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60년대 김우종 비평의 속성과 그 궤적 변모 양상

        홍래성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0 사이 Vol.28 No.-

        본 논문은 제목처럼 1950~60년대 김우종 비평의 속성과 그 궤적 변모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 논문은 여태껏 김우종에 대한 관심이 충분히 주어지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의 소산으로, 김우종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먼저 김우종의 발자취를 살피고, 다음으로 김우종의 비평적 언설들을 살피는 순서를 밟아나갔다. 일반적으로 김우종은 전후세대 비평가로 분류된다. 그러나, 김우종은 여타의 전후세대 비평가들과 결이 다소 달랐다. 김우종은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발걸음을 옮겨갔다. 처음에는 분석비평에 흥미를 보이더니, 갑자기 고전문학 작품을 재해석하는 데로 역량을 집중시키고, 그 와중에서 비평과 대한 자신의 관점을 표명하는가 하면, 어느샌가 참여문학을 주창하는 데에 온 힘을 쏟아붓는, 다채로운 행보를 보여준 것이다. 이처럼 김우종은 문단 내 어느 계파에도 속하지 않는 ‘아웃사이더 비평가’였다. 한편, 김우종은 비평적 언설들을 통해 비평관, 전통론, 참여문학과 관련한 자신의 견해를 드러내었다. 김우종은 비평을 자기 갱신의 수단으로 여겼는데, 이는 상당히 독특한 인식이 아닐 수 없다. 또한, 김우종은 당시의 논란거리였던 전통에 대한 가치 평가의 문제에도 상당 시간 동안 몰두했는데, 그 끝에 부정적 극복론에서 긍정적 계승론으로 입장을 옮겨갔음이 확인된다. 더하여, 김우종은 이른 시기부터 참여문학을 주창하며 기존 문학의 쇄신을 요구하고 나섰던바, 이와 관련해서는 선구적인 입지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reviewed the features and changes of criticism of Kim Woo-jong in the 1950s and 1960s. This paper stems from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not enough attention was given to Kim. In order to understand Kim in detail, this paper examined the path of Kim’s activities, and then proceeded to review Kim’s criticism. In general, Kim is classified as a post-war critic. However, he is different from other post-war critics. Kim moved according to his interests. At first, he showed interest in analytical criticism. Next, he focused on reinterpreting classical literature. In addition, he expressed his view of criticism. Furthermore, he advocated participative literature. As such, he performed a variety of literary activities. Kim was an ‘outsider critic’ who does not belong to any sect in the literary circles. Meanwhile, Kim revealed his thoughts on criticism, his thoughts on tradition, and his thoughts on participative literature. Kim regarded criticism as a means of self-renewal, a unique perception. Also, Kim was very interested in the issue of tradition. As a result, his position has changed from a negative view of tradition to a positive view of tradition. Finally, Kim advocated participative literature from the previous period and demanded a renewal of existing literature. Therefore, he was a pioneer in this field.

      • KCI등재

        전후세대 지식인의 눈에 비친 ‘현대(세대)–한국(인)–서양’-이어령의 『경향신문』 연재 에세이 「오늘을 사는 세대」,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바람이 불어오는 곳」을 대상으로

        홍래성 구보학회 2022 구보학보 Vol.- No.30

        This stud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Lee O-young’s essay, “Generation living today”, “In this Earth & in that Wind” and “Place where the Wind Blows”, published in The Kyunghyang Newspaper from 1963 to 1964. “Generation living today” depicts the postwar generation in the West and Postwar generation in Korea. Among the Two, more attention is being paid to the postwar generation of Korea. This is because it can be seen that Lee O-young wanted to reconfirm his position. “In this Earth & in that Wind” is an attempt to properly understand Korean through comparison and contrast with the West. Until now, it has been criticized mainly for internalized orientalism and arbitrary methodologies. However, it can be fully valued in two aspects. One is that it has received great response from readers, and the other is that it foretells the thought of ‘two and one’ and ‘both’.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In this Earth & in that Wind” wa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modernization. “Place where the Wind Blows” is a story of Lee O-young’s western travels. This text was written with the intention of objectively understanding the West. Unfortunately, that intention has not been properly achieved. However, it is meaningful to captu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each country of the West and use them as Korea's growth engine. 본 연구는 이어령이 1963-1964년 동안 『경향신문』에 연재한 「오늘을 사는 세대」,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바람이 불어오는 곳」을 대상으로 이의 성격과 특성을 밝히고자 했다. 그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오늘을 사는 세대」는 서양의 전후세대와 한국의 전후세대를 다룬 글이다. 이 중에서는 한국의 전후세대와 관련된 부분이 상대적으로 더 주목된다. 이어령이 자기 위치를 재확인하고자 의도했음을 포착할 수 있는 까닭이다. 「흙 속에 저 바람 속에」는 서양과의 비교·대조를 통해 한국을 제대로 이해해보고자 한 시도이다. 여태까지는 주로 내면화된 오리엔탈리즘, 자의적인 방법론 등으로 말미암아 비판을 받아왔다. 하지만, 독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는 점 및 후일 발현될 ‘둘이면서 하나’, ‘둘 다’라는 사유를 예고한다는 점 등을 보면 충분히 가치를 인정받을 만하다. 문화적 근대화의 입장에서 쓰여졌다는 사실과 이후의 한국(문화)론과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도 챙겨둘 필요가 있다. 「바람이 불어오는 곳」은 이어령의 서양 여행기이다. 객관적으로 서양을 이해해보고자 한다는 의도를 품었으되, 그러한 의도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는 약점을 가진다. 하지만, 서양의 각 나라에서 개개의 특징을 포착해내어 이를 한국의 성장 동력으로 삼고자 한 의도만큼은 충분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推理小說 쓰기의 摸索과 展開 - 김내성의 內面意識과 當代 文壇의 情況, 그리고 代表作 『魔人』에 注目하여 -

        홍래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3

        Through this paper, I wanted to trace Kim Rae-seong’s mystery novel, was trying to the focuses on two aspects. First, Kim Rae-seong wanted to get recognized from literary circles by he’s mystery novels. Second, Kim Rae-seong’s mystery novel well-received by populace(even so, Kim Rae-seong’s mystery novel has been neglected from literary circles). The one is named “desire of artistry certification”, the other it will be able to naming a “success to the achievement of popularity”. In this paper, I took somewhat comprehensive perspective. I discussed whether successful or not of the first one. And I tried to find out requisites for success of the second one.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one, I discussed mainly signifier of “mystery novelist Kim Rae-seong” and art idea of Kim Rae-seong. In relation to that of the second one, I discussed mainly Kim Rae-seong’s major work Ma-In. Through this work, I believe that exploring and deployment process of the Kim Rae-seong’s mystery story has been solved. 본 논문은 金來成을 대상으로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진행했다. 하나는 金來成이 推理小說을 통해 文壇으로부터의 인정을 획득하고자 했다는 사실이다. 다른 하나는 金來成의 推理小說이 文壇으로부터는 아닐지언정, 대중에게는 큰 호응을 받았다는 사실이다. 전자를 ‘예술성 인정에의 욕망’이라 명명하고, 후자를 ‘대중성 확보에의 성공’이라 명명할 수 있겠거니와 본 논문은 다소 포괄적인 관점에서, 이 두 가지 측면 모두를 살피는 식으로 전자에 대해서는 그것의 성패 여부를, 후자에 대해서는 그것의 성공 요인을 각각 탐색해본 것이다. 전자의 경우는 金來成의 예술성 관념 및 ‘推理小說家 金來成’이라는 기표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했고, 후자의 경우는 金來成의 代表作인 『魔人』을 주된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논의를 진행했다. 이러한 두 가지 측면에서의 논의를 통해 金來成이 밟아나간 ‘推理小說 쓰기의 摸索과 展開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었다.

      • KCI등재

        전후세대 비평(가)의 독특한 한 유형 — 고석규 비평의 형성 과정 및 성격, 특질에 관하여

        홍래성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80 No.-

        본 논문은 전후 세대 비평가로서 하나의 독특한 유형을 보여준 고석규를 주 목했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고석규 비평의 형성 과정부터 성격, 특질까지를 두루 살펴보고자 했다. 2장에서는 고석규가 비평 쓰기로 나아가기 전 단계를 다루었다. 고석규가 남한으로 내려온 과정을 살펴보고, 고석규의 일기, 시 쓰기 가 지닌 특징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고석규 비평의 원형질을 주목했다. 3장 1절에서는 초극(超劇) 을 바라보는 관점 설정 문제를 다루었다. 고석규의 세계 인식-세계 대응의 산물이 바로 초극 이라는 사실을 서술했다. 3장 2절에서 는 초극 에 수록된 글들을 분석했다. 특히, 「餘白의 存在性」을 꼼꼼히 살펴보 았다. 「餘白의 存在性」은 ‘있는 것(물상)’과 ‘없는 것(여백(심연))’의 동시 공존 이, 곧, ‘역설’이 주요하게 설명된 글임을 서술했다. 이러한 ‘역설’은 고석규 비 평 전체를 떠받치는 지반이었다. 4장에서는 고석규의 시(인)론을 다루었다. 4 장 1절에서는 ‘변용’을 주목했다. 「現代詩의 深淵」을 대상으로 삼아서 살펴보 았는데, ‘변용’은 ‘역설’과 아우러지는 것으로, 고석규 비평 전체를 떠받치는 또 하나의 지반이었다. 4장 2절에서는 「詩人의 逆說」을 대상으로 여기서 제시된 네 명의 시인(김소월, 이육사, 이상, 윤동주)이 어떻게 설명되고 있는지를 살펴 보았다. 고석규가 보기에 네 명의 시인은 모두 ‘역설’을 펼쳤으되 저마다의 한 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고석규는 네 명의 시인이 일제 강점기를 극복하 고자 자신의 사유를 펼쳤다는 점에서 충분한 의의를 지닌다고 보았다. This paper is aimed at Ko Seokkyu, a post-war generation critic. Specifically,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Ko Seokkyu′s critique. Chapter 2 deals with the steps before writing his critique. We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Seokkyu came to South Korea as well as the text of his diary and poems. Chapter 3 deals with the uniqueness of Seokkyu′s critique. First, we describe the view of ChoKeuk. ChoKeuk is revealed that the result of Seokkyu′s world recognition and world response. Next, we look at the text in ChoKeuk, in particular, the Existence of Margins. The Existence of Margins is a statement that claims the simultaneous existence of “something” and ”nothing.” The concept of a ”paradox” was the main part of this statement. Chapter 4 is about Seokkyu′s poetics. Here, we first examine the concept of “metamorphose” presented in the Abyss of Modern Poetry. Next, we look at the Poet’s Paradox. The Poet’s Paradox is based on the concept of “paradox” and “metamorphose”. The Poet’s Paradox is a discussion of four poets(Kim Sowol, Lee Yuksa, Lee Sang, and Yoon Dong-joo). Seokkyu thought that four poets had limitations; however, Seokkyu thought that four poets had sufficient significance in that they tried to overcome Japanese occupation.

      • KCI등재

        일본이라는 아포리아와 마주하기- 『축소지향의 일본인』, 그리고, 그 앞뒤에 놓인 것들

        홍래성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121 No.-

        This paper attempted to understand Small is Better in detail. It analyzed the book by referring to the achievements of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Lee O-young’s 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the publication of Small is Better was examined. Before reviewing Small is Better, we looked at Lee’s attitude toward Japan, because we wanted to know the background in which Small is Better was created and to effectively guess his moves after the book. Lee did not write much about Japan, but several of his writings showed that he was ambivalent toward Japan. As a next step, this paper specifically reviewed Small is Better. Lee said he wrote the book to prove himself andKorea to the Japanese. This behavior by Lee is interpreted as an intention to overcome his ambivalence toward Japan. Small is Better was analyzed in detail with three questions. First, why did Lee write in Japanese? Second, howdid he get the idea of “reduction”? Third, what was the way Lee actually described it? With these questions, this paper was able to understand Lee’s though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language, how he acquired the keyword “reduction,” the power of his intuition and rhetoric, and howhe felt about Japan. 본 논문은 『축소지향의 일본인』을 폭넓게 이해하려는 의도로 쓰여졌다. 본 논문은 선행 연구들의 성과에 기대는 가운데서 『축소지향의 일본인』에 대한 분석을 수행했거니와, 이와 함께 『축소지향의 일본인』을 앞뒤로 한 이어령의 내면 풍경까지를 추적해보았다. 우선, 본 논문은 『축소지향의 일본인』을 본격적으로 다루기에 앞서서 이어령이 일본에 대해 어떤 태도를 지니고 있었는지를 확인해보았다. 이는 『축소지향의 일본인』이 탄생한 배경을 가늠하는 한편, 『축소지향의 일본인』 이후의 궤적, 방향을 가늠하기 위함이었다. 이어령에게서 일본 관련 언설은 잘 찾아지지는 않았으나, 몇 가지를 통해서나마 이어령에게서 일본에 대한 양가성의 감정을 포착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본 논문은 『축소지향의 일본인』을 상세히 검토했다. 이어령은 일본 사람들에게 나를, 한국(인)을 증명해 보이기 위해서 『축소지향의 일본인』을 쓰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일본에 대한 양가성의 감정을 극복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축소지향의 일본인』에게 구체적으로 접근하는 과정에서는 왜 일본어로 집필했는지, 어떻게 ‘축소’라는 착상을 얻었는지, 그리고, 실제 서술 양상은 어떠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이를 통해 문화와 언어 간의 관계에 관한 생각, ‘축소’라는 핵심 열쇠를 획득하게 된 경위, 직관과 수사의 힘, 일본을 향한 속내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지성과 영성 그 문지방 사이에서: 이어령의 기독교적 메시지 좇아 읽기

        홍래성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23 문학과종교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process of Lee O-young’s entry into Christianity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his Christian message. In 2007, Lee was baptized, and this transition from intellectualism to spirituality has attracted attention. For Lee, Christianity provided an opportunity to either embrace or expand his existing frame of thought. First of all, Christianity was viewed as a world religion and also as a suitable religion for Koreans. In addition, Christianity played a major role in igniting The Vita Capitalism. Christianity influenced Lee not only at the cognitive level, but also at the practical level. Through the Bible and novels, he emphasized the pursuit of eternal values. He also believed that the Christian community must pursue such eternal values. 본 논문은 이어령이 기독교로 입교하기까지의 과정을 상세히 추적하는 한편, 이어령의 기독교적 메시지가 지닌 의미와 특징을 전반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2007년에 이어령은 세례를 받는다. 여태껏 지성의 길을 밟아온 이가 이제 영성의 길을 좇기로 했다는 사실은 여러모로 주목받았다. 그렇지만, 이와 관련한 면모, 양상을 구체적으로 검토한 사례는 잘 찾아지지 않는다. 여기에 본 논문의 문제의식이 두어진다. 이어령의 회심은 분명 결절점에 해당하는 사건인바, 충분한 조명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어령에게 기독교는 기존의 사고틀로 포섭되어 이해되거나, 혹은, 기존의 사고틀이 확장되는 계기로 작용했다. 우선, 기독교가 세계적인 종교이면서도 한국(인)에게 적합한 종교라는 관점이 그러했다. 또한, 기독교가 말년의 대표적인 사유인 생명자본주의의 발화에 크게 이바지했다는 관점이 그러했다. 인식적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실제적인 차원에서도 기독교는 영향을 끼쳤는데, 성경과 소설을 통해 세속적인 욕망을 넘어서서 영원한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그러했고, 또, 이를 위해서는 교회로 대표되는 기독교 공동체가 자정의 움직임을 보여야 한다는 주장이 그러했다. 이렇듯 이어령에게 기독교가 미친 영향은 적지 않았다. 본 논문은 이어령의 언설을 최대한 폭넓게 살피는 방식을 취해 전체적인 상을 그리는 데에 일단 주력했으되, 차후 다양한 관점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리터러시에 관한 시론적 탐색 ― ChatGPT, 글쓰기 능력, 대학 글쓰기 교육 등에 초점을 맞추어

        홍래성,윤정안 한국비평문학회 2023 批評文學 Vol.- No.89

        이 글은 인공지능 시대의 리터러시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때 효과적인 논의를 위해 범위를 한정했다. AI와 관련해서는 ChatGPT로만, 리터러시와 관련해서는 [읽다—기존 정보(지식)의 수용]에서 [쓰다—새로운 정보(지식)의 창조]까지 이어지는 능력, 곧 글쓰기 능력으로만 초점을 맞춘 것이다. 2장에서는 ChatGPT의 경과와 현황을 살펴보았다. 하이프 사이클에 비추어볼 때, ChatGPT가 놓인 위치는 유행기이거나, 혹은 유행기에서 환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라고 여겨진다. ChatGPT를 하나의 특이점으로 간주하는 견해와 ChatGPT를 헛소리 생성기로 취급하는 견해가 동시 공존한다는 사실은 이를 방증한다. 다만 앞으로 ChatGPT를 도외시하는 삶은 어려우리라는 예측 및 그러므로 ChatGPT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중요시되리라는 예측에 대해서는 어느 쪽이든 수긍하는 면모를 보여주는바, ChatGPT가 불러일으킬 변화를 미리 준비하는 자세를 취할 필요가 있다. 특히 ChatGPT는 글쓰기에 대해 강력한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기에 이를 둘러싼 고민이 긴요하다. 3장에서는 ChatGPT를 통한 글쓰기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우선 ChatGPT를 통한 글쓰기를 부정하는 견해와 ChatGPT를 통한 글쓰기를 긍정하는 견해를 검토했다. 상반된 두 개의 견해는 제각기 설득력 있게 논의를 펼치고 있다. 그러나 여러모로 의문이 드는 대목도 적지 않다. 과연 글쓰기는 인간의 실존에까지 연결되는 것인가, 과연 글쓰기를 인간이 더 이상 할 필요가 없게 될 것인가. 여기까지에 이르면 쉽사리 동의하기가 어려워진다. 앞으로의 글쓰기 과정에서는 ChatGPT를 일절 배제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그렇다고 ChatGPT에게 모든 걸 위임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이란 ChatGPT로부터 도움을 받는다고 할지언정 글에 대한 최종 판단은 인간이 내려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당연히 ChatGPT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기술을 습득해야 하되, 보다 근본적으로 보아 [읽다—기존 정보(지식)의 수용] 및 [쓰다—새로운 정보(지식)의 창조]의 역량을 그 자체로 함양할 필요가 있다. 4장에서는 서평 쓰기 방안을 소개했다. [읽다—기존 정보(지식)의 수용] 및 [쓰다—새로운 정보(지식)의 창조]의 역량을 그 자체로 기르고 닦는 데 있어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방안이자 효과적이라고 인정받는 방안이 곧 서평 쓰기인 까닭이다. 도서 소개형 서평, 논증 심화형 서평, 사고 발산형 서평으로 단계를 구분하여 진행하는 과정을 제시했거니와, 실제 학생들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This article aimed to examine literacy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article limited its scope for effective discussion. It focused solely on ChatGPT in relation to AI, and it centered on the ability to write, which extends from [reading (the reception of existing information or knowledge)] to [writing (the creation of new information or knowledge)] in relation to literacy. In Chapter 2, This article examined the progress and current status of ChatGPT. When viewed in the context of the Hype Cycle, ChatGPT's position is considered to be during a ‘Peak of Inflated Expectations’ or a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Peak of Inflated Expectations’ to the ‘Trough of Disillusionment’ period. This is evidenced by the coexistence of the perspective that regards ChatGPT as a singularity and the perspective that treats ChatGPT as merely a nonsense generator. However, it is predicted that it will be difficult to live without ChatGPT in the future, an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epare for the changes ChatGPT will bring, regardless of which prediction one agrees with. Especially considering that ChatGPT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writing, it is crucial to engage in discussions surrounding it. Chapter 3 delves into how we should perceive writing through ChatGPT. First, This article examined the perspectives that endorse and oppose writing through ChatGPT. These two contrasting viewpoints present convincing arguments in their own right. However, there are also several aspects that raise questions. Is writing truly connected to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or will it become something humans no longer need to do. Once we reach this point, it becomes challenging to readily agree. In the future of writing, it will likely be impossible to entirely exclude ChatGPT. However, it will also be impossible to fully delegate it.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fact is that, even when receiving assistance from ChatGPT, the final judgment regarding writing must be made by humans.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capacity for [reading (the reception of existing information or knowledge)] and [writing (the creation of new information or knowledge)]. In Chapter 4, This article introduced strategy to writing book reviews. Writing book reviews is generally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ans of cultivating the capacity for [reading (the reception of existing information or knowledge)] and [writing (the creation of new information or knowledge)]. This article outlined a process that differentiates between book introduction-type reviews, argumentative in-depth reviews, and thought-provoking reviews, while also providing specific examples from actual students.

      • KCI등재

        디지로그, 생명자본주의, 새로 쓰는 한국문화론의 행방에 대하여

        홍래성 이화어문학회 2022 이화어문논집 Vol.57 No.-

        이 글은 이어령의 후기 사유에 해당하는 『디지로그』(2006)와 『생명이 자본이다』(2014)를 대상으로 그 성격과 특질이 어떠한지를 석명해보고자 한 시도이다. 우선, 『디지로그와 『생명이 자본이다』를 살피기에 앞서 직접적인 연관성을 지닌다고 판단되는 두 편의 글을 검토하며 전반적인 맥락을 파악해보았다. 이를 통해 ‘쌍방향성’, ‘상대적 관계’, ‘둘 다’라는 개념이 차후 이어령의 언설에서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원형질로 삼아질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 다음, 『디지로그』와 『생명이 자본이다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으로 나아갔다. 『디지로그』는 제목처럼 디지털과 아날로그 간의 결합을 모색하는 글이되, 실제로는 디지털이 마냥 강조되는 분위기에서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아날로그가 가진 중요성을 환기하려는 의도 및 곧 도래할(혹은, 이미 도래한) 정보시대에서 한국인이 문화적으로 얼마나 적합한지를 밝히려는 의도를 담아낸 글이라고 파악된다. 한편, 『생명이 자본이다』는 기존의 자본주의가 한계에 이르렀다는 판단 아래, 새로운 형태의 자본주의를 제창해보려는 거대한 포부를 보여준다. 더하여, 『생명이 자본이다』는 『디지로그』와 동일한 의도를 품고 있던 바, 마찬가지로 생명자본주의를 실현하는 데 있어 한국인이 문화적으로 얼마나 적합한지에 관한 서술을 문면의 이곳저곳에서 드러낸다. 생명과 자본주의를 연결 지으려는 시도는 일종의 패러다임을 뒤집으려는 행위로써 충분히 경청할 만하되, 아직은 더 구체화하여야 할 부분이 많은 듯 여겨진다. 기실, 『디지로그』와 『생명이 자본이다』는 서언·선언의 기획에 해당한다. 그렇기에, 불투명하다거나 추상적이라는 느낌을 주는 대목이 없지 않다. 다만, 생의 끝자락에서 출간된 『너 어디에서 왔니』(2020)와 사후에 출간된 『너 누구니』 (2022), 『너 어떻게 살래』(2022),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예정인 그 후속작들을 통해서 이어령의 목소리가 좀더 선명해지리라는 기대를 품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igilog(2006) and The Vita Capitalism(2014). Before examining Digilog and The Vita Capitalism, I read the two texts to grasp their overall context. This confirmed that the concepts of “interactive”, “relative relationship”, and “both” play and important role in Lee O-young’s writings on the future. Then, I analyzed Digilog and The Vita Capitalism. As the title suggests, Digilog is a text that seeks convergence between digital and analog. However, in reality, it is intended to emphasize analog, opposing the atmosphere that emphasizes digital. It also has the intention of emphasizing the suitability of Korean culture to the information age. The Vita Capitalism contains the huge ambition of proposing a new form of capitalism, under the judgment that existing capitalism has reached its limit. The attempt to link life and capitalism is a paradigm-shifting act. However, there are many elements that need to be more specific. In fact, Digilog and The Vita Capitalism correspond to the introduction or declaration of a larger project, meaning that they often feel opaque or abstract. However, it can be expected that Lee O-young’s voice will become clearer through his works in his later years and works that have not yet been published.

      • KCI등재

        반(反)자본주의를 위한 사랑의 형상화 : 김유정론

        홍래성 ( Hong Rae-seong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6 No.-

        김유정은 「病床의 생각」에서 `사랑`의 중요성을 역설(力說)한다. 그런데 「病床의 생각」의 말미에는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相互扶助論)”이란 문구와 더불어, 그 옆에 나란히 “맑스의 자본론(資本論)”이란 문구가 기술되어 있다. 언뜻 서로 연결될 수 없는 두 개의 문구이다. 본 논문은 우선 여기에 의문을 품고서 김유정에게는 두 개의 문구가 어찌하여 병립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두 개의 문구 간의 연결고리는 김유정이 지니고 있던 반(反)자본주의적 시선에서 연유함을 확인했다. 이어서, 본 논문은 김유정이 반(反)자본주의적 시선을 바탕 삼아 추구했던 `사랑`에 대해, 그것의 성질을 유추해보았다. 끝으로 본 논문은 김유정의 작품에서는 이와 같은 `사랑`이 어떤 식으로 반영, 투영되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Kim Yujeong emphasized importance of `love` in the Byung-sang- ei-saeng-gak. In the finale of this text, "Kropotkin`s Mutualism" and “Marx`s Kapital” are presented together. However, this two phrases can`t be connected ordinarily. I wondered this point, so I looked for how Kim Yujeong used “Korotkin`s Mutualism” and “Marx`s Kapital” together. In this paper, I verified that the connection of two phrases was based on Kim Yujeong`s “Critical gaze towards capitalism”. Continually, I inferred charcater of `love` that Kim Yujeong pursued based on his anti-capitalist aspect in this paper. Lastly, I checked how Kim Yujeong reflected such `love` in his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