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국적 기업의 글로벌 광고와 현지화 광고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송이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3

        다국적 기업은 외국의 기업시민으로서 지역사회에 책임을 다해야 한다. 최근 국제 스포츠가 대중화되고 국민들이 실시간으로 세계 각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스포츠에 열광하면서 스포츠는 다국적 기업의 광고 소재로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스포츠는 국민들의 애국심을 자극하는 요인으로서 다국적 기업의 현지화 광고에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다국적 기업의 스포츠를 활용한 현지화 광고에 대한 연구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곰 가족을 활용한 글로벌 광고와 우리나라 국가대표팀의 월드컵 선전을 응원하는 현지화 광고를 활용하여 서울에 거주하는 총 221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글로벌 광고는 현지화 광고보다 모델 태도, 동일시, 진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달리, 현지화 광고는 글로벌 광고보다 지역사회기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는 지역사회기여도, 동일시, 진정성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볼 때 글로벌 광고를 통해 소비자와 브랜드와의 관계를 관리하며, 국가의 중요한 이벤트를 활용한 현지화 광고를 통해 애국심을 자극하고 다국적 기업이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다는 인식을 높여 줄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려 준다. 본 연구는 그 간 소홀히 취급되어 오던 글로벌 광고와 현지화 광고에 대한 소비자태도에 관한 이론을 정교화하며, 실무자들에게는 효과적인 국제 광고 전략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ultinational corporations (MNCs), as corporate citizens, must make contributions to local communities. Due to the recent popularization of sports worldwide, real-time streaming of sports events are available for people to join the excitement. MNCs are utilizing this popular concept of sports events as a tool to inspire patriotism for localized advertising but more research is required. For the research conducted in the paper, a survey has been conducted among 221 adults residing in Seoul. It presents global advertising showing a bear family and localized advertising showing Korean citizens cheering for the national football team. According to results, endorser attitude, identification, and authenticity are higher factors for global advertising while community contribution is higher for localized advertising. Furthermore, community contribution, identification, and authenticity are factors in order which affect brand attitude. Overall, findings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can be managed through global advertising, and the importance of inspiring patriotism by utilizing significant national events and increasing community contribution recognition through local advertising. Research also elaborates the underdeveloped study of globalized and localized advertising and the theory of consumer behavior, providing effective international advertising strategies to practitioners.

      • KCI등재

        식품 인증 표현 방법이 소비자 인식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서송이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3

        식품의 안전성 이슈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동안, 로컬푸드가 농식품 시스템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인증은 신뢰재인 식품에 대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품 인증 방법이 소비자의 인식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는 인증 라벨과 생산자 사진 두 가지 실험자극물로 구성되었다. 종속변수는 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 관여도, 신뢰도, 구매의도가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감정적 가치가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기능적 가치, 관여도, 신뢰도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보다 관여도와 신뢰도가 낮게 나타난 것은 신뢰재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생산자의 사진이 인증 라벨보다 기능적 가치와 신뢰도에서 높게 나타난 점은 매우 흥미롭다. 본 연구는 환경적 또는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인증이 소비자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 설명해 주는 소비자 행동 모델을 정교하는 데 매우 유용한 기반을 제공해 주고 있다. While food safety issues have gained global attention, local food is emerging as a new alternative agri-food system. Certification is perceived as a very effective communication tool for food products, credence goods. Nevertheless, ver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is research area.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od certification methods on consumers'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199 adults resid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composed of two types of stimuli: a certification label and the producer's photo.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functional value, emotional value, involvement, reli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show that emotional value has the stronges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ollowed by functional value, involvement, and credibility. Moreover, the fact that consumption value is higher than involvement and reliability seem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redence goods. Surprisingly, the producer's photo was found to be higher in functional value and reliability compared to a certification label. This paper provides a very useful groundwork for elaborating a consumer behavior model which explains consumers' response to certification relating to environmental or social issues.

      • KCI등재

        공공 서비스 커뮤니케이션의 소셜 미디어 콘텐츠 소구 유형에 따른 효과

        서송이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2

        Public sectors are improving communication activities due to the rising importance of social media. However, given this importance,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subject. This study, therefore,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s of users’ perception and intention to use social media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tent appeal of public service communication. A survey is conducted among 234 adults to measure users’ perception and intention to use social media according to informational and emotional appeals. This paper evaluates the content on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s Instagram, a well-known social media platform utilized by a public sector.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emotional appeal is of greater importance compared to informational appeal. The results further show that interestingness has the greatest effect on intention to use, followed by empathy and informativeness. Above all,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ntent for low-involvement public service communication should first appeal to users, in order to for these interested users to empathize and be engaged with the content. This study theoretically explains that persuasive communication of low-involvement public services is composed of interestingness, empathy, and information. In practice, this research implies that the content for low-involvement public services should be interesting and empathetic. To gain further insight into the effect of various types of content appeal, a comparative study of low-involvement and high-involvement public services, and that of different age groups are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ers. 소셜 미디어의 발달로 공공기관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증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공 서비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서비스 커뮤니케이션의 소구 유형에 따른 이용자의 인식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234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정보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 유형에 따른 이용자 인식과 이용의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자극물은 공공기관의 소셜 미디어 중 인기가 높은 경찰청의 인스타그램 콘텐츠를 활용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감성적 소구가 정보적 소구보다 중요한 변수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용의도에 대해서는 흥미성, 공감성, 정보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저관여 공공 서비스의 커뮤니케이션 콘텐츠는 우선 흥미가 있어야 하며, 몰입된 이용자가 콘텐츠 내용에 공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본 연구는 저관여 공공 서비스의 설득 커뮤니케이션은 흥미, 공감, 정보의 과정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설명해 준다는 점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 저관여 공공 서비스 콘텐츠는 흥미와 공감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향후 고관여 서비스와의 비교 및 연령 간의 비교 연구는 더욱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스마트폰 디자인 수용요인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송이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4

        Background Smartphones are perceived as important tools not only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ut also for advertising. Recently, the competition in the smartphone market is focusing on the foldable phone desig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adoption factors of smartphone designs and the influence of adoption factors on purchase intention. Methods In this study, the foldable and bendable types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smartphone designs, followed by a survey conducted among 199 respondents. A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smartphone designs. Moreover, the influence of adoption factors of smartphone designs on purchase inten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a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 foldable type was higher in terms of usefulness, compared to the bendable type.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playfulness. Furthermore, the bendable typ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foldable type in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onvenience. In general, the purchase intention was higher for the bendable type compared to the foldable type. Regarding th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conspicuous consump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convenience, usefulness, and playfulness. Conclusion This study explains that conspicuous consump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s the choice of smartphone designs. Accordingly, the purchase intention was higher for the bendable type, which was high in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onvenience, compared to the foldable type. This implies that smartphones are tools which symbolize users' innovativeness and image. 연구배경 스마트폰은 정보통신기기뿐 아니라 광고매체로서도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시장의 경쟁은 폴더블 디자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디자인 유형에 따른 수용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고 수용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스마트폰 디자인의 대표적인 유형인 폴더블과 벤더블 유형을 선정하여 199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개 유형 간의 비교를 위하여 t-검정을 활용하였으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폴더블이 벤더블보다 유용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희성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벤더블이 폴더블보다 과시소비성향과 편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벤더블이 폴더블보다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과시소비성향, 편의성, 유용성, 유희성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과시소비성향이 스마트폰 디자인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따라서 과시소비성향과 편의성이 높게 나타난 벤더블 유형이 폴더블 유형보다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폰이 사용자의 혁신성이나 이미지를 상징하는 수단이 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 KCI등재

        공공기관의 소셜 미디어 콘텐츠 유형과 표현유형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

        서송이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0 조형미디어학 Vol.23 No.3

        Social media is becoming an important communication platform in the public sector. Social media facilitates effective communication by utilizing different types of verbal and visual information. Because social media in the public sector includes various content such as policy promotion and daily life information, an effective content strategy is required. However, due to the lack of research in the related field of study, research on social media content regarding psychological responses and user behavior is urgently needed. This study has conducted a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on 300 contents of 3 Instagram accounts of public sectors in South Korea.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has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likes’ and the number of comments on Instagram. This implies that consumers’ personal attitude of ‘liking’ content affects behavioral variables. Moreover, content information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policy promotions or events. In the case of executional elements, videos and animation were more effective than images or card news. Furthermore, figures such as public citizens and celebrities appeared to be effective visual elements. As for the amount of content, delivering information through a brief, one page summary information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as opposed to conveying a lot of information in a series of contents. Overall, the present study has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content and executional elements of social media content of the public sect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ory building and practical knowledge in understanding users’ psychological responses to verbal and visual information on social media. 소셜 미디어는 공공기관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 인식되고 있다. 소셜 미디어는 다양한 형태의 언어적 정보와 시각적 정보를 활용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 활용되고 있다. 공공기관의 소셜 미디어 콘텐츠는 정책홍보, 생활정보, 이벤트 등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어 전략적인 콘텐츠 전략이 필요하다. 그러나 관련 분야의 연구가 부족하여 소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심리적 반응과 행동에 관한 연구가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인기가 있는 3개 공공기관의 인스타그램을 선정하여 총 300개의 콘텐츠에 대한 양적 내용분석을 통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좋아요’ 수와 댓글의 수가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좋아요’라는 소비자의 개인적 차원의 태도가 사회적 차원의 행동변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콘텐츠 정보는 생활정보가 정책홍보나 이벤트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현 방법에서는 영상 또는 애니메이션이 이미지나 카드뉴스보다 더 효과적이며, 시각적 요소로서 시민이나 유명인과 같은 인물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콘텐츠 분량은 시리즈로 많은 정보를 전달하려고 하기보다는 간략히 한 페이지로 요약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소셜 미디어 콘텐츠의 내용과 표현 요소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소셜 미디어의 언어적 정보와 시각적 정보에 대한 이용자의 심리적 반응을 이해하는 이론 구축과 실무적 지식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레트로 브랜드의 제품범주 적합성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서송이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3

        Retail stores have recently driven sales with famous retro brands by triggering feelings of nostalgia and interest in consumers. Despite the significance of retro brand strategies, there is a lack of sufficient literature on the subjec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xtended brands according to the product category fit. Data were obtained from a sample of 154 adults to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sumers’perception according to product category fit of two snack brands. This study has selected specific popcorn brands available at convenience stores. Statistical analysis show that recognition, cognitive value, hedonic valu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are high among brands with a higher degree of product category fit. However, there a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nova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re is a high retro brand effect when the product category of the retro brand fits the parent brands and extended brands.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of consumers’ information processing of retro brand strategies of private brands by convenience stores. Regardless, the limitations in this study include use of low-involvement products of snack brands, thus it is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ers to compare low-involvement and high-involvement products to gain further insight. 최근 유통 매장에서는 과거 유명한 브랜드를 새로운 제품에 활용하는 레트로 브랜드 전략과 브랜드 확장 전략을 통해 소비자의 추억이나 향수를 자극하여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기업의 매출을 증대시키고 있다. 레트로 브랜드 전략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품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제품범주 적합성을 기준으로 확장 브랜드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154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제품범주 적합성에 따라 두 가지 스낵 브랜드를 활용하여 소비자의 인식을 비교분석하였다. 실험자극물은 편의점에서 판매하고 있는 팝콘 브랜드를 선정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제품범주에 적합한 브랜드가 적합하지 않은 브랜드 보다 인지, 인지적 가치, 쾌락적 가치, 선호도 및 구매의도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혁신성에서는 통계적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레트로 브랜드를 활용할 경우 모 브랜드와 확장 브랜드 사이에 제품범주가 동일하거나 유사할 때 레트로 브랜드 효과가 높다는 것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편의점 자체 브랜드의 레트로 브랜드 전략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처리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저관여 제품인 스낵 브랜드에 한정하였다는 점에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고관여 브랜드와 비교하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더욱 의미 있는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캐릭터의 확장 브랜드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카카오 프렌즈와 니니즈를 중심으로

        서송이,허정윤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4

        Digital charact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an emotional bond and intimacy in the process of social media communication. Emoticons, a typical example of digital characters, are sold as sole goods or licensed products. Accordingly, digital characters have become a new content for one source multi use (OSMU)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 towards extended brands of digital characters. The study was based on the most preferred digital characters in South Korea called Kakao Friends and Kakao Niniz, a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52 adults residing in Seoul. 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were familiarity, novelty, attractiveness, and preference. Results show that attractiveness is an influential factor which affects the preference for both Kakao Friends and Kakao Niniz. In addition, familiarity was higher for Kakao Friends while this variable was also a factor which increases preference for Kakao Friends. On the contrary, novelty was higher for Kakao Niniz while this variable was also found to be a factor which increases preference for Kakao Niniz.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s theoretically significant as it explains consumers' psychological responses to extended brands of digital characters. Moreover, this study provides industrial implications for extension strategies of digital characters. 디지털 캐릭터는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감성적 유대감과 친밀감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디지털 캐릭 터인 이모티콘은 단독의 상품으로 판매되거나 라이선스 상품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캐릭터는 우리나라 OSMU(One Source Multi Use)의 새로운 콘텐츠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캐릭터의 확장 브랜드에 대한 선 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캐릭터로서 국내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은 카카오 프렌즈와 카카오 니니즈를 선정하여, 서울에 거주하는 152 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종속변수로는 캐릭터의 친숙성, 참신성, 매력성 및 캐릭터에 대한 선호도가 활용 되었다. 연구 결과 매력성은 카카오 프렌즈와 카카오 니니즈에 대한 선호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카카 오 프렌즈는 친숙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친숙성은 카카오 프렌드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카카오 니 니즈는 참신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참신성은 카카오 프렌드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디지털 캐릭터의 확장 브랜드가 소비자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해 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디지털 캐릭터의 확장 전략에 대한 산업적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