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의 추진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서울 4개구의 사업인식도를 중심으로

        김종우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우리나라는 1960년대 산업화를 통한 경제개발을 이루는 과정에서 발생한 산업재해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할 목적으로 산재보험이 도입된 이후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고용보험이 순차적으로 도입되었다. 외형으로 보면 모든 국민들이 사회보장의 틀 안에서 충분한 보호를 받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내면을 보면 사회보험료 부담이나 제도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사회보장의 혜택에서 소외된 사각지대가 존재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사각지대를 해소하여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안전망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소규모사업장에 종사하는 저임금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을 촉진하기 위하여 국민연금과 고용보험 보험료를 지원하는 “두루누리 사회보험 지원사업”을 2012년 7월부터 시행하고 있으나 제도에 대한 인식부족이나 보험료 납부에 부담을 느낀 일부 사업주나 근로자의 비협조로 실질적인 가입확대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두루누리 사회보험 지원사업이 소규모 사업장의 저임금 근로자의 사각지대 해소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둘째, 사회보험 미가입 사업장의 사업주와 근로자를 대상으로 사회보험 및 두루누리 사업의 인식도와 미가입 사유를 분석하여 가입촉진을 유인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두루누리사업에 대한 그동안의 성과를 각종 연구통계 및 국민연금 데이터베이스(DB)와 기존 연구문헌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본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4개구(서대문구, 마포구, 관악구, 동작구)의 미가입사업장 사업주 및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두루누리사업 시행으로 사업 시행 이전과 비교한 결과 가입 사업장과 근로자 수가 증가하여 사각지대 해소에 일정한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두루누리사업에 대한 인식도 조사에서는 사업주 및 근로자 공히 낮은 인지도를 나타내고 있어 본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토대로 본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면, 첫째, 본 사업에 대한 인식도 제고를 위해 언론매체를 통한 홍보는 물론 소규모사업장의 특성상 대면 접촉을 통한 인식도 제고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지원대상 사업장의 규모를 확대하고 지원기준 월급여 상한액의 현실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근로자에 한정하고 있는 보험료 지원을 사업주에게로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가입신고의 절차를 개선하여 근로자가 가입을 원할 경우 사업주를 통하지 않고도 쉽게 가입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가입촉진요원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을 통해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결국 두루누리사업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서는 사업주 및 근로자 모두에게 본 사업에 대한 인식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사업이 저임금 근로자의 사회보험료 지출 부담을 감소시켜 근로자의 행복한 생존권을 보장하고 노후의 생활안정을 돕는 진정한 국가의 사회보장 제도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ABSTRACT A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DURU-NURI, the Program for Assistance in Social Insurance Payment and Measure to Encourage its Implementation - Focusing on the program perception of Seoul 4 districts - Jong Woo Kim Department of Elderly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Welfare & Counseling Sangmyung University In Korea, since the 1960s, to protect workers from occupational accidents occurr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industrialization purpose of accident insurance, health insurance, pension insurance and unemployment insurance was introduced. Looking to outline all the people to see that receive adequate protection within the framework of the social security burden, but In the inner, social insurance system has neglected or blind spots are present on the benefits of social security as a lack of awareness about. The Government had a "DURU-NURI social insurance support program" to support the national pension and unemployment insurance premiums in order to promote social insurance for low-wage workers in small businesses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social safety net for the vulnerable social group and eliminate the blind spot effective from July 2012, but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institution or the non-cooperation of some employers and workers who felt the burden of contributions have become a substantial obstacle to expanding Sign up.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DURU-NURI social insurance support program was to evaluate the impact on the blind spot elimination of low-wage workers in small businesses, and Second, Analyze the reasons for non-participation social awareness and social insurance and DURU-NURI program to target employers and workers to evaluate the uninsured businesses find ways to attract the participation promotion. Third,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been on various research on DURU-NURI business focusing on pension statistics and database (DB) and existing literature and presents the Revitalization of the project focused to help you get as the basis for the policy. To this end, four districts (Seodaemun-gu, Mapo-gu, Gwanak-gu, Dongjak-gu) in Seoul were conducted non-participation workplace surveys of employers and work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ith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DURU-NURI program implementation and DURU-NURI program implementation, it plays a role in eliminating the blind spot. but, the survey throughout the employers and workers shows low awareness of the DURU-NURI program so it seems to need aggressive promotion to this program. Based on this, look at the Revitalization of the project, first of all, publicity through the media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program as well as the awareness raising efforts through face-to-face contact with the nature of small business needs. Second, expanding the size of the target business support and assistance should be made based on the realization of the monthly salary ceiling. There is also a need to consider ways to expand the premium assistance to workers who are limited by employer. Third, improving procedures of subscription reported by workers want to join must find a way that you can easily join without going through the employer. Finally, there is a need to facilitate registering providing quality service through the system and specialized training for join facilitating factors. Eventually to the establishment of a stable DURU-NURI program is the business by raising the awareness of both employers and workers on the program to reduce social insurance expenditure of low-wage workers ensure the livelihood of the workers happy and truly help the aging of livelihood should be expected to make efforts to develop its role as a national social security system.

      • 부모-자녀 결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유능성의 매개효과

        손성희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 문 요 약 부모-자녀 결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유능성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대학생이 성장 하면서 지각한 부모-자녀와의 결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도 소재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389부의 설문지를 통계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빈도, 백분율, 적률상관계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Sobel Test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부모-자녀 결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와 모의 돌봄 모두 대인관계 유능성과는 정적상관을, 대인관계 문제와는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부와 모의 과보호는 대인관계 유능성과는 부적상관을, 대인관계문제와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리고 대인관계 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과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의 돌봄과 과보호 모두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의 돌봄과 과보호 모두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매개변인인 대인관계 유능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모의 돌봄과 과보호 또한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와 모 모두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이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녀가 지각한 부의 돌봄과 과보호, 모의 돌봄과 과보호를 비교해 보았을 때 미미한 차이지만 대인관계 유능성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상관과 설명력 모두 부보다 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돌봄으로 인한 대인관계유능성의 향상도, 과보호로 인한 대인관계문제의 증가도 부보다 모가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들은 부보다 모가 자녀와 함께 하는 시간이 많고 양육의 주체가 된 현상을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만을 유의 표집 하여 연구한 것으로, 대학생 전반에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자녀가 성장 하면서 지각한 부모-자녀와의 결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한 것이다. 주용어 : 부모-자녀 결합, 대인관계문제, 대인관계 유능성, 매개효과 ABSTRACT Influence of Parent-child Bonding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Sung Hui, Son Dept. of Family Counselling & Therapy Graduate School of Welfare & Counselling Sangmyung Universit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Effect of Parental Bonding on Interpersonal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that parental bonding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during their growth had on their interpersonal problem.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10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do and Gangwon?do, and 389 questionnaires were used as data for statistical analy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rough reliability, frequency, percentag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through Sobel test. By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effect of parental bonding on interpersonal problem, this study obtained results as follows. First, both father’s care and mother’s care were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 In addition, father’s and mother’s overprotection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 Moreover, interpersonal problem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father’s care and overprotec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 That is, father’s care had not only a direc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 but also an indirect effect on it through the medium of interpersonal competence. Third,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also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mother’s care and overprotec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 That is, in both father and mother,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When father’s care and overprotection perceived by children were compared with mother’s, the latter was slightly higher in correlation and explanatory power for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 That is, mother was more influential than father in terms of the positive effect of care 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he negative effect of overprotection on interpersonal problem. These findings reflect the current situation that mother spends a longer time with children and play leading roles in parenting than father.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university students sampled purposively from a few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not be generalized to all university students. Neverthel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ained the effect of parental bonding perceived by children during their growth on their interpersonal problem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Key words ; parental bonding, interpersonal problem,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

      • 놀이치료 내담아동 어머니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변화 경험 연구 : Winnicott의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하정림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ABSTRACT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Changes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Mothers of Play Therapy Child Clients - Focusing on Winnicott's Object Relation Theory - Ha, Jung Lim Dept. of Child & Adolescent Counseling The Graduate School of Welfare & Counseling Sangmyu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Winnicott’s object relations theory through review over literatures and provide it to the mothers of play therapy child clients and then examine their experience of changes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it. In order to examine the participants’practical experience after the program, this author conducted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This researcher listened to the participants’vivid experiences and observed them as a therapist and then analyzed the data with the approach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total 5 topics and 10 subtopics were drawn. 5 topics drawn in this way are‘the experience of being refreshed through the education, ‘doubts arising from practice for trial and error as well as regression’, ‘insight about the family of origin and recognition on the current pattern of mother-child relationship pattern’, ‘enlightenment about the necessity of a certain amount of education for change, and ‘the outlet and healing found from the critical situation’. The crucial results g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 order for the mothers of play therapy child clients to correct their dysfunctional rearing behavior and play positive parental roles, it is needed to have a certain amount of time for parent education. This implies that only with the 10-minute parent counseling conducted after play therapy that is currently being operated in the field of play therapy, it is limited for them to play effective parental roles demanded in play therapy and cooperate properly no matter how long play therapy or parent counseling is done. The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he mothers of play therapy child clients understood and reflected themselves as parents better. This allows us to be enlightened about the fact that it is needed to have a certain amount of parent education to have a turning point to alter their parental roles. Also, through parent education, they had time for paternal heal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trinsically motivated them to be a fairly good mom, which is facilitative environment that Winnicott talks about.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the subjects are limited as this researcher and the mothers of child clients who completed play therapy, after providing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it was difficult for this researcher to observe how the child clients changed according to how their parents changed directly. Second, as the educator of the program and the person in charge of the FGI were the same, this raises the problem of research ethics associated with dual relationship. Therefore, follow-up research should be designed to trace and observe how child clients change according to how their parents change after providing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of play therapy. Also, considering research ethics,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educator of the program from the person in charge of FGI and perform them separately as an alternative method. Furthermore, to provide parent education in terms of play therapy more efficiently, it is absolutely needed to enhance play therapists’ competencies by having them be trained and taught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about object relations theory or family counseling and adult counseling. key words: "Play Therapy", "Parent Education", "Object Relation", "qualitative analysis"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개발된 Winnicott의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놀이치료 내담아동의 어머니들에게 실시한 후,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변화의 경험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참여자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실제적인 경험의 내용을 알아보고자 프로그램을 모두 마친 후에는 포커스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진행하였으며, 참여자들의 생생한 경험의 소리를 듣고 치료자적 관점으로 관찰한 것을 질적 내용분석의 접근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참여자들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모두 5개의 주제와 10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렇게 도출된 5개의 주제는‘교육을 통한 신선한 충격 경험’, ‘실천을 통한 시행착오와 퇴행이 주는 의구심’, ‘원가족에 대한 통찰과 현재 모자관계 패턴 인식’, ‘변화에는 일정량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깨달음’, ‘한계점에서 찾게 된 출구와 힐링’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정적인 결과는 놀이치료 내담아동의 어머니들이 역기능적 양육행동의 교정과 긍정적인 부모 역할로의 변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부모교육 시간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현행 놀이치료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놀이치료 후 10분 부모상담만으로는 아무리 긴 시간 놀이치료와 부모상담을 진행하더라도 놀이치료에서 요구되는 효과적인 부모역할 수행과 적절한 부모 협조를 요청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의의는, 놀이치료 내담아동의 어머니들이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부모의 자기 이해 및 자기 성찰을 하였으며, 부모역할에 변화의 전환점을 갖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부모교육이 필요하다는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부모교육을 통한 부모 힐링의 시간을 갖게 되면서 Winnicott이 말하는 촉진적 환경인 충분히 좋은 엄마가 되어야겠다는 내적 동기가 마련되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를 연구자와 놀이치료를 종결한 내담아동의 어머니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시 이후 부모의 변화에 따른 내담아동의 변화 과정을 연구자가 직접 관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둘째, 프로그램 교육자와 FGI 진행자가 동일하여 이중관계의 연구 윤리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향후 놀이치료 부모교육 프로그램 진행 후 부모의 변화에 따른 내담아동의 변화 모습을 추적 관찰할 수 있는 연구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연구 윤리를 고려하여 프로그램 교육자와 FGI 진행자를 각각 따로 분리하여 수행하는 대안적 방안의 모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불어 놀이치료에서 더 효율적인 부모교육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상관계 이론이나 가족상담, 성인상담에 대한 전문적인 수련과 체계적인 학습을 통한 놀이치료사의 역량강화가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주제어: "놀이치료", "부모교육", "대상관계", "질적연구"

      • 양육미혼모의 가족경험에 관한 연구 :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이정인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양육미혼모의 가족경험을 주관적 삶의 맥락에서 탐색함으로써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며, 적응해 나가는지를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양육미혼모의 가족경험은 어떠한가?'로 시작하여 근거이론 연구방법의 절차를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방코딩에서 94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32개의 하위범주와 13개의 범주로 묶어졌다. 축코딩에서는 범주를 패러다임에 연관시켜 파악된 중심현상은 '나의 가족 울타리 만들기'였으며, 이것은 4단계의 연속과정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발견하고, 유형분석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와 의의를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grounded(practical) theory that can explain how unmarried mothers recognize, interpret, and adopt their lives by way of exploring family experience in terms of subjective life context. The research question for this study is “what kind of family experiences did unmarried mothers go through?” From the mentioned research question, Ground theory (Strauss & Corbin, 1988) was applied to analyze collected data. To perform this study, seven adult single mothers who raise one child alone respectively, were selected from local communi ty and participated in the whole research process. The results of the open coding revealed that 96 concepts were deducted and combined into 32 sub 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hen it comes to the central phenomenon apprehended through axial coding by applying categories to the paradigm was ‘making my family boundary’. And another thing, four step continuous processes were analysed as below; (1) ‘the step of recognition and adjustment’, (2) ‘the step of solution-seeking’, (3) ‘the step of separation from the family of origin’, and (4) ‘the step of making new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of origin’. In the process of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of ‘making my family boundary separated from the family of origin’ was discov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t that when family counseling is conducted this result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 부부의 섹스리스 경험에 관한 연구

        김효숙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논문은 부부의 섹스리스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로서, 부부의 섹스리스 현상이 어떠한 상황과 맥락하에서 부부관계와 결혼생활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피고 결혼생활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을 따랐으며, 연구참여자는 이론적 표본 추출에 따라 모집하였고 자료수집은 비구조화된 인터뷰방식을 취하였다. 여기에서 연구참여자는 Friedman(2006)의 정의에 따라 성관계 빈도가 1년에 10회 미만이고, 스스로 섹스리스 부부라고 생각하면서 그 기간이 3년 이상된 자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참여자는 12명으로 모집되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개방코딩 결과, 총 104개의 개념과 38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8개의 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축코딩을 하면서 밝혀진 중심현상은 ‘정서적 연결의 열망’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발견된 중심현상과 범주는 다시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인과적, 맥락적, 중재적 조건과 작용/상호작용 전략 그리고 결과에 따라 연결 짓고 설명하였다. 과정분석 결과로는 4단계의 과정이 나타났다. 즉, 문제인식·조정 단계’, ‘해결모색 단계’, ‘선택의 단계’, ‘통제·의미부여 단계’로 나타났다. 선택코딩 결과, 핵심범주는 ‘관계 속에 연결되고픈 나를 알아차림’으로 확인되었다. 이렇게 밝혀진 핵심범주를 다른 범주에 연결시켜 ‘이야기 윤곽 적기’를 통해 서술적 방식으로 기술하였으며 범주를 최종 통합하였다. 범주가 지닌 속성과 차원에 따라서는 4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는데, ‘자유형’, ‘인내형’, ‘신중형’, ‘적극형’으로 분류하고 이를 설명했다. 본 연구는 섹스리스 부부의 다양한 가족관계망을 살피지 못하고 그들의 부부관계에만 범위를 한정한 점과 다양한 결혼생활 경험에서 섹스리스에 관련된 현상만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제한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으로 인한 섹스리스는 대개 결혼 초기에 시작되고, 이것이 부부의 만성적 갈등이 된다는 점에서 조기 개입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둘째, 가족상담 현장에서 부부상담시 성적 문제를 사정하는 것은 부부관계에서 나타나는 갈등과 역동을 이해하는데 매우 의미있는 과정이 됨을 실증적으로 설명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qualitative research on married couples’ sexless experience for examining how and under what situation and context married couples’ sexless phenomenon influenced their marital relationship and married life and for exploring the meaning of married life.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the participants were sampled through theoretical sampling,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unstructured interview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Friedman (2006), the participants were limited to those who had sexual intercourses fewer than 10 times a year, considered themselves to be sexless, and had been sexless for over three years. By this sampling process, 12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the results of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from the results of open coding were derived 104 concepts, 38 sub?categories, and 18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on found through axial coding was ‘eager for emotional connection.’ These central phenomenon and categories were again associated and explained according to causal, contextual, and intervention condition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nd the results based on the paradigm model. Through process analysis, four processes were identified, which were the ‘process of problem recognition and adjustment,’ ‘process of solution seeking,’ ‘process of choice,’ and ‘process of control and appreciation.’ In the results of selective coding, the key category was ‘recognizing myself who wants to be connected in relationship.’ Through the association of the key category with other categories, the sexless phenomenon was presented in a descriptive way by ‘writing story outline,’ and then the categories were integrated. Depending on the nature and dimension of category, four types were derived and explained, and they were ‘free type,’ ‘patient type,’ ‘prudent type,’ and ‘active type.’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s scope was confined to sexless couples’ marital relationship without considering various types of family network and that it was focused on the sexless phenomenon among various experiences of married life.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e sexless phenomenon resulting from marital conflicts usually started at the early stage of married life and then developed into a chronic conflict, and this suggests the need of early intervention. Second, the assessment of sexual issues in counseling for married couples in the field of family counseling is a very meaningful process for understanding conflicts and dynamics observed in marital relationship.

      • 청소년의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

        정소라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이 중 유효한 357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적 완벽주의척도(H-MPS), 대인관계문제척도(KIIP-SC), 자기불일치척도를 사용했으며, SPSS 20.0과, AMO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실제 자기와, 이상적 자기 간의 불일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완벽주의 하위차원인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타인지향적 완벽주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모두 대인관계문제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실제 자기와 이상적 자기 간의 불일치, 실제 자기와 의무적 자기 간의 불일치 모두 대인관계문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에서 자기불일치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청소년들의 완벽주의가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자기불일치가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보는 데 있다. 즉,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청소년을 상담할 경우,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불일치 정도를 탐색한다면 문제해결과 예방에 있어 효과적인 개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 및 청소년지도자를 대상으로 대인관계문제해결과 예방을 위한 기초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execut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screpancy theo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For this, survey papers were distributed to 400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357 valid survey data among the entire survey data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among them. This study used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H-MPS),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scale(KIIP-SC) and Self-discrepancy theory scales and used SPSS 20.0 and AMOS 20.0 statistic program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the inconsistency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tual self and ideal self. Seco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Other-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hich are sub-factors of Perfectionism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inconsistency between actual self and ideal self and inconsistency between actual self and ought self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Finally, mediating effects in Self-discrepancy theory were identified in Perfectionism and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Meaning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dolescents' Perfectionism to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e mediating role of Self-discrepancy theory. If Perfectionism tendency and Self-discrepancy theory level are searched when counseling the adolescents who are appealing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it could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solve and prevent the problems. Additionally, it is expected to be the basic data to solve and prevent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targeting the parents of adolescents and adolescent instructors.

      •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의 관계에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한송이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아동기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선정하여 이들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매개로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5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남자 아동 243명과 여자 아동 252명을 포함하는 총 495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PCS-YSR),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척도(CINSS), 아동의 공격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체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추정하기 위해 각 요인의 빈도수와 백분율과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한 Cronbach α 계수 산출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방법론에 근거한 3단계 매개효과 검증과 Sobel Test를 실시하여 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및 공격성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 및 기본심리욕구충족의 상관은 모두 유의미 하였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아동의 공격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의 관계에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였으며,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이 부분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각각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의 영향력을 나누어 살펴 본 결과 모두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매개로 하여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의 관계에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인 자율성, 관계성, 유능감 충족의 매개효과를 살펴 본 결과 각 하위요인이 부분매개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 가운데 관계성 충족의 매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유능감 충족의 매개효과가 높게 나타난 반면 자율성 충족의 매개효과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을 통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중요성과 긍정적인 관계 안에서 유능감을 경험하는 것이 아동기의 심리적 성장과 사회적 적응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아동의 공격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긍정적인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기본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가정 및 사회의 노력을 제안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 심리적 통제, 기본심리욕구 충족, 공격성 This study verified the selected the psychological control and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parent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ggression of children to verify the their relati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parents affects the aggression of the children through the mediation of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verified. For this, 234 male students and 252 female students enrolled in fifth and sixth grades of fiv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The parents of these 495 students were studied using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 (PCS-YSR), Children's Intrinsic Needs Satisfaction (CINSS), and child aggression scale to collect data.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PSS 19.0 program was used to estim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frequency of each factor, the percentage and verification of the confidence in the measurement tool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Cronbach α coefficient. In order to measur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in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d on aggression, the three phase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based on the methodology of Baron and Kenny(1986) and the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eff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the children's aggression,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subjects in fifth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aggression and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were all significan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aggression, whil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s well as the children's aggress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aggression.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mother and the father, the effects were reviewed separately. Both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aggression through the mediation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Third,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agg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autonomy, relatedness and competence, which are sub-factors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were reviewed. Each sub-factor was verified to have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In particular, of the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edness satisfaction was the greatest, followed by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ying competence, whereas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was relatively lower. This study verified that importance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through positive child-rearing behavior of the parents, as well as the fact that experiencing competence within a positive relation contributes to the psychological growth and social adjustment of the chil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basic set of data that can suggest improved efforts from family and society to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promote appropriate child-rearing behavior from parents.

      • 원가족 부모의 부부친밀감과 성인자녀의 자기분화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조금선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Influences of Parent's Marital Intimacy and Adult Children's Self Differentiation on Couple Relationship Cho Geum Sun Major in Family Therapy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Welfare Counseling Sangmyu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nfluences of experience, particularly parent's marital intimacy felt in a period of growth, and adult children's self differentiation on couple relationship.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husbands and wives (109, respectively) in their thirties to less than sixtie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o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went through t-test and ANOVA to see differences in adult children's self differentiation and couple relationship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paired t-test was analyzed to see differences in parent's marital intimacy and adult children's self differentiation and couple relationship,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influences of parent's marital intimacy and adult children's self differentiation on couple relationship.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dult children's self differentiation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marital intimacy by age and occupation. The younger group showed a higher level of marital intimacy; professional occupation was high, while blue-collar occupation was remarkably low.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s was lower in husband-wife family than in nuclear or expanded ones.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s marital intimacy and the level of adult children's self differentiation; wives were found to recognize marital conflicts more highly than husbands. Third, the higher parent's marital intimacy and the higher level of adult children's self differentiation, the higher their marital intimacy; the lower parent's marital intimacy and the lower level of self differentiation, the higher marital conflicts adult children show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sidered objective situations by examining parent's marital intimacy among variables and conducted a research with couples of husband and wife. 원가족 부모의 부부친밀감과 성인자녀의 자기분화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가족치료전공 조 금 선 본 연구는 원가족 경험 중 특히 성장기에 느낀 부모의 부부친밀감과성인자녀의 자기분화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30대 이상 60대 미만의 설문에 응답한 남편과 아내 각각 10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결과분석 방법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성인자녀의 자기분화 및 부부관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 및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성인자녀 부부에 있어서 원가족 부모의 부부친밀감, 자기분화와 부부관계는 부부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원가족부모의 부부친밀감과 성인자녀의 자기분화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성인자녀의 자기분화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부부친밀감은 연령과 직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낮은 집단에서 부부친밀감 수준은 높았으며, 직업은 전문직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차이를 보였다. 부부갈등은 핵가족과 확대가족에 비해 부부단독 가족의 갈등수준이 낮았다. 둘째, 원가족 부모의 부부친밀감과 성인자녀의 자기분화수준은 부부친밀감에는 통계적으로 서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갈등에서는 남편에 비해 부인이 더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가족 부모의 부부친밀감과 성인자녀의 자기분화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성인자녀의 부부친밀감은 원가족 부모의 부부친밀감이 높을수록, 자기분화가 높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으며 성인자녀의 부부갈등은 원가족 부모의 부부친밀감이 낮을수록 자기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부부갈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인자녀의 부부관계에서 원가족 부모의 부부관계에 대한 경험이 영향을 미치며, 이것이 자녀의 자기분화의 정도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히게 된 점이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는 가족을 체계적으로 조망해야 함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차후의 가족상담연구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김은경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541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 척도, 자기격려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를 사용한 설문조사를 온라인 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과 Sobel Test Calculator를 이용하여,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방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대인관계와 자기격려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기격려와 삶의 만족도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자기격려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인지적 자기격려·행동적 자기격려·정서적 자기격려는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자기격려와 자기격려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인지적 자기격려·행동적 자기격려·정서적 자기격려는 대인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로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자기격려·행동적 자기격려·정서적 자기격려가 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자기격려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과 상담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접근 방법으로 고찰해 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제어 : 대인관계, 자기격려, 삶의 만족도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ed effect of self-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us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cale, self-encouragement scale and life satisfaction scale was carried out by 541 university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mediated effect through the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method proposed by Baron & Kenny(1986), using SPSS 26.0 Program and Sobel Test Calculator.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encourage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self-encour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mediated effect of self-encouragement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ird, the three subfactors of self-encouragement, cognitive self-encouragement, behavioral self- encouragement, and emotional self-encouragement, showed a partial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encouragement and its three subfactors, cognitive self-encouragement, behavioral self-encouragement, and emotional self-encouragement are important factors that can reduce and alleviate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not only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self-encouragement, which are subfactors of self- encourag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an integrative mann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but also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basic materials that can be considered as an approach method that can be used in the education and consultation situations about the importance of self-encouragement. At the end, the limitations,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encouragement, Life satisfaction

      • 노숙인의 긍정적 탈노숙에 영향을 미치는 시설운영의 효과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로직모델을 중심으로

        정재원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55

        최근 사회복지분야의 화두는 성과측정이다. 우리는 왜 평가를 하며 무엇을 할 것인가의 고민과 평가를 한 후에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차기계획에 대한 방향성 등 평가라는 과정을 통해서 양·질의 복지서비스와 조직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제 사회복지분야도 투자가 확대되면서 복지서비스의 결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에 따른 효과성, 효율성 검증을 통해 성과 제시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는 현실에 그 결과가 중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런 시대적 필요에 의해 사회복지시설 평가제도가 2012년 5기 평가까지 진행하면서 학계와 실천현장에서는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이는 사회복지시설의 양적 질적 향상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사회복지영역에서 성과주의가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사회복지서비스가 더 이상 자선의 개념으로 받아들이기에는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새로운 도시빈민(노숙인 등), 저출산 및 고령사회, 다문화사회 등 다양화된 정신적 심리적 문제와 가족의 해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은 사회적 투자 개념에서 성과주의의 방식을 수용하지 않고서는 확대·발전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현재 노숙인의 고령화, 만성화, 장기화와 회전문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는 노숙원인과 노숙의 특성에 따른 계획된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숙인이 건강한 삶을 회복하여 지역사회로의 복귀를 돕기 위한 노숙인시설의 현실을 파악하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사 모집단은 사회복지시설로 허가 받은 전국의 노숙인복지기관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지를 통한 조사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도표로 제시하였고,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성과측정이라는 주제로 시설현황을 조사하여 긍정적 탈노숙에 영향을 미치는 투입, 활동 및 산출,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로직모델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시설환경 규모’ ‘총사업비’ ‘외부지원사업비’ ‘종사자’로 한 투입요소에서는 ‘외부지원사업비’만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탈노숙에 영향을 미친 변인을 보면 ‘종사자’만이 긍정적 탈노숙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점만을 놓고 볼 때는 전반적으로 노숙인시설이 긍정적 탈노숙을 위한 효과적인 운영을 하고 있지 못하다는 결론이다. 그러나 빈도분석에서 나타난 협소한 시설환경과 부족한 종사자, 미흡한 직접사업비라는 사실을 볼 때 프로그램의 개발부진과 프로그램 전개의 미흡은 당연한 결과라 하겠다. 프로그램을 전개함에 있어 그에 따른 인력과 장소와 예산이 함께 갖추어져야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노숙의 단계와 노숙인의 특성에 따라 다원화되지 않은 현재의 노숙인 서비스체계에서 성과측정을 위한 투입, 활동, 산출, 성과의 변인들이 상관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호작용이 미비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숙인사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노숙인들이 처한 현실문제에 개입하여 치료 및 자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원함으로 사회관계회복 및 안정적인 직업생활 적응능력을 길러 지역사회에 정착하도록 단계별 세부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 긍정적 탈노숙을 위해 노숙인시설에 투입된 재원과 서비스가 적정했는지에 대한 평가가 선행되고 그에 따른 과정별 진행평가를 통하여 긍정적 탈노숙에 대한 결과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평가해야 한다. 즉 마스터플랜에 대한 준비로 노숙인 개개인별로 이들을 보호할 것인지 자립시킬 것인지에 대한 계획목적이 정확해야 하며, 그에 따른 세부추진계획이 민·관 협력 하에서 준비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