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해결력 수준에 따른 교사역할수행과 교사 효능감 경향 탐색

        허수윤 ( Su Yun Heo ),서현아 ( Hyun Ah Se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문제해결력과 교사역할수행 및 교사 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며 유 아교사의 문제해결력의 형성을 위한 연구 및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 구대상은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32개 기관의 교사 4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상관이 높은 종속변수를 측정하기 위해 각 변수의 결합된 차이를 밝힐 수 있는 M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역할수행 및 교사 효능감은 유아교사의 문제해결력 수준이 높은 상집단과 중집단, 상집단과 하집단, 중집단과 하집단 간에 교사역할수행 및 교사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다변량 분석을 한 결과, 문제해결력 수준에 따라 교사역할수행 및 교사 효능감의 전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유아교사의 문제해결력은 교사역할수행 및 교사 효능감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되므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도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 해 교사역할수행과 교사 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 문제해결력 또한 함께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ir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teacher efficacy and determine relationships among those three variables, ultimatel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further research and education to help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 bette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can improve those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teacher effica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differences in the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teacher efficacy i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Second, how much the sub-areas of those teachers``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teacher efficacy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level of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MANOVA, where interactions between those sub-areas were controlled, to find that all the sub-area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at leve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solving ability has positive effects on their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teacher efficacy, suggesting that courses aiming at improving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ccordingly, the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teacher efficacy should be created and integrated to the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수태도와 교수효능감이 신체표현 교수실제 및 교수불안에 미치는 영향

        허수윤 ( Heo Su Yun ),서현아 ( Seo Hyun Ah ),오지은 ( Oh Ji E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수태도와 교수효능감이 신체표현 교수실제 및 교수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32개 기관의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다중공선성 진단,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수태도와 교수효능감은 신체표현 교수실제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표현 교수태도의 흥미 및 부담감과 신체표현활동을 위한 준비가 신체표현 교수실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표현 교수효능감의 결과기대 효능감과 개인적 신체표현 효능감 모두 신체표현교수실제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수태도와 교수효능감은 신체표현 교수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신체표현 교수태도의 흥미 및 부담감, 직접적 조작에 의한 신체표현활동, 신체표현활동의 필요성 및 발달적 적합성이 신체표현 교수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신체표현 교수효능감 중에서는 개인적 신체표현 교수효능감이 신체표현 교수불안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수실제와 교수불안에 있어 신체표현 교수태도와 교수효능감의 중요성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ttitud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efficacy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practices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nxiety.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argeting teachers 300 people in 32 preschool institutions located in Busan, Gyeongnam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reliability tes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oments of Pearson, multicollinearity diagnostic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ttitudes,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efficacy as predictor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practices. Seco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ttitudes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efficacy as predictors affect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nxie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practices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nxiety of the importance of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ttitudes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 수준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의 차이

        허수윤 ( Su Yun Heo ),서현아 ( Hyun Ah Se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 수준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알아보며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의 형성을 위한 연구 및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의 2, 3년제 대학 3곳과 4년제 대학 2곳의 유아교육과 25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상관이 높은 종속변수를 측정하기 위해 각 변수의 결합된 차이를 밝힐 수 있는 M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탄력성은 교직관이 높은 상집단과 중집단, 상집단과 하집단, 중집단과 하집단 간에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탄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다변량 분석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 수준에 따라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탄력성의 전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은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되므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도 교직관 함양을 위해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 교직관 또한 함께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view of teaching as a profession on their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and to determine relationships among those three variables, ultimatel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further research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would help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 better view of teaching as a profession and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can improve teachers`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5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a college located in B City With cooperation of professors in charge of teaching courses of the major in the department, the author expla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view of teaching as a profession and directly conducted a survey between November and June 2014. A total 25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255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except for the ones with no answers or omitted answ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view of teaching as a profession. 2) The degree to which the sub-areas of those teachers`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differences were dependent on the level of their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was investigated through MANOVA, in which interactions between those sub-areas were controlled. Findings here reveal that all the sub-area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view of teaching as a profession..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courses aiming at improving teachers` views on teaching as a profession are warranted and that a teacher`s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should also be addressed as integral to any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허수윤 ( Su Yun Heo ),서현아 ( Hyun Ah Seo ),최남정 ( Nam Jung Choi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 및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창의성 역할수행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30명이었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 F검증, scheffe 사후검증 및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다소 높았으며,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은 교사의 경력과 직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의 관계는 전체 점수 및 각 하위범주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상하집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에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을 위한 교사교육 및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and their relation. A convenient samples of 330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obtained from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Busan. The data of general characteristics,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SPSS was used.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formed highly.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had differences meaningfully depending on teacher`s career and class. Third,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Forth,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had differences meaningfully depending on the level of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related to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greatly, so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hould develop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과 창의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허수윤 ( Heo Su Y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6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행복과 창의성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고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부산시에 소재한 3년제 전문대학 6개 및 4년제 대학 3개 총 9개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유아교육과 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과 창의성의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사회적 문제해결력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과 창의성 및 사회적 문제해결력 간의 상관관계성 을 분석한 결과, 행복과 창의성 및 사회적 문제해결력 전체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행복과 창의성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 및 창의성은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유의한 예측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력의 발현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유아교사직을 수행함에 있어서 행복과 창의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happiness and creativity with their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 total of 450 preservice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six three-year colleges and three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in South Korea completes a survey.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with subscalesof happiness and creativ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s a dependent variable. We fou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happiness, creativity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creativ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were a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ir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Therefore,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happiness and creativity for their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offers implications for the needs of program designed to enhance their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program.

      • KCI등재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창의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허수윤(Heo Su Yun),서현아(Seo Hyun Ah),최남정(Choi Nam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창의성 및 원 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창의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B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 다. 연구결과,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유아교사의 연령, 경력, 학 력, 직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유아교사의 창의성은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직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창의 성은 전체 총점 및 각 하위요인별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원장의 변 혁적 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조직문화를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원 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창의성 향상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early childhood teacher s perception of director 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 s creativity, and their connection. A convenient sample of 330 early childhood teachers obtained from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Pusan. The date collec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director 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 s creativity through questionnaires and SPSS was used.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director 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igh performed and early childhood teacher s perception of director 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fferences meaningful as teacher s age, career, schooling, and class.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early childhood teacher s creativity differences meaningful as teacher s career, schooling, and class. Third,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director 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creativity. Suggest that based on the results, the director 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arly childhood teacher s creativity should be development creative school culture.

      • KCI등재

        유아용 TRIZ 프로그램의 창의성 증진 효과검증

        김희정 / 허수윤 / 서현아(Hee Jung Kim / Su Yun Heo / Hyun Ah Seo)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6 창조와 혁신 Vol.9 No.1

        This study suggested the TRIZ program applicated activity that accessible within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to promote young children’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Nursery located in Busan, 5 year olds the target with 41 peopl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August 10, 2015 for 11 weeks from October 2015 until the 19th day of the experiment carried out 20 tim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RIZ creativity program in advance, whether in post-score difference by using PASW 21.0 for Windows was conducte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The results of the study , young children’s TRIZ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reativity around the sub-factor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a child's creativity enhancement. 유아 수준의 TRIZ원리를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육할 수 있도록 국가수준 교육과 정인 누리과정의 생활주제에 맞추어 연계하는 활동 형태로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부산광역시 J군에 위치한 G어린이집 만 5세 유아 41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2015년 8월 10일부터 2015년 10월 19일 까지 11주 동안 20회 실험을 실시하였다. TRIZ 프로그램의 창의성 효과검증을 위해 사전, 사후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Window용 PASW 21.0을 이용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유아용 TRIZ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성 전 하위요인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 KCI등재

        영유아 부모의 육아종합 지원센터 참여 실태 및 요구조사

        안영혜 ( Young Hye An ),서현아 ( Hyun Ah Seo ),허수윤 ( Su Yun Heo ),한희정 ( Hee Jung Ha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1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육아종합 지원센터의 참여 실태와 만족도를 알아보고, 지역사회의 자원으로서 육아종합 지원센터의 활용 정도와 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부산지역 육아종합 지원센터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부모 434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활용하여 빈도검증, 평균과 표준편차, 집단별 기술분석, 부모 변인 간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아종합 지원센터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영유아 부모의 34.3%가 알고 있고 65.7%가 모른다고 응답하였으며, 이에 따른 두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력, 맞벌이 여부, 자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육아종합 지원센터 사업에 대한 이용은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제공’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어린이 도서관 운영 및 도서, 시청각 자료 대여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육아종합 지원센터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방법은 보육시설을 통한 홍보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녀교육에 대한 정보제공 및 활용은 인터넷을 통한 활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육아종합 지원센터에 대한 요구는 보육시설 관련 정보제공, 상담 사업으로는 전문가 상담사업, 육아지원 사업에서는 놀이 체험실 운영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with infants and Kindergarteners in the city of Busan in the childcare support center, their satisfaction level, their usage of the center as local resources and needs for the center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childcare support center in Busa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34 parent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SPSS 18.0, and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by group were conducted.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and chi-square test was utilized in consideration of the parent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wareness of the parents who raised infants or Kindergarteners was analyzed, and 34.3 percent of them replied they knew about the center. 65.7 percent answered they didn``t. So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as analyzed,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cademic credential, whether to be a double-income family or not, and the number of child. Second, regarding their usage of the childcare support center and satisfaction level, they made the most use of information provided by the website, and they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children``s library and checking out books and audiovisual materials. Third, as to P.R. methods for boosting the usage of the childcare support center, childcare facilities were the most common ways to promote the center, and the Internet was the most dominant way to offer and use information on child education. Fourth, in regard to needs for the childcare support center, they asked for information on childcare facilities when their informative needs were analyzed. In terms of needs for counseling, they called for counseling by specialists. In terms of needs for childcare support, they asked for hands-on play programs.

      • KCI등재후보

        교육용 3D 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유아발달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임인정(Lim In Jung),서현아(Seo Hyun Ah),허수윤(Heo Su Y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3 창의력교육연구 Vol.13 No.3

        유아들의 눈에 쉽게 인식되고 몰입될 수 있는 자료를 구현하기 위해 교육용 3D 영상 콘텐츠를 교수매체에 적용함으로써 유아발달과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부산광역시 K군에 소재한 J어린이집 만5세 유아 17명과 C어린이집 만5세 유아 17명을 대상으로 J어린이집 유아 17명은 교육용 3D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을 9주간 주 2회 총 17회를 실시하였고, C어린이집 17명은 통제집단으로 만5세 누리과정에 준하는 활동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교육용 3D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은 유아발달 검사에서 사회발달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아 창의성에서 추상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유아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교육용 3D영상 콘텐츠의 바람직한 활용이 무엇보다도 중요함과 동시에 교육의 내용 및 활용이 효과적으로 제공되는 수업매체로서의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bout influence on Child development and Children's Creativity Through education programs method to 3D Stereoscopic Contents, which now ever more considered a form of effective method for teaching then education programs method to 2D Stereoscopic Conten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on the basis of our research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 group which conducted by education programs method to 3D Stereoscopic Contents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of Child development by comparison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It means education programs method to 3D Stereoscopic Contents had positive impact on promoting Child development. Second, the experiment group which conducted by education programs method to 3D Stereoscopic Contents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of Children's Creativity by comparison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It means education programs method to 3D Stereoscopic. Contents had positive impact on promoting Children's Creativity.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창의·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강좌 개발

        김형재(Hyoung-Jai Kim),구성수(Sung-Soo Koo),김형숙(Hyung-Sook Kim),김경숙(Kyoung-Suk Kim),김정빈(Jeong-Bien Kim),허수윤(Su-Yun H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창의․인성을 증진시키고자 「창의․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강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창의․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강좌를 개발한 절차는 창의·인성교육 강좌 개발의 필요성 진단, 창의·인성교육의 기본방향 설정, 팀티칭 교수학방법 적용, 「창의․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강좌 시안 구성 및 개발, 최종 「창의․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강좌 완성의 총 5단계를 거쳤다. 이에 「창의․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강좌의 교육과정은 총 3시간씩 10주로 구성되었으며, 각 전문가별 활동은 총 8개가 개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