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방광 소세포암:1예 보고

        허정남,김용수,조온구,고병희,임현철,함창곡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2001 한양의대 학술지 Vol.21 No.2

        Small cell carcinoma(also known as oat cell carcinoma) of the urinary bladder is an extremely rare malignancy and is derived from neuroendocrine stem cells. It is usually biologically aggressive tumor with early vascular and muscle invasion, so it has poor prognosis. Radiological findings of small cell carcinoma are similar to other malignancies of urinary bladder,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small cell carcinoma from other malignancies. Pathologic study is an only useful method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bladder tumor. We report here the case of 74th years old woman presented with painless gross hematuria.

      • KCI등재

        전이성 간암의 고주파 열치료: 병행 항암화학요법의 효용성

        허정남,임현철,김용수,고병희,조온구,서홍석,주경빈,이영렬 대한영상의학회 200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5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이성 간암의 치료에 있어서, 고주파 열치료에 병행한 전신 항암화학 요법의 효용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대상과 방법: 종괴의 개수가 5개 이하이고 최대 직경이 6 cm 이하인 전이성 간암으로 고주파 열치료를 시행 받았던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고주파 열치료 만을 시행 받은 11명을A군 고주파 열치료에 병행하여 전신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10명을 B군으로 나누어 두 군간에 국소 종양 치료율과 원격(간내 또는 간외 전이) 종양 억제율을 비교하였다 고주파 열치료는 50와트 용량의 고주파 발생장치와 15게이지 바늘형 전극을 사용하여 초음파 유도 하에 경피적으로 시행하였다. B군의 경우에는, 고주파 열치료 직후에 1달 간격으로 6회의 전신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전 환자에 대해 열치료 시술 후 24시간 이내에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여 시술전 단층촬영 결과와 비교 평가하였다. 완전 소작은 소작 범위가 주변에 조영 증강되는 부분 없이 종양을 완전히 포함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열치료 후 3개월과 6개월 후에 두 집단간의 국소 종양 치료율 및 원격 종양 억제율을 비교하였다(추적기간: 4개월$\circledcirc$7개월, 평균추적기간 10.2 개월) . 결과: 3개월과 6개월째 추적 조사에서 A군의 국소 종양 치료율은 43.8%(7/16)와 31.2% (5/16) 였으며 B군에서는 3개월 및 6개월 모두 75.0% (15/20) 였다. 3개월 국소 종양 치료율은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타이는 없었으나(p(0.05) , 6개월 국소 종양 치료율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타이를 보였다(f(0.05). 6개월 추적 조사에서 A군의 원격 종양 억제율은 27.3% (3/11) 였고, B군의 경우에는 80.0% (8/10)로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타이를 보였다(f(0.05) . 결론: 전이성 간암 환자에 있어 고주파 열치료에 병행한 전신적 항암화학요법은 고주파 열치료만을 시행하는 것보다 종양의 국소 재발과 원격 전씨를 감소시킨다 Purpose: To assess the usefulness of radiofrequency (RF) thermal ablation with combined chem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metastatic liver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A non-randomized, comparative study was performed in 21 patients with metastatic liver tumors. Inclusion criteria were that these should be less than five in number and less than 6 cm in diameter. Two groups were designed for comparison of the local and remote (new intrahepatic or extrahepatic) tumor control rate (Group A: RF alone, n = 11; Group B: RF + combined chemotherapy, n = 1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sex, and mass size between the two groups (p >0.05). All ablations were performed percutaneously with a 50W RF generator and 15G-needle electrode (RITA Medical System Inc.) under US guidance. In group B, six cycles of systemic chemotherapy were performed every month immediately after RF ablation. Follow-up CT scans were obtained within 24 hours of ablation and were compared with the findings of pre-ablation CT scanning. If an ablated lesion covered the mass without any residual enhancing foci, this was defined as complete ablation. Three and six months after ablation, local and remote tumor control rat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follow up: range 4-17 (mean, 10.2) months. Results: In group A, the local tumor control rate was 43.87o (7/16) and 31.27o (5/16) at 3 and 6 months followup, respectively, while in group B, the corresponding rates were both 75% (15/20). At three months, the difference in this rat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but at 6 month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At 6 months follow-up, the remote tumor control rate for Group A and Group B was 27.3% (3/11) and 80.0% (8/10), respectively, reflec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0.05). Conclusion: In patients with metastatic liver tumor,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with combined chemotherapy may be superior to RF thermal ablation alone for both local and remote tumor control.

      • KCI등재후보

        식도 천공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허정남,최요원,전석철,박충기,함창곡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7 No.3

        Purpose: To determine which CT findings are useful for the early diagnosis of esophageal perforation, and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o assess the accuracy of prediction of the perforation site. Materials and Methods: A review of medical records indicated that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2001, 36 patients with esophageal perforation were admitted to our hospital. Thirteen of these [M:F=8:5; age: 28-69 (mean, 52.4) years], who had undergone CT chest scanning,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causes of esophageal perforation were trauma (n=5), infectious diseases (n=4), Boerhaave syndrome (n=1), lung cancer (n=1), esophageal cancer (n=1), and idiopathic (n=1). Two chest radiologists unaware of the clincal findings reviewed the CT scans and predicted whether the upper or lower esophagus was perforated. Results: The most common CT finding was extraluminal air at the posterior mediastinum (n=11), while other findings included pulmonary consolidation (n=10), pleural effusion (n=7), discontinuity of the esophageal wall (n=6) and subcutaneous emphysema (n=4), fluid collection around the esophagus (n=4), esophageal wall thickening (n=4), pneumothorax (n=2), and lung abscess (n=2). The perforation site was accurately predicted in 76.9% of cases (10/13). Conclusion: The CT findings which help the diagnosis of esophageal perforation, and prediction of the sites at which it occurs, are extraluminal air or fluid collection, focal defect of the esophageal wall, and esophageal wall thickening. 목적: 식도 천공의 조기 진단에 유용한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을 알아보고, 이 소견에 의한 식도천공 부위의 예측이 얼마나 정확한지 알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최근 6년간 식도 천공으로 진단된 36명의 환자 중 진단적 목적으로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연령 분포는 28세에서 69세로, 평균 연령은 52.4세였으며, 남자가 8명, 여자가 5명이었다. 식도 천공의 원인은 외상 (n=5), 감염성 질환 (n=4), Boerhaave 증후군 (n=1), 폐암 (n=1), 식도암 (n=1), 그리고 특발성 (n=1)등 이었다. 두 명의 흉부방사선과 전문의가 임상정보 없이 합의 하에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을 분석하였고 전산화단층촬영을 토대로 천공 위치를 상부 또는 하부 식도로 추정하였다. 결과: 후종격동의 공기 음영이 11예에서 보여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폐 실질의 경화성병변(n=10), 흉막유출 (n=7), 식도 벽의 결손 (n=6), 피하기종 (n=4), 식도 주위의 액체집적 (n=4), 식도벽의 비후 (n=4), 기흉 (n=2), 폐 농양 (n=2) 등이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관찰되었다. 천공 위치의 예측 정확도는 76.9% (10/13) 였다. 결론: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식도 주위의 공기나 액체집적, 식도 벽의 결손, 식도 벽의 비후 등의 소견이 식도 천공의 진단과 천공 위치 추정에 유용하다.

      • KCI등재

        이하선의 낭성 피지선종: 증례 보고

        김수연,허정남,김진우,박문향,박찬금 대한영상의학회 2007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6 No.1

        Cystic sebaceous adenomas are rare neoplasms that can arise in salivary glands. Among the salivary glands, the most commonly reported location is the parotid gland where it must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intraparotid masses. Unfortunately, its imaging features are not well-known as a result of its rarity. We report a case of cystic sebaceous adenoma that manifested as a gradually enlarging mass within the parotid gland of a 60-year-old man. 낭성 피지선종은 타액선에 발생하는 드문 종양으로 그 영상소견은 잘 알려졌지 않다. 이 종양은 타액선 중 이하선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다른 이하선 종양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저자들은 60세 남성에서 서서히 자란 이하선 종괴로 발현된 낭성 피지선종의 예를 영상 소견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Unexpected Metastasis of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of the Bile Duct into Thoracic Cavity with Direct Extension: Case Report

        김응태,허정남,박충기,최요원,전석철 대한영상의학회 201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7 No.2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IPMN) is known to arise from intraductal proliferation of mucinous cells with findings of marked dilatation of the biliary or pancreatic duct. There are reports of the metastasis and extension of pancreatic IPMN. However, cases of biliary IPMN with direct metastasis, or metastasis to distant locations, are rare. We present a case of metastasis of biliary IPMN with unexpected direct extension into the thoracic cavity, and we attempt to account for the mechanism of this extension.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