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민족형식과 조선미(朝鮮美) 담론 -건축예술론』(1992), 『미술론』(1992)을 중심으로-

        홍지석 ( Ji Suk Hong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6 No.-

        이 글의 목적은 조형예술, 곧 미술과 건축 분야를 중심으로 북한 문예계의 민족형식과 조선미 담론을 검토하는 데 있다. 해방 이후 우리와 별개로 전개된 북한 문예에서 ``민족 형식``과 ``민족미``는 어떻게 규정됐는가. 그 규정은 우리와 어떻게 다른가를 확인하는 일은 남북을 아우르는 민족 공동체 고유의 형식과 미의식을 규명하는 중요한 참고자료를 얻는 일일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의 차원에서 남과 북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여 장래의 문화적 통합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구축하는 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에서 이 글은 우선 『김정일 미술론』(1992)과 『김정일 건축예술론』(1992)을 일차 문헌으로 활용하여 북한 조형예술 분야의 민족형식과 민족미에 대한 공식적(지배적) 견해를 살피고 이론가의 비평문을 검토하여 이러한 견해가 실제 현실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검토하는 방식을 택해 제기된 문제에 접근했다. 『미술론』과 『건축예술론』 독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북한 민족형식론의 특성은 전통성과 현대성 그리고 민족미학과 주체사실주의미학이 순환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점이다. 예컨대 현대 건축에 요구되는 가치는 전통 건축에 반영되어 있으며 현대 건축은 그러한 가치를 잘 가려내 계승한다는 식이다(건축예술론). 또한 북한에서 조선화의 특성으로 부각된 이른바 ``함축과 집중의 원리``는 사실상 수령형상화 등 주체사실주의의 요구를 현실에 관철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적 원리다(미술론). 이러한 양상은 ``참다운 민족주의``는 "세계혁명에 충실한 국제주의``로 될 수 있다는 김일성의 ``참다운 민족주의론``, 또는 김정일의 ``조선민족제일주의론``과 구조적 상동성을 갖는다. 북한의 민족형식과 조선미 담론 및 실천에서 발견되는 또 다른 중요한 특성은 그것이 여전히 타자화된 시선으로 자신을 보는 식민주의의 틀에 갇혀 있다는 점이다. 철근콘크리트로 전통 한옥구조를 구현한 다수의 중요 건물과 민족적 향취를 느끼게 하는 도시 외관, 그리고 서양식 명암법을 애써 배제한 조선화적 명암법의 추구는 북한의 민족형식론이 외견상 서구를 강하게 배격하지만 동시에 서구의 시각으로 자신을 보는 식민주의의 덫에 걸려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검토에서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은 북한의 민족형식론, 또는 朝鮮美論이 주로 외부와의 소통보다는 내부 결속을 위해 기획됐으며 그런 까닭에 통일민족국가를 지향하는 응집력으로서 민족주의적 성격은 희박하다는 점이다. 이는 장래의 문화적 통합이나 소통을 추구하는 관점에서 보자면 극복해야 할, 그러나 극복하기 매우 힘든 난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xamining the discourse on the national style in North Korean art world. In this case, Two books that Kim Jong-Il wrote in 1992-"Visual Art Theory", "Architecture Theory" are very useful. Because the writer, namely Kim Jong-Il is not only the Suryong(Chief) of North Korean social system but also the decision maker of North Korean art world. So the other criticisms of visual art and architecture must follow the discussion of that two books by Kim Jong-Il. Special quality that we can find in the discourse on the national style of North Korean art world is as following: 1) Value required in modern art & architecture had been realized in traditional heritage of Korea, therefore North Korean Modern Artists and architects must inherit such traditional/modern value. So the traditional style and modern style are equivalent. Speak differently, individual is universal and vice versa. 2) The rule of Implication & Concentration that they can find in the Joseon-painting(朝鮮畵) are the rule of Juche-Realism(for example, formalization of the leader) at the same time. The other significant quality that we can find in the discourse on the national style of North Korean art world is that they are pursuing the pseudo-historical values, so to speak traditional-like, national mood. They realize these values in artistic practice. Because they wish to raise the belonging-sense of social constituents. In Brief, The discourse on the national style in North Korean art world are so deterministic and goal-oriented that we hardly find any point of contact North Korean national form and South Korean national form.

      • KCI등재

        북한미학의 미적범주론

        홍지석(Hong, Ji Suk),전영선(Jeon, Young S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7 No.-

        이 글에서는 북한미학의 미적범주론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북한미학과 북한문예의 상관성을 관찰한다. 북한미학(또는 이른바 주체미학)이 내세우는 미적범주론의 특성은 대략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북한미학은 미적범주를 “사람의 자주적 요구와 지향”이라는 기준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긍정범주(아름다운 것, 숭고한 것, 영웅적인 것, 비극적인 것)와 부정범주(추한 것, 저속한 것, 희극적인 것)로 나눈다. 다음으로 긍정범주는 “사람들의 자주적 요구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으며 또 그 요구의 어느 측면을 주로 반영하고 있는가”에 따라 아름다운 것, 숭고한 것, 영웅적인 것으로 구분된다고 주장한다. 특히 ‘행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영웅적인 것을 독자적인 미적범주로 다루고 있는 것이 북한미학의 큰 특징이다. 이러한 미적범주론은 소비에트 미학의 가치론적 관점을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수용, 변화시킨 것이다. 둘째, 북한미학의 미적범주론은 생리적, 감각적인 것들이 대부분 배제된 의식적-사상미학적 수준에서 구성된다. 즉 감각적 快, 공포, 생리적 죽음, 생리적 웃음은 간과되거나 무시되고 대신 사상의식발전에 기여하는 것, 착취 계급에 대한 분노, 낡고 반동적인 것에 대한 조소 같은 것들이 미적범주론의 핵심을 구성한다. 그런 의미에서 북한미학의 미적범주론은 감각보다는 이데올로기-도덕(윤리)를 내세우는 엄숙하고 금욕적인 성격이 매우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둘째와 같은 이유에서 북한의 문예에는 감각에 직접 호소하는 예술 장르나 형식이 발전될 수 없다. 예를 들어 감각적인 묘사에 치중하는 詩, 공포영화, 슬랩스틱처럼 웃음자체를 겨냥하는 희극을 북한에서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대신 애국심에 호소하는 진지한 비극, 풍자극, 경희극 같은 것들이 북한문예의 주류를 이룰 것이다. 이것은 미적담론이 체제의 이데올로기적 요구에 따라 형식/장르의 구성/배치에 관여한 매우 독특한 사례다. This paper studied aesthetic categories of North Korean aesthetics and observed inter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aesthetics and North Korean literature based on the study. North Korean aesthetics (or so-called “Ju-che” aesthetics) can be summarized in three features. Firstly, North Korean aesthetics classify aesthetic categories into positive category (beautiful, sublime, heroic, and tragic) and negative category (hideous, vulgar, and comic) by the criteria of independent demand and aim of human being. Positive category can be subdivided into beautiful, sublime, and heroic by considering how many independent-demands of human beings and what aspects of the demands are reflected. Especially North Korean aesthetics consider heroic with action as independent aesthetic category. Such categorization is acceptation and alteration of Soviet aesthetics’ axiological perspective in North Korea’s own way. Secondly, conscious-ideological aesthetic level, which excludes most of sensual parts, composes aesthetic categories of North Korean aesthetics. The core of aesthetic categories are composed with one contributes the development of ideology, wrath towards exploiting class, and derision to old and unprogressive things; sensual resentment, fear, or physiological death/laughter is rather passed over or ignored. In that sense, it might be said that aesthetic categories of North Korean aesthetics are strongly solemn and abstinent based on ideology-ethic rather than sensual approach. Thirdly, therefore, sensual genre or form of art cannot be developed in North Korean literature. Poetry focused on sensual description, horror movie, or slapstick comedy for laughter itself does not exist in North Korea, for instance. The mainstreams of North Korean literature are serious tragedy appeal for patriotism, satirical drama, or light comedy. This is very unique case that aesthetic categories participate in composition/arrangement of formation/genre in accordance with system’s ideological demands.

      • KCI등재

        서정성과 민족형식: 1950년대 후반 북한미술담론의 양상 -『조선미술』의 풍경화 담론을 중심으로-

        홍지석 ( Ji Suk Hong ) 한민족문화학회 2013 한민족문화연구 Vol.43 No.-

        1957년을 전후로 한 시기에 북한미술계는 1953년 스탈린 사후 기존 사회주의리얼리즘의 이론과 실천비판에 나선 소련 문예의 동향에 자극받아 도식성 비판, 서정성 옹호, 민족적 형식의 모색에 나섰다. 이러한 시도는 소련의 지배적 영향을 벗어나고자 했던 당시 북한체제의 지향과도 맞물려 있다. 체제 성립기에 부르주아 형식으로 치부되었던 ``풍경화``가 다시금호명되어 미술비평 담론의 핵심 의제로 부각된 것은 이러한 문맥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속성상 주관화가 두드러진 풍경화는 작가들의 시적 사색이나 감정 표현을 고무했던 당시 북한 예술의 지향에 부합하는 장르였고, 이에 따라 풍경화를 ``내용없는 그림, 정치적 사상성이 빈곤한 장르``라고 비난하는 주장들은 비속사회학적 견해로 간주되어 지탄받았다. 요컨대 이 시기 풍경화 담론의 부상은 미술에서 기록주의, 사진주의를 배격하고 서정성, 시적 감정, 주관적 정서를 회복하고자 하는 노력을 반영한다. 하지만 1950년대 후반 북한 풍경화 담론이 요구했던 바 주관적, 시적 정서를 회복하는 일은 처음에는 개인(작가)의 시적 정서, 작품의 서정성을 회복하는 일로 여겨졌다가 이내 보다 집단적인 수준으로 확장 내지는 경직되었다. 1960년대 초반에 다시금 개인적 주관성은 배격됐고 작가의 주관은 당과 수령의 의지와 동일시되거나 융합되어 당과 수령의 의지가 겨냥한 현실의 모델을 창출하는 선에서 용인받게 됐다. 그런 의미에서 당시풍경화 담론에서 내세운 시적 서정이란 자유로운 주관, 개성이 아닌 규범적 주관, 도식적 개성이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나마 서정, 주관을 담론, 실천 내부에 아우르게 됨으로써 북한미술은 명목적으로 주관과 객관의 조화로운 통일을 주장할 수 있게 되었다. 1950년대 후반 풍경화 담론은 북한 초기미술이 사회주의리얼리즘의 핵심테제 가운데 하나였던 ``민족적 형식과 사회주의적 내용``을 다룬 방식을 이해하는데도 중요하다. 풍경화 담론에서 강조한 개인의 주관적 서정, 또는 시적 정감 같은 주제는 당시 북한미술가들이 ``外師造化, 中得心源(왕유)``이나 ``寫意`` 내지는 ``詩畵一致``로 지칭되는 전통적 미술의 가치를 복권시키는 기폭제가 됐다. 서구회화형식인 유화를 통해 민족형식의 구현을 모색했던 미술가들뿐만 아니라 조선화를 통해서만 민족적 형식을 구현할수 있다고 본 논자들 모두에게 풍경화 담론이 시사하는 ``詩``, ``주관``, ``정서``의 가치는 자신들의 주장을 펼치는 데 유의미한 토대가 됐다. In the late 1950`s, North Korean Artist and Art critics became to criticize the schematism of pre-existing social-realism defending the poetic lyricism and find national style at the same time. They want to overcome the scheme(stereo-typed style)and request for the mechanical reproduction of pre-existing social-realism by accepting/recovering lyricism and poetic quality of art. After the death of Joseph Stalin(1953), Soviet Art critics have became to blame the line of art policy of Stalin, and this tendency influenced the North Korean art world at that time. In this sense, North Korean Artist and Art critics paid attention to the ``landscape painting`` as a lyrical and poetical genre of art. As Paul Valery has pointed out, the landscape painting is the genre painting featuring the subjectivity. So the North Korean art critics in the late 1950`s regarded this painting as the means for adjusting the balance between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However this attempt has resulted in the seeming balance of both side at the expense of personality and freedom of individual artists in the 1960`s. The discourse on the landscape painting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they dealt with the issue on the "Socialistic content and national style." of social realism. North Korean Artist and Art critics of late 1950`s have thought the subjectivity of landscape painting in relation to the spirituality of Korean traditional art. Some of them use the issue of landscape painting for the reinstating the content, style and media of traditional korean art.

      • 정현웅의 후기 미술비평

        홍지석(Hong, Ji Suk) 인물미술사학회 2013 인물미술사학 Vol.- No.9

        이 글은 정현웅이 1950년대 후반~1960년대 북한에서 『조선미술』에 발표한 미술 비평텍스트를 중심으로 그의 후기 미술비평의 전개양상과 역사적 의의를 헤아려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텍스트들에 나타난 정현웅 후기 비평의 주요 관점으로는 1)인쇄미술(그라휘크 미술, 출판 미술)로부터 새로운 예술의 가능성을 보는 시각, 2)미술의 가능성이 새로운 기술(인쇄, 복제)과 결합하면 보다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 3)예술의 역사적 전개를 사회적(물적)토대의 변화에 기초해 이해하려는 시각 정도가 될 것이고 여기에 미약하기는 하지만 4)새로운 매체에 부합하는 내용, 형식의 모색을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당대의 한국미술에서(사실 오늘날까지 소급해서 생각해보아도) 대단히 예외적인 매우 진보적인 미술관이다. 그리고 어쩌면 사회 각 분야에서 ‘소비에트’의 학습과 체화에 몰두하던 초기 북한은 과거 “쏘련에서는 이미 우수한 작품들에 대하여 수만 매, 수십만 매의 프린트를 만들어 방방곡곡에 전파시키고 있다 한다”(1948)고 말했던 이 진보적인 논자가 자신의 미술관을 현실에서 구체화하기 위한 무대로 삼을만한 場이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그가 속한 체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체제의 진보를 구체적인 현실이 아닌 가공의 현실(이른바 주체사실주의)에서만 구현하는 체제로 퇴보해갔고 그가 ‘사회적 지반에 기초한 새로운 예술’을 추구하며 구축한 이론과 실천의 모색은 지금 북한에서 단지 매우 기이하게 화석화된 형태로 남아있을 뿐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도 그가 해방공간에서, 그리고 초기 북한에서 개진한 ‘예술과 사회의 관계’모델은 기존의 틀을 넘어서고 있으며 그만큼 그 ‘틀’을 넘어서 사고하고자 하는 이에게 유의미한 틀이 될 수 있다. After the end of Korean War, Jeong Hyeonung(鄭玄雄, 1911-1976) who defected to North Korea wrote some art critics in ‘Joseon Art(朝鮮美術)’, official organ of the Joseon Artist Alliance(朝鮮美術家東盟) from 1957 to 1966. The main issues of these texts are as follows; 1) the new possibilities of the printed and graphic art in modern society, 2) the development of art depends on the cooperation between art and new technologies, 3)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rt corresponds to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material base, 4) (although somewhat weak) seeking new form and content of art proper to new media. As a chairman of Graphic Art Committee of Joseon Artist Alliance, Jeong Hyeonung (of 1950’s~60’s) wants to upgrade the position of graphic art as a new art form appropriate to a Socialist country. Early period of North Korea promoting the socialistic modernization provide for him to a good foundation to realize his thinking. But after late 1960’s, Art World of North Korea became conservative increasingly. They adopted the Joseonhwa(朝鮮畵) as a model for their own socialistic art form and relegated the graphic art as a sub-genre. Nevertheless, the progressive viewpoint of Jeong Hyeonung in 1950’s~1960’s are significant model to understand relation between art and modern society.

      • KCI등재후보

        1930년대 후반~1940년대 초반 한국 문예의 “골동품” 모티프 -『문장(文章)』을 중심으로

        홍지석 ( Ji Suk Hong )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11 한국문화기술 Vol.12 No.-

        This paper examine the ‘Antique’ motif of Korean Literature and Art between late 1930’s~early 1940’s focusing on the texts of‘洗眈’ MunJang’(1939~1941),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Art. In that period, members of MunJang are fond of Antique motives like pottery, stationery, old bookˇˇas a subject matter or theme of their work. This phenomenon is very interesting because the leaders(artists) of that pheno menon-Lee Tae Jun, Kim Yong Jun, Kim Whan Kiˇˇ-are the pathfinders of Korean Modern Art and Literature in 1930’s. So their Antiquarianism sometimes has been understood as a reactionary phenomenon of Art and Literature. Some researchers regard their Antiquarianism as a decisive influence of Japanese colonialism and Imperialism. However this paper deals with their Antiquarianism as a modernistic resonance. If we look closer their way of treating antique motives, we could find various indications of Modern Art and Society. This result are as follows, 1)compulsive obsession for hygiene(cleanliness), 2) double attitude to the part/integral 3) attempting to achieving the simultaneity of past/present.

      • KCI등재

        북한미술의 기원 -카프미술, 항일혁명미술, 그리고 조선화-

        홍지석 ( Ji Suk Hong ) 한민족문화학회 2010 한민족문화연구 Vol.34 No.-

        해방 후 북한에서는 카프와 항일혁명 문학예술 양자 가운데 어느 쪽을 가장 중심적인 문예사 전통으로 내세울 것인가가 첨예한 문제로 대두됐다. 미술 분야의 경우 1950년대 후반에는 카프미술을 전통으로 내세우는 입장이 우세했으나 1960년대 후반에는 항일혁명미술의 정통성을 강조하는 입장이 우세를 점하게 된다. 이는 1960년대 후반 유일사상체계의 확립에 맞물려 당과 수령의 직접적인 영도에 따라 전개된 항일혁명 문학예술을 유일한 혁명전통으로 규정하고자 했던 당시 북한문학예술계의 일반적인 추세에 부응한다. 항일혁명미술 정통론은 1970~1980년대에 더욱 강화되어 이 시기에 항일혁명미술은 주체미술의 시원으로 굳건히 자리매김 된다. 이후 1990년대 카프미술이 부분적으로 복권되었으나 항일혁명미술의 지위는 흔들리지 않았다. 그러나 북한미술 담론의 변천 과정을 주의깊게 살펴보면 항일혁명미술의 부상과 때를 같이 하여 `조선화` 담론이 크게 부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66년 10월에 발표된 김일성 교시 <우리의 미술을 민족적 형식에 사회주의 내용을 담은 혁명적인 미술로 발전시키자>에서 천명된 "조선화를 토대로 하여 우리의 미술을 더욱 발전시켜나가자"는 원칙은 이후 북한미술 담론에서 핵심 논제로 부상한다. 이렇듯 한편으로 항일혁명미술을 유일한 혁명전통이자 기원으로 삼으면서 다른 한편으로 조선화를 토대로 미술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논리가 부각되는 것은 일단 항일혁명미술이 양과 질 모두에서 함량미달이라는 현실적 한계와 관련하여 해석할 수 있다. 이런 문제 때문에 실천에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기원―토대가 요청되고 이러한 요청에 따라 조선화가 부상하게 됐다는 것이다. 조선화와 조선화의 미감은 `우리식대로`를 강조하는 주체시대 북한 문예의 일반적 흐름에 부응하여 북한 사회의 생활양식과 미적취향의 정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조선화야말로 북한미술의 실질적인 기원이라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what is the origin of North―Korean Arts. In North Korea, The `Proletariat art` or `KAPF art` had been regarded as unique tradition of their official art until the 1950`s. But on and after the 1960`s the `Anti―Japanese Revolutionary Art` which created during partisan struggles by Kim Il―Sung in Manchuria was brought out as a significant tradition. And at the same time `Juche―Thought` was become absolute as the only thought, `Anti―Japanese Revolutionary Art` was defined as one and only tradition. However In late 1960`s, Another art was emerged as the foundation of North―Korean Art. Joseon―painting(朝鮮畵) is it. Here, Joseon―painting means the tradition Korean painting. In 1967, Kim Il―Sung was declared that "Develop our Arts on the basis of Joseon―Painting." And after that, North Korean Artist have developed North Korean peculiar painting style on the basis of so called Joseon―painting. If take into account this truth, we can consider the Joseon―painting as the practical origin of North―Korean Art. Like this, North―Korean art community and the social system give the `Anti―Japanese Revolutionary Art` and the Joseon―painting the status of `heritage` and of `tradition` of the past national art respectively.

      • 1930년대의 초현실주의 담론

        홍지석(Hong, Ji-Suk) 인물미술사학회 2014 인물미술사학 Vol.- No.10

        김복진으로 대표되는 1920년대 후반 카프미술의 담론과 실천은 ‘신흥예술’의 두 가지 요구, 곧 ‘낡은 것의 파괴’와 ‘새로운 것의 건설’이라는 두 가지 요구를 삶과 예술을 일치시키는 구성주의적 접근을 통해 해결하고자 했다. 그러나 카프의 실천과 실험이 종결되는 것과 때를 같이 하여 구성주의적 접근, 즉 ‘삶과 예술의 일치’를 즉자적으로 해석해 예술가의 주관을 최대한 배제하고 일상의 기능적 사물과 선전물을 제작하는 식의 접근은 전면적인 회의의 대상이 되었다. 순정미술을 거부한다면서 주관을 전적으로 배제하고 객관으로 나아가는 식의 접근에는 예술도 인간도 없다는 인식이 1930년대에는 널리 확산된다. 1920년대의 구성주의를 대신하여 ‘삼사문학’으로 대표되는 1930년대의 젊은 예술가들은 파괴(다다) 이후에 가능한 건설의 대안을 초현실주의에서 찾았다. 정현웅을 위시한 삼사문학 동인들은 ‘대립적 인자들의 대립적 조합(몽타주)’, ‘여기와 저기(çà et là’)’처럼 이질적인 것이 하나의 공간에 공존하는 양상에 주목하여 기존의 질서를 끊어내 얻은 파편들, 또는 이미 현실에 존재하는 파편들을 연결하여 새로운 질서, 새로운 전체를 제시하고자 했다. 그 새로운 질서에서 파편들은 그 개별성을 상실하지 않으면서 전체의 일원이 될 것이다. 이시우는 이것을 “어떠한 새로운 질서로서 현 질서를 파괴하는 포에지”라 칭했다. 또한 정현웅에 따르면 “다다를 사멸에서 구하는 데는 그들의 파괴작업에 한 조직을 세우고 새로운 세계의 건설에 매진해야” 한다. 그가 보기에 초현실주의는 “이 새로운 세계의 건설을 위해서 탄생한 것”이다. 이들의 실천은 비록 오래 지속되지 못했지만 이들의 실험은 새로운 사회, 새로운 예술을 모색하는 예술가들의 비옥한 자양분이 되었다. In 1920’s, Artist and Art Critics of colonial Korea like Kim Bok-Jin, the leader of KAPF(Korea Artista Proleta Federatio) had paid attention to the Russian Constructivism as a model of construction after deconstruction(of Dada), However the materialistic approach specific to Russian Constructivism have lost it’s influence after the dissolution of KAPF. There was a widespread feeling among Artist and Art Critics of colonial Korea in 1930’s that there is no man and no art in the materialistic(objective) art like Russian Constructivism. Instead of Constructivism in 1920’s, Some Artist and Art Critics in 1930’s have paid attention to the Surrealism as a model of construction after deconstruction(of Dada). At that time, The Surrealists of colonial Korea like Jeong Hyeonung have tried to find out possibility of new construction in “contemporaneous coexistence of contradictory elements” They have put the broken pieces together, and presented it something which suggest new order and new whole. Although their claims were refuted as a nonsense and have lost it’s influence after. late 1930’s, the experiments of surrealist have a special significance as a movement to find new order proper to modern society and art.

      • KCI등재

        공산주의적 인간의 얼굴과 몸

        홍지석(Hong, Ji-suk)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54 No.-

        북한미술은 “인간의 외면(몸)을 통해 인간의 내면을 인식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던 관상학(physiognomy), 또는 골상학(phrenology)의 접근방식을 계승하고 있다. 그들은 과거의 관상학자, 또는 골상학자들처럼 몸과 정신, 외적 작용과 내적 정신의 명확한 인과 관계를 수립하기 위해 노력했다. 구체적으로 그것은 얼굴의 어떤 표정을 특정 감정과 연결짓는 식으로 표정-감정의 목록을 작성하거나 특정한 몸의 자세를 특정한 정신상태에 귀결시키는 식으로 전개되었다. 오늘날 북한미술에 등장하는 ‘공산주의적 인간의 전형’이란 이렇게 만들어진 공식과 규범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이것은 분명히 지배체제가 미술가들에게 요구한 공산주의적 인간의 전형 창조에 효과적인 전략이었다. 인물화에 관한 한 북한미술의 전체 역사는 표정-감정, 자세-정신상태의 목록과 규범을 확장, 정교화시키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게 북한미술에 등장하는 인물의 표정과 자세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매끈하게 다듬어지게 되었다. 그럼으로써 그들은 과거 관상학자들 내지 골상학자와 똑같은 오류에 빠진다. 18세기 독일의 유명한 관상학자였던 라바터(J. C. Lavater)는 인간 얼굴의 외적형상에서 종교적으로 설정된 텍스트적 의미를 읽어내고자 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자의적으로 설정한 기의만을 읽어낼 수 있으며 따라서 그의 오독은 필연적이다. 한 때 과학의 지위를 누렸던 관상학이 지금 사이비과학으로 전락한 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는 셈이다. 이러한 문제제기는 명목상 사실주의를 표방하는 주체미술의 몸 재현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은 현실의 탐구에서 언제나 이미 정해진 해답만을 도출하고, 이미 만들어진 틀을 현실의 인간에 덮어 씌어 이른바 ‘생동한’ 공산주의적 인간의 몸을 창출한다. The North Korean Art have succeeded to the approach of physiognomy or phrenology having for it’s aim to “recognize inner side of man by his outer side, namely his body.” Like the past physiognomists or phrenologists, North Korean Artist have tried to establish the clear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ody(outside) and soul(inside). So they have made up a expression/emotion catalogue and using it when they take a person in their art works. “The archetypes of communist” in contemporary North Korean Art following this rule and canon faithfully. Therefore they coul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Communistic Human” towards the needs of the governing system. So far as the figure(person) painting is concerned, The History of North Korean Art is the process of extension and elaboration of expression/emotion catalogue(canon). As a result, They are falling into the fallacy that of the physiognomist. In the 18th century, the famous physiognomist J. C. Lavater had tried to read the religious signified in the face of man. However, He could read the signified(meaning) only he wanted to find out. Therefore misreading is inevitable. As such physiognomy, once had maintained the status of science, have fallen to the pseudo-science. The same is true of the body representation of North Korean Art. North Korean Artist have tried to read the political(or social) signified in the face of man. However, They can read the signified(meaning) that they want to find out.

      • 사군자(四君子), 중간예술

        홍지석(Hong, Ji-Suk) 인물미술사학회 2015 인물미술사학 Vol.- No.11

        19세기 이후 사회변동에 따라 사군자를 사군자이게 하는 토대인 사대부 문인이 소멸된 이후에도 사군자는 20세기 전반에 걸쳐 그 상위범주로서 ‘문인화’와 더불어 중단없이 제작되었다. 이 글은 20세기 초 미술비평 담론의 독해를 통해 문인이 사라진 시대, 사군자의 예술적 의미와 지위를 확인하려는 시도다. 20세기 초 미술담론에서 書와 畵의 ‘중간존재’(고유섭)로서 사군자는 그 애매한 성격과 지위 때문에 공격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예찬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그것을 畵, 곧 회화로서 다루고 싶어 한 논자들은 사군자에서 글(書)의 성격을 떼어내 그것을 동양화(회화)의 한 분야로 다루려 했다. 반면 그것을 書에 좀 더 가까운 것으로 인식한 논자들은 사군자를 書로 대표되는 극단의 정신형식에 도달하기 위한 중간단계의 예술로 보았다. 특히 문인화의 한 분야로서 사군자는 그 존재 자체가 ”높은 수준의 정신성“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소위 동양주의 또는동양적 정신주의가 부각된 1930년대에 각광받는 예술장르가 되었다. 그러나 사군자의 정신성을 지탱하는 위대한 사대부 문인이 사라진 시대에 사군자의 ‘정신성’을 규정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문제였다. 무엇보다 대상성, 곧 梅蘭菊竹이라는 구체적인 식물의 이미지를 간직하면서 그 대상성을 정신적인 수준에서 초월, 또는 초극하는 것이 문제였다. 이렇게 사군자가 간직한 대상성은 정신성의 수준에서는 극복과 초극의 대상이었으나 다른 한편으로 제도화된 근대미술의 장(場)에서 사군자가 미술로서 잔존하기 위한 조건이기도 했기 때문에 간단히 내칠 수 없는 어떤 것이었다. 한편 “정신의 심원과 만고불변의 미술”로서 사군자는 비평의 수준에서도 접근하기 어려운 예술형식이었다. 사군자가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된 높은 수준의 정신성을 비평의 언어로 번역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군자 비평은 소위 주관적 인상비평의 형태를 취할 수밖에 없었다. 畵法과 書法의 일치라는 관점에서 운치를 “따는” 방법을 논한 김진우의 텍스트(1940)는 막연한 인상비평의 수준을 뛰어넘는 좀 더 객관화된 사군자 비평의 사례로서 사군자 대중화의 길을 시사하지만 동시에 정신성이 소거된 ‘텅빈 기표’로서 사군자의 실질적인 성격과 위치를 드러내고 있다. As one of the Literary paintings(文人畵),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四君子)" had the ambiguous character in korean traditional Art. Namely it was not only the painting(picture) but also the writing(calligraphy). For the same reason, it has been regarded as the expression of human soul as well as the representation of real plants. However, During the first part of the 20th century, the ambiguous character of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has also aroused controversy in art world. For the modern paradigm wanting the definite division of domains, the ambiguous character of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was the problematic subject to handle. Some have said that it must get rid of character of writing to become the painting, The other have said that it was middle stage to achieve the ultimate spiritual form of art. However,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couldn"t get rid of the character of writing. Because, If it were not for the character of writing,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was not the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any more. Similarly, If it were not for the image of real plants,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was not the painting any more. Therefore, It has required the images of real plants, like orchid, bamboo to remain painting or art form. Second problem was the "spirituality" in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In the first part of the 20th century, There were no nobleman(literary person) based on the traditional society of Korea. So the spirituality of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became unreliable. So the artists painting/writing the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needed to explain concretely the "spirituality" in their works of Art. As a result,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could be popularized while the spirituality of it became more unreliable than before.

      • KCI등재

        해방공간 예술사회학의 이론과 실천 -1940-1960년대 한상진(韓相鎭)의 미학,미술사론을 중심으로

        홍지석 ( Ji Suk Hong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2 美學·藝術學硏究 Vol.36 No.-

        해방기 우리 미학, 미술사학계에서 한상진(韓相鎭, ?-1963)은 여러모로 주목할 만한 존재다. 그는 해방공간에서 미술연구회 일원으로 서양미술사와 미술이론의 소개에 힘썼다. 이 시기에 그는 한글로 쓴 최초의 서양미술사 입문서 『먼나라 미술의 발달-학생 서양미술사 입문』(1949년)을 썼다. 또 1949년에는 허버트 리드(Herbert Read)의 『예술과 사회』를 번역 출간했다. 그는 이 시기 미술연구회 주최로 덕수궁미술관에서 열린 미술사 강연에서 서양미술사 분야를 담당했다. 또 1950년 월북(또는 납북) 이후 북한에서 평양미술대학 교원으로 재직하면서 「조선미술사개설」(1961-1962) 『조선미술사 1』(조준오와 공동집필, 1964)을 발표하여 북한 미술사의 기초를 다졌다. 그런 의미에서 한상진에 대한 조명은 해방 직후 우리 미학·미술사의 상황을 파악하고 남북한 미술사의 분기 지점을 확인하는 작업의 기초가 될 수 있다. 해방공간에서 한상진은 사회적 발전단계와 예술의 발전단계가 일치한다고 주장했던 하우젠슈타인과 프리체의 논의에 귀를 기울이면서 다른 한편으로 개인의 개성을 존중하는 사회학적 예술사의 가능성을 논했던 허버트 리드에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이론적 관심은 체계(보편)와 개성을 다함께 존중하는 미술사를 서술하려는 실천적 지향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6·25 전쟁 이후 북한에서 한상진은 체제의 이데올기적 요구에 따라 허구적 조화를 구가하는 미술사를 썼다. 여기서 체계와 개성, 보편과 개별, 객관과 주관은 긴장을 이루기보다는 ``사실주의의 장성발전``이라고 하는 허구적 프레임 속에서 조화롭게 통일을 이루는 모양새를 지니게 됐다. 이러한 이론과 실천의 전개과정은 사회학적 견지에서 예술을 다루고자 하는 논자들에게 의미심장한 역사적 모델로 자리매김 될 필요가 있다. Han Sang-Jin(韓相鎭) is the significant figure in the field of Aesthetics and Art History during the Liberation era. In that time, He has taught theory of art and art histories to the public as a member of ``Research Society of Art(美術硏究會)``. He had published The Development of Art in the Foreign Countries: Introduction of History of Western Art for the Student(1949) and translated Herbert Read`s Art and Society(1949) and wrote some art critics on the contemporary art. After the Korean War(1950-1953), He has worked in various fields of art in the North Korea before he dead in 1963. As a Art Historian, Critics and Educators, Han`s main concern was the making systematic connection of Art and Society. He wanted to describe art histories respecting the universal order(system) as well as personality of artist. During the liberation era, He has tried to solve this problem by accepting Vladimir Friche`s systematic approach on the connection art and society on the one hand, and Herbert Read`s theory on the role of artist in the sociology of Art on the other hand. But after late 1950`s in the North Korea, He has chose another way of connecting art and society by accepting views of Social Re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