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상신호를 이용한 단순평판의 진동계측

        함연수,김정수,김관주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0 소음 진동 Vol.10 No.6

        Applicability of the vibration signal phase for predicting the modal damping properties of structures is investigated. For uniform plates with different internal damping levels, the phase delay as a function of the frequency span as well as a func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excitation and response measurement points are experimentally obtained. Dependence of the phase characteristics on the amount of structural damping is elucidated -more heavily damped plate shows notably reduced phase delay at intermediate distances. The experimental results compare favorably with analytical predictions, and show much promise for further refinement as a tool for estimating structural properties.

      • KCI우수등재

        반월․박지도 주민의 인식과 태도를 통해 경관 읽기 - 퍼플섬(Purple Islands) 사업 전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

        함연수,서화연,최유나,성종상 한국조경학회 2023 韓國造景學會誌 Vol.51 No.4

        As of 2019, for the ‘Island I Want to Visit’ project, Banwol and Bakji Islands, located in Shinan-gun, started color marketing to create a tourist attraction by painting roofs, buildings, and facilities purple. As this landscape change was evaluated as a ‘dangerous but beautiful attempt,’ it was recognized as the ‘World’s Best Tourism Village’ in 2021, drawing attention from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However, the residents of the islands, who created and enjoy the benefits of the landscape, were alienated from the planning stag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s and symbols of residents’ perceptions of the purple landscape. The cultural landscape frame of new cultural geography, which interprets the landscape's symbolic meaning and ideological signs, was utilized. In addition, a holistic approach was applied to understand the residents’ perceptions of the multi-layered environment. Therefore, the perception of purple, the main color of the islands, the overall landscape and individual places, and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Purple Island project were investigated. After the Purple Islands Project, the main senses for recognizing the villages focused on sight, and the resi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purple landscape as it improved the underdeveloped village environment. This satisfaction was based on lessening the negative memories experienced as an island rather than a value judgment on the purple color.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the symbolic landscape, which has a social and universal system, has been subdivided and reorganized, including for tourism functions. It can be understood as an aspect of the spectacle landscape that appears in cosmopolitanism. However,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into a tourist attraction, it was discovered that the residents recognize the value of local resources and create a new cultural landscape.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anwol and Bakji has also changed around tourism.

      • KCI등재

        SNS는 지역 커뮤니티의 변용을 이끌어 낼 수 있는가 : 청년 1인 가구의 이웃 관계를 중심으로

        함연수,고하정,박지희 한국공간환경학회 2023 공간과 사회 Vol.33 No.4

        디지털 네이티브로 묘사되는 청년 세대가 온라인 플랫폼이라는 가상공간을 만남의 장이자 세계 확장의 매개로 활용하면서, 지역 커뮤니티를 어떻게 구축하고 있는지 탐색한다.이에 대한 질문은 첫째, SNS를 통해 지역 커뮤니티를 형성하게 된 배경을 밝히고, 둘째, SNS를 매개로 형성된 이웃 관계의 특징과 효용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청년 1인 가구에게 인접한 이웃은 예측할 수 없는 존재, 미상의 존재로 인식되어 불안감을 고조시켰고, 존재만으로도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홀로서기 하는 청년들에게는 주거지가 사회로부터 오롯이 자신만의 영역을 확보하고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이다. 따라서 그 의도가 어떻든 간에 자신을 알아보고, 개인 영역가까이 다가오는 것을 원치 않았다. 반면 ‘SNS 이웃’은 개인의 영역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만남을 시도하는 개인에게 다양한 ‘선택’의 기회가 주어지며, ‘즉시’ 만나 각자의 욕구를 해소할 수 있다는 점, ’교환가치’를 관계의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온라인 플랫폼이라는 매개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교류 과정에서 지속적이고 친밀한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느껴 좌절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동네에서의 다양한 만남과 경험을 시도하게 됨으로써 공간 인식의 범위가 확장되고 애착이 강화되었다. 동네에서 마주치던 익명의 타인이 만남 이후에는 ‘나와 비슷한 사람’으로 현화(現化)하며 인간군상의 다양성을 체득하기도 한다. SNS를 통한 관계 형성은 아무런 연고 없이 정착한 거주지에 익숙한 관계와 장소를 만들어 가는 디딤돌이자 ‘현재에 충실’한 행위, ‘일시적 뿌리내리기’이다. 또한 SNS가 매개한 ‘사람과 관계’가 1인 가구 청년이 주거지에 정착해 나가는핵심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다시 한번 지역 커뮤니티와 이웃의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장소기억의 매개로서 느티나무의 의미 고찰 - 역말 원주민과 도곡동 경남아파트 이주민을 중심으로 -

        함연수 ( Hamm¸ Yeon-su ),성종상 ( Sung¸ Jong-sa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는 도곡1동 경남아파트 단지 내에 위치한 약 760년된 느티나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함께 관계하며 살아왔던 과거 역말의 원주민들과 재개발 이후 입주한 이주민들의 기억을 조사하였다. 장소기억은 1980년대 이후 새롭게 조명된 개념으로 장소에 대한 감정과 생생한 기억의 흔적을 바탕으로 장소에 남겨진 다층적 기억을 연구하고 기록하는 새로운 연구 방법론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1970년대에 시작된 강남의 도시 개발은 느티나무가 위치하던 역말 주민들의 삶 터를 아파트 단지로 빠르게 바꾸었다. 평생의 터전으로 살아왔던 역말 원주민들은 전국 각지로 뿔뿔이 흩어지게 되었고, 이주민들이 새롭게 입주하였다. 그 과정에서 느티나무는 시대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관리되며 거주민 또한 서로 다른 방식으로 관계를 맺게 되었다. 역말 주민들은 느티나무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단오 때 그네뛰기를 하기도 하고, 마을 제사를 지낼 때 신의 강림처로 인지하였다. 즉 삶과 죽음의 전 과정을 함께하며 주민들의 생활사에 따라 다양한 역할이 부여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체험되던 직접적인 체험공간이자 역말 주민들의 집단기억이 녹아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반면 경남아파트가 건설되면서 보호수에 대한 관리가 엄격해짐에 따라 이주민들은 느티나무에 접근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는 시각적 향유를 중심으로 나무를 즐기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으며, 매년 열리는 역말도당축제를 통해 일시적으로 도시 공동체와 공동의 기억을 형성한다. 나무를 의인화하며 정신적 위안을 얻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었다. 도시 배경 속에서 노거수의 자연성이 부각되어 ‘유일함과 특별함’이라는 상징성을 획득하기도 하였으며 주민들은 이를 통해 아파트 단지에 대한 자부심과 장소애착을 갖기도 하였다. 두 주체의 느티나무에 대한 기억을 통해 시간의 층위에 따라 쌓여온 느티나무의 장소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대도시에서 느티나무 보호수가 지니는 가치 및 관리 방향을 고찰하는데 있어 ‘사람들의 기억’을 중심으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mories of the natives and the migrants who had been living with the 760-year-old Zelkova serrata located in the Keangnam Apartment Complex in Dogok 1-dong. Place memory is a newly illuminated concept since the 1980s, and is also used as a new research methodology for studying and recording multi-layered memories left in a place based on feelings and traces of vivid memories. The urban development of Gangnam, which began in the 1970s, quickly changed rural to apartment complexes. The natives of Yeokmal were scatter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new migrants moved in. In the process, zelkova serrata was managed in different ways from time to time, and residents also establish relationship in different ways. Natives used to take a rest in the tree or swing at Dan-o, and recognized it as a place to receive the god during the village ritual. In other words, they shared the entire process of life and death and were given various roles depending on the lives of the residents. It is also a direct experience that was experienced in detail and a place where collective memories of residents are melted. On the other hand, with the construction of Keangnam Apartment, the management of zelkova tree has become stricter, making it impossible for migrants to access. Migrants have come to enjoy zelkova serrata visually, and the annual Yeokmal Traditional Festival makes common memories in the city. In addition, many people personified trees and received mental comfort. In addition, the nature of the old big tree was highlighted in the background of the city, and the symbol of "uniqueness and speciality" was newly formed, which led to the formation of pride and attachment. Through the memories of the two subjects' zelkova tree, we were able to examine the memories of the tree value, and management of protected tree in the city.

      • KCI우수등재

        조선시대와 현대의 산 향유 양상 고찰 및 발전 방향 모색 - 경북 선비문화권 주요 명산(名山)을 대상으로 -

        박지은,양유선,함연수,이나희,성종상,Park, Ji-eun,Yang, Yoo-sun,Hamm, Yeon-su,Lee, Na-Hee,Sung, Jong-Sang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6

        우리나라는 산지형 국가로 예로부터 산은 국민의 일상과 깊은 관계를 맺어왔으며, 산림 향유 문화의 역사적 켜가 두텁다. 따라서 한국 산의 풍부한 유산 문화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다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유의미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산(遊山)문화가 성행하였던 조선시대의 산림 향유 문화와 현대 산림 여가 문화 양상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산 향유 문화의 발전 방향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명산으로 손꼽히는 청량산, 소백산, 속리산의 유산기록과 현대사회의 블로그 산행 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선시대 선비들은 산을 학문과 심신 수련의 장, 연회와 문예활동의 공간으로 찾고 있었다. 그리고 산에 오랜 시간 머물며 산수풍경을 오롯이 즐기고 자연 경관을 대상으로 다양한 학예 및 풍류 활동을 하는 등 유산 문화를 꽃피웠다. 반면 현대인들은 산을 하루 반나절 동안 빠르게 완주하는 공간으로 여기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산림 경관을 단순한 조망에서 나아가 문화 콘텐츠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오늘날은 산행과 관련한 정보수집이 용이하고 기술 및 교통의 발달로 다양한 규모와 성격의 산행을 상황에 맞게 운영 가능하다는 점은 긍정적이었다. 향후 한국 고유의 산림 향유 문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현대사회의 산행의 이점은 살리고 과거 풍부했던 유산(遊山)문화를 재해석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등반에 치우친 산행이 아닌 산의 풍경을 충분히 만끽할 수 있는 유람(遊覽)형 산행을 제안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산수 경관이 다양한 산림 휴양 활동 및 문화로 승화될 수 있도록 적절한 공간 조성 및 배치와 더불어 지역의 역사·인문 콘텐츠와 사찰 및 인력 자원을 적극 연계하여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In Korea, mountains constitute 60 percent of the total land area. For a long time, mountains have been deeply involved in people's daily lives, acting as a significant layer of culture. For those reasons, it would be meaningful to shed light on the values of the mountain culture of Korea and seek various ways to utilize the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Korea's mountain enjoyment culture, considering the mountain leisur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hen the heritage of mountain enjoying culture was prevalent, and that of the present era. For the analysis, hiking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nd present-day hiking blog posts related to three famous mountains in Korea were examined. Findings show that people stayed in the mountains for a long time in the Joseon Dynasty, concentrating on the landscape deeply, and various academic and artistic cultures flourished there. In contrast, contemporary people regard the mountain merely as a space to access the peak and climb down quickly within a day. Therefore, the landscape of the mountain cannot be used as a cultural asset beyond natural scenery. However, there are several positive aspects to today's climbing culture. For example, it is easy to obtain information on climbing and feasible ways to conduct various sizes and concepts of hik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ransportation. In order to develop Korea's unique mountain enjoyment culture in the future, we should propose a 'leisurely hike' that allows people to enjoy the mountain scenery fully and sublimating it into culture, rather than being hiking that is limited to climbing.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create suitable spaces, arranging them appropriately to utilize the history and humanities context of the mountain, and connect local facilities and the workforce, thereby causing the development of various mountain enjoyment cultures.

      • KCI등재후보

        감성디자인을 적용한 고속 엘리베이터 캐빈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주연(Kim Joo Yun),김정수(Kim Jung Soo),성정아(Sung Jung A),함연수(Ham Yeon Soo)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2000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지 Vol.2 No.2

        A methodology for high-speed elevator cabin design that combines the tools of industrial design and engieering analysis is proposed. Based on a sample survey of existing elevator installations, a set of design criteria which includes the cabin size, capacity, and operating speed is introcduced. In order to meet defferent needs of human aesthetics, 6 conceptual design types for elevator cabin are devised. For each cabin design, the methods of engineering analysis for reducing the cabin noise and vibration while ensuring the passenger safety are also describ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