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진동에 의한 농업기반시설물 영향 평가

        허준 ( Joon Heo ),허지선 ( Ji-sun Heo ),강병윤 ( Byung-yoon Kang ),이태호 ( Tae-ho Lee ),영진 ( Young-jin Yang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농업기반시설물 방조제 및 방수제 제체 주변에 다양한 구조물 등이 건설되기로 계획되어져 있으며, 점차 구조물이 대형화되어 건설공사 과정 중 또는 구조물 완공 후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방조제 및 방수제 제체에 침하 및 균열과 같은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농업기반시설물에 진동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을 조사하고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여 진동에 의한 문제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진동은 발생원에 따라 건설공사 현장의 발파 등에 의해 생기는 순간적인 충격, 항타나 굴착, 공작기계 등의 작업에 의해 생기는 지속적인 충격 그리고 시설물의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으로 인한 구조물의 손상으로는 시설물 균열 및 지반의 부등침하 등이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건설진동 중 항타 진동과 관련하여 말뚝 항타의 진동측정과 주변 구조물의 영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지하철 및 열차의 운행에 의한 지반진동 실태조사와 진동 저감대책 등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농업기반시설물인 방조제 및 방수제 제체 주변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하중에 의한 영향 평가는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기반시설물 주변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분석하고, 지반조사를 통해 농업기반시설물과 하부지반을 분석하였으며, 수치해석을 통해 주변 시설물 시공과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농업기반시설물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 농업기반시설물 지진피해 조사를 통한 취약부 분석

        허준 ( Joon Heo ),허지선 ( Jisun Heo ),영진 ( Youngjin Yang ),이승훈 ( Seunghoon Lee ),봉태호 ( Taeho Bong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지진은 그 자체로서의 피해뿐만 아니라, 2011년 동일본대지진에서와 같이 국가 기반산업시설을 붕괴시킬 수 있는 막대한 추가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직접적 인명, 재산상 피해와 더불어 국민 삶의 질을 결정하는 기본적인 발전시설, 라이프라인, 통신시설 등과 같은 경제, 산업의 기반을 근본적으로 교란시킬 수 있다. 또한, 농업기반시설물의 피해를 발생 시킬 수 있으므로 지진에 의한 농업기반시설물의 취약부를 평가하고 적합한 내진보강방안을 검토하는 것은 중요하다. 2017년 포항지진에 의해서도 농업기반시설물 저수지 제체에 피해가 발생하였다. 지진 발생후 농업기반시설물 성토구조물의 변형 형태, 위험경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포항지진에서 발생한 농업기반시설물의 피해와 동일본대지진에서 발생한 농업기반시설물의 피해를 조사 분석하여, 지진 발생시 농업기반시설물 성토구조물의 취약부를 평가하였다. 지진에 의한 농업용 저수지 제체의 주요 변형형태, 변형위치 및 피해규모 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농업용 저수지 제체의 내진보강을 위한 주요 위치 및 방법 등에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한국식 중세형동모의 성립과 전개

        허준양(Heo, Jun Yang) 영남고고학회 2021 嶺南考古學 Vol.- No.90

        한국 출토 동모의 제작기법을 內范 A·B·C型으로 분류하고, 세형a식동모-세형b식동모-중세형동모의 변천과 연동하여 살펴보았다. 이중 내범 B1a→b→c형, Ca→b형의 전개는 중세형동모의 성립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세형동모의 제작기술 계승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련의 과정은 지역적 전개 양상에 자체 발전된 것이다. 내범 A·B·C형의 변천은 한반도 동남부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되며, 제작은 공인집단의 존재(기술의 공유)로 해석된다. 그중 내범 B·C형의 성형은 新기법의 출현으로 파악되는데, 이 일대를 거점으로 형성된 청동기 제작기술의 전파(유통)로 보인다. 때문에 한국 출토 중세형동모는 자체적인 내범 제작기법의 성형에 따라 ‘韓國式’으로 명명되며, 대구-경산-영천-경주 일대에 독자적 성립으로 판단하는 바이다. 이상을 토대로 세형b식동모는 다뉴세문경·간두령·철기·반리문경 등의 공반자료를 통해 기원전 2세기대로, 중세형동모는 성운문경·이체자명대경·오수전 등의 공반자료를 통해 기원전 1세기대로 편년된다. 이를 종합하여 한국의 동모편년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ition of the bronze spearhead, slender a, b bronze and middle slender c in association with the Korean type bronze spearhead by classifying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Korean type bronze spearhead into core A, B and C types.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core B1a→b→c type and core Ca→b type lead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middle slender bronze spearhead, which is estimated to be the technological succession of the slender bronze spearhead. A series of process are seen to be a self-developed aspect in terms of the region. The transition of core type A, B and C was confirmed mainly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production was grasped through the existence of a recognized professional group. Most of all, it seems that the establishment of core B·C type shows the emergence of the new technique. This is estimated to reveal the distribution of the bronze manufacturing technology formed in this whole area. Therefore, it is seen that the middle slender bronze spearheads, excavated from Korea named Korean type were created separately with the core production technique around Daegu, Gyeongsan, Yeongcheon, Gyeongju. On the basis of ideals, the chronology of the middle slender spearhead was set: in the 2nd century B.C. through the comparative material of fine-lined geometric bronze mirror(Danyusemun-gyung) and bronze pole-top bell(Gandu-ryeong), Banrimun-gyung and in the 1st century B.C. through the comparative material of early Han mirror Seongwunmungyung, Ichejamyungdae-gyung and ohsujeon coins. Taking these things into consideration, the chronology of Korean type bronze spearhead is presented.

      • 강우를 고려한 저수지 제방의 침투 해석

        허준 ( Heo Joon ),전상옥 ( Jeon Sang Ok ),허건 ( Heo Gun ),백현욱 ( Back Hyun Uk ),영진 ( Yang Young Jin ),이백 ( Lee Baeg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0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4 No.2

        국내 농업용저수지의 82%는 50년 이상 노후화된 상태이며, 전체 농업용 저수지의 99.9%는 월류 및 집중호우시 사면붕괴위험이 높은 흙댐 형식으로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저수지 균일형 제방을 대상으로 강우지속시간에 따른 침투해석을 수행하였다. 저수지 하류사면 슬라이딩이 발생한 지역의 최대일강우량을 반영하여 침투해석을 수행하였다. 강우지속시간에 따른 침윤선 변화와 저수지 제방의 포화 깊이를 분석하였다. 해석결과 제방의 침윤선이 상승하고 하류사면의 포화 깊이가 하강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농업용 저수지 제방의 지진 취약도 평가

        허준 ( Joon Heo ),전상옥 ( Sang-ok Jeon ),허건 ( Gun Heo ),영진 ( Young-jin Yang ),이백 ( Baeg Lee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지진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고 지진에 대한 피해는 준비상태에 따라 극명하게 달라져 내진을 고려한 지반구조물에 대한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저수지 제방의 지진거동은 매우 복잡함으로 지진시 거동 분석 및 가속도 증폭과 같은 실제 해석 사례는 미비하다. 지진시 지반의 변형은 지진 가속도 증폭특성에 따라 피해 발생 가능성이 달라지므로, 지진파 특성(단주기, 장주기, 인공지진파)에 따른 저수지 제방의 지반가속도 증폭특성을 분석하였다. 지진이 거동하는 저수지 제방을 분석하기 위해 3차원 모델링을 구현하였다. 비상대처계획(EAP) 30지구의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저수지 제방의 지반정수를 설정하고, 입력 지진파별 동해석을 수행하여 지반가속도 증폭특성을 분석하였다. 지진시 지진파 특성별 지반가속도의 증폭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저수지 제방의 높이별 지진 진동해석을 수행하였다. 선형시간이력해석법을 이용한 동적해석을 수행하여 저수지 제방의 변형 및 정상부에서의 지반가속도 증폭 특성을 분석하였다. 저수지 제방 하부에서 정상부의 상대변위를 지진파별로 분석하였다. 각 지진파별 저수지제방을 통한 심도별 가속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저수지 제방에 설계지진 이상의 지진 발생시 지반가속도 증폭특성, 댐마루에서의 변형 특성의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러시아 출토 한국식 청동기의 이해

        허준양(JUN-YANG HEO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민족문화논총 Vol.81 No.-

        러시아 연해주 출토 한국식 청동기는 한국식동검, 다뉴경, 동사 등이며, 그출토지는 이즈베스토브까, 스코토보, 아누치노 유적이다. 이들 출토품은 동검의 구분마연, 다뉴경의 문양 등 한국의 고고자료와 공통된 요소가 관찰된다. 러시아의 한국식 청동기는 한국의 동북부지역(함경도 일대)을 거쳐 전파된 것으로, 함흥 리화동, 금야 룡산리 유적의 한국식동검, 동모, 다뉴경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대체로 다뉴조문경과 다뉴세문경의 전환기에 전파된 것으로분석된다. 일련의 고고자료는 상호 간 호혜적인 관계 속에 러시아 단결-크로우노브까문화와 병행되는 양상으로 이어지고, 집단의 이주(전파)는 한국식 청동기의 단순 모방이 아닌 기물의 기능까지 삽입되어 이뤄진 것이다. 특히 이즈베스토브까-스코토보 유적은 인접한 거리(직선거리 12km 정도)에 위치하여 집단 간교류 및 공유가 가능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한・러의 고고자료와 자연・지리적 여건은 양자의 교통로로 확인된다. 한・러의 교통로는 함흥→슬라반캬→스코토보→이즈베스토브까의 루트와 함흥→슬라반캬→(우수리스크)→아누치노의 루트로 파악되는 바이다. 현재의 고고자료로 볼 때, 러시아 출토 한국식 청동기는 한국 고고자료의 최북단 출토품으로판단된다. 다만 러시아 연해주의 한국식 청동기 출토 사례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며 추후의 자료를 통해 병행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orean bronze wares excavated from Izvestovka・Shkotovo・Anuchino in Primorye, Russia include Korean bronze swords(韓國式銅劍), Bronze mirror with knobs(多紐鏡), and Bronze engraver(銅釶). T he e lements of these artifacts common to Korean archaeological materials such as the pattern of straight lines engraved separately on the edgehe of the copper sword and the pattern of the Bronze mirror with knobs were observed, and it is analyzed that they were generally sprea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Bronze mirror with coarse linear designs(多紐粗文鏡) and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多紐細文鏡). The Korean-style bronze ware of Russia was transmitted through the northeastern region of Korea (Hamgyeong-do area), and representative examples are the Korean-style bronze sword, Korean type bronze spearhead(銅矛), and Bronze mirror with knobs excavated from the ruins of Rihwa-dong in Hamheung and Ryongsan-ri in Geumya. These common archaeological materials are in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and parallel to the Russian Tuanjie-Krounovka culture. In particular, it is confirmed that the migration (propagation) of the group is not a simple imitation of the Korean bronze ware, but also the function of the object. Also, the Izvestovka-Shkotovo ruins are located at an adjacent distance (about 12km in a straight line), so that exchanges between groups and It seems possible to share. The archaeological data of Korea and Russia and the natur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are set as the transportation routes for both countries. The route between Korea and Russia is Hamheung→Slavankya →Shkotovo→Izvestovka (Krounovka) and Hamheung→Slavankya→ (Usurisk)→Anuchino. Judging from the current archaeological data, the Korean-style bronze ware excavated in Russia can be identified as the northernmost excavated object of Korean archaeological data. However, we look forward to future data on the insignificant excavation of Korean-style bronze ware in Primorye, Russia, and there is still ample room for parallel research.

      • 방문재활 서비스 도입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영애 ( Yeong Ae Yang ),안선정 ( Sun Joung An ),박윤희 ( Yun Hee Park ),박보라 ( Bo Ra Park ),허준 ( Jun Heo ),박진성 ( Jin Sung Park ),이주연 ( Ju Yeon Lee ),조미림 ( Mi Lim Cho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1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3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내에서 방문재활서비스 도입과 활성화를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재활 서비스의 정의와 문제점, 선진국의 방문재활 사례를 검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방문재활 서비스의 도입과 활성화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2009년 10월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 이용현황은 79.3%가 장기요양급여를 이용하였다. 2008년 요양 시설은 171%증가, 재가기관 현황은 263%증가 되었다. 재가서비스 중 방문요양과 주간 보호가 가장 많았다. 2010년 복지용구에 사용된 금액은 전년대비 129억원이 증가되었다. 하지만 신체적 능력 향상 및 회복을 촉진하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극대화를 돕는 방문재활서비스(작업치료, 물리치료)는 재가급여 항목에 포함되어있지 않다. 결론: 높아져가는 노인 인구와 만성 질환자를 위해 방문 재활서비스가 필요하다.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극대화를 위해 재활인력 및 서비스 종류 증대 복지용구 사용에 관한 교육, 그리고 장기요양보험 내 등급외자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선진국의 방문재활 사례를 충분히 검토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ground for introduction and vitalization of home rehabilitation service in public long-term care insurance Methods: We reviewed that Korea public long-term care insurance, definition and problem of home-based rehabilitation and a case of home-based rehabilitation in advanced nations through a study of literature, which is a basis that offers introduction and vitalization of home-based rehabilitation. Results: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presents Long-term Care Insurance is used 79.3% at Sep. 2010. Respectively, Nursing facility and home-based service facility are increased at 171/%, 263% in 2008 when compared in 2007. Home-in visitation care and daycare is very common among Home-care service. The money that is used for welcare product is increased when compared previous year, that is One thousand Two hundred ninty million wons. However, home-based rehabilitation service(Occupational and physical therapy) that facilitates physical capability and recovery and helps maximize Activity Daily Life ability is not included in Home-in pay item. Conclusion: Home rehabilitation service is necessary for patients of chronic disease and a increasing number of older-aged people. It is also provided to not-included people in-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for education of welcare product use, rehabilitation staff and a kind of service increases to maximize activity daily life ability, And for this, we should review thoroughly a case of Home rehabilitation service in developed country.

      • KCI등재
      • 재해대비 농업용저수지 취수시설 개선연구

        이태호 ( Taeho Lee ),영진 ( Youngjin Yang ),장은철 ( Unchul Jang ),허준 ( Joon Heo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과거 농업용저수지 축조는 기술적 수준이 낙후되고 예산의 부족으로 인해 복통을 공사 시 홍수배제 및 취수시설로 주로 활용해 왔으며, 복통은 주로 제체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안전진단 시 제체의 주요한 결함요인 중 하나이다. 또한, 소규모 저수지에 설치된 복통은 내경이 800mm미만으로 매우 작아 안전진단 및 보수보강이 어려워 제체 파괴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복통은 취수된 용수를 하류부 용수로에 도수하는 시설이므로 저수지 사수위보다 낮은 곳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당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제체를 관통하여 낮은 곳에 설치됨으로 우선 큰 토압을 받게되며, 커튼그라우팅이 부실할 경우에는 복통 기초에도 양압력이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제체가 토사와 서로 이질적인 재료인 콘크리트 구조물과 접하게 됨으로 접촉면을 따라 유로가 형성될 수 있는 취약점이 있다. 이러한 안전에 취약하고 노후화된 복통으로 인한 사고들로 인해 저수지 하부지역의 인명과 재산손실 등 결제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농업용저수지 중 제고 8m 미만이고 총저수용량이 10만㎥ 미만인 지구는 13,031개소로서 전체의 75%에 달하고 있으며 이 저수지들의 복통 개보수공사에 대체 취수시설을 적용한다면 개착에 의한 콘크리트개거공법 또는 보수보강공법과 비교해 경제성은 물론 재해대비 안전성도 더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복통의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한 대책으로 사이펀을 활용한 소규모 저수지 취수시설 대체공법을 제시하고, 현장시험시공과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농업용저수지의 대부분인 약 97%는 복통과 사통이 설치되어 있으며 복통의 평균직경이 약 0.4m로서 매우 작아 시설에 대한 안전진단 및 개보수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체내부에 복통이 설치된 소규모 농업용저수지에서 시설이 노후화 되었을 경우 토공과 구조물의 접속부를 통한 파이핑 우려가 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사이펀공법을 각각의 항목에 대해서 비교해 본 결과 시설운영시 복통의 기능(사전방류 및 취수)을 대신할 수 있으며 제체의 내측이 아닌 바깥부분에 설치되어 제체안정에 유리하고 유지관리 및 개보수가 용이하였다. 또한, 최초 작동시 펌프를 통한 기동이 필요하지만 그 이후로는 복통과 마찬가지로 밸브조작에 의해서 작동이 가능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규모가 큰 여수로 사이폰 시설에 작동하는 진동 및 소음에 대해서는 현장시험시공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하류유출부 세굴에 대해서는 유출부 밸브로 유량조절이 가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