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미혼모 복지제도에 관한 연구

        홍혜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화·도시화·정보화에 따른 사회구조와 가치관의 변화는 현대사회에 여러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최근 증가하는 미혼모 문제도 이러한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라 파생된 문제로, 일탈이나 성적 문란 등의 개인적 요인에 의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의 시각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미혼모 문제가 미혼모 당사자나 그 아이, 나아가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미혼모가 비정상적인 사회부적응 집단이 아닌 삶의 위기를 경험하는 집단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사회 공동의 책임의식을 지니고 예방적 차원에서부터 사후치료적 조처까지 가정과 국가적 차원의 적극적 대책방안을 모색, 사회적 차원의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미혼모 예방 및 문제해결을 위하여 먼저 그 발생요인과 미혼모의 현황 및 복지제도와 서비스 실태를 살펴보고 미혼모 복지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였는데 미혼모에 관련된 문헌과 관련기관의 통계자료, 기타 각종 자료를 참고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혼모 복지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법·제도적 측면, 재정적 측면, 사회복지 서비스적 측면, 사회적 측면으로 제시해 보았다. 첫째, 법·제도적 측면으로 미혼모 관련 법·제도의 합리화, 미혼부 책임의 법제화 그리고 미혼모 학업복귀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재정적 측면으로는 국가재정지원의 적절화, 지역사회 자원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셋째, 사회복지 서비스적 측면으로는 예방사업, 미혼모 보호시설 서비스, 상담서비스의 활성화, 자활대책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넷째. 사회적 측면에서는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전환, 정부·지역사회·가정의 공동체적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가족형태가 발생하고 수용되고 있으나 미혼모에 대한 낙인과 편견은 여전한 것이 우리의 현실이며, 이러한 보수적 시각은 미혼모를 우리사회의 그늘진 곳으로 내몰고 있다. 이제 더 이상 부정적이거나 소극적인 시각이 아닌, 미혼모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적 차원의 적극적 수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change of the organization of society and the values by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information-orientation causes lots of problems. Nowadays the increasing issue of unmarried mothers is caused by these change of the change of the organization of society. Though it is not individual factors, such as deviation, sexual confusion, the sight of our society is also negative. Thinking the influence that the issue makes on unmarried mothers and their children, we need to see unmarried mothers are not someone that cannot be adapted to society but a group that have experienced the crisis in life. Therefor we need to find the positive counterplan and supply socially and nationally from prevention to treatment after matter with responsibility. This study examine the factor, the present position of unmarried mothers and the welfare system, and find the counterplan of the welfare for unmarried mothers in order to prevent and solve the issue of unmarried mothers. This research used documents, such as books, lots of research and resource about unmarried mothers. This research suggests a plan of improvement of welfare system for the unmarried mothers in the legislative system side, in the financial side, in the social welfare service side, in the social side. First, in the legislative system side, it requires a rationalization of legislative system in relation to the unmarried mothers, a legislation of responsibility of the unmarried fathers, and a systematic support of return to school work for the unmarried mothers. Second, in the financial side, it requires a pertinency of national financial support, a activation of local society resources. Third, in the social welfare service side, it suggests a prevention business, a service of facilities for the protection of unmarried mothers, a activation of counsel service, a reinforcement of countermeasures for self-support. Fourth, in the social side, it requires a conversion of social recognition about unmarried mothers, a community-dimensional effort of government, local society, and home. Although the various forms of family come into existence and are accepted as the flow of the times, the stigmatization and prejudice about the unmarried mothers is still a reality in our society, and this conservative view drives them to the shade of our society. Now we must no longer have the negative or passive views about them, but accept them positively in social dimension on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about unmarried mothers.

      • 비자발적 사역중단을 경험한 선교사의 외상 후 성장

        홍혜경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 요약 비자발적 사역중단을 경험한 선교사의 외상 후 성장 본 연구는 선교지에서 비자발적으로 사역을 중단한 선교사들의 외상 후 성장현상과 성장을 촉진하는 요인에 관한 체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그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 궁극적으로 비자발적 사역중단 선교사를 위한 목회 상담적 돌봄의 전략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선교지에서 사역한지 만 3년이 지나 추방을 경험한 후 적어도 만 2년의 기간이 지난 선교사들이었다. 연구 참여자선발을 위해 일차적으로 연구대상자 선발기준에 부합되는 선교사들로 하여금 외상 후 성장척도 설문지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를 자가 측정하도록 하였다. 이차적으로는 높은 외상 후 성장 점수를 가진 선교사 9명과 낮은 외상 후 성장점수를 가진 선교사 3명을 합하여 총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최종 선정하였다. 연구방법론은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체험 연구 방법에 기초하였고 목회 신학 방법론으로 Larry Kent Graham의 심리체계적 접근(psychosystemic approach)을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5월부터 2017년 8월까지 16개월간 개별적 심층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선교사의 일기, 이메일, 기도편지, 간증문 및 설교 동영상 등을 보조 자료로 활용하였다. 면담 장소는 연구자의 상담실이나 연구 참여자가 선호하는 곳에서 진행하되 조용히 면담할 수 있는 공간을 사용하였다. 면담 시간은 최소 2시간에서 최대 6시간까지 다양하였고 면담 횟수는 참여자에 따라 최소 2회부터 최대 4회까지로 의미 있는 진술이 포화상태에 이르기까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비자발적 사역중단을 경험한 선교사들의 외상 후 성장현상은 총 6개 범주, 13개 주제모음, 37개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는 요인은 총 5개 범주, 13개 주제모음 및 32개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먼저, 외상 후 성장 현상의 6개 범주는 ‘고난을 통과함’‘자기 자신의 변화’‘대인관계의 변화’‘하나님과의 관계변화’‘사역의 변화’및 ‘상처의 흔적’이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외상 후 성장 현상은 일반적으로 밝혀진 외상 후 성장 현상과는 그 속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특별히 선교사라는 소명에 의거하여 외상 후 성장 현상을 드러내고 있으며 하나님과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우선 고통의 터널을 통과하였다. 개인적으로는 존재와 능력 면에서 새로워지는 경험을 하였다. 대인관계에서는 다른 사람과 질적으로 깊이 있는 관계를 이루게 되었다. 하나님과의 관계에서는 오직 하나님께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사역에서는 소명을 재확인하고 더욱 풍성한 사역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면서도 여전히 자신에게 남아있는 상처의 흔적을 가지고 있었다. 다음,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는 요인의 5개 범주는 ‘개인 관련 요인’‘가족 관련 요인’‘사회 관련 요인’‘문화와 자연 관련 요인’ 및 ‘하나님 경험 관련 요인’이었다.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는 요인도 선교사라는 소명의 특수성과 관련되어 있었다. 개인 관련 요인으로는 자기 자신을 성찰하며 자신을 돌보고, 감사하며, 소명을 확인하는 가운데 사역을 하는 것이 성장촉진요인이었다. 가족 관련 요인으로는 현재 자신의 가족과 함께 하는 것이 힘이 되는 반면 원가족과는 심리적으로나 실제적으로 거리를 두는 것이 성장 촉진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 관련 요인으로는 동역자와 교회, 선교단체의 조직시스템이나 대표자와 든든한 지지 체제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였다. 문화와 자연 관련 요인으로는 선교사 디브리핑이나 전문상담을 받는 것, 혹은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마음을 정리하고 새로운 전망을 갖는 것이 성장 촉진 요인이었다. 그리고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하나님을 신뢰하고 하나님의 은혜를 깊이 체험하는 것이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중심 메타포(root metaphor)설정을 시도하였으며 ‘풀무불에서 연단된 정금’으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Larry Kent Graham의 심리체계지도를 가지고 신학적 성찰과 논의를 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자발적 사역 중단을 경험한 선교사를 위한 목회상담적 돌봄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비자발적 사역중단을 경험한 선교사의 외상 후 성장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국내외 최초로 이루어진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비자발적 사역 중단을 경험한 선교사들의 외상 후 성장 체험에 대한 심층적이고 포괄적인 이해를 이끌어냈을 뿐만 아니라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할 수 있도록 선교사 멤버케어를 위하여 구체적인 돌봄 전략을 제시한 것에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1. Abstract Posttraumatic Growth in Missionaries who have Experienced Involuntary Suspension of Ministry Hong, Hye Kyung Dept. of counseling and Coaching, Unite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Yonsei University This study conducts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posttraumatic growth in missionaries who have experienced involuntary suspension of ministry. In doing so, it aims to provide a strategic model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for missionaries who have undergone such experience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missionaries who have spent at least two years away from their original mission fields upon having been expelled after three or more years of ministry. In order to select participants, an initial group of missionaries that fit this description were made to evaluate themselves via a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 survey. A final sample of 12 people were selected for study—nine of whom had the highest score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three of whom had the lowest scores. Methodologically, I adopt the interpretive and phenomenological approach developed by Max van Manen and the psychosystemic approach to pastoral theology developed by Larry Kent Graham. Data collection proceeded from May 2016 and August 2017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individual. Supplementary materials such as diaries, emails, prayer letters, testimonies, and sermon videos were also use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places that guaranteed a quiet, private atmosphere, such as the researcher’s office or other locations preferred by the subject in question. The interviews lasted variously from two hours to five or six.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participant, between two to four sessions were held in order to acquire an abundance of meaningful testimonials. My study led me to develop a total of six categories, 13 thematic groupings, and 37 units of meaning for the phenomenon of posttraumatic growth in missionaries who have experienced involuntary suspension of ministry. In addition, the factors that promote such growth yielded five categories, 13 thematic groupings, and 32 units of meaning. In the first place, the six categories of posttraumatic growth were “undergoing trial,” “transformation of self,” “trans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transformation of relationship with God,” “transformation of ministry,” and “the scars of pain.” There were a number of qualitativ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posttraumatic growth in the subjects from those that are generally known in the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subjects tended to view their posttraumatic growth in the context of their calling as missionaries, with a special focus on their relationship with God. After having undergone trial, the subjects experienced renewal in their self-esteem and abilities. Additionally, they experienced the deepening of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and a renewed focus on God in their spiritual life. In their ministries, they experienced a reaffirmation and enrichment of their callings. Finally, all of them retained scars from the pain they had incurred from their traumatic experiences. Next, the five categories of factors that contribute to posttraumatic growth were “individual-level factors,” “family-level factors,” “society-level factors,” “culture and nature-level factors,” and “spiritual-level factors.” All of these factors were related to the specific calling of missions for the subjects. Individual-level factors that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included self-reflection, self-care, thanksgiving, and reaffirmation of ministry. Family-level factors included togetherness in the case of the nuclear family, but psychological and physical distance in the case of the extended family. Society-level factors included stable relations of support from spiritual fellows, churches, and missions organizations and representatives. Culture and nature-related factors included mission debriefings and professional counseling, or renewal of spirit and vision through further education and training. Finally, spiritual-level factors included new in-depth experiences of faith and grace. Based on the findings of my study, I designated “Gold refined in the Fire” as the root metaphor for posttraumatic growth in my test participants. Theological reflection and discussions were conducted using the psychosystemic map developed by Larry Kent Graham. Finally, on the basis of my findings, I developed a model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for missionaries who have experienced involuntary suspension of ministry. This study represents the first in-depth research of posttraumatic growth in missionaries who have experienced involuntary suspension of ministry. It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uch posttraumatic growth, and proposes a specific strategy in terms of membercare for such missionarie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Key Words: Involuntary suspension of ministry, Missionary, Posttraumatic growth(PTG), Missionary member care, Phenomenological research, Psychosystemic approach of Larry Kent Graham.

      • 고등학생들의 영어 시제와 상 습득에 관한 연구 : 과거, 현재완료, 과거완료를 중심으로

        홍혜경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and acquisition order of English tenses(e.g. past, present perfect, and past perfect) and aspects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learning English in EFL circumstances. Furthermore, it will check whether this result supports the‘Aspect Hypothesis’by Andersen and Shirai(1996). For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76 students(36 boys and 40 girls) who were in the first year in high school. They were instructed to complete 72 sentences by changing the forms of verbs with proper tenses within 45 minutes. The cloze-test included four categorized verbs proposed by Vendler in 1967: statives, activities, accomplishments, and achievements. The results of the test were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and three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only analyzing in terms of using tenses, every group divided by gender or levels received high scores in past tense; however, they could not complete sentences correctly using present perfect and past perfect. The reason students easily understand and use past tense is because Korean and English both have past forms of verbs. Second, when analyzing the result of the study focusing on‘lexical aspect’, every group received high scores in accomplishments and activities. Third, the result of the study did not support‘Aspect Hypothesis’, which states the order of verb acquisition as“accomplishments·achievements > activities > statives”. Students showed better acquisition with activities than achievements, and there can be three reasons for this. According to Oh Duk-hee(2007), some English statives can be translated into statives and activities in Korean and that is why Korean students tend to translate statives into activities. Second, Kim Eun-ju(2003) insists activities are acquired earlier because of students’first language input. Most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ypically introduce progressive before perfect, and progressive is related with duration and dynamicity which are main characters of activities. Lastly, according to‘Morpheme Order Studies’by Brown(1973, p. 274) and Krashen(1988, p. 59), L1 and L2 learners acquired progressive among other English morphemes, and it can be a possible reason why students acquired activities first. Also, statistic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program to check if the result of the study is meaningful statistically. The result of T-tests showed that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ys’and girls’acquisition order of verbs. However, the result of ANOVA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high-level, intermediate-level, and low-level in thei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hrough the study, we can infe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xpecte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using perfect forms of English. Therefore, English teachers need to put their efforts in developing a grammar teaching model that can help students enhanc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fluency and accuracy.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사의 시제(과거, 현재완료, 과거완료) 사용 능력을 평가하는 빈 칸 채우기 형식의 질문지를 완성하게 함으로써 EFL 상황에서 영어를 배우고 있는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의 시제와 상 이해 정도 및 습득 순서를 알아보고, 이 결과가 Andersen과 Shirai(1996)의‘상 가설(Aspect Hypothesis)’에서 제시한 동사습득 순서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Vendler(1967)의‘어휘적 상(lexical aspect)’분류에 따른 상태동사(statives), 행위동사(activities), 도달동사(accomplishments), 성취동사(achievements)로 구성된 72문항의 질문지를 제작한 후 76명(남학생 36명, 여학생 40명)의 학생들에게 45분의 제한 시간 내에 빈 칸 옆에 주어진 동사를 시제에 맞게 변형하여 써 넣도록 지시한 후, 그 결과를 성별·수준별(상, 중, 하) 집단으로 분류하여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제 사용 능력 측면에서만 분석해보았을 때, 성별·수준별로 분류한 모든 집단에서 과거시제의 정답률이 높게 나온 반면, 현재완료 시제와 과거완료 시제 정답률은 현저히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어와 영어 둘 다 과거형이 있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과거시제의 이해 및 활용을 쉽게 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동사의 내재적 의미인‘상’의 개념에 중점을 두어 Vendler(1967)의‘어휘적 상’에만 초점을 맞춰 연구 결과를 분석해본 결과 남·녀 집단과 상·중·하 수준별 집단 모두 성취동사와 행위동사의 정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 결과가‘상 가설’에서 제시한 동사 습득 순서인‘성취동사 ․ 도달동사 > 행위동사 > 상태동사’와 일치하는지 살펴보았더니, 행위동사의 정답률이 도달동사보다 높게 나타나는 결과가 나오며‘상 가설’의 동사 습득 순서와 일치하지 않았다. 이처럼 행위동사가 먼저 습득된 원인으로 세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첫째, 오덕희(2007)는 상태동사를 한국어로 옮길 때 상태동사와 행위동사로 모두 해석이 가능한 경우가 많아 학습자들이 상태동사를 동작성이 있는 행위동사로 해석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경향이 행위동사가 먼저 습득된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둘째, 김은주(2003)는 학습자들의 초기 언어 입력 도구인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 완료형보다 진행형이 먼저 소개되는데, 진행형이 행위동사의 대표적 성격인 상황의 지속성이나 역동성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는데, 이 또한 학습자들이 행위동사를 먼저 습득하게 된 원인 중 하나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Brown(1973, p. 274)과 Krashen(1988, p. 59)의‘형태소 순서 연구(Morpheme Order Studies)’에 따르면 L1과 L2 학습자들이 영어의 여러 형태소 중 진행형을 가장 먼저 습득하였는데, 이것이 영어 학습자들로 하여금 진행형과 성격이 비슷한 행위동사를 먼저 습득하게 한 원인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또한, 본 논문의 연구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살펴보기 위하여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을 T 검증(T-test)한 결과 두 집단의 동사 습득 순서에 큰 차이는 없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상, 중, 하 수준별 집단을 일원변량분석(ANOVA)한 결과 시제별, 어휘적 상 별로 살펴 본 집단별 평균 정답수 대부분이‘p<0.05’라는 결과가 나와 집단 간 평균 정답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고등학생들이 완료형의 기능과 의미를 파악하고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현장의 영어 교사들은 학생들이 유창성과 정확성을 모두 갖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문법 수업 모형의 개발을 위해서 노력해야 할 것이다.

      • 파울 첼란의 시세계에 나타난 시인의 길 : 유태인적 운명과 관련하여

        홍혜경 숙명여자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Die vorliegende Arbeit ist ein Versuch, die Bedeutung der Berufung und der Mission des Dichters zu untersuchen, wie sie in den Paul Celans Gedichtsb nden von "Mohn und Ged chtnis" bis "Niemandsrose" dargestellt worden ist. P. Celan gilt als einer der bedeutendsten Dichter in der Nachkriegsliteratur Deutschlands. Die Dunkelheit, die seine Gedichte im allgemeinen umgibt, h ngt mit seinem Schicksal als Jude und der Einsamkeit als Dichter zusammen. In seinen Gedichten sind das Judentum und das Dichtertum sehr eng miteinander verbunden. Er war davon berzeugt, daβ "alle Dichter Juden sind". Die Arbeit teilt sich in drei Teile: das Woher, das Wo und das Wohin. Im ersten Teil wird untersucht, auf welche Weise die Identit t und die Herkunft des Dichters betrachtet werden kann. Dabei wird darauf hingewiesen, daβ der Dichter mit historischem Zeitbewuβtsein und einer bestimmten Zielsetzung seinen eigenen Weg geht. Der zweite Teil besch ftigt sich mit Celans Konzeption von 'einem ansprechbaren Du'. Da das Gedicht seinem Wesen nach dialogisch ist, braucht es immer ein Gegen ber als das Andere. Daher ist die Dichtung immer auf der Suche nach einem Du und zugleich nach sich selbst. Die Gegenwart, in der sich der Dichter befindet, wird ungl cklicherweise f r ihn immer wieder als ein Exil und eine Wanderung erlebt. Obwohl die Dichtung, wie Celan gesagt hat, eine Art Heimkehr ist, ist sie immer unterwegs und in Bewegung. Hier zeigt sich die enge Verkn pfung des Gedichts mit der Utopie, die 'dem Immer-noch des Gedichts' bei Celan entspricht. Im dritten Teil wird gezeigt, wie die dichterischen Bewegungen und die Ann hrung des Ich an das Du mit den Daseinsentw rfen des Dichters im Zusammenhang stehen. Celan hat Gedichte geschrieben, um zu sprechen, um sich zu orientieren, um zu erkunden, wo er sich befand und wohin er eigentlich wollte. Der Meridian, bei dem Sprache und Dasein des Dichters untrennbar verbunden sind, l uft unausgesetzt um, aus seinem Schon-nicht-mehr in sein Immer-noch zur ck. Damit ist der Weg des Dichters immer auf dem Weg nach der verlorenen Heimat, die wie eine Wirklichkeit gesucht werden soll. 전후 독일문단에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시인들 중의 한사람으로 손꼽히는 파울 첼란은 한 사람의 시인으로서 감당해야만 하는 유태인적 운명을 마치 어떤 순례자의 길처럼 그의 시세계에 투영시켜 형상화하였다. 그가 스스로 고백한 바와 같이 그는 대화하기 위하여, 자기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그가 어디에 존재하며 또한 어디로 가야 하는 지를 알기 위하여, 그리고 자기 현실의 윤곽을 그리기 위하여 시를 썼다. 첼란이 어떤 체계적인 문학이론을 피력한 바는 없지만 그의 시론적 견해가 나타나 있는 브레멘 문학상 수상 연설문(1958년)과 뷔히너 문학상 수상 연설문(1960년)은 그의 시인의식과 언어의식의 문제가 끊임없이 어떤 길을 찾아 나아가는 여정이었음을 말하고 있다. 또한 '예술을 눈앞에 그리고 마음에 품고 있는 사람'으로서의 시인은 운명적으로 주어진 내·외적인 망명의 현실 속에서 다시 자기 마음의 고향으로 돌아가는 귀향의 발자취를 남기게 된다. 이는 마치 어린이 지도 위에 그려지는 '자오선'처럼 만남에서 만남으로 이어지며 '느껴서 아는 하나의 너를 향하여 어느 목소리가 가는 길'로서 특징 지워진다. 이 여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시인의 역동적인 시간의식은 감추어진 역사의 어두움과 고통을 그 배경으로 깔고 있다. 끊임없이 어떤 열린 곳을 향하여 진실의 실마리를 찾아 나서는 시인의 결연한 의지는 역사적으로 면면히 이어져 내려온 유태인 수난사 및 유태인적 전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기존현실에서 배척당하고 추방당하는 존재로서의 시인의 위상을 드러낸다. 그러나 첼란의 문학에서 시인으로서의 자아의식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유태인적 뿌리의식은 혈통적으로 물려 받은 것 이상의 동질적 자아 정체감을 이루고 있는 운명 공동체로서의 시인적 연대감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시인의 시세계에 그려지는 시인의 내면적 현실로서의 여정은 오직 '문학적 현실'로 변모된 언어의 다성적 가치 안에서만 표현될 수 있으며 내면적 자각으로 눈뜬 시인의 고통을 형상화하고 있다. 첼란의 시적 궤적으로서 그려지는 시인의 길은 자오선과도 같이 끊임없는 여정으로 이어져 나가 무언가 원형적인 것, 두 극을 지나 자기자신에게로 되돌아 오는 귀향성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사물과 인간에게 바치는 주의력이 열린 곳을 찾아 나서는 여정이자 다가오고 있는 어떤 것, 그러나 아직 도래하지 않은 그 무엇인가를 향하여 앞으로 나아가는 시인의 내면적 자각의 길로 특징 지워진다.

      • 건축공간에 나타나는 오마주 기법에 대한 연구 : 리차드 마이어의 건축물을 중심으로

        홍혜경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난 100여 년간 영화는 무궁무진한 발전을 해왔으며 예술로 순화되어 다양한 장르에 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영화와 건축, 영화와 음악, 영화와 디자인 등 타 장르와의 교류를 통해서 복합적인 형태로 발전하였으며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영역으로의 구축이나 협업을 통한 색다른 결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타 장르와의 협업이 빈번한 요즘, 영화와 건축의 관계에 대해 세밀하게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됨이 이 연구의 출발점이다. 건축과 영화는 그것들이 시간과 공간 속에서 이미지들의 재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영화와 건축이 가진 공간 인식에 대한 시공간의 조합물이라는 공통점 때문에 이들 둘 사이의 다양한 비교가 가능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에서 표현되고 있는 오마주 기법을 분석하여 표현적 오마주와 이론적 오마주라는 키워드를 도출하였고 여기서 표현적 오마주는 삽입적, 상징적, 재현적 오마주의 특징으로 세분화시키고, 이론적 오마주는 동기적, 재구성적, 재해석적 오마주의 특징으로 세분화시켜 비교·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여러 건축가 중 1984년 프리츠커 상에 빛나는 백색 건축의 찬미자, 현대 건축가 리차드 마이어가 고찰의 대상이 되며 그의 건축이념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르 코르뷔지에, 미스 반 데어 로에, 알바 알토, 4인의 건축가와의 관련성과 오마주 기법으로 도출된 키워드, 그리고 그 키워드를 세분화시킨 특징을 건축에 대입하여 건축적 오마주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리차드 마이어는 르 꼬르뷔지에의 이론 중 필로티, 옥상 테라스, 자유로운 평면, 수평창, 자유로운 파사드를 특징으로 하는 근대 건축 5원칙과 돔이노 시스템에 영향을 받았고 조형적인 특징으로는 백색 건축의 영향을 받아 현재까지 그 맥락을 이어오고 있다. 또한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로부터는 캔틸레버 방식과 나선 형태의 공간 처리 방법, 그리고 램프의 사용을, 미스 반 데어 로에로부터는 벽은 공간을 둘러싸는 수단으로 구조로부터 해방시켜야 한다는 건축 개념과 이 건축이념의 실현으로 가능해진 커튼월의 사용 또한 많았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알바 알토에게서는 건축적 요소로써 빛의 중요성에 대해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영화 기법인 오마주가 영화뿐만 아니라 건축에서도 선대 건축가와 후대 건축가 사이의 관계를 논하기에 충분한 비교의 틀이었음을 증명하였고 이 틀을 통해 오마주란 기법이 단순 모방의 개념을 넘어 과거와 현재를 연결해 주는 하나의 수단임을 알 수 있게 해주었다. 과거의 것을 흘러간 시간의 잔재로만 여기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각과 기법을 통해 재구성하면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잠재성을 가진 작품의 모티브가 될 수 있음을 알고, 건축·영화 간의 협업을 통해 좀 더 새롭고 창조적인 시도로 예술문화 발전에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요인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홍혜경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의 정서지능이 정신능력의 하나인지 다요인구조를 가진 복합적인 개념인지를 요인분석 방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정서지능은 정서지각능력, 정서동화능력, 정서이해능력 및 정서관리 능력으로 개념화(Mayer, Caruso, & Salovey, 1999)되거나 정서자각능력, 자기조절능력, 동기화능력, 공감능력 및 사회적 기술능력으로 개념화하고 있다(Goleman, 1995). 정서지능은 높을수록 사회적, 정서적인 기능이 효율적이 되어 동기화 수준이 높거나(Bar-On, 1997) ,독립성, 자아실현, 공감능력, 사회적 책임감, 대인관계, 스트레스 감내력, 충동 통제, 현실검증력, 유연성, 문제해결능력, 낙천성이나 행복감이 증가할 수 있다(Bar-On & Parker, 2000).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남녀 4, 5, 6학년 214명이었다. 연구자가 개발한 119문항으로 구성된 한국판 정서지능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한국판 정서지능 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r(213)=.305, p<.01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판 정서지능 척도의 사전 검사 문항내적 합치도(internal consistency)는 Cronbach'α=.916으로 나타났다. 재검사의 문항내적합치도는 Cronbach'α=.929로 나타났다.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검사들과의 상관은 대부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불안 척도와는 r(213)=-.256, 특질불안과는 r(213)=-.455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통제척도와는 r(213)=.35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정서조절 척도와는 r(213)=.378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자각능력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요인정서지능 척도와 상관을 구한 결과, r(213)=.43, p<.001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과 성격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면적 인성검사의 0번(사회적 내향성)척도와는 유의하지 않은 상관이 나타났다. 사회적 판단력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웩슬러 지능검사의 이해문제 소검사 점수와의 상관을 구한 결과, r(213)=.47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분노감정 표현 척도와의 상관은 r(213)=-.33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적인 행동과의 상관을 구한 결과에서는 r(213)=-.28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외통제소재 척도 점수와의 상관은 r(197)=.09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동성검사 점수와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만족도 척도와의 상관을 구한 결과 r(195)=..21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가정이나 학교, 동네에서의 생활에서 만족감을 더 많이 느낄 가능성이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한국판 정서지능 척도를 구성하고 있는 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는 고유치 1.0이상인 요인이 34개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수는 정서지능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의미가 없기 때문에 이를 scree test를 통해 5개로 정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요인1은 요인부하량이 15.59였고 변량의 설명력은 13.10%를 차지하였다. 요인1의 명칭은 “대인관계능력 요인”으로 하였다. 요인2는 부적 정서지각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요인2에 속하는 문항은 33개로 요인부하량이 11.59였고 변량의 설명력은 9.74%를 차지하였다. 요인3은 무계획성 요인으로 명명되었다. 요인3에 속한 문항은 26개로 요인부하량이 3.92였고 변량의 설명력은 3.29%를 차지하였다. 요인4는 동기화 요인으로 명명되었다. 요인4에 포함된 문항은 18개이고 요인부하량은 3.33이며 변량의 설명력은 2.80%를 차지하였다. 요인5는 공감능력 요인으로 명명되었다. 요인5에 해당하는 문항은 8개였고 요인부하량이 2.90이었으며 변량의 설명력은 2.44%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의 구조가 미국의 경우와는 일치하는 부분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공감능력과 동기화, 대인관계능력에서는 미국 아동의 정서지능 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를 자각하는 영역에서는 부적으로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한국 아동이 미국 아동에 비해 문화적인 특성인 눈치나 체면과 같은 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of korean primary school students by examing the factor structures of emotional intelligence. It was conceptualiz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represent the ability of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assimilation, emotional understanding, motivation, social skill and emotional control(Mayer, Caruso, & Salovey, 1999; Goleman, 1995).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14 primary school student(male 108, female, 106). Test-retest reliability of Korean Emotional Intelligence Scale(KEIS) was r(213)=.305, p<.01. It showed that KEIS is reliable instrument to test emotional intelligence. Internal consistency was revealed as Cronbach'α=.916 of pretest and retest was Cronbach'α=.929. KEIS ha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213)=-.256 with state anxiety scale and r(213)=-.455 with trait anxiety scale. KEIS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motional control Questionnaire(r=.35), Emotional Quotient Inventory(r=.38), Multifactor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Student Version(r=.43), comprehesion subtest of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r=.47),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r=-.33), Aggression scale(r=-.28), and Life Satisfaction Scale(r=.21).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f items of KEIS showed that KEIS was constructed in five factor. Factor1 was labeled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factor2 as "negative emotional perception", factor3 as "unplanning ability", factor4 as "motivation" and factor5 as "empathic abilit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factor structures of Korean primary school students were slightly different from American's. Empathic Ability factor, motivation factor, and the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similar with results of previous articles. But, It was founded that the ability of emtional awareness of Korean primary school students was less sensitive than American'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view of Noon-Chi and CheMyon as kinds of Korean tradition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