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허수연,이소현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9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he social skill and activity engagement young children in inclusive classroom. The research participation class was composed of two five-year-old inclusive classes, each involving 23 children from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or the verification of intervention effect on children in inclusive class, the social skills was performed with two independent sample t tests and engagement in circle time activity was performed with the covariance analysis(ANCOVA). Also, Effect on activity engage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experimental group was recognized through a case study on the engagement rate and the occurrence rate by activity type in circle time activity and free-choice activity. As a result, the inclusive class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implemented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social skill and activity engagement rather than children inclusive class of the control group. Activity engage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ly resulted in positive changes depending on the type of activ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act of elemen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young children in inclusive class and mad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본 연구는 학급 차원에서 실시한 보편적 수준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학급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1개씩 두 개의 만 5세 완전통합학급으로 각각 23명의 유아가 참여하였다. 중재효과 검증을 위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은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고,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활동 참여는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이야기나누기와 자유선택활동의 활동 참여율과 활동 참여 유형별 발생률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통합학급 유아는 통제집단의 통합학급 유아보다 사회성 기술과 활동 참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학급에 소속된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는 활동 유형과 개별 유아의 특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의 토대로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요소가 통합학급 유아에게 미친 영향을 논의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자녀유무별 여성임금격차(Family gap) : 소득분위에 따른 비교연구

        허수연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2

        This study analyze Family gaps(the wage gap between mothers and non-mothers) across the wages distribution in Korea using 2008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nalysis models include Heckman's two stage estimation to control women's labor participation selection and Quantile regression method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 at different points of the wage distribut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first, comparing non-mothers, mothers with one child suffer statistically significant hourly wage losses at 25th, 50th, and 75th distribution, however not significant effects are found at lowest(10th) and highest(90th) distribution. Second, comparing non-mothers, mothers with two more children suffer statistically significant hourly wage losses at all distribution. Family gap differs across the wage distribution and highest family gaps are found at 25th distribution. With these results, the author suggests universal family policies to support mothers' labor participation and the reconciliation of work and family. 본 연구는 소득계층에 따른‘자녀유무별 여성임금격차(Family gap)’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8년 한국노동패널의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헤크만 2단계 추정법(Heckman's two stage estimation) 모형을 통해 분석대상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선택을 결정하는 조건부 기댓값을 통제한 후, 소득분위에 따른 자녀양육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분위회귀분석(Quantile regression)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저소득계층(10분위)과 고소득계층(90분위)을 제외한 모든 소득분위에서 자녀를 한 명 양육하는 경우 자녀가 없는 경우에 비해 시간당임금이 낮아지는 결과, 즉 Family gap이 발견되었다. 또한 모든 소득계층에서 둘 이상의 자녀를 양육하는 경우 자녀가 없는 경우에 비해 시간당임금이 낮아지는 Family gap이 발견되었다. Family gap은 자녀가 하나 있는 경우와 둘 이상 있는 경우 모두 소득계층 25분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양육으로 인한 여성의 노동시장 불평등과 여성 간(間)의 불평등 완화를 위한 보편적인 가족정책의 확대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기술 습득을 위한 활동-중심 삽입교수가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허수연,이소현,이수정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8 유아특수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for social skill achievement on the social interaction targets in inclusive setting.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was embedded in classroom activities and routines to teach social skill targets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multiple-probe across subjects design assesse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This study conducted baseline, teacher training,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During baseline period, the social interaction activities of 10-minutes in the free play session were observed. And in processing intervention,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five times a week in the context of ongoing activities and routines inclusive classroo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for social skill achievement increased the frequency of social interaction targe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for social skill achievement was effective in increasing social interaction developm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 These findings suggest the ingredients in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in inclusive classroom may be related to how teachers are adaptively at recognizing and organizing instructional trials for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본 연구는 통합된 환경에서 장애 유아에게 활동-중심 삽입 교수를 이용하여 사회적 기술을 교수하였을 때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일반 어린이집에 다니는 세 명의 장애 유아가 참여하였으며, 각 장애 유아에게 활동-기술도표와 삽입교수계획안을 사용하여 하루 전제 일과 중에 활동-중심 삽입교수를 실시하여 교사에 의해 선정된 사회적 기술들을 교수하였다. 실험은 대상자간 중다 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교사훈련, 중재, 유지의 순으로 회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세 명의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이 증가되었고, 이후 유지 조건에서 3명의 유아 모두 중재 시기의 평균 발생률보다 높은 수준으로 상호작용을 보여 중재의 효과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수를 실제 통합된 환경과 활동 내에서 실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활동-기술 도표와 삽입교수계획안을 이용하여 전체 활동 내에서 교수 기회를 충분히 확보하고 각 교수 기회마다 환경구성 전략, 선행자극과 후속결과의 구체적인 교수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장애 유아를 위한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교수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 KCI등재

        Stake의 반응적 평가에 의한 음악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평가

        허수연,김미숙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3 음악교육공학 Vol.- No.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Robert Stake’s responsive evaluation on music programs to provide effective evaluation methods for the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n music. For this, Stake’s responsive evaluation was introduced. Stake’s evaluation method was classified into time, method, procedure, goal establishment and applied to character education in music. Each stage including planning and applying methods was appropriately modified and applied for the contents of music program. The evaluation should consider the experience of music teachers, students, administrators, subjectivity of materials and pluralism because the perceptions of people who are related to evaluation programs are important to responsive evaluation. 이 연구는 음악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효과적인 평가방법의 방향 제시를 위해서 Robert Stake의 반응적 평가를 음악 프로그램에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 구성주의 입장의 대안적 평가로 제시되고 있는 Stake의 반응적 평가를 소개하고 가치를 중시하고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Stake의 평가를 시기, 방법, 절차, 목표 설정으로 분류하여 음악과에서의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에 적용하였다. 평가 방안 마련의 연구 초기 설계 단계부터 수립 단계를 거쳐 방안 마련, 방안 적용 단계, 적용 후의 전 과정을 음악과 프로그램의 평가 내용에 적합하게 적용하여 관찰 평가한다. 반응적 평가는 평가와 관계된 실제 프로그램에 관련된 사람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가 중요하므로 음악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련된 음악교사, 학생, 학부모, 행정가 등 그들의 주관적 경험과 활동, 시간에 대한 이해와 평가 대상의 맥락, 자료의 주관성, 다원성 등을 중시해서 평가해야 한다.

      • KCI우수등재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교육 프로그램 평가 연구

        허수연,김미숙 한국음악교육학회 2020 음악교육연구 Vol.4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반응적 평가를 적용하여 A대학교에서 진행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자 경험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질적 연구하는 것이다. 청소년 66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통한 경험과 요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 반응에 따라 교육받는 음악적 수준에 대한 내용, 교수자와의 신뢰 형성, 참여자 요구에 대한 이슈가 발생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과정에서 발생한 이슈는 프로그램 과정 중 개선하여 참여자의 반응에 긍정적 변화를 얻을 수 있었다. 반응적 평가에 의한 프로그램 연구는 참여자의 프로그램을 통해 경험하는 반응을 살펴보고 개선한 결과 참여자에게 만족도 높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기혼 여성 사회복지사의 직장-가족갈등 구조에 관한 연구 -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배우자 지지의 영향분석 -

        허수연,엄태영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9 No.3

        본 연구는 기혼여성 사회복지사가 겪고 있는 직장-가족 간의 갈등을 갈등의 속성에 따라 ‘직장일로 인한 가족갈등(work to family conflict)’과 ‘가족일로 인한 직장갈등(family to work conflict)’으로 나누고, 각각의 갈등에 대해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와 배우자의 지지가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기혼여성 사회복지사 159명으로, 각 변인들이 직장-가족 간의 두 갈등에 미치는 영향과 갈등 간의 순환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는 ‘직장일로 인한 가족갈등’을, 배우자의 지지는 ‘가족일로 인한 직장갈등’을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직장-가족 간 갈등의 순환관계에 대한 분석에서는 가족 갈등이 직장 갈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직장 갈등이 가족 갈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두 갈등 간의 순환적 관계는 검증되지 않았으나, ‘직장일로 인한 가족 갈등’이 증가할수록 ‘가족일로 인한 직장 갈등’이 더 커지는 경로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혼 여성사회복지사의 직장-가정간의 갈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국내 문헌분석을 중심으로 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중 음악교육 프로그램 연구 분석

        허수연,김지혜,유영지,유하양 한국음악교육학회 2023 음악교육연구 Vol.5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중 음악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문헌을 분석하여, 질적으로 향상된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방안 및 제도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현재까지의 국내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 중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영향, 교수자에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학교문화예술교육 중 음악교육 프로그램은 학교와 지역 특성에 따라 보편적예술교육을 목표로 하여 운영되고 있으나 지원 대상 및 범위의 확대, 학교별 특징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 지원의 필요성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학교문화예술교육 중 음악교육 프로그램은 학생, 학교, 교사, 지역사회에긍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교육의 지속성, 지역과 기관의 연계 시스템 강화에 대한 방안이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셋째, 음악교육 프로그램별 특성을 반영한 교수자의 선발, 교수자 간 효율적인 역할 분담, 활용도높은 다양한 주제의 교수자 교육 시스템 마련이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research data for planning measures and systems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bas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by analyzing domestic literature. For this purpose, the operation status, impact, and instructors of music education programs in school-bas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were examined, focusing on previous studies from 2010 to 2023.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music education programs in school-bas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were being operated to provide universal arts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s and regions, it was needed to expand the support and scope of the projects as well to support custom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music education programs positively impacted students, schools, teachers, and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a need for measuring the continuity of education and strengthening the linkage between regions and institu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following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the selection of instructo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gram, efficient role distribution among instructor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structor education system on various useful subjects.

      • KCI등재

        유아특수교육 환경에서의 문제행동 지원을 위한 교사 전문성 향상 관련 연구 동향 및 과제

        허수연,신수진,이소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문제행동 중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현직교육으로 실시한 국내외 관련 연구의 동향과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국내외에서 발표된 실험연구 총 29편을 선정하여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교사 전문성 향상 중재와 추후지도 내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질적 수준은 CEC(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CEC, 2014) 질적지표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외 연구가 국내 연구보다 양적으로 훨씬 더 많았고, 중재는 일반 유아부터 장애 유아까지 포함한 환경에서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예방적 차원의 보편적 중재 실행 지원에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 초기교육과 추후지도를 함께 실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성과는 대부분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고 있으나 중재충실도 실행율은 높지 않았으며, 연구별로 사용한 초기교육과 추후지도의 형태, 강도, 지원전략이 다양하였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국내 유아특수교육 환경에서 효과적인 문제행동 지원을 위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 관련 중재 방안을 모색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PD) intervention for behavioral support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al settings. Method: Twenty-nine studies published since 2000 were reviewed.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for overall trends. They were further analyzed for PD interventions, follow-up, and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CEC, 2014) quality indicators. Results: There were more international studies than domestic studies. Interventions were almost implemented in supporting universal designed at the preventive approach to improve teachers' PD in early childhood settings. Most of the outcomes reported positive effects, but the implementation fidelity was low. In addition, each study used various forms, intensity, and support strategies in the initial training and at the follow-up.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about PD for effective behavior support in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ield in Korea.

      • KCI등재

        감사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이중매개효과

        허수연,이희경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감사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 이상의 대학생 445명을 대상으로 감사, 대인관계 유능성,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는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둘째, 감사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이중매개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감사와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심리 내적 기제를 밝히고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위한 상담적 개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