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반도체기업 사례 분석을 통한 글로벌 싱글 인스턴스 ERP 통합 최적화 모형 설계

        홍정현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양한 사업 분야 및 해외에 생산 및 판매 거점을 가지고 있는 글로벌 기업은 국가와 지역의 다양화로 인하여 글로벌 ERP 시스템 통합 구축 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기업의 활동 영역이 국내에서 글로벌로 확장됨에 따라 많은 해외 생산법인 및 판매 법인들이 설립되고 해외 법인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각 법인 별로 ERP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글로벌 기업 입장에서는 전체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시스템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글로벌 기업의 통합 프로젝트에 대한 분석과 현재 글로벌 기업으로써 싱글 인스턴스 ERP를 사용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의 ERP 관련 실무자와의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서 통합 추진 및 범위에 설정에 나타난 고려 사항을 공유하고 여기서 도출된 이슈에 대한 해결점을 연구한다. 따라서 국내 기업들이 ERP를 국내뿐 만 아니라 해외에 구축, 운영 시 전사 표준 프로세스의 정립, 전사 PI 추진, 싱글 인스턴스로의 ERP구축 및 통합의 범위를 각 기업의 특성마다 구매자와 공급자의 영향력의 차이를 고려한 가치사슬 활동 별 ERP통합의 최적화 방안을 제안하고 전사 표준 통합된 프로세스의 변화관리를 위한 모형을 설계하고 기업의 추진 적용 사례 연구와 전문가 집단 인터뷰를 통해 기업의 글로벌 싱글 인스턴스 ERP 통합의 최적화 모형을 설계한다. Many enterprises introduce and adopt an ERP system competitively to use their resources more efficiently. Enterprises that have various production and sales site in global world are suffering from difficulties for operating their system and trying their best efforts to make numerous cost down by consolidating the whole system. To cope with thus difficulties, overseas enterprises have gone through many projects for optimization of global ERP consolidation for a long time. Several domestic global enterprises are planning and trying ERP consolidation that can cut down a number of instances to single instance. To integrate the instance ERP system should have the optimized model, which can cut down price. This can be helpful for enterprise‟s vision and business strategy. In this study, optimization of single Instance ERP consolidation is based on Michael Porter‟s Industry Attractiveness and Value Chain theory. Through Focused Group Interview, this study shows how many instance the global enterprises need and which activity the enterprises should have multi instance system.

      • 실천중심학습을 위한 모바일 기기 활용 연구 :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홍정현 서울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창의성과 리더십이 핵심 역량이 되는 4차 산업혁명시대로, 단순한 지식 습득보다 실천 중심의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때, 이동성과 즉시성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의 특성을 적극 활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을 촉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천중심학습에서 모바일 기기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연구하고 이를 적용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반응을 살펴보았다.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본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 전원은 오프라인 수업에서 자신이 설정한 목표를 85% 이상 실천하였으며, 본 프로그램이 자신의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었고, 앞으로도 실천 활동을 이어나갈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모바일 활용에 있어 많은 학습자들이 알람 기능과 그래프 시각화 기능이 도움이 되었다고 언급하였다. 그리고 모바일 기기에 목표를 입력하여 상시적으로 확인한 것이 실천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모바일 온라인 상으로 서로의 실천 현황을 공유하고, 학습 자료를 공유한 것도 실천 학습을 이어나가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언급하였다. 그러나 학습 활동이 많아서 다소 부담을 느끼기도 하였으며 가이드라인이 명확하지 않아 혼란을 겪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본질적인 목표 실천에 집중하기 위해서 필요가 낮은 활동은 축소하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학습자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많은 학습자들이 지속적인 온라인 활동과 함께 오프라인 모임을 주기적으로 병행하는 방식을 선호하였다. 이에 따라 오프라인 종료 모임을 정기 모임으로 대체하고 학습자들이 장기간에 걸쳐 꾸준히 습관 목표를 실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중심학습을 위해 모바일 기기 활용을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모바일 기기를 실천중심학습에 활용한 연구는 거의 없었고, 리더십 교육 현장에서도 모바일 기기를 부분적으로만 활용하는 정도였다. 그러나 모바일 기기의 보유율이 높아지고 접근성이 확대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활용 폭이 넓어진 가운데, 이동성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특성을 기반으로 실천중심학습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차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디딤돌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학습환경을 설계하였지만 하나의 통합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사용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할 것이다. 이때, 본 연구결과를 참고한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Contemporary society is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which creativity and leadership are core competencies, and interest in practice-oriented learning, rather than the acquisition of simple knowledge, is increasing. At this time, if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devices, such as portability and immediacy, are actively utilized, it can promote practical learning more effectively. As a result, we studied how to use mobile devices in practice-based learning and examined the learner's responses in leadership education programs that have implemented this. All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is training program that utilized mobile devices practiced more than 85% of the goals they set in the offline lessons, said that the program helped them set and realize their goals, and will continue to practice toward their said goals. Many learners have noted that the alarm function and the graph visualization function helped within their use of mobile devices. In addition, inputting goals in mobile devices has helped to encourage their practice, and sharing the current state of the practice online with the mobile device and sharing learning materials has also helped to maintain practical learning. However, it was sometimes burdensome due to the large amount of learning activities, and the ambiguous guideline resulting in confusion. Thus, in order to concentrate on essential goal-oriented practice, it is suggested that unnecessary activities be reduced, and improvements should be made in a way that provides a clear guideline to learners for systematic management. And many learners preferred the way of periodically coordinating offline meetings along with ongoing online activities. Therefore, we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final offline meeting with regular meetings and support the learners to practice habitual goals steadi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the fact that we tried to use mobile devices for practical learning. So far, studies regarding the use of mobile devices for practice-based learning have been almost non-existent, and even the existing studies only allowed the partial use within a leadership training. However, as the mobile device retention rate and accessibility are expanded, the use of mobile devices has widened, showing that practical learning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mobile devices having portability. Second, it can be a stepping stone for future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In this study, although the learning environment was designed using various applications, if only one integrated application is developed and used, a more effective training program operation will be possible. At this time, we expect that if we uti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ill be able to develop applications through a more efficient process.

      • 한·중 경어법의 대조 및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홍정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중 경어법을 대조한 후 거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들을 분석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경어법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한국과 중국이 국제적 지위가 향상되면서 두 언어에 대한 국제적 수요가 급증하게 됨에 따라 외국어로서 한국어, 중국어 교육도 발전하게 되었다. 한국어, 중국어 교육과 관련한 각 연구 논문이 급증하고 있지만, 특정 언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정하여 진행하는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한국어권 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양국 경어법을 보다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먼저,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대비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우선 두 언어의 경어법을 대비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했다. 그리고 이것을 바탕으로 각 세부 항목의 난이도 등급을 구분하고 첫 번째 교육 방안을 모색했다. 그리고 학습자의 오류 실태를 통해 오류 원인을 밝히고 제2 언어 학습자가 대부분이 인지 능력이 발달하고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이 갖추고 있는 성인이고 초급 단계에 속한다는 특징과 결합하여 두 언어의 기분적인 문법 구조, 어순, 언어 시험 분석을 통해 두, 세 번째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

      • 데미안 허스트(Damien Hirst)작업에 나타난 '상실'의 미학

        홍정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데미안 허스트(Damien Hirst, 1965-)의 작품에 나타난 ‘상실’의 미학을 고찰한 연구이다. 허스트는 ‘yBa(young British artists)’ 탄생의 초석이 된 ‘프리즈(Freeze)’전(1988)을 계기로 미술계에 등장했으며, 삶과 죽음의 양면성을 드러내는 개념적이고 충격적인 작업을 통해 영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그의 작업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 아니라, 일부 연구된 경우에도 개인사나 형식주의적 분석에 그친 것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작품에 나타나는 파격은 충격을 주기 위한 전략으로만 취급되어 죽음에 내포된 의미는 간과된 채 선정적인 측면만이 부각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단편적인 해석으로는 그의 작품이 지니는 미술사적 의의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이에 필자는 그의 작업을 관통하는 죽음의 주제가 미술사의 오랜 주제라는 점에 주목하여 지난 20여년에 걸친 그의 작품 세계를 총체적으로 조명해 보고자 한다. 죽음은 모든 이에게 부여된 숙명이라는 점에서 인류의 존재론적인 사유를 이끌어 왔고 미술사에서도 오랜 영감의 원천으로서 각 시대마다 많은 작가들이 이를 작품의 주제로 삼아왔다. 또 허스트가 활동을 시작할 무렵인 1980년대 후반의 영국은 대처(Margaret Thatcher, 1925-) 내각의 긴축재정과 과감한 개혁으로 불안한 사회적 분위기가 만연하였고 미술계 내에서도 미술기관과 젊은 작가들이 정부의 지원을 받지 못해 위기에 처해 있었다. 이러한 영국의 세기말적 상황에서 죽음이라는 주제는 전통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당대의 시대상을 반영하는 시의적절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이때 허스트는 이를 고정된 내용이 아닌 상반된 가치들의 공존이라는 열린 구조를 통해 제시하는가 하면 예술가 주체를 완전히 해체하는 작업 양식을 드러냄으로써 세기말의 상실감을 경험하던 동시대인들의 많은 공감을 이끌어내었다. 허스트는 작품에서 파리나 나비의 일생을 통해 생의 주기를 대상화하고, 동물의 사체를 관람자에게 대면시키거나 유약한 인간의 생명을 떠있는 공으로 표현함으로써 삶 이면의 죽음 혹은 죽음 이면의 삶을 말한다. 또한 그는 과학, 특히 의학을 생명 연장을 위한 인간적인 수단으로 지목하고, 이를 사후세계를 제시하는 종교와 비교하여 작업의 범위를 더욱 확장시키는 한편 이 모든 요소들이 지니는 한계를 제시함으로써 희망과 좌절의 감정을 교차시킨다. 나아가 허스트는 유일하고 영속적이었던 예술가 주체 개념을 ‘차용’의 방법을 사용해 해체함으로써 ‘죽음’이라는 주제를 통해 예술가의 원본성(originality) 상실까지 이야기한다. 순간과 영원, 아름다움과 추함, 종교와 과학, 원본과 복제 등 이질적인 요소들의 병치는 삶과 죽음의 딜레마를 드러내기 위한 방법이자 작품 해석의 여지를 넓히는 허스트 특유의 장치이다. 그가 yBa 작가들 중에서도 시대를 대변하는 작가로서 독보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죽음’이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바로 이러한 동시대적인 방법으로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데미안 허스트의 작업 전반에서 지배적인 죽음과 상실의 의미를 짚어내고 이와 더불어 그동안 미술사적으로 평가 절하되었던 그의 작업에 시대를 반영하는 예술로서의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그의 전체적인 작품세계를 정리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을 계기로 향후 허스트의 작품세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논의들이 진행되어 현재에도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허스트의 작업이 발전하는 데 의미 있는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nsiders various meanings of mortality and loss as represented in the artworks of Damien Hirst (1965-). Hirst came onto the British art scene in 1988 with Freeze, a groundbreaking exhibition that marked the rise of the Young British Artists. He has since become a celebrated contemporary artist in the UK for his conceptual and shocking pieces that show the two sides of death and life. Very little, if any, academic research has yet been done on his works. All that has been done is research into Hirst’s life or formalistic analysis. The unconventionality of his productions has been treated only as a means of shocking the viewer. Without due attention to the meanings of death, the spotlight has been focused on the sensational aspects. Such fragmentary studies are inadequate to fully explain the significance of Hirst’s works in the history of art. Noting that death, the central theme of his artwork, has long been an important theme throughout the history of art, the author intends to give a comprehensive look at Hirst's productions. As all humans are destined to die, death has always spurred mankind into ontological inquiry. It has been a source of inspiration for art for a long time, and many artists of each generation employed death as a theme. In the late 1980s, when Hirst started his career as an artist, British society was in a state of turmoil as a result of the bold reforms undertaken under Margaret Thatcher (1925-). Art institutions and young artists also faced difficulties because they could not receive government support. It is in this context that death was viewed as a timely theme, despite the fact that it had long been a theme in all ages. By presenting death not as a fixed concept but as co-existence of conflicting values, Hirst won sympathy from his contemporaries, who had been experiencing a sense of loss at the turn of a century. Through his works, Hirst objectified the life cycles of flies and butterflies, confronted the viewer with dead animals, and expressed the frailty of human life as a ball floating in the air. The works show life on the other side of death and death on the other side of life. Furthermore, he saw science, especially medical science, as the means of extending human life and compared it with religions that envision the world after death. His productions also described their limitations, giving mixed feelings of hope and despair. Going a step further, Hirst even talked about the loss of originality of artists through the theme of 'death' by dismantling the concept of the artist as a subject that appropriates things. By addressing opposing factors in his works - such as instant and eternity, beauty and ugliness, religion and science, and original and copy - he reveals the dilemma of life and death, and this is his unique way of expanding room for interpretation. He was able to become a prominent member of the Young British Artists and a major artist of the time because he presented the universal theme of death in a contemporary way. Ultimately, this study attempts to read various meanings of death, and loss as an extended meaning of death, that predominate works by Hirst and add new values to his productions, which have been underappreciated in the art world. The study is also relevant in that it attempts a comprehensive review of his entire body of artwork for the first time. The study is expected to spur discussion that looks at works of Hirs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nd to give the artist further inspiration for his future works.

      • 가정폭력피해여성이 가정으로 복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홍정현 경기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가정폭력피해여성들이 폭력을 피해 집을 떠났다가 다시 가정으로 복귀하게 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학습된 무기력과 사회적지지, 가정폭력의 심각성이 가정 복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로는 가정폭력을 피해 집을 나와서 쉼터에 머물고 있거나 자발적으로 상담소에 찾아와서 상담을 의뢰한 가정폭력피해여성 6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데이터를 사용하였다. 학습된 무기력을 측정하기 위해 신기명(1990)이 개발하고 박미은(1997)이 수정 보완한 설문지를 가져와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서 박지원(1985)이 개발한 사회적지지 척도 중에서 간접적으로 지각한 지지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가정폭력의 위험성을 측정하기 위해 가정 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학대나 폭행과 관련된 위험 요소들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개발된 도구인 SARA(Spousal Assault Risk Appraisal Guide)를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한 척도들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내적일관성(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평가방법으로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한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내적일관성은 항목들 간의 상관관계로서 평가, 항목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내적일관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통상의 보수적인 기준으로 Cronbach's α계수를 0.60 이상을 채택, 분석에 사용 하였으며, 학습된 무기력 0.97, 사회적지지 0.97, 가정폭력위험성 0.85로 매우 높은 내적일관성이 나타났다. 학습된 무기력, 사회적 지지, 가정폭력 위험성 요인들이 가정폭력피해여성의 가정 복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된 무기력은 Wals=6.365(p<.05)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계수가 양(+)으로 학습된 무기력은 가정으로의 복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xp(B)=1.036으로 학습된 무기력 값이 1만큼 커질수록 귀가 할 확률이 1.036배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는x²=.968(p>.05)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의 위험성은 Wals=3.348(p<0.1)로 0.05수준에서는 의미가 없었지만 경계역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계수가 양(+)으로 나타나 가정폭력의 위험성(SARA)은 가정으로의 복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xp(B)=1.107로 가정폭력의 위험성(SARA) 값이 1만큼 커질수록 귀가 할 확률이 1.107배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 학습된 무기력이 심할수록 가정폭력의 위험성이 심각할수록 가정폭력피해여성은 가정으로 다시 복귀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습된 무기력과 사회적지지, 가정폭력의 위험성의 세 가지 요인과 가정복귀와의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고 학습된 무기력과 가정폭력이 심각할수록 가정으로 복귀한다는 결과가 향후 국가와 사회적 차원에서의 상담과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주요어 : 가정폭력, 가정 복귀, 학습된 무기력, 사회적지지, 가정폭력 위험성(SARA) M.A. Thesis Analysis of the domestic violence victims factors influencing return home Hong Jung Hyun Department of Forensic Psychology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about to be returned to the home again left home to avoid the violence, domestic violence victims. Several factors could have, but this study, social support and learned helplessness, evaluate the risk of domestic violence to know affects the return home. The subjects were used in the home for staying out violence shelter, or damage to the house voluntarily self-reported domestic violence targeting women 65 people who came to the clinics consulted expressions survey data. Wear to measure the learned helplessness people (1990) and the development and bakmieun (1997) was used by importing the modified complement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social support, Park Ji-won (1985) indirectly perception among developed by the Social Support Scale It was used to measure the support. You can also use the tool SARA (Spousal Assault Risk Appraisal Guide) designed to identify the risks associated with abuse or violence that may occur in the home to measure the risk of domestic violence, the results were derived. In this study, we use the analysis method using the Cronbach's coefficient α as internal consistency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Evaluation method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used. Internal consistency is high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valuation,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y items can be a high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coefficient of the normal conservative criteria adopted more than 0.60, were used in the analysis, had a very high internal consistency as learned helplessness 0.97, 0.97 social support, domestic violence risk 0.85. The learned helplessness, social support, domestic violence risk factors are assumed to investigate the violence affects women return home as a result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ly by learning helpless Wals = 6.365 (p <.05). The coefficients are learned in negating lethargy is the probability of the ears was shown to affect the positive (+) to return to the home, Exp (B) = learned helplessness value to 1.036 is larger by one 1.036 fold increase was found. Social support was found not to significantly x² = .968 (p> .05). The risk of domestic violence Wals = 3.348 (p <0.1) as I did not have the means to 0.05 level was significant at the border station. Factor risk (SARA) appearing as positive domestic violence was found to be on a positive effect on return to home, Exp (B) = risk of domestic violence as 1.107 (SARA) value the larger one was found to be as likely to return home increased 1.107 times. As a result, the more severe the more learned helplessness seriously at risk of domestic violence, domestic violence victims could obtain results that return back to home. This study is the future results that learned helplessness and social support, can have significance to the point that attempts to access the three factors of risk of domestic violence and families to return and learned helplessness and domestic violence seriously more return home I hope this helps having your country and counseling and support in social dimension Key words: domestic violence, return home, learned helplessness, social support, domestic violence risk (SARA)

      • 아동·청소년 대상 한국어 교재의 자모 교육 연구

        홍정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아동․청소년 대상 한국어 교재의 자모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대안적인 자모 교육 내용을 제안함으로써, 차후 아동․청소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재의 자모 교육 내용 집필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한국어 교육은 제2언어, 혹은 외국어 교육이라는 점에서 국어 교육과는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동․청소년 한국어 학습자로 분류되는 국내 다문화 배경 학습자 혹은 국외 한글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집필된 한국어 교재의 자모 교육 내용은, 한국어 모어 아동 대상의 한글 교재와 거의 흡사하다. 비록 성인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자모 교육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었고 나름의 성과를 거두었다. 성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재는 다양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아동․청소년 교재에서는 그러한 관점을 찾아보기 힘들고, 한국인의 관습에 익숙한 방식을 고수하고 있음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이 연구가 시작되었다. 아동․청소년 대상 한국어 자모 교육의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자모 교육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던 다양한 연구 결과를 ‘자모 교육 관련 용어, 자모 제시 순서 및 원리, 자모 음가 표시 방법, 자모 교육 방법, 음절 교육 방법, 어휘 활용 방법’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특히 한국어 자모 교육의 연구 주제로서 많이 논의되고, 중요한 쟁점 사항으로 여겨졌던 자모 제시 순서와 관련하여서는 자음(초성), 모음(중성), 받침(종성)을 각각 세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별 자모 배열의 원리와 특징을 상세히 기술하고, 그 유형이 갖는 의의를 언급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이루어진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아동․청소년 대상 한국어 교재 13종의 자모 교육 단원을 교재별, 항목별로 분석하였다. 교재별 분석에서는 교재 집필의 근간을 이룬 해당 교육과정에서의 자모 교육 관련 성취 기준을 도출하고,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이 해당 교재의 자모 교육 내용에 잘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아동․청소년 한국어 교재의 자모 교육 내용은, ‘자모의 시각적‧청각적 인지 및 식별, 자모 읽기와 쓰기’, ‘음절의 구성 알기, 음절 듣기, 읽기, 쓰기’, ‘어휘 듣기, 읽기, 쓰기’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을 비교적 고르게 반영하고 있는 교재는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1��, ��중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1��, ��맞춤 한국어1 태국어권��, ��맞춤 한국어1 프랑스어권�� 이었다. ��맞춤 한국어1 영어권��, ��맞춤 한국어1 중국어권��, ��맞춤 한국어1 아랍어권��은 자모와 어휘를 읽고 쓰는 활동에 집중되어 있다. ��한국어(입문) 러시아어권��과 ��한국어(초급) 러시아어권��은 난해한 문법 개념이나 용어를 직접적으로 설명하고 있어 아동․청소년 한국어 학습자에게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항목별 연구에서는 자모의 배열이나 목표 자모의 설명 방식, 연습 문제 유형 등을 분석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문자 교육의 관점이 두드러지게 강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한국어 자모 교육’의 내용이 ‘국어 자모 교육’과 다를 바가 없이 집필되어 ‘외국어, 혹은 제2언어 교육’으로서 대상 학습자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언어권별 교재마저 해당 언어의 특성이 반영되지 않음으로써 언어적 배경이나 현지 상황을 반영한다는 개발 단계에서의 취지를 찾을 수 없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자음은, 순서상의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모든 교재가 관습적인 자모 제시 순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초등 국어 교육에서의 자모 제시와도 비슷한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1~2학년군 국어 ①-가��는 ‘자음’이 아닌 ‘자음자’, ‘모음’이 아닌 ‘모음자’라는 명칭을 일관성 있게 사용하여 기술되고 있으며, ‘음가’가 아닌 ‘자모의 명칭과 필순’을 익히는 활동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초등 국어 교육에서 자모 교육은 발음으로서의 ‘자음’ 교육이 아닌 낱자로서의 ‘자음자’ 교육에 집중되어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한국어가 모어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국어 교육에서 문자 교육에 치중되는 것은 당연하다. 취학 연령인 만 6세의 아동은 모국어 발달이 완성된 시기여서, 자모 교육의 상황에서는 이미 숙지하고 있는 음가에 낱자를 결합하여 익숙하게 자동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발음이나 음가 교육보다는 한글 낱자의 이름과 모양, 순서를 익히고, 필순에 맞게 글자를 쓰는 활동에 집중될 수밖에 없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1~2학년군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내용 성취 기준’에도 이러한 입장이 잘 드러나 있다. 그러나 한국어 자모 교육은 제2언어, 또는 외국어 교육으로 접근해야 한다. 교육의 목표와 학습자가 확연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자모 제시나 학습 활동, 연습 문제가 동일해야 할 근거는 전혀 없는 것이다. 국어 교육과 마찬가지로 ‘ㄱ, ㄴ, ㄷ … ㅃ, ㅆ, ㅉ’의 순서로 자음을 교육할 경우, 연속되는 자음들 간에 음성적으로 공통 자질보다 변별 자질이 많아 설명이 복잡하고, 이해하기에도 어려움이 많다. 자질이 고려되지 않은 채 자형과 소리를 무의식적으로 연결하고 반복하는 학습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 아동․청소년 한국어 자모 교육 내용에 대한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4장에서는 ‘개선의 원리’와 ‘개선의 실제’의 측면에서 대안적 자모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는 ‘외국어 혹은 제2언어’이므로, 한국어 자모 교육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아 우리말 음운 체계에 익숙하지 않은 학습자에게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이러한 기본적 취지를 기반으로 개선의 원리를 셋으로 제시하였다. 개선의 원리는, 한국어 자모 교육 내용의 집필에 있어서 ‘한국어 교육으로서의 특성’이 드러나고, 언어권별 교재의 경우 ‘제1언어와 한국어의 특성’이 반영되고, 아동․청소년 대상 교재이므로 학습 활동이나 교재 기술에서 ‘연령의 특성’이 드러나게 기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개선의 실제는 ‘자모 및 음절 교육’과 ‘어휘 교육’으로 구분하여 논하였다. ‘자모 및 음절 교육’은 일반 언어학에서의 보편성, 무표성을 기준으로 한국어 음소 체계의 특성을 파악하고, 발음과 학습의 용이성을 기반으로 자모의 제시 순서와 자모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자모 교육의 전반적 흐름은 모음과 자음을 교차 도입하는 방식이지만,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교육은 모음 교육이다. 자음(초성)은 ‘ㅁ, ㄴ, ㄹ → ㅂ, ㅍ, ㅃ → ㄷ, ㅌ, ㄸ → ㄱ, ㅋ, ㄲ → ㅈ, ㅊ, ㅉ → ㅅ, ㅆ → ㅎ’, 모음(중성)은 ‘ㅏ, ㅓ, ㅗ, ㅜ, ㅡ, ㅣ, ㅔ(ㅐ) → ㅑ, ㅕ, ㅛ, ㅠ, ㅢ, ㅖ(ㅒ) → ㅘ, ㅝ, ㅟ, ㅚ, ㅞ, ㅙ’, 받침(종성)은 ‘ㅁ, ㄴ, ㅇ, ㄹ → ㅂ, ㄷ, ㄱ → ㅂ/ㅍ, ㄷ/ㅌ/ㅅ/ㅆ/ㅈ/ㅊ/ㅎ, ㄱ/ㅋ/ㄲ’의 순서로 제시된다. 자음 음가를 제시할 때는 입 모양 사진이나 구강 측면도, 그림 등을 함께 실어 교재를 통하여 쉽게 이해하고, 수업 이후에도 쉽게 재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 모음 음가를 제시할 때 역시 다양한 자료를 사용한다. 입 모양 사진이나 그림, 모음 사각도, 표 등을 활용하여 교재에서 음가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사와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자모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술되어야 한다. 자모 교육 단원에 노출된 어휘는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파악하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하나는 자모의 음가를 숙지하기 위한 읽기 자료로서의 의미, 다른 하나는 학습자의 실제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실질적인 기초 언어로서의 의미이다. 양 측면에서 어휘의 활용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어휘는 다양한 품사를 두루 포함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며, 초급 학습자의 수준에 맞고, 자주 사용되는 것들을 예시 어휘로 선정하여야 한다. 또한 어휘의 노출에 있어서는 단어만을 독립적으로 나열하고, 반복하는 탈맥락적인 제시보다는 단어 수준에서 점차 단순하고 짧은 문장 수준으로 진행시킴으로써 어휘가 활용되는 양상을 보여 주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휘 제시에 있어서 ‘그림’의 역할과 그림 제시에 있어서의 유의점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 학교 문법 용어의 변천과 문법적 해석에 대한 연구

        홍정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학교 문법 용어의 변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현행 학교 문법 용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학교 문법 용어와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역대 문법 교과서의 기술을 통하여 종합적․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교 문법 용어는 문법 교육을 위한 일종의 전문 용어로서 학교 문법의 구조적 체계와 각종 문법 현상에 대한 학교 문법 관점에서의 해석을 내포하며, 문법 교육의 도구이면서 동시에 학습의 대상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학교 문법 용어에 대한 연구는 학교 문법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유용하다. 본고에서는 학교 문법 용어의 변천을 통하여 현행 학교 문법 용어의 계보를 파악하고, 용어에 내포된 문법적 해석의 연원을 밝혀 학교 문법 용어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다양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역사적인 맥락에서 학교 문법 용어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점진적인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논의 전개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학교 문법 용어의 개념을 밝히고, 오랜 기간 논쟁을 거듭한 끝에 정착한 학교 문법 용어 제정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2.1에서는 ‘학교 문법 용어’를 ‘학교 문법에서 다양한 문법 현상을 설명하고 학습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로 정의하고, 학교 문법 용어를 유형화하여 그 특징을 기술하였다. 2.2에서는 학교 문법 용어가 정착되어 온 역사적인 사실들을 각종 사료 및 연구물에 근거하여 자세히 기록하고, 시기별 제정 용어 목록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교 문법 용어를 둘러싼 학자들 간 논쟁과 그것에 얽힌 사회적인 상황을 객관적으로 조망하고, 학교 문법 용어가 정착되어 온 과정을 알아보았다.3장에서는 공인된 문법 용어로서 ‘제정 용어’ 목록의 변화를 거시적‧미시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반영한 교과서를 분석하여 문법 용어 사용의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3.1에서는 시기별 특징을 바탕으로 ‘이원 체계:1949년 제정 용어’, ‘단일 체계: 1963/1987년 제정 용어’, ‘부분 복수 체계: 2002/2011/2015(2017)년 제정 용어’로 체계화하여 그 특징을 기술하였다. 3.2에서는 제정 용어 목록에 제시된 하위 항목 구성의 특징에 따라 ‘1963항목’, ‘2002 항목’으로 나누어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3.3에서는 ‘말소리’, ‘단어’, ‘문장’ 항목에 속하는 제정 용어의 구체적인 변화를 알아보고, 역대 문법 교과서에서의 사용 양상을 살펴 제정 용어와 사용 용어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에서 분석한 제정 용어의 변천과 역대 문법 교과서의 구체적인 용어 사용 양상을 기반으로 도출된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논하되, 제정 용어 목록상 변화가 있는 용어들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4.1은 문법 해석의 변화가 제정 용어의 변화를 가져온 경우로 네 가지 주제를 선정하였는데, 4.1.1에서 ‘이다’ 관련 학교 문법 해석의 변화로 인한 ‘이다’ 지칭 용어의 변화, 4.1.2에서 문법 단위 위계화에 따른 형태소 설정 과정과 문법 용어의 도입, 4.1.3에서 ‘보조어간’의 폐기와 ‘선어말 어미’의 도입에 드러난 문법 해석의 변화, 4.1.4에서 음운 현상 유형화 과정에서의 문법 용어 사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4.2에서는 어떠한 문법 개념이나 현상에 대한 명명 과정에서의 문제, 즉 학교 문법 용어 자체로 인하여 문법 기술에서 혼란이 발생한 세 가지 사례를 분석하되 역시 제정 용어에 한정하여 다루었다. 그리하여 4.2.1에서 ‘울림소리, 안울림소리’, 4.2.2에서 ‘안은문장, 안긴문장’, 4.2.3에서 ‘미지칭, 부정칭’에 대한 역대 문법 교과서의 문법 기술 내용 추이를 바탕으로 학교 문법 용어의 문제를 분석하였다. 살펴본 바와 같이, 이 연구는 역사적인 흐름 안에서 학교 문법 용어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통하여 학교 문법의 구조적 체계를 조망하고, 단절된 하나의 용어가 아닌 다양한 용어 사이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문법 용어의 삭제, 변화, 도입에 내재된 문법적 해석을 도출함으로써 학교 문법 용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 문법 용어사로서 학교 문법 용어와 관련하여 제기되었던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여전히 현재 진행형인 학교 문법 용어 변화의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플라스틱 해양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해양환경 인식 및 생태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홍정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플라스틱 해양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해양환경 인식과 생태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1학년 학생 1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해양환경 인식과 생태적 감수성에 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라스틱 해양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해양환경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프로그램 적용 전과 비교했을 때 프로그램 적용 후 해양환경에 대한 인식, 해양환경에 대한 관심, 해양환경에 대한 태도, 해양환경에 대한 기능, 해양환경에 대한 보전 전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플라스틱 해양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생태적 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프로그램 적용 전과 비교하였을 때 프로그램 적용 후 자연에 대한 관심, 자연에서의 심미적 체험, 정서 안정, 자연에 대한 동정 연민 전 영역에서 학생들의 생태적 감수성이 향상되었다. 셋째, 플라스틱 해양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초등학생들은 높은 흥미도와 행동 변화를 보였다. 학생 면담 분석 결과 프로그램을 시행하기 전보다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후 플라스틱 해양환경 문제에 관심을 많이 가지게 되었으며,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플라스틱 해양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해양환경 인식과 생태적 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