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례행동이 여대생의 지각된 통제감과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허정윤,유성진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9 人間理解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ituals on perceived sense of control and binge eating behavior. Rituals have been regarded as clinical symptoms of various psychological disorders, but are now seen as a potential treatment factor. The participants were 20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ho scored high on the BULIT-R. As a result of the 5-day intervention, participants’ perceived sense of control scores increased, binge eating scores decreased, and the treatment effects partially lasted another five days. Based on the finding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임상적 증상으로 간주되었던 의례행동을 치료적 수단으로 재조명하는 최근의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의례행동이 여대생의 지각된 통제감을 향상시키고 폭식행동을 감소시키는 처치효과를 보일 것이라고 가정하고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폭식증 검사 개정판(BULIT-R)에서 상대적으로 폭식행동에 취약하다고 평가된 여대생 20명에게 5일 동안 의례행동을 처치한 결과, 처치 전 5일간에 비해 처치 중 5일 동안 지각된 통제감이 증가되고 폭식행동이 감소하는 처치효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그 효과가 처치 후에도 5일간 유지되는 지속효과가 부분적으로 관찰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의례행동이 적절한 통제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 및 본 연구의 한계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그림책 캐릭터가 그림책 선호도와 파생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허정윤,서송이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4

        Characters, as one-source multi-use (OSMU) products, are expanding to various industries such as derivative goods, movies, games, confectionary, and cosmetics. Characters are perceived as cultural content and thus, an important genre of an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characters have on preference for the media and derivative go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42 children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Preference for the book and derivative products were used for the scale and consequently, factors affecting preference were found to be comprehension, familiarity, interestingness, character attractiveness.According to the results, interestingness and character attractiveness have an effect on the preference for the book and derivative goods. Furthermore, character attractiveness appeared to have a greater effect compared to interestingness. In terms of the preference for the book, interestingness was more effective for the clay character, while attractiveness was more effective for the actual image character. In terms of the preference for the book, interestingness was more effective for the clay character, while attractiveness was more effective for the actual image character. Regarding to the preference for the derivative goods, interestingness was more effective than attractivenefor both characters.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of consumers' psychological consumption process relating to characters. Moreover, for practitioners, this study provides a development strategy regarding OSMU of characters. 캐릭터는 하나의 문화 상품이 영화나 게임과 같은 미디어나 팬시, 화장품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재생산되는 원 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 Multi-Use, OSMU)의 핵심적인 문화콘텐츠이다. 캐릭터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중요한 장르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캐릭터가 미디어와 파생상품에 대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총 142명의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였다. 척도는 그림책과 파생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활용되었으며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이해도, 친숙성, 흥미성, 캐릭터 매력성이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흥미성과 캐릭터 매력성이 그림책과 캐릭터 파생상품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책 선호도에서 클레이 캐릭터는 흥미성이 영향력이 더 크며, 실사 캐릭터에서는 캐릭터 매력성이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해석된다. 파생상품 선호도에서는, 클레이와 실사 캐릭터 모두 흥미성이 매력성보다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캐릭터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수용 과정에 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해 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실무자들에게는 캐릭터의 OSMU 개발 전략을 제공해준다.

      • KCI등재

        남북 청소년교류 활성화를 위한 법적ㆍ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 사회 통합적 관점에서 -

        허정윤,최순종,박지영 아시아교정포럼 2021 교정담론 Vol.15 No.3

        남북 청소년교류는 통일시대를 대비하는 청소년에게 상호문화 를 미리 경험하게 함으로써 직간접적으로 사회통합의 기능을 하 며 장기적으로는 한반도 평화에 기여할 것이다. 통일 한국의 주 역이 될 남북 청소년 교류는 상호 간의 이질감을 해소하고 공유 된 체험활동을 바탕으로 이해증진과 신뢰 형성을 도모할 수 있 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와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이 같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남북한 청소 년 교류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하며, 이는 곧 통일 환경조성의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통합적 관점에서 실질적인 남북 청소년교류 활성화를 위한 법적ㆍ제도적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 연구법으로 남북한 청소년 교류ㆍ협력에 관한 기존의 연구 및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현황 및 실태를 분석하였다. 결론으로 실태 분석을 통하여 남북한 청소년교류 활성화를 위한 법적ㆍ제도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실천적 방안을 제언함으로써 통일 공감대 확대 및 통일 이후 사회문화적 통합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inter-Korean youth exchange will directly or indirectly function as a social integration by allowing the youth preparing for the unification era to experience mutual culture in advance, and will contribute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ong run. Inter-Korean youth exchanges, which will become the protagonists of a unified Korea, are important tasks that our society and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pursue in that they can resolv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Koreas and promote understanding and trust-building based on shared experience activities. In response to such demands of the times, it is necessary to find a multi-faceted way to revitalize inter- Korean youth exchanges, which will soon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creation of an environment for un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s for revitalizing inter-Korean youth exchanges from a social integration perspective. The research method was a literature study method, which collected existing research and statistical data on inter-Korean youth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and actual conditions. The research method was a literature study method, which collected existing research and statistical data on inter-Korean youth exchanges and cooperation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In conclusion, by analyzing the actual situation to find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revitalizing inter-Korean youth exchanges, and by suggesting practical measures,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consensus on unification and socio-cultural integration after unific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자립준비와 취업욕구의 관계

        허정윤,최순종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2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youth independence preparation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job desire which is the basis for growth as a healthy economic agent. This study measured the will for independence, job preparation, part-time work experience, and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experience, which are sub-representatives of independence prepar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youth's independence preparation on their job desire, and the job desire measured whether or not there was a job desire for employment.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is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n independence preparation and desire to get a job.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dependence preparation and job desire of the study subjec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ce will and employment desire for all the subjec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ce will and job desires for adolescents with high school and young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adiness and job desi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job desire was very high among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but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ce preparation and job desi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generall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ce preparation and job desir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among sub-variables by class. In Korea, it was found tha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especially for late adolescence undergraduates, is practically needed in the field of self-preparation for youth.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ailored to each time and subjec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youth independence and to increase job desire. 본 연구는 급격하게 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청소년 자립준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건전한 경제주체로 성장하는데 있어 기본이 되는 취업욕구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청소년의 자립준비가 취업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자립준비의 하위변인인 자립의지, 직업준비도, 아르바이트 경험, 직업교육훈련경험을 측정하였고 취업욕구는 취업에 대한 욕구 유무를 측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자립준비와 취업욕구에 대한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로서, 우선 전체 연구대상자에게서 자립준비와 취업욕구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급별 하위변인들 간의 차이 역시 두드러진다. 특히 고등학교 이하 청소년들에 대한 자립의지와 취업욕구 간의 상관관계, 직업준비도와 취업욕구 간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교 재학 이상 청소년들의 취업욕구는 매우 높은 반면, 이들의 자립준비와 취업욕구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립준비 영역에서는 특히 후기 청소년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교육훈련이 실질적으로 필요하며 따라서 청소년의 자립준비와 취업욕구 증진을 위해서는 시기별, 대상별 맞춤 직업교육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