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 합성배양액에 첨가된 Fructose가 난자의 성숙 및 단위발생 난자의 배 발육에 미치는 영향

        허동혁,신혜지,이주형,이은송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17 한국수정란이식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 배양액에서 다양한 농도의 육탄당 처리는 난자의 성숙률과 배 발 육능, 세포수 증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육탄당의 일종인 fructose가 돼 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난자의 체외배양액으로는 cysteine, pyruvate, epidermal growth factor, kanamycin, insulin 및 호르몬이 첨가된 porcine zygote medium (PZM)-4 또는 10% 돼지 난포액이 첨가된 PZM-3을 이용하였고 실험설계에 따라 다양한 농도의 fructose 및 5.5 mM의 glucose를 첨가하여 44시간 동안 배 양함으로써 난자의 성숙을 유도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 서는 1.5, 3.0 및 5.5 mM의 fructose 와 5.5 mM의 glucose가 첨가된 성숙배양액에서 배양된 난자의 성숙률 및 단위발생 후 배 발육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1.5, 3.0 및 5.5 mM fructose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성숙된 난자는 5.5 mM glucose가 첨가된 배양액에서 성숙된 난자와 비교하였을 때 유 사한 핵 성숙 률(81.9-91.5% vs. 94.2%), 단위발생 후 분할률(89.4-92.4% vs. 90.1%), 배반포 발달률 (39.3-41.1% vs. 39.4%) 및 배반포 세포수(30.8-34.2% vs. 31.8%)를 보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 10% 돼지 난포액이 첨가된 PZM-3 배양액에서 무처리 및 3.0 mM fructose, 5.5 mM glucose 및 3.0 mM fructose와 5.5 mM glucose 병행 첨가 성숙배양액에서 성숙된 난자의 성숙률 및 단위발생 후 배 발 육률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3.0 mM fructose (93.1%), 5.5 mM glucose(91.7%) 및 3.0 mM fructose 와 5.5 mM glucose 병행 처리군(93.5%)이 무처리군(74.4%)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은 핵 성 숙률을 보였다. 또한 5.5 mM glucose(90.1%) 및 병행 처리군(97.2%)은 대조군(67.6%)에 비해 유의 적으로(P<0.05) 높은 분할률을 보였다. 배반포 발달률은 3.0 mM fructose(52.6%) 및 병행 처리군 (58.8%) 에서 무처리군(44.4%) 및 5.5 mM glucose (51.0%)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다. 본 실험 결과로 보아 체외성숙 합성배양액 내 fructose 첨가는 glucose와 유사한 수준의 배 발육률 을 보임으로써 glucose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이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각지대를 고려한 이동로봇의 인공표식기반 위치추정시스템

        허동혁,박태형 한국로봇학회 2011 로봇학회 논문지 Vol.6 No.2

        This paper propose a localization system of indoor mobile robots. The localization system includes camera and artificial landmarks for global positioning, and encoders and gyro sensors for local positioning. The Kalman filter is applied to take into account the stochastic errors of all sensors. Also we develop a dead reckoning system to estimate the global position when the robot moves the blind spots where it cannot see artificial landmarks, The learning engine using modular networks is design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dead reckoning system. Experimental results are then presented to verify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localization system.

      • KCI등재

        지역혁신 R&D 거버넌스에 관한 소고(小考): 트리플 헬릭스 모형을 중심으로

        허동혁,강태우 한국의정연구회 2022 의정논총 Vol.17 No.2

        Regardless of political ideology, previous governments cited regional innovation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s the top priorities among state affairs. It is known that the formation of relations with the private sector such as the government, industry, and academia plays a key role in resolving the centralization of the metropolitan area through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nd preparing for future society. Various policy efforts are being made to prepare various systems, policies, and governance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cluding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Act, but the results are insignificant. This can be analyzed because the central government promoted somewhat vertically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actical limitations, it is necessary to promote long-term and continuous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by developing the capabilities of local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ies and discovering regional and strategic industries with local governments. In this paper, we present a triple helix model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establishing governance to build such a horizontal collaboration ecosystem. Based on this, policies and institutional governance measures for regional innovation are proposed, and a new role of local universities is sought as a subject of regional innovation 정치적 이념과 관련 없이 역대 정권별로 주요 국정과제 중 최상위 순위로 거론되는 것은지역혁신과 지역균형발전 이었다. 수도권 집중화를 해소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산업계, 학계 등 민간분야와의 관계 형성이 핵심요소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국가균형발전법 제정을 비롯해 역대 정부별로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다양한 제도와 정책 마련,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큰 재정투자와 함께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진행하고 있으나, 현재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는 크지 않다. 이는 중앙정부 중심으로 다소 수직적인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였기 때문으로 분석할 수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방 소재 대학, 연구기관, 산업계의 역량을 육성하여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지역에 특성화된, 그리고 전략적인 산업을 발굴해 장기적이며 지속적인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런 수평적인 협업생태계 마련을 위한 거버넌스 정립의 이론적 근거로 트리플 헬릭스 모형(Triple Helix Model)을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지방혁신을 위한 정책적, 제도적 거버넌스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특히, 지역혁신주체로써 지방대학의 새로운 역할 정립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유통물류시설 부하특성을 고려한 ESS 구축 및 적정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허동혁,최옥환,권동명 한국에너지학회 2019 에너지공학 Vol.28 No.2

        Through the application of ESS-based fusion products to the demonstration site of the urban distribution logistics facilities for designing the peak control and the substitution before the emergency generator operation by product application and the effective application method by the product application and the data analysis by overcoming the spatial limitation of ESS installation and distribution, And the expansion of distribution and logistics facilities.

      • 보안기능이 강화된 디지털 도어락 설계 및 구현

        허동혁 ( Dong-hyeok Heo ),신상호 ( Sang-ho Shin ),정기현 ( Ki-hyun J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IoT 환경에서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관심과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의 사용 증가와 해킹 공격으로 인한 정보 유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현실 상황에서 보안 문제도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도어락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을 통하여 보안 취약점을 보완하고 편의성을 제공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인공지능과 인간 전문가의 오디오 마스터링 비교 연구

        허동혁(Dong-Hyuk Heo),박재록(Jae-Rock Par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3

        인공지능에 의한 직업의 대체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창의성이 중요한 예술 분야에서는 예외로 여겨졌다. 예술과 기술의 경계에 있는 직업인 음악의 마스터링에서는 현재 여러 인공지능 마스터링 서비스가 운영 중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지능의 마스터링은 전문 마스터링 엔지니어의 작업에 비해 품질이 낮다고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마스터링과 인간 마스터링을 음향 분석, 청취 실험, 전문가 인터뷰 과정을 통해 비교해 보았다. 음향 분석에서는 전문 마스터링 엔지니어의 결과물과 인공지능의 결과물에서 큰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청취 실험의 경우 비음악인 그룹은 전문 마스터링 엔지니어의 결과물과 인공지능의 결과물의 음질 차이를 거의 구분하지 못했다. 음악인 그룹은 특정 음원에 대한 선호를 드러냈지만, 어느 특정 마스터링에 대한 일반적인 선호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전문가 심층인터뷰에서도 전문 마스터링 엔지니어와 인공지능 마스터링간의 음향적인 차이는 거의 없으며, 가장 큰 차이는 마스터링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 간의 소통방식에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 향후 더 많은 데이터를 통한 훈련으로 인공지능 마스터링이 빠르게 품질향상을 이룰 것이고 사용자와 인공지능 간의 소통방식에서도 더 개선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While artificial intelligence is rapidly replacing human jobs, the art field where human creativity is important is considered an exception. There are currently several AI mastering services in the field of mastering music, a profession at the border between art and technology. In general, the quality of AI mastering is considered to be inferior to the work of a human professional mastering engineer. In this paper, acoustic analysis, listening experiments, and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mpare AI and human experts. In the acoustic analysis, In the analysis of audi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professional mastering engineers and the resul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listening experiment, the non-musicians could not distinguish between the sound quality of the professional mastering engineer"s work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work. The group of musicians showed a preference for a specific sound source, but the preference for a specific mastering did not appear significantly. In an expert interview, In expert interviews,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between the two mastering services, and the biggest difference was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mastering service provider and the user. In addition, as data increases, it is expect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mastering will achieve rapid quality improvement and further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 KCI등재

        뇌융합연구생태계 조성을 위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 쿼드러플 헬릭스 모델을 중심으로 -

        강태우,허동혁,오태원 연세법학회 2024 연세법학 Vol.0 No.44

        신경과학은 미래 융합기술분야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 기초연구 수준에 머물러 있던 신경과학은 현재 인간의 뇌를 분석해 새로운 신약과 의료기기를 개발하고, 인간의 뇌를 모사한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등 학제 간 연구의 중심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신경과학의 융합기술 개발 추세에 따라 우리나라도 국책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활발한 융합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정부는 「뇌연구촉진법」을 개정하는 등 다양한 법과 정책을 통해 신경과학을 육성하여 새로운 산업을 육성하고 시장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렇지만 신경과학은 아직 연구해야 할 분야가 많으며, 다양한 사회적 주체들이 함께 협업을 통해서만 성과가 창출이 가능하다. 인간의 뇌를 대상으로 하기에 특정 기관이 단독으로 수행하기 힘들며, 특히 임상의사가 참여하는 임상연구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이런 과정에서 뇌연구 성과물의 안전성과 효과성에 대하여 보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면밀하게 검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인간의 뇌에 대한 새로운 기술의 적용은 생물학적 장애외에도 다양한 사회적, 윤리적, 법률적 문제를 수반하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점들은 정부와 연구기관, 병원, 기업, 대학 등 기존 뇌연구 참여기관을 포함해 시민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새로운 연구생태계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논의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쿼드러플 헬릭스 모델을 중심으로 국가 차원의 새로운 뇌융합연구생태계 조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뒷받침하기 위해 「뇌연구촉진법」에 대한 개정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Neuroscience can be said to be the pinnacle of the future convergence technology field.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neuroscience, which had remained at the level of basic research in the past, is currently at the center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such as analyzing the human brain to develop new drugs and medical devices, and develop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simulates the human brain. In line with this trend of convergence technology development of neuroscience, Korea is also actively conducting convergence research centered 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the government is striving to foster new industries and create markets by fostering neuroscience through various laws and policies, such as revising the Brain Research Promotion Act.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fields to be studied in neuroscience, and results can only be created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various social actors. Since it is targeting the human brain, it is difficult for a specific institution to perform alone, and in particular, clinical research involving a clinician must be accompanied. In this process,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brain research results need to be carefully examined from a mid- to long-term perspective. This is because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y to the human brain involves a variety of social, ethical, and legal issues in addition to biological obstacles. These problem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new research ecosystem in which civil society participates, including existing brain research institutes such as the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hospitals, companies, and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considered the creation of a new brain fusion research ecosystem at the national level, focusing on the quadruple helix model. In addition, to support this discussion, it was intended to propose a revision plan for the Brain Research Promotion Act.

      • KCI등재

        제4차 뇌연구촉진기본계획 중 신경윤리학 분야에 대한 비판적 검토

        강태우,허동혁,오태원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3 생명윤리정책연구 Vol.17 No.1

        Neuroscience, often considered the foundational pillar of “digital bio,” which integrates medical life sciences with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has garnered substantial attention. In response to these evolving circumstances,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the “4th Basic Plan for the Advancement of Brain Research” in June 2023. This plan aims to leverage and commercialize the accumulated findings of neuroscience while adapting to the rapid changes in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While the promising future prospects and tangible outcomes of neuroscience are of paramount importance, there exists an issue of diminished emphasis on comprehensive research,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neuroethics, which addresses ethical, legal, and societal concerns, as outlined in the 3rd Basic Plan for the Promotion of Brain Research. Notably, the existing content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legal and policy frameworks to invigorate neuroethics remains unaddressed. Although efforts to leverage the outcomes of brain research are significant, the government must also play a vital role in reinforcing preventive measures, taking into account the long-term risks associated with neuroscience. Consequently, this paper undertakes the task of presenting recommendations from a legal policy standpoint to revitalize neuroethic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and a review of prior studies across different governmental basic plans.

      • KCI등재

        연구개발목적기관 육성을 위한 현실적 검토와 정책적 제언: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중심으로

        강태우,허동혁,권혁상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4 산업혁신연구 Vol.40 No.1

        Since 2019, the Korea government has reclassified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specific research institutions as distinct public entities, categorizing them separately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purposes in recognition of the specialized nature of their work and the associated administrative requirements. However, the impact of this system on the actual research sites appears to be relatively modest. While it is understood that no single law or system can fully satisfy all stakeholders,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stitutions advocate for additional institutional support due to the relatively minor changes observed after the system's implementation. In light of this situation, this paper conduct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R&D professionals to assess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the 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aper proposes policy measures that underscore the need for new management governance rooted i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expertise. However, it is essential to highlight that, beyond these discussions, there is a strong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self-evaluation and collaborative growth with the community to safeguard the autonomy of R&D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