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兵使實記』에 반영된 韓範錫의 신묘(1711)통신사행 연구

        한태문(Han, Tai-M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4 No.-

        이 글은 『韓兵使實記』에 수록된 신묘통신사 관련 자료를 통하여 한범석의 신묘통신사행을 살핀 것이다. ‘尙武’의 家風을 이어받아 武官이 된 한범석은 잇달아 燕行使(1710)와 通信使(1711)에 참여한 뒤 두루 중앙과 지방의 요직을 역임할 정도로 조정의 신임을 얻었다. 『한병사실기』는 한범석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수록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신묘통신사와 관련한 자료로는 전별시를 모은 「奉別日本行詩」와 한범석이 지은 사행록인『隨槎日錄』이 있다. 신미통신사는 德川家宣이 江戶 막부의 6대 장군이 된 것을 축하하기 위해 1711년 일본에 파견되었다. 한범석은 연행사 선발대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한 데다, 시문창작의 능력 때문에 正使軍官으로 선발되어 통신사행에 참여할 수 있었다. 한범석을 전별하는 16인의 송별시 16수를 모은 「奉別日本行詩」는 대체로 칠언율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적임자로 발탁된 데 대한 칭송과 기대, 바닷길 노정에 대한 염려와 이별의 아쉬움 및 무사귀환에 대한 바람을 내용에 담고 있었다. 『隨槎日錄』은 ‘일기’와 공문서가 포함된 ‘雜文’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일기는 부산에서 해신제를 지낸 6월 21일부터 江戶에서 머문 11월 15일까지만 기록한 불완전한 사행록이다. 하지만 바닷길 노정, 육로 노정, 江戶 체류등 상황의 변화에 따라 일정한 서술형식을 유지하였고, 다른 신묘통신사사행록에서 볼 수 없는 武官이 지닌 관심사 및 다양한 문화교류의 양상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이처럼 『한병사실기』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통신사행에서의 한범석의 활약상은 물론,『隨槎日錄』을 통해 기존의 사행록에서는 볼 수 없었던 신묘통신사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This article researched Han Beom-seok"s Shinmyo(1711) Tongshinsahaeng, which was included in the Hanbyeongsasilgi though related data. Han Beom-seok, who took over the family tradition of pursue the policy of militarism and became a military officer, gained the trust of government to the extent that he served in major central and provincial posts after participating in Yeonhaengsa(1710) and Tongshinsa(1711). Hanbyeongsasilgi contains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Han Beom-seok, among them Bongbyeolilbonhaengsi which collect the farewell poems, and Susailok, a diplomatic record created by Han Beom-seok are related to Shinmyotongshinsahaeng. Shinmyotongsinsahaeng was dispatched to Japan in 1711 to celebrate Tokugawa-Ienobu, becoming the sixth shogun of Edo Bakufu. Han Beom-seok successfully completed the mission of the advance party of Joseon missions and was able to create poems, so he was selected as a military officer for political affairs and participated in Tongshinsahaeng, Bongbyeolilbonhaengsi which collected 16 farewell poems for Han Beom-seok, are generally created with 7 words rhythm format. It included praise and expectation for being selected as the right person for the job, concern about the sea route, a regret of parting and wish for safe return. Susailrok consists of diaries and official documents. In particular, the diary is an incomplete diplomatic record that records only from June 21, when a sacrifice for the sea god was held in Busan, to November 15, when he stayed in Edo. However, it maintained a certain narrative format depending on the change of circumstances such as the sea route, land route, and stay in Edo, reflecting the interests of the military officials and the aspects of various cultural exchanges that are not seen in other diplomatic records. Like this, Hanbyeongsasilgi is avaluable data that provides a variety of information on the Shinmyotongshinsahaeng, which was not seen in the existing diplomatic records, through Susailrok, as well as the performance of Han Beom-Seok in Tongshinsahaeng, which has not been known well.

      • KCI등재

        庚寅通信使(1590)의 文化使節로서의 성격

        한태문(Tai-moon Ha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6 No.-

        이 글은 파견배경과 사행노정, 문화교류 활동의 구체적인 양상 등을 통해 경인통신사의 문화사절로서의 성격을 밝힌 것이다. 먼저 파견 배경과 사행 노정을 살폈다. 경인통신사는 豊臣秀吉의 통일 축하와 교린의 실현을 위해 3백여 명의 사행원이 1590년 3월 5일 서울을 출발하여 7월 22일 京都에 도착, 11월 7일에 國書를 전달한 뒤 이듬해 2월 말에 復命하였다. 그 노정은 목적지가 江戶가 아닌 京都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조선 후기 통신사의 서울—京都의 왕복 노정을 거의 그대로 밟고 있었다. 다음은 문화교류 활동의 다양한 양상을 살폈다. 먼저 문학은 주로 승려와 필담ㆍ창화를 통해 교류하였는데 특히, 宗蕣은 許筬과의 교류를 통해 승려에서 유학자로 변신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리고 서화는 사자관 李海龍의 눈부신 활약과 對馬島主가 소장한 그림에 대한 품평을 중심으로, 음악은 技藝에 뛰어난 악공이 공식연회 석상이나 일본인의 요청에 의한 공연으로, 軍官들도 일본인을 대상으로 馬上武藝를 펼쳤다. 또한 사행 도중 발병한 전염병으로 양국 의원간의 협력치료가 이루어지고 『大明一統志』를 매개로 양국 풍속의 교류도 이루어졌다. 따라서 경인통신사는 조선 후기 통신사에 버금가는 문화교류 사절로서의 성격을 충분히 지니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Gyeongintongsinsa(1590) as a cultural delegation by focusing on the background of its dispatch, the journey of the envoys, and the concrete aspects of their cultural exchanges. First of all, the article investigates the background of the dispatch and the envoys’ journey as well. To celebrate the national unification by Toyotomi Hideyoshi and form good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Gyeongintongsinsa consist of more than 300 members departed from Seoul on March 5 and arrived in Kyoto on July 22, 1590. After delivering the national document on November 7, it came back at the end of February next year with the completion of their mission. Although the destination of the journey was Kyoto, not Edo, its journey was almost the same as Tongsinsa’s ‘Seoul-to-Kyoto round journey' in the late Choseon Dynasty. Next, various aspects of its cultural exchanges were investigated. Above all, literature was mainly exchanged with monks by communicating in writing and exchanging poems. In particular, Jong Sun had a chance to change from a monk to a Confucian scholar through the exchanges with Heo Seong. An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ere exchanged mainly through Sajagwan Lee Hae Ryong’s remarkable activities and also criticism on the paintings that Tsushima Hansyu possessed. For music, court musicians did throw performances at a formal banquet or upon Japanese’ request. Also, military officials showed ‘masangmuye'―several feats performed during horseback riding―to the Japanese people. And for the infectious diseases they got to suffer while playing an envoy’s roles, there was cooperative treatment for the representatives of both countries, and with the mediation of Daemyeongiltongji, they exchanged the customs of both nations as well. Therefore, it can be safely said that Gyeongintongsinsa have enough characteristics as a delegation for cultural exchanges which was second only to Tongsinsa in the late Choseon Dynasty.

      • KCI등재

        朴孝純의 연구

        한태문(Han, Tai moon) 동양한문학회 2015 동양한문학연구 Vol.40 No.-

        이 글은 필자가 새로 발굴한 병자호란 관련 실기인 의 서술양상과 내용상의 특징을 살핀 것이다. 첫째, 작가의 생평과 의 서술양상을 살폈다. 작가 박효순은 조선 최초의 통신사 박서생의 후손으로, 병자호란이 발생하자 자원하여 전장에 나가 평안도와 황해도를 중심으로 활약하였다. 는 박효순이 병자호란의 전투와 그 전후의 무려 7년 4개월간의 체험을 기록한 일기로, 자신의 전란 참여 체험과 활약을 부각시키기 위해 전란 중의 활동은 매일 기록하고 그 외는 중요사건을 중심으로 간략히 정리하고 있었다. 둘째, 의 내용상 특징을 살폈다. 는 조정의 고위 관리와 장수의 무능에 대한 비판과 함께 유능한 지방관리의 충절을 대비시키고, 실기의 특성을 반영하듯 자신이 체험한 전란 현장의 사실적 묘사로 생동감을 극대화하고 있었다. 또 언행이 불일치하거나 탐욕에 물든 지방관,일행을 배반한 동지, 목민관에 대해 변함없는 충정을 유지하는 백성 등 전란에 직면한 다양한 인물들의 모습도 조명했다. 특히 임금에 대한 충정과 홀어머니에 대한 효심은 물론, 임금의 포상 대신 고향 비안의 軍額반감을 요청하는 등‘忠孝爲先’의 가훈 계승과 애민 · 애향정신도 잘 드러나고 있었다. 따라서 는 병자호란의 전투에 직접 참여한 무관의 진솔한 체험이 생생하게 잘 반영된 실기텍스트로 자리매김할 수 있겠다. This paper seek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and narrative aspects of Byeongranigi, a documentary regarding the Manchu Invasion of the Joseon Dynasty in 1636. First, the life of the author and narrative aspects of Byeongranigi are examined. The author Park Hyo-soon went to the front when the Manchu War broke out and fought against Jin in Pyeongan-do. Byeongranigi is the diary in which Park Hyo-soon records the battles of the Manchu War and seven years and four months of his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the war. To highlight his war experience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war, he recorded his activities on a daily basis during the war but summarized other events briefly with focus on some major incident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are identified. Byeongranigi passes criticism on the incompetency of high-ranking officials and generals and shows a contrast with the loyalty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It also maximizes the lively experience with realistic portrayal of the war and reflects various aspects of people who were faced with the war. In particular, it reveals his loyalty to the king and filial piety, the family code of conduct that he cherished as well as love of the people and local patriotism as shown in the case where he made requests for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soldiers to be dispatched from his hometown Bian. Thus, Byeongranigi has its significance as a text with a high literary value in consideration of its narrativ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contents as a documentary recorded by a military officer who participated in the Manchu War.

      • KCI등재

        일본 廣島縣 향토사료에 반영된 조선후기 통신사와 福山藩 文士의 문화교류 연구

        한태문(Han, Tai-M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1 No.-

        이 글은 『備陽六郡志』(1770)를 비롯해 오늘날 廣島縣의 향토사료에 반영된 조선후기 통신사와 福山藩 문사의 문화교류를 살핀 것이다. 조선후기 통신사에 대한 福山藩의 접대장소는 韜浦의 福禪寺였다. 특히 객관인 對潮樓는 빼어난 경관으로 통신사와 福山藩 문사가 필담창화를 즐기는 문화교류의 공간이었다. 辛卯통신사(1711)에서는 이방언이 상경길에 ‘日東第一形勝’이란 글씨를 남겼고, 귀로에 세 사신이 시를 지어 절의 승려에게 선물하였다. 하지만 통신사와 지역 문사 간 교류는 그리 활성화되지 않았다. 己亥통신사(1719)에서는 福山藩儒 伊藤長英이 신유한 · 성몽량과 필담창화를 했고, 성몽량은 필담을 통해 伊藤仁齋의 『童子問』을 요청해 얻었다. 필담창화를 통한 문사교류가 본격화되고, 일본 서적이 통신사를 통해 조선에 유입되는 과정을 자세하게 반영하고 있다. 丁卯통신사(1747)에서는 福山藩儒 伊藤輝祖가 조선의 네 문사와 만났다. 이봉환은 『童子問』이 조선의 학자에게 칭찬을 받는다고 대답하면서 『論語古義』를 비롯한 伊藤仁齋의 다른 책을 더 얻었다. 그리고 조선의 문사 9인이 시를, 홍경해는 ‘對潮樓’라는 글씨를, 김계승은 ‘心光山’이라는 글씨를 남기는 등 다양한 문화교류 활동이 펼쳐졌다. 癸未통신사(1763)에서는 岡藩儒 柴山寬猛이 조선 문사와 시를 주고받고, 남옥이 蕉中和尙을 對潮樓에 빗대어 ‘일본 제일의 고승’으로 칭찬하였다. 이밖에도 향토사료는 조선전기 최초의 통신사(1428) 박서생이 지은 시의 배경이 福山藩의 韜浦이며, 통신사 단절 이후에도 福山藩 문사들은 여전히 對潮樓에 올라 통신사의 시에 차운하는 전통을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福山藩의 향토사료는 사행록과 필담창화집을 통해서는 알 수 없었던 통신사와 福山藩 문사의 문화교류를 지역민의 입장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This article reviewed cultural exchanges between Tongshinsa of the late Chosun Dynasty and writers in Fukuyamahan reflected in the folklore materials of Hiroshima. The folklore materials such as ‘Biyangyuggunji’(1770), ‘Seobimyeonggu’(1804), ‘Bogsanjilyo’(1809), ‘Binamji-myeongseung’(1915), etc. were used as textbooks. First, we examined the background of writer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reception area of Fukuyamahan for Tongshinsa of the late Chosun Dynasty was Bokseonsa at Dopo. Particularly, in case of the guest house, Daejolu with outstanding scenery, it became a cultural exchange place where the writers of Tongshinsa and Fukuyamahan socialized and enjoyed exchanging poems and writings together. Second, we looked at Sinmyo-Tongshinsa (1711). Lee, Bang-eon visited Daejolu on his way to Seoul and left the handwriting, The most scenic place in Japan, and on the way back home, three envoys made poems and presented them to the monk. The exchange between Tongshinsa and local writers was not active yet. Third, we explored Gihae-Tongshinsa(1719). A writer in Fukuyamahan, Ideung-Jangyeong, exchanged poems and writings with Shin, Yu-han and Seong, Mong-Ryang. Specially, they asked and answered each other’s interests by 8 items. In that process, Dongjamun written by Ideung-Injae was able to be introduced to the Chosun Dynasty by the request of Seong, Mong--Ryang through Tongshinsa. It showed that writer exchanges hit its stride through exchanging poems and writings and cultural exchanges, such as introduction of Japanese books into the Chosun Dynasty, had taken place in a variety of ways. Fourth, we studied Jeongmyo-Tongshinsa(1747). Ideung-Hwijo, son of Ideung-Jangyeong, met four writers of the Chosun Dynasty and exchanged poems. Lee, Bong-hwan told Ideung-Hwijo that Dongjamun had been praised by Chosun scholars and he were presented more books of Ideung-Injae. Further, nine writers of the Chosun Dynasty left poems, Hong, Gyeong-hae left his handwriting, Daejolu, and Kim, Gye-seung left the handwriting, Simgwangsan. Fifth, we investigated Gyemi-Tongshinsa(1763). A Confucian scholar, Sisan-Gwanmaeng exchanged poems with writers of the Chosun Dynasty and Nam-og compared the Buddhist monk, Cho-jung to Daejolu to praise him as the greatest monk of Japan. Sixth, we examined before and after Tongshinsa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folklore materials showed that the background of the poem, written by Park, Seo-saeng who was the first Tongshinsa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as Dopo in Fukuyamahan, and even after Tongshinsa was stopped, the writers of Fukuyamahan still visited Daejolu and showed that they were continuing the tradition of writing poems using the cadences of poems of Tongshinsa. As such, The folklore materials of Fukuyamahan shall be considered as valuable materials as they kept a record of the cultural exchange aspects between Tongshinsa and writers in Fukuyamahan, which were hardly seen in Sahaenglok,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ocal people.

      • KCI등재

        『국어국문학』에 반영된 고전문학 연구의 흐름

        한태문(Han, Tai-moon) 국어국문학회 2012 국어국문학 Vol.- No.160

        This study reviews the results of research on classical literature which have been includ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 academic journal issued by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o celebrate its 60th anniversary. Firstly, the literatures have been divided into the first period(1952-1970), the second period(1971-1990) and the third period(1991-2011) by twenty years. Then the tendency of research on different genres including general theory, classical poetry, classical narrative, classical prose, sino-korean literature, oral literature and folklore. This review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re have been more of studies carried out during the second period, compared to the first period, but the number of papers has decreased during the third period. It seems that this is because academic societies have been divided according to different genres variously and the results of their research have also been divided differently as there have been more of academic journals during the third period. However, there have been continuous research on Hyang-ga, Chinese poem, Pansori, thus having increased the number of their studies. Secondly, there have been studies which have not been relatively vitalized. In general, however, entire parts of the classical literature have been studied in depth continuously. Thirdly, further studies need to be directed to enhance the statu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East Asia and the entire world, to deepen connection to related studies, to find the ways to utilize the literature educationally and culturally, and finally the research in this field needs to be carried out more widely.

      • KCI등재

        1711년 통신사 필담창화집 『槎客通筒集』 연구

        한태문(Han Tai moon) 동양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4 No.-

        본 연구는 1711년 통신사 필담창화집인 『槎客通筒集』의 창작배경과 수록 시문의 현황 및 특징, 그리고 내용상의 특징을 살폈다. 첫째, 『사객통통집』은 1711년 통신사행에 참여한 조선의 사행원과 일본 接伴僧 別宗祖緣이 주고받은 필담과 시문을 모은 필담창화집이다. 別宗의 제자들이 통신사 접반의 본보기를 보인 스승을 선양하려는 뜻에서 편집하였다. 둘째, 『사객통통집』은 총 4권으로 서문, 「槎客通筒集姓氏」, 別宗이 정사 · 제술관과 나눈 필담을 비롯하여 총 150題 200首의 시를 수록하고 있다. 그리고 『사객통통집』은 「槎客通筒集姓氏」에 언급되지 않은 인물의 시를 수록하고, 『韓客詞章』의 편지는 수록하지 않았으며, 『한객사장』에 수록된 시를 분산 수록하면서까지 양국 문사간 문학교류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재편집했다는 특징을 보인다. 셋째, 수록 시문에는 別宗의 상대에 대한 칭탄과 唱和에 대한 기대, 일본의 자연과 문물에 대한 자부심의 표출, 옛 벗에 대한 그리움과 양국 문사 간 인연 맺어주기, 題畵詩를 통한 스승과 조상에 대한 선양의식, 귀국에 대한 축하와 이별에 대한 아쉬움의 토로 등을 주된 내용으로 담고 있었다. 이로써 통신사 사행원만의 시를 담은 『한객사장』에 대한 연구가 지닌 한계를 극복하여 1711년 통신사 사행원과 接伴僧 모두의 시각을 담은 온전한 양국 문사간 교류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background of Sagaektongtongjip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in it as follows: First, Sagaektongtongjip is a collection of the conversations and poems that were done by the members of the 1711 Tongshinsa and the Japanese Buddhist monk, Betshusoen, who served them as a tour guide. Betshu's disciples published this book with the intension of promoting the wonder of their teacher's work. Second, Sagaektongtongjip consists of 4 volumes altogether: there are foreword, the introduction of the figures in it, the conversations and 200 poems. Some of the 200 poems are the ones written by people who are not included in the introduction. Although it does not have letters in Hangaeksajang, Sagaektongtongjip contains some poems in it, and that fact reflects its realistic traits of being a collection of poems and conversations shared by the scholars of Joseon and Japan. Third, Betshu's own poems comprise praise of others, expectations of poetry writing, expression of his pride in Japan's landscape and culture, some memory of old friends, promotion of the spirit of his teacher and ancestors, and celebration of Tongshinsa members' coming back to Joseon.

      • KCI등재

        密陽 表忠寺 소장 〈泗溟大師日本上陸行列圖八曲屛〉 연구

        한태문(Han Tai-M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한국민족문화 Vol.38 No.-

        본 연구는 일본의 두 학자에 의해 촉발된 밀양 표충사 소장 〈泗溟大師日本上陸行列圖八曲屛〉에 대한 논의가, 정작 국내 학계에선 구체적인 고증작업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데 대한 반성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밀양 표충사 소장 행렬도는 1605년 사명당이 德川家康과의 회담을 위해 京都 伏見城으로 향하는 행렬을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행렬도에는 국서 가마와 馬上才, 그리고 1682년 통신사부터 등장하는 제술관 및 조선후기 통신사행에 버금가는 대규모 인원이 등장하여, 적어도 1682년 이후의 통신사 행렬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682년 이후 통신사 행렬도 중 1711년 통신사 행렬을 묘사한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正德元年辛卯年朝鮮國之信使登城行列〉이 표충사 소장 행렬도와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서로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표충사 소장 행렬도는 국사편찬위원회 소장본의 전체 행렬도 가운데, 통신사 행렬을 중심으로 對馬島 家臣 일부분이 앞뒤로 호위하고 있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1711년 통신사 행렬을 묘사한 그림임에도 불구하고 표충사 소장 행렬도를 비롯하여 異本인 〈이원식본〉과 〈김씨본〉 등이 한결같이 ‘사명당의 伏見城 登城 행렬’을 畵題로 삼고 있는 것은, 통신사의 행렬을 사명당의 행렬로 환치하고픈 기증자 또는 제작자의 열망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Milyang Pyochungsa houses an old folding-screen painting of Samyeongdang who proceeded into the castle of Kyoto Fushimi in order to confer with Tokugawa Ieyas in 1605. This painting describes Carrier for National Credentials, Tongshinsa, On-Horse Acrobatic Feats, Jesulgwan which appeared since 1682, showing people as many as those at the painting of late-Chusun Tongshinsa.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is painting describes the procession of post-1682 Tongshinsa. This Pyochungsa painting was made by imitating a section from a whole painting of procession owned by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which describes the 1711 Tongshinsa procession. The scene of Tsushima warriors escorting this procession was cut out from this procession to become the Pyochungsa folding screen. Compared with the original one of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 lot of people were deleted and the order of procession was differently described. Even though the Pyochungsa painting, the photograph of procession owned by Lee Won Shik, and the painting of procession owned by Mr. Kim describe the procession of 1711 Tongshinsa, they are all together entitled "Procession into the Castle of Kyoto Fushimi," This entitling can be considered to be an expression of the donator's and the maker's desire to replace Tongshinsa's procession with Samyeongdang's.

      • KCI등재

        조선후기 通信使의 贐章 연구

        한태문(Tai-moon, Han)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3 No.-

        이 글은 조선후기에 일본에 파견된 通信使를 送別하는 詩文인 贐章의 창작배경과 내용상 특징을, 任守幹의 『東槎日記』에 수록된 「遯窩府君日本使行時贐章」을 중심으로 살핀 것이다. 먼저, 「遯窩府君日本使行時贐章」의 창작배경을 살폈다. 조선은 德川家宣이 일본의 6대 將軍에 등극하자 신묘통신사(1711)를 파견하였다. 이때 副使로 임명된 任守幹이 관례대로 知人에게 贐章을 요청했고, 그 결과 50여 명의 문사가 보낸 贐章을 모아 엮은 것이 「遯窩府君日本使行時贐章」이다. 贐章의 작가들은 주로 任守幹과 党色이 같거나 친인척 및 벼슬길에서 관계를 맺은 이들이고, 또 次韻詩가 드문 점을 미루어 通信使 贐章은 대체로 사행 당사자의 요청으로 知人들이 자유롭게 창작하는 문학형식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遯窩府君日本使行時贐章」의 내용상 특징을 살폈다. 그 결과 「遯窩府君日本使行時贐章」은 湖堂 출신 任守幹의 사신으로서 적임자 발탁에 대한 칭송과 詩와 禮로 오랑캐를 敎化하리라는 사행에 대한 기대, 壬亂으로 인한 적개심이 바탕이 된 부정적인 시선과 신선이 사는 이상향으로 그려진 긍정적인 시선이 교차하는 對日 인식의 양면성, 험난한 바닷길 노정에 대한 염려와 무사항해에 대한 염원, 이별의 아쉬움 토로와 무사귀환의 희구 등을 내용으로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writing conducts an investigation of Tongshinsa’s Sinjang, which was dispatched to Japan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with a focus on Donwabugun-Ilbonsahangsi-Shinjang. Tongshinsa’s Sinjang is a farewell poetry that was composed by people who were giving send-offs as they transmitted “Tongshinsa”. A brief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s the creation background of Donwabugun-Ilbonsahangsi-Shinjang. As Tokugawa Ienobu was crowned the sixth Shogun of Japan, Chosun dispatches Tongshinsa in 1711. Im, Su-gan, who was designated a deputy delegate, requested poetries from people within the same faction, relatives and friends whom Im formed relationships with during his way into the government service, in order to increase the significance of his participation in the ambassador trip. Donwabugun-Ilbonsahangsi-Shinjang is a collection of farewel poetries that were collected at this time. The following are characteristics of Donwabugun-Ilbonsahangsi-Shinjang’s contents. First, the appointment as Im, Su-gan, an excellent writer, as Tongshinsa’s ambassador is praised for its appropriateness, and expectations for composing superb poetries and fulfilling interests in Japan upon his return are well displayed. Second, Donwabugun-Ilbonsahangsi-Shinjang authors’ double-sideness of the awareness towards Japan is well shown. There are negative views on Japan due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but positive views of depicting Japan as the utopia with immortals are also shown. Third, a safe voyage is wished due to concerns of travelling on the ocean, and the significant of Tongshinsa dispatch, which aims to establish the peace of both nations, is emphasized. Fourth, along with the sadness for a farewell, expectations for finishing the mission and returning safely are well shown.

      • KCI등재

        조선통신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서 소재 시(詩)·서(書) 연구

        한태문 ( Han Tai-moon ) 배달말학회 2017 배달말 Vol.61 No.-

        이 논문은 올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새롭게 등재된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의 등재 목록을 살핀 것이다. 등재 목록은 크게 외교기록·여정의 기록·문화교류의 기록으로 나누어지는데 본고에서는 ‘문화교류의 기록’에 포함된 詩·書를 대상으로 하였다. 詩·書를 통한 양국의 문화교류가 활발하게 전개된 것은 문학적 재능이나 能書로 이름을 날리던 이들이 사행원으로 선발되고, 일본도 강한 求請 욕구와 함께 한시문 창작에 뛰어난 지역문사를 적극 등용하였기 때문이다. 등재목록에 포함된 詩·書는 총 23건 122점으로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기 위한 유네스코의 제시기준에 부합한 자료들이 선정되었다. 자료의 형태는 시문은 크게 詩箋·詩軸·簇子·掛幅으로, 글씨는 額字·書帖으로, 그리고 혼재된 것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는 조선통신사와의 교류의 결과물인 遺墨을 다양한 형태로 소중히 간직하려는 일본인들의 따스한 마음이 잘 반영된 결과이다. 자료는 대체로 노정상의 풍광과 인물에 대한 감상, 창화와 증여를 통한 인간적 정감의 교류, 만남을 기약할 수 없는 이별의 아쉬움을 토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조선통신사와 일본 내 다양한 각계 각층 사람들과의 교류 상황 및 각 노정 지역에서는 앞선 사행의 전례를 답습한 詩·書 교류의 전통을 면면히 계승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등재 목록에 포함된 詩·書는 교류 당사자인 개인 상호간의 신뢰와 우의는 물론 양국의 우호관계 구축과 문화발전에도 크게 기여했음을 증명하는 자료임을 확인할 수 있다. Recently I looked at the application for the "Record of the Joseon Tongsinsa" listed in the UNESCO World Record Heritage. In particular, The background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poetry and letters Included in ‘III. Record of Cultural Exchange’, the present status of the target list and the introduction of materials, and the traditions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reflected in the poetry and lette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otal number of texts and letters included in the application is 23 items, 122 pieces, and materials that meet the UNESCO presentation standards have been selected. Second, the form of the data varies greatly from scroll, hanging scroll, hanging picture, writing frame and book, and mixed ones. This shows that the exchange of poetry and letters has been actively and diversified through the Joseon Tongsinsa. It also reflects the warmth of the Japanese people who cherish the texts and texts that are the result of exchanges in various forms. Thirdly, the data mostly contained the scenery on the journey, the appreciation of the characters, the exchange of human sensibility through the chorus and the gift, and the regret of the separation of the indefatigable encounter. Especially, it reflects the situation of exchanges with Joseon Tongsinsa and various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in Japan,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it has inherited the tradition of poetry and letters exchange following the precedent in the journey area.

      • KCI등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조선통신사 기록물’의 등재 과정과 현황

        한태문 ( Han Tai-moon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8 항도부산 Vol.36 No.-

        이 글은 201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새롭게 등재된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17~19세기 한일 간 평화구축과 문화교류의 역사」의 등재 과정, 자료의 현황과 특징을 재조명한 것이다. 첫째, 등재과정을 살폈다. 등재 과정은 공동 등재 추진을 합의한 2014년 3월 4일 이전과 이후의 활동으로 나누어진다. 합의 이전에는 학계의 연구와 민간단체의 선양활동 및 심포지엄을 통한 등재 가능성 점검이, 합의 이후에는 양국 공동학술위원회를 중심으로 대상 자료의 선정부터 신청서 제출 및 홍보가 이루어졌음을 밝혔다. 둘째, 자료의 현황과 특징을 살폈다. ‘외교 기록’(5건 51점)ㆍ‘여정의 기록’(65건 136점)ㆍ‘문화교류의 기록’(41건 146점)으로 분류된 조선통신사 기록물은 전쟁을 겪은 조일 양국이 ‘通信’으로 대표되는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진솔한 정감을 나누고 관심사를 주고 받은 ‘誠信交隣’의 결과물이었다. 나아가 조선통신사를 통한 상호 교류가 교류 당사자인 개인 상호간의 신뢰와 우의는 물론 양국의 우호관계 구축과 문화발전에도 크게 기여한 것을 증명하는 자료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조선통신사 기록물은 양국의 역사적 경험으로 증명된 평화적ㆍ지적 유산으로, 항구적인 평화공존 관계와 이문화 존중을 지향해야 할 인류공통의 과제를 해결하는 데 지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reconfigures the process, status, features of the documents of Joseon Tongsinsa, which was newly listed as a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in 2017. First, we looked at the registration process. The registration process is divided into activities before and after March 4, 2014, which agreed to promote joint listing. Prior to the consensu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cademia researches, enlightenment activities and symposiums of private organizations, and after the consensus, application documents were submitted and promoted from the selection of the target data centered on the joint academic committees of the two countries. Second,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ata. The documents of Joseon Tongsinsa classified as ‘Diplomatic Records’(5 items 51 points), ‘Journey Records’(65 items 136 points) and ‘Cultural Exchange Records’(41 items 146 points) Based on the mutual trust represented by ‘trust’ and shared a sense of honest feelings and exchanged ‘interests’ was the result of ‘Sincinnity’.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mutual exchange through the documents of Joseon Tongsinsa was the material that proved that it contributed greatly to the mutual trust and friendship between the parties of the exchange as well as the friendship relationship and cultural developm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is way, the documents of Joseon Tongsinsa can provide wisdom to solve the common problems of humanity that should aim for permanent peaceful coexistence and respect for interculturalism with the peaceful and intellectual heritage proven by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both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