이 직접 실천한 향약을 통해 향촌 질서를 유지하고자 하는 바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석조는 상소문을 통해 시무를 제안하였고, 『집설』 ‘정향제’를 통해 향촌사회 질서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정조는 유형원의 『반계수록』 「군현제』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광주의 2개 면을 수원부로 이속시켜야 한다는 의견을 적극 수용하여 광주부의 일용면과 송동면을 수원부로 이속시켰다. 또한 정조는 이석조의 상소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양재도찰방을 영화도 찰방으로 이전․설치하여 물산이 모여들도록 하였다. 이러한 이석조의 제안은 정조로 하여금 수원의 육성을 위한 정책을 특별 조치로 단행하도록 촉구하였다. 무엇보다 이석조는 향약실행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자신의 경험을 기초로 하여 산업을 부흥시키기 위한 정책 및 교육과 풍속교화를 위한 이석조의 진흥책은 정조의 화성축성과 화성 육성책의 실천을 촉구하게 한 것이다. 더욱이 이석조는 『집설』 에서 각 항목마다 병폐에 대한 실제의 사례를 들어 면밀하게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개혁해야 할 사안에 대해 대안을 제시하는 방법 또한 구체적이어서 그의 경세론이 실제성을 담보하고 있다. 유형원의 『반계수록』은 17․18세기에 ‘실학적 경세론’에 지대한 영향력을 주고 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석조의 『집설』은 유형원과는 달리 그 내용의 실제 사례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서술하고 그 대안을 조목조목 제시하는 등에서 보다 현실적 경세론을 주장하였다고 할 만하다. 이것은 이론적 원형을 제시하여 단순한 대안을 제시하는 태도가 아닌 ‘실천적 경세론’의 기준을 마련하려 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Seokjo Lee mentions that the format of 『Jibseol(輯說)』 is referred from 『Ban-gye surok(磻溪隨錄)』 of Hyeongwon Yu in 「jibseol-beomrye」. Seokjo Lee emphasizes that improving the format of 『Jibseol』 which is followed the constituted format that divided into the type, focused on fundamental and classified means and ends also it’s context is through logically. Seokjo Lee organiz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Gyeongse-gjeguk(經世濟國) in the first book, Part 2(2 chapters) for 10 years. The book became known to Jeongjo of Joseon, Seokjo Lee is royal commanded to raise up to complete the book. Likewise, Seokjo Lee devotes grouped into four books which are called 『Jibseol』 that is organized an opinion on the academic and the politics based on the draft to Jeongjo of Joseon. 『Jibseol』 「Jeonghyangje(定鄕制)」 of Seokjo Lee is appeared that maintain an order of the “Hyangchon(the society of regions outside the capital)” via establishing “Bangrijedo” and “Hyangyak(village code)” which is practicing himself. Seokjo Lee proposes to serve as the “Sangsomun(memorial)” and asserts to reform an order of the “Hyangchon(the society of regions outside the capital)” through 『Jibseol』 「Jeonghyangje」. As it claims that two myeons of “「Gunhyeonije(郡縣制)」” reunite with Suwon in 『Ban-gye surok』 「Gunhyeonije」 of Hyeongwon Yu, Jeongjo of Joseon embraces the opinion to reunite “Ilyongmyeon” and “Songdongmyeon” into Suwon. As suggestion of Seokjo Lee on “Sangso(memorial)”, Jeongjo of Joseon removes and reinstalls the Yangjaeyeong to yeonghwayeong and has local products gather it. Jeongjo of Joseon designs the policy on prosperity of the Suwon and executes special measures. Above all things, Seokjo Lee highlights the important of executing “hyangyak(鄕約, village code)”. “Gyeongse-Gaehyeokron(the governing Reform)” of Seokjo Lee-lives in Suwon for a long time-providing a beginning of the execution to Jeongjo of Joseon whom desires for consecrated Hwasung and flourishing of Sineup(新邑). Furthermore, Seokjo Lee elaborately describes maladies with real examples to 『Jibseol』 on each article. The way of presentation about the issue that should be reformed is specific so that his Gyeongseron guarantees the authenticity. Needless to say that the 『Ban-gye surok』 of Hyeongwon Yu profound effect to Silhakjeok-Gyeongseron(實學的 經世論) in 17<SUP>th</SUP> and 18<SUP>th</SUP>Century. However 『Jibseol』 of Seokjo Lee merit that contend much more in practical Gyeongseron(實踐的 經世論) than Hyeongwon Yu because of that analyzes elaborately, describes, and suggests alternatives one by one. In additionally, it is not suggesting simple alternatives as theoretical original form but establishing a standard of “practical Gyeongseron”.

      • KCI등재
      • KCI등재

        충북지역 일부 학교 영양(교)사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

        황미숙 ( Mi Sook Hwang ),주지형 ( Ji Hyeung Ju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1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7 No.3

        We investigated perception and educational demand for health functional foods among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working in schools. The subjects were 229 nutrition teachers (57.2%) and dietitians (42.7%) working in Chungbuk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pproximately 67%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 consuming health functional foods. Most of the subjects did not have experience with the side effects after consuming health functional foods. Subjects who were unaware of the legal specifications, classification, and labeling standard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78-91.2%) were much more common than those who were aware of those issues. Most of the subjects perceived health functional foods as a food (45.0%) or as a product between a food and a medicine (44.5%). The subjects recommended themselves (43.1%) or medical doctors/pharmacists (40.8%) as consultation/education specialist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Approximately 66%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 conducting nutritional consultation/education in their schools, but only 3.2% had experience with health functional foods. Only 17.8%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 receiving education on health functional foods. Most subjects (88.2%) demanded education on health functional foods for themselves. The results suggest that an effective education is needed for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working in schools for them to play an active role in educating students and their parents about health functional foods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독일 표현주의 운동과 후기 표현주의 무용에 관한 연구

        황미숙(Hwang, Mi-sook) 한국체육철학회 1997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ver how German Expressionist Movement in arts influenced to Expressionist dance and to reveal characteristics fo late expressionist dance. In order to research the topic, overview of German Expressionism and development of Expressionist dance is introduced. Also, general charactersitiscs of late expressionist dance is covered focusing on Pina Baush and her Tanztheater. German Expressionism, which tried To find a new domian of expression of human being`s inner world, was created out of desire to get over turbulent background of the contemporary society after World War I and to surmont feelings of anxiety, uncertainty, and pain of people. Expressionist dance was started in 1920-1930 inspiring by expressionic movement in arts and dancers, such as Isadora Duncun and Michale Fokine. Pioneers of expressionist dancerss were Rudolf Von Laban, Mary Wigman, Kurt Jooss. Late expressionst dance is started in the 1960s by students of Jooss` Folkwang School. Pina Baush and her Tanztheater are represented as late or new expressionist dance. Pian Baush who is successor of expressionist dance shattered away conventional concept of choreography and boroadened the boundary of dance as an art, opening up a new dance era. She enlarged the domain of dance into that of total art, with her Tanztheater style, which has collage-typed choreography, combined drama, cinematic, and theatrical images with music. German expresionist dance was once introduced by Japanese dancer Ishii Baku in 1926. Ishii`s Korean students Choi Sung-hee and Cho Taek-won who were pioneer of Korean New Dance tried to realize expressionist dance in Korea in their dance drama style New Dance. I believe that more studies on expressionist dance and its influences on Korean dance are needed to provide new background for 20 century`s Korean dance history.

      • KCI등재

        18세기末 水原지역 老論系 李奭祚의經世論 고찰

        황미숙(Hwang, Mi-Sook)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0 중앙사론 Vol.0 No.51

        조선후기 18세기 末 수원사대부 李奭祚(1713∼1796)는 평소 柳馨遠 『磻溪隨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주목하였으며, 이를 참조하고 보완하여 『집설』을 구성하였다고 스스로 밝혔다. 그러나 이석조 『집설』은 노론 낙론계의 경세학자들과는 일맥상통한 논의에 대해 총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명 받지 못하였다. 따라서 수원 재지사족인 이석조의 주장과 논의를 통해 당시 사회의 운영을 위한 제도개혁론 일단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석조는 송시열의 학문의 영향을 받은 노론계 인물이다. 그가 저술한 4책의 『집설』 「내·외편」의 형식적 분류는 ‘內聖外王’인데 「내편」은 ‘誠’을 근본으로 하는 修己이고, 「外篇」은 실천적 경세론인 ‘治人’에 대한 내용이다. 이석조는 『집설』에서 주목한 것은 ‘養賢才와 定鄕制’이다. 이석조는 과거의 폐단이 문벌에 중심을 둔 까닭으로 인해 인재가 양성·등용되지 못하는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더욱이 수원 신읍의 조성에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鄕制인 坊里制[面里制]와 연계하여 교육하고, 관료의 능력을 갖춘 인재를 천거하는 貢擧制에 따라 선발할 것을 주장하였다. 특히 몰락한 양반들로 인한 영향이 농·공·상에 까지 파급되고, 이것은 사회 전체의 문제로 확대되는 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이석조는 井田制를 실행해야함을 강력히 주장하면서도 현실적으로 이행할 수 없는 점을 들어 限田制의 시행을 구상하였다. 이것은 大夫와 士계층에게 토지를 더 분급하는 차등적 방안이었다. 해마다 結負를 결정할 때 생기는 폐단을 개혁하고자 田人에게 50負의 토지를 지급하고, 신분과 직임에 따라 결부를 규정하였다. 이렇듯 한전론과 결부법의 재해석에 따른 이석조의 전제개혁론은 점진적인 토지 재분배로 토지 소유의 정도를 조정하려는 방식이었다. 그리고 수원의 산업 육성에 관해 주목한 이석조의 상업론은 ‘務本補末’에 입각한 균형 있는 산업 육성책 이었다. 수원에 개설된 시전에서 횡행하는 도거리[都賈]의 폐단은 辛亥年 通貢 政策을 단행토록 하는데 그 영향을 끼쳤다. 또한 기존의 東萊로 향하는 영남대로의 길목을 수원 신읍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것은 수원을 下三道로 향하는 도로를 연결하여 ‘物貨의 유통 중심’인 漢南의 상업적 대도회를 만들려는 계획이었다. 그리고 수원 근처로 駒興·長足·東荷[同化] 三驛을 하나의 역참으로 만들 것을 주장하였다. 察訪까지도 이전하자는 주장은 상업유통 거점 도시로의 확대 가능성을 전망했던 것이다. 이러한 까닭으로 정조의 특단으로 내려진 ‘迎華驛’으로 移設은 이석조의 제안과 일치하는 점에서 그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수원의 상업적 대도시화를 위해 균형 있는 산업의 육성을 도모하고자 제안 하였다. 따라서 이석조의 경세론은 그 실용성이나 해결방안을 위한 모색이 아니라 그 도덕적 이상이나 관념을 통해 구현되는 현실대응의 이념적 장치로 논의하고 주장한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시무 12조를 개진하였다. 17세기 유형원의 개혁론이 18세기 말 이석조가 살아가는 시대에도 여전히 유용한 개혁론이었음을 알 수 있다. 『집설』은 時宜를 반영하여 민인의 생활안정을 위해 주장한 사회개혁론이었다. Lee Seok-Jo as a scholar gentry in Suwon wrote 『Jipsul(輯說)』 based on his deep insight and knowledge in his life, and passed Eungjae(應製) in his 80s for Confucian scholars in Suwon. Jipsul was written to analyze problems which were caused by rapid changes of Suwon but also to propose a plan for ordinary people economic fundamentals. This study examines the policy development of country village(鄕村) and Lee Seok-Jo s theory of reformation in Suwon in the Jeongjo era of late 18th-century Chosun. Lee Seok-Jo was the one who was influenced by Song Si-Yeol(宋時烈) learning. Jipsul consists of four books of Won(元)·Hyeung(亨)·Ri(利)·Jung(貞); it draws a line between Naepyun(內篇) and Woaepyun(外篇) in content. In this way, it is meaningful; Lee Seok-Jo clarified his study was based on 『Banguesurock(磻溪隧錄)』 of Ye Hyeong-Won(柳馨遠), his learned role-model, because Yu was in Lee s opposite fraction. The first point that Lee Seok-Jo recognized in 『Jipsul』 was Yanghyunjae, emphasizing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in order to build a new village in Suwon. In other words, he insists that they should be educated by combining Bangrijae(坊里制), and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Gonggeujae(貢擧制). Lee Seok-Jo noticed that decayed scholars influence on agriculture, industry, and commerce led to the expansion of the whole social problem. Although Lee Seok-Jo declared that Jungjunjae(井田制) should be practiced, because of the realistic difficulty of the implement, he designed the implement of Hanjunja(限田制). Lee Seok-Jo tried to provide land of 50 Bu(負) to Junin(田人), and distribute land by determining Gyeulbu(結負) according to the status in order to prevent negative effects which were caused whenever Gyeulbu was determined every year. Likewise, Lee Seok-Jo s land reform theory was the method to adjust the rate of landholding via gradual land redistribution. Lee Seok-Jo s commercial theory for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Suwon was the reasonable plan based on ‘Mubonbomal(務本補末).’ This was the plan to make Suwon a commercial province of Hannam(漢南) which was the center of the materials and a central distribution of commodities(物貨). In addition, he insisted to make a post town by moving three stations(三驛) into around Suwon. As seen in Lee Seok-Jo s current affairs theory in 『Jipsul』, he suggested a practical alternative from a national perspective. Regardless of any political fraction, 『Jipsul』 was a social reform plan which was designed for ordinary people s life stability.

      • KCI등재

        수원 사대부 李奭祚 『輯說』의 均田論

        황미숙(Mi Sook Hwa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6 역사민속학 Vol.0 No.50

        정조는 신읍치 수원 大有屯田에서 井田을 시행함으로서 일부라도 전제개혁의 시작을 삼고자 하였다. 정조는 국영농장인 대유둔에서 먼저 시범적으로 井田을 시행한 후에 여타 다른 둔전에서도 병농일치를 확대․시행하고자 했던 것이다. 李奭祚 또한 井田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10개의 항목으로 분석해서 주장하였다. 따라서 정조와 이석조의 전제개혁론의 주장 배경은 신읍치 수원을 위한 정책으로서 民産과 戎政을 동시에 해결하려는 兵農一致의 방안에서 일맥상통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이석조는 富豪들의 토지 겸병과 현행 결부법에 대한 폐단을 지적하면서 董仲舒의 ‘限民名田’을 지금의 법으로 삼아 백성 소유의 전토에서 상한선을 한정하는 ‘限田’을 주장하였다. 이석조는 부호들의 토지 겸병에 따른 점유를 점진적으로 억제하고 적정한 농지를 소유토록 하여 신분에 따라 결부의 수대로 부세를 납부하는 ‘均田’으로의 전제개혁을 추진하려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석조가 ‘限田’에서 주장하는 바는 모든 백성들이 제대로 된 양전을 통해 均田을 분급 받아서 규정에 따라 결부를 납부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었다. 이석조는 부호들이 토지를 兼竝할 수 있도록 폐단을 만든 현행 결부법을 개혁하여, 소농이 토지를 쉽게 소유한다면 백성들의 民産이 다스려질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것은 신분제를 인정하는 제한적 개혁론이겠으나 이석조는 신분별 결부의 수와 토지 분급의 기준을 제시하여 현실에 적용하고자 했다. 그러므로 이석조는 ‘限田’의 개혁은 故家世族이라도 갑자기 가난해 지는 일이 없으며, 부유한 士民들도 토지를 급하게 빼앗기는 원망이 없이 10년을 기다리면 鄕約이 이루어져 이것을 이용을 할 수 있어서 ‘均田’이 행해질 것으로 기대하였다. 이와 같이 누대로 일용면 지역에서 살아왔던 여주이씨 가문인 노론의 인물 이석조가 제안하는 전제개혁론인 ‘限田’은 정조에게 화성의 육성책으로서 그 시행 가능성을 촉구했던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According to Relocation of the Crown prince Sado"s Tomb(equivalent to Royal tomb, called Hyunrungwon), the methodology was planed to promote a new town Suwon(a kind of second capital city). Ilyoung-Myun was belonged to Kwangju but it was replaced to Suwon in the period of King Jungjo‘s era(13th year of King Jungjo"s reign 1789). Scholar Lee"s family have lived ILyoung-Myun for generations. He passed the state exam for special test of Suwon when he was 81. Under the King Jungjo"s concern, Scholar Lee wrote the book for the Statecraft. Lee has arranged the Compiling Record with 2 chapters and 4 books in June1795(19th of King Jungjo"s reign) and hand in to the King Jungjo together with the appeals for Improvement of Hwasung(Suwon city changed to Hwasung metro city in Jungjo"s reign). This book is required the research due to it was included the change of circumstance of Suwon area in the period of construction of Hwasung fortress. In this book of "Jaeminsan"(special addition of Compiling of Record), Lee was searching the basics of system from the Rites of Chou and also has declared the Land system reforms in detail. Lee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Well-field model and has arranged the analysis with 12 points against the argument insisting impractical. However He recognized the difficulties of executing the Well-field system and pointed out the negative effect of fertility of field system and accumulating large amounts of land of the rich nobilities. Therefore Scholar Lee wanted to follow the limits on land privately occupied at that time. He thought that it could be practical to limit the cultivated land of people"s own and express the limited-field. It means the limited-field which is his reform of autocracy needed the limit of possession of land amount.

      • KCI등재

        한국산 미기록 해조 2종(Phyllodictyon anadtomosans 및 Saccharina ochotensis)에 대한 주해

        황미숙 ( Mi Sook Hwang ),오윤식 ( Yoon Sik Oh ) 한국수산과학회 201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6 No.1

        Phyllodictyon anastomosans (Harvey) Kraft et MJ. Wynne and Saccharina ochotensis (Miyabe) E.E. Lane c. Mayes, Druehl et G.W.Saunders are first reconded in Korea. A pantropical green alga, P. anastomosans was col- lected on a rock wall in the subtital zone of Jeju lsland. This species has very tiny fan-shaped and netted thalli that are green in color A cold temperate brown alga, P.ochotensis has very thick and leathery thalli that are deep brown in color. Morphological characteistics and habitats of these species are described with taxonomic accou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