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학급 학부모의 만족도

        홍경숙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would get from integrated education. The specific aims of the study was to grasp the followings: the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integrated education according to academic level; the degrees of satisfaction that parents with children in integrated class and patents with children in special class get from integrated education; the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integrated class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their background; the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integrated education according to children's individual fa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satisfaction parents with children in special class get from integrated education according to academic level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parent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satisfaction in all the items including 「the overall management of integrated education」,「the satisfaction with the integrated education carried out in general class or special class」 and「the effect of integrated class」. Second, the difference in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integrated education offered in integrated class and special class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parents showed far more satisfaction with 'special class' than with 'integrated class' in most of the items. Third,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integrated education according to variables of their background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compared with fathers, mothers displaye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and parents aged between 31 and 40 showed more satisfaction than parents in other age groups. Fourth, as for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integrated class according children's individual factors, parents showe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as children studied fewer years in integrated class. Parents with children who were studying in integrated class for 'seven years or more' showed the lowest degree of satisfaction.

      • 대장암 세포에서 상피세포성장인자 자극 하 Rab25에 의한 인테그린 베타 1의 수송에 대한 연구

        홍경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and Objectives : Integrin family is heterodimeric transmembrane protein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cell proliferation or motility by combining with extracellular matrix protein or cytoskelton. Integrin does not only conduct the extracellular signal in cell, but also affects to extracellular environment with intracellular reactions. It is critical in carcinogenesis and, especially, the overexpression of integrin in variable solid cancers was already reported by several studies. Production and migration of integrin is well known and it is unique that total amount of integrin rarely changed through the recycling of integrins between plasma membrane and cytosol. The process of cell adherent was controlled by these mechanism, called ‘trafficking’. In this study, changes of integrin were observed after stimul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which was known to be related with progression of colon cancer, then the role of integrin in progression of colon cancer was tried to be investigate in that course. Subjects and Methods : Integrin β1, which is identified by previous study to increase in colon cancer patients, was chosen as the subject of study. HCT116 cells, which were human colon cancer cells, were used and successively cultured. After exposure to EGF, MTT assay was performed to grasp the concentration and the time that the proliferation of HCT116 cells was maximized, then the cells were harvested and fractionated to parts of membrane and cystosol. By Western blot, the level of integrin β1 in cytosol and membrane was measured. To identify the changes in small portion of integrin β1 which was shedded out to extracellular space, the media was also harvested and the level of integrin β1 was measured by ELISA. Rab25, which plays the important role in transport of integrin proteins was knocked down using siRNA transfection as usual maneuver, the changes of the level of integrin β1 was observed and the differences in cell fractionations were analyzed. Results : Total level of integrin β1 was increased with longer exposure-time to EGF and higher concentration of EGF. The level of integrin β1 and Rab25 was measured after exposure to 100 ng/mL of EGF, integrin β1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exposure-time until 16 hours and Rab25 was also increased according to the exporesure-time. When HCT116 cells were exposed to EGF after 24 hours, integrin β1 was decreased. The alteration in the distribution of integrin β1 was examined. The level of integrin β1 showed no changes in cytosol, however, it tended to decrease in membrane(0 hour 3.006, after 24 hours 2.980, after 48 hours 1.619, p = 0.013). After over 24 hours from the exposure to EGF, the media was collected and the integrin β1 was measured. The level of integrin β1 in media was increased from 0.451 ng/mL to 0.616 ng/mL. After knock-down of Rab25, total level of integrin β1 was decreased from 6.675 to 3.337 (p = 0.003). Integrin β1 was rarely detected in cytosol and it was increased in membrane from 3.030 to 4.495 (p = 0.001). Overall, in HCT116 cells, the level of integrin β1 was increased and the level of integrin β1 in membrane, which was decreased with longer exposure-time to EGF, tended to increase after knock-down of Rab25 (p < 0.05). Conclusions : In colon cancer cell, integrin β1 multiplied by the stimulation of EGF, was shedded from membrane to extracellular space. This process was controlled by Rab25, which was related to the trafficking of integrin β1. It is assumed that the alterations in trafficking of integrin β1 induced to change the distribution of that. If further studies and close reviews about this process will help to understand the role of integrin β1 in the progression and metastasis of colon cancer. 연구 배경 및 목적: 인테그린(integrin)은 이형이량체 막관통 단백으로 세포외기질 단백이나 세포골격 등과 결합하여 세포부착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용체이다. 단순히 세포 외 신호를 세포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세포 내의 변화에 따라 세포 외로 그 영향을 전달하기도 하여 암화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미 몇몇 고형암에서의 과발현이 보고되어 있다. 인테그린의 생성과 이동은 여러 연구를 통하여 잘 알려져 있는데 특이하게 세포막과 세포질 사이에서 재활용되어 전체 양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 상태에서 세포부착과정을 조절하며 이 과정을 세포내수송(trafficking)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대장암의 진행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 상피세포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의 자극에 따라 인테그린의 발현의 변화를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세포내수송 과정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여 대장암의 진행과정에서 인테그린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기존의 연구에서 대장암 환자에서 증가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 인테그린 베타 1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 세포를 통상의 방법으로 계대배양하였다. 이를 EGF에 노출시킨 후 가장 증식이 많이 증가하는 농도와 시점을 파악하기 위해 MTT assay를 시행한 후 시간에 맞추어 채취하여(harvest) 세포막과 세포질 부분으로 단백질을 분획추출하였다. 각각의 인테그린 베타 1의 양은 웨스턴블로트법으로 확인하였다. 세포 외로 분리되는 소량의 인테그린 베타 1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백질 분리를 위해 세포 채취 시 배양액을 수거하여 효소면역측정법(ELISA)으로 확인하였다. 인테그린 단백의 세포내 수송에 주 역할을 하는 Rab25를 통상의 방법으로 siRNA 형질주입법(transfection)을 사용하여 억제(knockdown) 시킨 후 인테그린 베타 1의 변화를 관찰하고 그 차이를 세포분획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테그린 베타 1의 총량은 EGF에 노출된 시간이 길수록, 그리고 EGF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100 ng/mL의 EGF에 노출된 시간에 따라 인테그린 베타 1과 Rab25의 총 양을 측정하여 보면, 인테그린 베타 1은 노출 시간에 비례하여 16시간 째까지 증가하였으며 Rab25 역시 노출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HCT116 세포가 EGF에 노출되고 24시간이 지난 이후부터는 인테그린 베타 1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GF 노출 시간에 따른 인테그린 베타 1의 분포 변화를 알아보았을 때, 세포질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던 반면 세포막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0시간 3.006, 24시간 2.980, 48시간 1.619, p = 0.013). EGF에 노출된 후 24시간 이상이 지난 시점에서 배지를 수거하여 인테그린 베타 1을 측정하였을 때, 배지의 인테그린 베타 1이 0.451 ng/mL에서 0.616 ng/mL로 증가하였다. Rab25를 억제시킨 후, 인테그린 베타 1의 총 양이 6.675에서 3.337로 감소하였는데(p = 0.003), 이 때 세포질에서는 인테그린 베타 1이 거의 탐지되지 않았고 세포막의 인테그린 베타 1의 양은 3.030에서 4.495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 = 0.001). 종합적으로, HCT116 세포에서 EGF 노출에 따라 인테그린 베타 1의 양은 증가하였으며, 세포막에서 EGF 노출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던 인테그린 베타 1이 Rab25를 억제한 후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 < 0.05). 결론: 대장암 세포에서 인테그린 베타 1은 EGF의 자극을 받아 발현이 증가하고, 세포막으로부터 세포 외 공간으로 탈락(shedding)된다. 이 과정은 인테그린의 세포내 수송에 관련되어 있는 Rab25에 의해 변화되는 것으로 세포내 수송과정의 변화로 인테그린 베타 1의 변화가 유도되는 것으로 추측되며 이 과정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연구로 대장암의 전이과정과 진행에 대한 인테그린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노래를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의 운율 지도 방안 연구

        홍경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음성언어를 통한 의사소통능력 향상이 영어교육의 목표가 되면서 이해가능 한 발음의 습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언어 습득에 대한 많은 연구 결과들은 발음 학습에서 어린이가 성인보다 더 훌륭히 그리고 쉽게 모델 발음을 흉내 내고 배울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것은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발음 학습을 강조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은 발음 학습과 관련한 시기적 적절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 주 1∼2시간의 영어학습시간으로는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학습 시기와 연계한 학습효과를 고려할 때, 초등학교에서의 발음 교육은 충실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해가능 한 발음의 습득은 듣기 능력과도 연계되어 있어, 발음 지도는 음성언어로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발음지도 자료로서 노래를 선택하였다. 노래는 학습자들이 좋아하며, 오래 기억되고, 언제 어디서나 반복할 수 있어 부족한 발음 학습 시간을 보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노래에는 영어의 언어적 특성이 반영되어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1)노래가 발음학습, 특히 초분절음을 중심으로 한 운율 습득에 왜 효과적인가를 규명하며, 2)영어 교육과정과 연계한 발음지도 교수요목을 작성하고, 3)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노래 선정의 기준을 설정한 후 4)현장에 노래를 적용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여 노래를 활용한 영어의 운율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크게 분석연구와 적용연구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분석연구에서는 노래가 초분절음 중심의 운율 학습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규명하기 위해 단가, 팝송, 가곡, 찬송가 등 200곡의 노래를 대상으로 노랫말의 억양, 강세, 리듬, 재분절과 재구조화가 노래의 악식에 어떻게 반영되어있는지 분석하였다. 적용 연구를 위해서는 발음 학습에 사용할 단가 96곡을 선정하고, 언어적 요소, 음악적 요소, 학습 용이성을 기준으로 선정된 노래의 복잡도를 산출하고, 영어 교육과정의 각 단원에서 학습해야 할 발음 요소와 복잡도를 고려하여 각 단원에 2곡씩 배정하였다. 노래는 3∼6학년 각 2학급씩 8개의 실험반에 4개월 동안 적용하였다. 영어 운율 지도를 위한 노래의 활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듣기 평가와 발음 평가를 실시하여 실험반과 비교반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발음평가에서는 억양을 위해서 피치를, 낱말 강세와 문장강세를 위해서는 에너지를 분석한 후 원어민의 발음과 비교하였다. 노래에 담겨진 운율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억양을 바르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의미군 단위로 끊어 발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래에서는 동기나 악절의 끝에 쉼표나 긴 음표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의미군의 경계를 나타내는 휴지나 말음 장음화 현상과 관련이 있다. 또, 음악의 화성적 마침이나 노래 학습의 방법 등이 의미군을 한 단락으로 부를 수 있도록 해준다. 분석연구의 결과는 노래가 비록 억양 곡선을 나타낼 수는 없지만, 억양을 지도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노래의 강/약박과 내용어/기능어의 일치 여부를 살펴보기 위해 노래의 각 박에 놓인 어휘를 내용어와 기능어로 나누었다. 200곡에 대한 분석 결과, 강/중강박과 내용어의 일치율은 각각 86.61%와 78.05%였으며, 약박과 기능어의 일치율은 전체적으로 50.83%로 나타났다. 불일치의 이유를 분석한 결과, ①리듬조절을 위해, ②강세에 의한 길이조절, ③구경계에 놓여서, ④ 비교나 강조의 경우 등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강세음절은 약세음절보다 상대적으로 긴 음표로 나타내는 방법을 통해 노래가 영어의 리듬을 반영하고 있었다. 그 밖에 한국어와 영어의 음절구조의 차이로 인해 야기되는 재분절 현상은 한 음절에 하나의 음표만 할당되는 특징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오류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노래의 마디나 동기, 악절이 기능어나 리듬, 다음절어의 재구조화를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연구의 결과는 노래가 초분절음 중심의 운율 지도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자료임을 나타내고 있다. 노래를 활용한 발음지도 후 듣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3, 4학년 어린이들은 사후 듣기 평가에서 실험반의 평균점수가 비교반보다 높았으며,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노래 학습이 듣기 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5, 6학년의 평균점수는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도는 낮아, 노래 학습이 고학년보다 저학년의 듣기 능력 향상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음 평가에서는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억양, 낱말 강세, 문장 강세 모두에서 비교반보다 원어민의 발음에 더 가까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다만 학년별 차이가 있어, 3학년의 일치율이 가장 높았고, 5학년의 경우는 억양과 문장 강세 모두 낮았다. 5학년은 두 개의 실험반이 모두 교과전담 교사가 지도한 학급으로서, 주 2회의 영어 학습 시간만 허용되어있으므로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시간이 제한적인 상황에 있다. 이 결과는 노래를 많이 배우는 것보다는 반복하여 부르는 것이 더욱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노래가 영어의 초분절음 중심의 운율 지도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적용의 결과, 고학년보다는 저학년에 집중적으로 노래가 투입되어야 하며, 노래 부르는 기회를 가능한 많이 주는 것이 발음교육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교육을 위한 노래를 선정하거나 작사 또는 작곡할 경우에 노래의 악식에 영어의 강세, 리듬, 억양과 같은 운율적 특성이 바르게 반영되어 있는 노래를 선정 또는 작곡/작사하는 기준을 수립하고자 하였으며, 학습의 난이도와 관련한 노래의 복잡도를 산출하여 학습자의 수준과 교수요목에 적합한 노래를 선정하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발음 학습은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장기간에 걸쳐 지도할 수 있도록 언어 습득과 어린이의 발달 수준을 연계한 발음지도 교수요목이 수립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본 논문은 2004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박사학위 논문임. The acquisition of intelligible pronunciation takes an increasing interest since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ability by spoken language has been the goal of English education. Many studies on language acquisition show that children are better and find it easier imitating and learning the model pronunciation than adults are in learning pronunciation. This means we need to emphasize teaching pronunciation in elementary school. However, our English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does not reflect the appropriateness of the timing of learning pronunciation,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is need with 1 or 2 English classes a week. In due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learning period, in which it is learned teaching pronunciation in elementary school has to be performed substantially. Intelligible pronunciation affects not only speaking but also listening, therefore, teaching pronunciation is essential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ability in spoken language. In this study, songs were chosen as an effective material for teaching pronunciation. Because learners like songs, and songs are highly memorable and can be sung repeatedly whenever and wherever, so we can make up for the short amount of time given for teaching pronunciation through using songs. But the most important reason is that songs contain the linguistic traits of the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o teach English prosody centering on suprasegmentals using songs by 1) clarifying the reasons why songs are effective for the acquisition of prosody, 2) making a pronunciation syllabus in relation to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3) establishing the standard for choosing songs, and 4)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after teaching songs in English class.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analysis and application. In the study of analysis, 200 songs from wee sings, pop songs, folk songs and hymns were analyzed to know how intonation, stress, rhythm, resyllabification and restructure of lyrics are reflected in musical form, for clarifying the reason why songs are effective for learning prosody centering suprasegmentals. For the study of application, 96 songs from wee sings were chosen for the pronunciation lesson, and the degree of complexity of chosen songs were calculated on the basis of linguistic factors, musical factors and easiness for learning, and two songs for each lesson were as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complexity and the pronunciation learning point of the lesson. To teach songs, 8 experimental classes, from third to sixth grade, were chosen and taught those songs for 4 month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using songs for teaching English prosody, the results of pre & post-listening tests and pronunciation tes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and comparative groups were compared. In the pronunciation test, the energy and pitch were measured in order to grasp the lexical or sentence stresses and intonation of English utterances and compared with those of native speakers. The result of analysis study about the prosodic features in songs is as follows. It is important to break up an utterance into thought groups for the right intonation. In songs, pause or long notes are assigned at the boundary of a motive or a phrase, and this assignment reflects the boundary of the thought group with pause or final lengthening. And the harmonic cadence in music and the way of learning songs help students to recognize a thought group as a chunk.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songs, even though songs' melodies can not reflect the intonation contour,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eaching intonation. Also, to find out the correspondence of the stressed/unstressed syllable with strong/weak position, the words of each position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content words and function words. The result of analysis of 200 songs showed that 86.61% of the corresponding stressed syllables of content words were in strong positions and 78.05% in second strong positions, and 50.83% of corresponding unstressed syllables of function words were in weak positions.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unaccordance, the reasons were analyzed as follows: ① the rhythm adjustment, ② the length adjustment by stress, ③ phrase boundary ④ comparison or emphasis, etc. And through the method, which is to assign longer notes on the stressed syllables in comparison with the notes on the unstressed syllables respectively, songs keep the rhythm of English. Besides that, the resyllabification phenomenon caused by the difference of syllable structure between Korean and English can be prevented effectively by the trait of assignment of one note for one syllable, and also, the bars, motives or phrases of a song reflect appropriately the restructure of the function words, rhythm and polysyllables.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songs can be used effectively for teaching suprasegmentals. The result of the listening tests after using songs for teaching pronunciation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s of the experimental classe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mparative classes, and was more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ird and fourth grades,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songs were effective materials to improve listening ability. In case of 5th and 6th grades, the average scores of the experimental classes were a little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classes, but the significance was low. That means using songs is more effective in lower grades than in upper grades. In the pronunciation tests, the pronunciations of the experimental classes were more similar to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than those of comparative classes in intonation, lexical stress and sentence stres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ades, for the rate of correspondence to native speakers of third grade was the highest, and fifth grade was the lowest in all aspects. The teachers of the experimental classes of all fifth grades were the exclusive English teachers. That means they met their students only twice a week, so the chances to use songs were very limited. This result shows that to sing songs repeatedly is more effective than to learn many songs. Through this study, it became clear from the evidence that songs can be used effectively to teach English prosody centering suprasegmentals, and the result of application shows that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in teaching pronunciation, songs have to be taught intensively in lower grades than in upper grades. And because singing songs repeatedly is more important than learning many songs, to give the chances to sing as many times as possible is advisable for teaching pronunciation. This study tried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choosing or writing songs which reflect properly the prosodic features of English, like stress, rhythm and intonation, to the musical form, and to offer the standard of choosing appropriate songs in relation to the learner's levels, pronunciation syllabus and the degree of complexity of songs. Because the acquisition of pronunciation cannot be completed in a short time, we need to design the pronunciation syllabus for a long-term teaching in relation to the language acquisition and children's development.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Education in February, 2004.

      • 한국산 및 중국산 수삼의 부위별 농약잔류에 관한 연구

        홍경숙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삼은 상품성 향상을 위하여 빈번한 농약 방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농약 방제 시 농약에 노출되는 빈도가 큰 뇌두 부분은 수삼의 기타 다른 부분과 농약 잔류량 비교 시 잔류 량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수삼과 중국산 수삼을 연근별로 부위별 농약 잔류량 및 잔류 양상을 조사하여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수삼의 이용 시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국내산 수삼은 4년근, 5년근, 6년근을, 중국산 수삼은 5년근과 6년근을 구입하여, 뇌두, 피층, 속, 지근, 세근의 5부분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Tolclofos-methyl를 포함한 16성분에 대하여 식품공전의 인삼의 농약잔류시험법에 따라 electron capture detector와 nitrogen phosphorus detector를 장착한 gas chromatography와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산 수삼에서는 Cypermethrin, Deltamethrin, Diazinon, Parathion, Procymidone, Quintozene, Tolclofos-methyl의 7성분이 검출되었으며, 4년근 21%에서 6년근 24%로 살충제의 비율이 다소 증가하였다. 중국산 수삼에서는 BHC, Deltamethrin, Quintozene 3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살충제의 비율이 5년근 42.9%에서 6년근 50%로 7.1% 증가하였다. 국내산과 중국산 모두 한 시료에서 2성분 이상이 검출된 시료가 저년근에서 고년근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국내산 4∼6년근에서 Tolclofos-methyl은 뇌두〉피층〉세근〉지근〉속의 순으로 잔류하였으며, Procymidone은 뇌두〉세근〉피층〉지근〉속의 순으로 잔류하였으며, Quintozene은 국내산과 중국산 모두 뇌두에서 잔류량이 가장 크고, 속 부분에서 가장 낮았으며, 피층, 지근, 세근에서는 부위별로 일정한 잔류량의 순위가 보이지 않았다. 중국산에서만 검출된 BHC는 다른 검출 성분들과 달리 세근〉지근〉뇌두〉피층〉속의 순으로 잔류하였다. Cypermethrin, Deltamethrin, Diazinon, Parathion은 주로 뇌두 부분에서만 잔류하였으며 부위별 뚜렷한 잔류량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Many pesticides are used for controlling of pest and disease o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It seems that a large amount of pesticide exposed on ginseng rhizome, so it is necessary to compare ginseng rhizome with other parts of ginse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esticide residues on different parts of Korean and Chinese ginseng in order to guarantee the safety use of non-dried ginseng which is widely used as medicine. Non-dried ginsengs were divided into 5 parts; rhizome, cortex, pith, rootlets, and fine roots. Residues analysis of 16 pesticides was conducted using gas chromatography(GC)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ccording to official method of KFDA(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The results show that 7 pesticides were detected in Korean ginseng; Cypermethrin, Deltamethrin, Diazinon, Parathion, Procymidone, Quintozene and Tolclofos-methyl. Rate of detection was 21% in 4-year-old ginseng roots and increased to 24% in 6-year-old ginseng roots. In Chinese ginseng, 3 pesticides were detected; BHC, Deltamethrin and Quintozene. Rate of detection increased 42.9% of 5-year-old ginseng roots to 50.0% of 6-year-old ginseng roots. Detection rate in the sample which over 2 pesticides are detected per 1 sample increased as aging of ginseng. On 4 to 6-year-old Korean ginseng, the amount of Tolclofos-methyl decrease in the order of rhizome> cortex> fine roots> rootlets> pith. The amount of Procymidone decreased in the order of rhizome> fine roots> cortex> rootlets> pith. In both Korean and Chinese ginseng roots, the largest amount of Quintozene was found in the rhizome and the least amount of Quintozene was detected in the pith. but there wasn't any difference among the cortex, fine roots and rootlets. Unlike other pesticides, BHC remained in the order of fine roots> rootlets> rhizome> cortex> pith. Cypermethrin, Deltamethrin, Diazinon and Parathion all remained only in rhizome, and the difference of pesticide residues in other parts can't be seen.

      • 주의력 및 만족감 전략수업이 학습장애아동의 학습행동에 미치는 효과

        홍경숙 동아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Keller(1983; 1987)의 학습동기모형 네 요인 중 주의력과 만족감 두 동기전략을 학습장애아의 기초교과, 즉 읽기, 쓰기, 셈하기 학업성취도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 효과가 학습장애아의 학습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밝히고자 하였다. 학습태도는 학습장애아들의 학습특성을 고려하여 학습태도의 하위 영역을 학습활동에의 흥미, 과제에의 주의력, 과제지속력이라고 규정하여 주의력 및 만족감 전략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질적 속성을 가진 학습장애 아동들을 집단으로 표집해 실험 및 통제 집단에 배치하여 연구하기가 불가능하다는 특수조건 때문에, 집단의 점수를 통계적으로 처리하는 양적 연구가 아닌, 피험자내검증모형을 선택하여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org 와 Gall(1983)의 실험설계 모형들 가운데 단일피험자설계로서 A-B-A-B 모형을 적용해 소수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그 변화과정을 밝힘으로써 처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의력 및 만족감 전략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장애아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주의력 및 만족감 전략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장애아동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소속된 학습장애아 3명이었다. 결과는 피험자 3명에 대한 전반적 효과와 피험자별 효과 두 부분으로 나누어 제시되었다. 주의력 및 만족감 전략 처치수업은 각 피험자의 특수아개별화수업프로그램(IEP)별로 주의력 7개 하위전략과 만족감 5개 하위전략을 적절한 시점에 포함시킴으로써 재구성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졌다. 연구절차는 기초선조사 2주, 처치 2주, 반전 1주, 재처치 2주, 모두 7주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의력 및 만족감 전략을 활용한 수업은 학습장애아동의 읽기, 쓰기, 셈하기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 따라서 학습장애아동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수업방안으로서 학습동기요소인 주의력과 만족감 전략을 수업내용에 포함시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주의력 및 만족감 전략을 활용한 수업은 학습장애아동의 읽기, 쓰기 셈하기의 학습태도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 따라서 학습장애 아동의 학습태도 향상을 위한 수업방안으로서 학습동기요소인 주의력과 만족감전략을 수업내용에 포함시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wo motivation strategies, attention and satisfaction from Keller's ARCS motivation model on LD children's performance and attitudes in the learning of basic subjects matter, such as reading, writing, and arithmetic. In the light of LD children's characteristics, the subcategories of attitudes were confined to interest, attention, and perseverance to learning tasks. Two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for this study: 1) What are the effects of attention and satisfaction strategies on the performance of LD children ? 2) What are the effects of attention and satisfaction strategies on LD children's ? A-B-A-B model among single-subject experimental models (Borg & Gall, 1983) was adopted in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3 LD children from special clas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Experimental treatment with a reconstructed program which included attention and satisfaction strategies in each subjects original IEP lesson plan had been implemented through 4 strategies for 7 weeks: baseling for 2weeks, treatment for 2 weeks, withdrawal of the treatment for 1week, and re-treatment for 2weeks. In each treatment stage, performance and attitudes data were gathered by observations and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oduced in two parts, general effects and individual effects. The conclusions from the discussions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attention and satisfaction strategies are effective to improve LD children's performance of reading, writing, arithmetic.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utilize these two motivation strategies in the instruction for LD children. Secondly, attention and satisfaction strategies effective to promote LD children's attitude toward 3R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utilize these two motivation strategies in the instruction for LD children.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생활중국어》교과서 분석 : 중학교《생활일본어》․《생활프랑스어》 교과서와의 비교를 겸하여

        홍경숙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7년 제7차 교육과정이 고시된 후 2007년 개정 교육 과정이 고시되었고 그에 따라 2010년 새로운 중학교 중국어 교과서가 편찬되어 나온다고 한다. 개정 교과서가 나오기 전인 지금의 상황에서 중학생들이 배우고 있는 교과서《생활중국어》의 개선책에 대한 논의는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서 중학교《생활중국어》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 지침과 생활외국어과 목표를 제시하고《생활중국어》를 《생활일본어》및《생활프랑스어》와의 비교를 겸하여 분석하였는데, 이는 중학생들이 위 3종 교과서를 가장 많이 배우고 있기 때문이다. 이어 《생활중국어》교과서가 제7차 교육과정 생활 외국어과 목표에 맞게 구성되어 있는 지를 형태적 구성과 내용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의 방향이 공급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개혁되고 있는 바, 중학생들에게 《생활중국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고 결론에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중국어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생활중국어》는 중국어를 처음 접하는 중학생들에게 학습욕구와 흥미를 고취시키는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1세기 국제화․정보화 시대에 개정된 중학교 중국어 교과서를 통하여 학습자들은 외국어에 대한 흥미를 느끼며, 외국인의 일상생활과 그들의 생활양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생활 태도를 기르고, 나아가 세계 속의 한국인으로서 손색없는 행동 양식의 바탕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revised curriculum was promulgated in 2007 after the 7th curriculum was done in 1997. Accordingly, a new middle-school textbook of 'Chinese Language' will be published in 2010. At the current situation before the revised textbook is published,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improvements of the middle-school textbook of 《Living Chines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middle-school textbook of《Living Chinese》in the 7th curriculum. It sought to present the guidelines of the 7th curriculum and the objective of the department of living foreign language and analyze it as a comparison between《Living Chinese》, and 《Living Japanese》 and《Living French》. This is because middle school students learn the above three textbooks most. And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 textbook of 《Living Chinese》 is organized to fit the objective of the department of living foreign language in the 7th curriculum based on form and contents. And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on 《Living Chinese》for middle-school students as the direction of education is improved from the supplier-centered to the learner-center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analyzed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was presented in the concluding part. As interest in the Chinese language is increasingly mounting day by day, 《Living Chinese》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ncouragi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ming to learn Chinese first to have the desire for and interest in learning it. Learners should feel an interest in the foreign language through the middle-school textbook of 'Chinese' revised in the 21th-century age of internation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And they should be enabled to cultivate a more positive, active learning attitude by broadening the width of understanding about foreigners' daily life and lifestyle and further cultivate the basis for remarkable behavior pattern as the Korean in the world.

      • 장루 유형에 따른 신체상, 자아 존중감, 우울 증상에 대한 연구 : 영구 장루 및 임시 장루

        홍경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and Objectives : In recent years,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patients with stoma have been addressed in a number of studies.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pproaching on objective measure for comparing self-appraisal of patients with permanent stoma and patient with temporary stom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sychological attitude between patient with permanent and temporary stoma and to find out the appropriate psychological supportive care. Subjects and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on 65 patients who received a stoma during the primary operation between Jan 2009 and Mar 2012, prospectively.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with either permanent or temporary stoma. We made a questionnaire with the help of a psychiatrist and scored the scale of psychological attitude to self-appraisal. Pati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4 weeks after operation and we compared the answers of each group. Results : Out of 65 patients, 42 (64.6%) received temporary stoma and 23 (35.4%) received permanent stoma. The questionnaire was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body image scale, self-esteem scale, and depression scale. First, body image scale was composed of 15 items and the total scores of these items were distributed from 15 to 105 points. The mean of total score was 63.3 ± 15.45 poi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manent and temporary stoma patients(62.2 ± 16.93 vs. 63.8 ± 14.76 points, p=0.694). Second, self-esteem scale was composed of 10 items and the total scores of these items were distributed from 0 to 30 points. The mean of total score was 28.9 ± 0.54 poi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manent and temporary stoma patients(28.4 ± 4.28 vs. 28.9 ± 4.13 points, p=0.682). Third, depression scale was composed of 21 items and the total scores of these items were distributed from 0 to 63 points. The mean of total score was 13.7 ± 8.76 poi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manent and temporary stoma patients(15.3 ± 9.89 vs. 12.8 ± 8.07 points, p=0.276). Patients with permanent stoma were tended to feel ‘guilty’ and had ‘moderate’ depressive mood(p=0.017 and p=0.010). Comparing self-appraisal of male and female, males considered themselves unimportant(p=0.006), humble(p=0.016), incapable(p=0.023), and lesser masculine(p=0.042). Also males were tended to feel guilty(p=0.000) and not to be content with daily-life(p=0.002), and they thought they were heavenly punished(p=0.016). Conclusion :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ypes of stoma on total score of questionnaire. But the patients with a permanent stoma tended to have worse body image and lower self-esteem on some specific items and total scores of questionnaire were low overall. It suggested that patients with stoma had negative attitude to themselves and males were frail toward the stoma. Therefore surgeons should concern about the postoperative psychological supports for the patients with stoma. 최근 수 년 간, 많은 논문에서 장루를 가진 환자들의 정신적 문제점들이 다루어졌다. 그러나 장루 복원이 불가능한 영구 장루를 가진 환자들과 장루 복원술이 가능한 임시 장루를 가진 환자들의 정신적, 정서적 영향의 차이를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장루 환자의 신체상, 자아 존중감 및 우울감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구 장루를 가진 환자들과 임시 장루를 가진 환자들의 정서 및 정신적 태도를 비교 분석하여 장루를 가진 환자들의 지지 요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2009년 1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장루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본 연구에 동의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환자들이 느끼는 신체상, 자아 존중감, 그리고 우울감을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정신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설문 항목을 결정하고 설문지를 준비하였다. 수술 후 4주 째 퇴원 전이나 퇴원 후 외래에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이제곱 비교분석법,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법 등으로 결과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총 65명 중 남자는 44명(64.6%), 여자는 21명(35.4%)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7.5 ± 13.90세였다. 이들 중 영구 장루를 가진 환자는 23명(35.4%)이었고, 임시 장루를 가진 환자는 42명(64.6%)이었다. 전체 환자의 신체상 척도의 평균값은 63.3 ± 15.45점이었고, 이는 연령, 경제적 수준, 학력 수준, 진단명 및 수술명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자아 존중감 척도의 평균값은 28.7 ± 4.12점이었고, 배우자가 없는 환자들(미혼, 이혼, 사별 등)에서 더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뚜렷한 통계학적 연관성은 없었다. 마지막으로 우울증 척도의 평균값은 13.7 ± 8.76점으로 장루를 가진 환자들은 우울 척도 점수가 높았고, 특히 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환자들의 우울증 척도 점수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p=0.031). 자신들의 신체상에 대하여 여자 환자들보다 남자 환자들에서 ‘남성성’이 저하되고 약해지고 무거워졌다고 응답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우울증 척도의 몇 가지 문항들에서도 자신을 ‘실패자’라고 생각하거나 일상생활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대답하여 남자에서 장루 순응도가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영구 장루를 가진 환자들과 임시 장루를 가진 환자들에서 신체상 척도, 자아 존중감 척도, 우울증 척도를 분석한 결과, 영구 장루를 가진 환자들에서 스스로 ‘죄책감’을 느끼는 경향이 더 강하거나 수술 후 ‘성’에 대한 관심이 감소하고 중등도의 우울증을 나타내는 등 설문지 항목별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임시 장루를 가진 환자들의 설문 척도의 분석 결과는 영구 장루를 가진 환자들과 차이가 없었다. 임시 장루가 일정 기간 후 복원이 가능하다고 할지라도 장루로 인하여 환자들이 받는 정신적 스트레스는 영구 장루를 가진 환자들만큼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외과 의사들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환자들에서만 장루술을 시행하여야 할 것이며, 장루가 환자들에게 미치는 정신적 영향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여 영구 장루를 가진 환자들은 물론이거니와 임시 장루를 가진 환자들에게도 올바른 장루 교육과 함께 올바른 정서적 평가를 통한 적절한 지지요법을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