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문화로 읽는 근대 이행기 매체문학 -『년한반도(年韓半島)』를 대상으로-

        문선영 ( Tae Moon Han ),한태문 ( Sun Young Mo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1 No.-

        이 논문은 한국의 근대 매체인 『少年韓半島』를 통해 한국 근대 이행기 매체문학의 정체성을 살펴보려는 의도 아래 기획 집필된 것이다. 이 때 중심되는 화두는 `문화`이다. 근대 이행기를 배경으로 한 매체문학을 대상으로 당대 문화 풍속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少年韓半島』는 1906년 11월 1일 창간되었고, 1907년 4월 통권 6호로 종간되었다. 『年韓半島』는 국민정신을 함양하고 신지식을 선도하는 데 발간 목적을 두었다. `민주 정체(民主 政體)`를 새로운 국가상으로 삼고 있으며, 국민의 자질을 갖추기 위해서 무엇보다 `지식`의 습득이 우선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少年韓半島』와 문화의식>은 `문화` 코드를 중심으로 한국 근대 매체의 정체성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룬 것이다. 연구 대상이 『少年韓半島』인만큼, 문화의 범주로는 아이 또는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한 일상문화와 기저문화에 주목했다. 여기서 당대 소년들의 삶의 동선과 민족주의 그리고 계몽주의를 통해 당대 문화의식을 도출하였다. 무엇보다 `교육`에 방점을 둔 문화적 풍속도가 두드러진다. 『少年韓半島』는 근대 학지(學知)를 다양하게 소개함으로써 아이들에게 삶의 좌표 설정과 문화적 판도를 깨우치게 하고, 나아가 이후 발간되는 『소년』, 『청춘』 등 본격적인 아동 또는 청소년 잡지의 시대를 연 종합지로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이제껏 『少年韓半島』의 원본이 공개되지 않아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학계의 사정을 감안할 때, 본고는 되도록 그 낱낱을 헤아리려 했다. `신대한(新大韓)` 또는 `신대한을 건설할 주체`의 표상으로 `소년`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는 만큼, 이를 중심으로 근대이행기의 문화 풍속 담론의 정체성을 해명하는 데 바쳐져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in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identity of the media literature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ages in Korea by The Boy Han Peninsula. The topic of discussion is "culture." This paper tries to reflect on the cultural manners and customs in those days making the media literature which are based on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ages as the object. The Boy Han Peninsula was launched on 1 Nov 1906 and ceased to be published in April of 1907, totally making 6 volumes. It was published in order to cultivate the spirit of the nation and lead the new set of knowledge. It takes the `political body of democracy` as the new portrait of the country, and emphasized that the learning of `knowledge` must be preced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capabilities of the nation. `The Cultural Consciousness Appearing in The Boy Han Peninsula` focusedly dealt with the problem of the identity of media in modern Korea, mainly by the code of `culture`. As its title suggests, its cultural category directs its attention to the culture of ordinary lives of children and juveniles and their subculture. It induces the cultural consciousness of those days by those predicates of the lives of the boys of those days, nationalism and illumine. The cultural manners and customs of those days is especially marked by its drive toward education. The Boy Han Peninsula introduced various academic knowledge of modern times to awaken the children to the problem of setting proper coordinates in their lives and to the cultural territory of those days, and performed its role of pioneers who opened up the era of child or juvenile magazines which successively followed up like Boy, Youth and others. As its research object is The Boy Han Peninsula, before anything else, this paper is dedicated to explain the identity of the literary history of the modern ages in Korea as a discourse on the cultural manners and customs of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ages by reflecting on the cultural manners and customs of that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ages, mainly by children that `Purpose` in the first volume makes `boyhood` stand for, or the symbol of the leader who will establish, the New Great Han.

      • KCI등재

        『韓兵使實記』에 반영된 韓範錫의 신묘(1711)통신사행 연구

        한태문(Han, Tai-M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4 No.-

        이 글은 『韓兵使實記』에 수록된 신묘통신사 관련 자료를 통하여 한범석의 신묘통신사행을 살핀 것이다. ‘尙武’의 家風을 이어받아 武官이 된 한범석은 잇달아 燕行使(1710)와 通信使(1711)에 참여한 뒤 두루 중앙과 지방의 요직을 역임할 정도로 조정의 신임을 얻었다. 『한병사실기』는 한범석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수록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신묘통신사와 관련한 자료로는 전별시를 모은 「奉別日本行詩」와 한범석이 지은 사행록인『隨槎日錄』이 있다. 신미통신사는 德川家宣이 江戶 막부의 6대 장군이 된 것을 축하하기 위해 1711년 일본에 파견되었다. 한범석은 연행사 선발대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한 데다, 시문창작의 능력 때문에 正使軍官으로 선발되어 통신사행에 참여할 수 있었다. 한범석을 전별하는 16인의 송별시 16수를 모은 「奉別日本行詩」는 대체로 칠언율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적임자로 발탁된 데 대한 칭송과 기대, 바닷길 노정에 대한 염려와 이별의 아쉬움 및 무사귀환에 대한 바람을 내용에 담고 있었다. 『隨槎日錄』은 ‘일기’와 공문서가 포함된 ‘雜文’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일기는 부산에서 해신제를 지낸 6월 21일부터 江戶에서 머문 11월 15일까지만 기록한 불완전한 사행록이다. 하지만 바닷길 노정, 육로 노정, 江戶 체류등 상황의 변화에 따라 일정한 서술형식을 유지하였고, 다른 신묘통신사사행록에서 볼 수 없는 武官이 지닌 관심사 및 다양한 문화교류의 양상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이처럼 『한병사실기』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통신사행에서의 한범석의 활약상은 물론,『隨槎日錄』을 통해 기존의 사행록에서는 볼 수 없었던 신묘통신사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This article researched Han Beom-seok"s Shinmyo(1711) Tongshinsahaeng, which was included in the Hanbyeongsasilgi though related data. Han Beom-seok, who took over the family tradition of pursue the policy of militarism and became a military officer, gained the trust of government to the extent that he served in major central and provincial posts after participating in Yeonhaengsa(1710) and Tongshinsa(1711). Hanbyeongsasilgi contains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Han Beom-seok, among them Bongbyeolilbonhaengsi which collect the farewell poems, and Susailok, a diplomatic record created by Han Beom-seok are related to Shinmyotongshinsahaeng. Shinmyotongsinsahaeng was dispatched to Japan in 1711 to celebrate Tokugawa-Ienobu, becoming the sixth shogun of Edo Bakufu. Han Beom-seok successfully completed the mission of the advance party of Joseon missions and was able to create poems, so he was selected as a military officer for political affairs and participated in Tongshinsahaeng, Bongbyeolilbonhaengsi which collected 16 farewell poems for Han Beom-seok, are generally created with 7 words rhythm format. It included praise and expectation for being selected as the right person for the job, concern about the sea route, a regret of parting and wish for safe return. Susailrok consists of diaries and official documents. In particular, the diary is an incomplete diplomatic record that records only from June 21, when a sacrifice for the sea god was held in Busan, to November 15, when he stayed in Edo. However, it maintained a certain narrative format depending on the change of circumstances such as the sea route, land route, and stay in Edo, reflecting the interests of the military officials and the aspects of various cultural exchanges that are not seen in other diplomatic records. Like this, Hanbyeongsasilgi is avaluable data that provides a variety of information on the Shinmyotongshinsahaeng, which was not seen in the existing diplomatic records, through Susailrok, as well as the performance of Han Beom-Seok in Tongshinsahaeng, which has not been known well.

      • KCI등재

        申維翰의 『海游錄』 연구

        韓泰文(Han Tae-Mo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8 동양한문학연구 Vol.26 No.-

          『海游錄』은 已亥通信使(1719년) 파견시 제술관으로 참여한 申維翰의 사행체험기이다. 이 글은 申維翰(1681~1752)의 『海游錄』을 형성 배경ㆍ서술 양상ㆍ내용상 특징 등으로 나누어 살핌으로써 통신사행에 있어서 『海游錄』의 가치를 재조명한 것이다.<BR>  『海游錄』의 외적인 형성 배경은 壬成통신사(1682년) 때 행해진 聘禮制度의 복귀로 인한 己亥통신사의 파견 결정이었다. 그리고 내적으로는 사행 참여의 긍지 및 소중한 체험을 기록하여 보존하고 과시하려는 申維翰의 개인적 욕구에서 비롯되었다.<BR>  『海游錄』의 서술 양상은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일기와 시, 잡문 등 ‘다양한 양식의 혼합적 구성’, 둘째 새로운 노정의 숙박지와 望關禮를 행한 날 등을 중심으로 한 ‘중요 사건 중심의 집중적 서술’, 셋째 사행 체험을 보다 객관적이고 생동감 있게 전달하기 위한 ‘寫實的 묘사를 통한 체험의 객관성 확보’ 등이다.<BR>  『海游錄』의 내용상 특징으로는 渡日 전의 부정적인 선입견과 달리 성장하는 일본 문화에 대한 경계와 敬畏의 심정을 담기 시작하는 ‘對日 인식의 양면성’, 민간 구전가요를 樂府詩로 재구성한 데서 엿볼 수 있는 ‘특이한 풍속의 문학적 형상화’ 및 문학을 비롯하여 예능ㆍ생활문화에까지 미치는 ‘문화교류의 다양한 양상 반영’ 등으로 파악되었다.<BR>  이처럼 『海游錄』은 사행체험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申維翰의 작가적 고민이 반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申維翰은 『海游錄』을 통해 文才를 뽐낼 수 있었고, 통신사는 『海游錄』을 통해 한일 문화교류의 전형으로서 제 값어치를 인정받았다고 할 수 있다.   The HaeYuRok is the Sasinhangcha story of Shin Yu-Han who participated as a Jesulgwan in dispatching Gihaetongshinsa(1719). This paper reonfigured the value of HaeYuRok in Tongshinsa hangcha by dividing the HaeYuRok Shin Yu-Han into the formation background, narration phase, and features in story and studying these.<BR>  The decision of dispatching Gihaetongshinsa caused by return of Bingryejedo(聘禮制度) done during Imsultonshinsa(1682) became external formation background of the HaeYuRok. Internal formation background was caused by the personal desire that Shin Yu-Han wanted to preserve and display by recording the pride of participating Sahang and valuable experience.<BR>  Narration phase of the HaeYuRok is presented mainly in 3 types. First, "various kinds" of compounded composition such as diary, poem, miscellanies, and so on, second, "concentrated narration centered on important event" centered on lodgings of new itinerary and the day of MangGualRye(望闕禮), and third, "Insuring objectivity of experience through description with reality" to deliver experience of Sahang with being more objective and brimming.<BR>  There are features in story of the HaeYuRok, which is different from negative preconception that he had before he visited Japan, those are "ambilterlity of recognition toward Japan" that started to include the precaution against developing Japanese literature and the feeling of fear, "literary form of specific customs" that we can see in reforming private oral-spread songs to Akbushi(樂府詩), and "reflection of various phases in cultural exchange" that influence on entertainment, living and culture with including literature.<BR>  Literary agony of Shin Yu-Han to deliver experience of Sahang efficiently is reflected on the HaeYuRok. as a result, Shin Yu-Han could boast his literature talent through the HaeYuRok, and Tongshinsa won full recognition as a type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through the HaeYuRok.

      • KCI등재

        朴孝純의 연구

        한태문(Han, Tai moon) 동양한문학회 2015 동양한문학연구 Vol.40 No.-

        이 글은 필자가 새로 발굴한 병자호란 관련 실기인 의 서술양상과 내용상의 특징을 살핀 것이다. 첫째, 작가의 생평과 의 서술양상을 살폈다. 작가 박효순은 조선 최초의 통신사 박서생의 후손으로, 병자호란이 발생하자 자원하여 전장에 나가 평안도와 황해도를 중심으로 활약하였다. 는 박효순이 병자호란의 전투와 그 전후의 무려 7년 4개월간의 체험을 기록한 일기로, 자신의 전란 참여 체험과 활약을 부각시키기 위해 전란 중의 활동은 매일 기록하고 그 외는 중요사건을 중심으로 간략히 정리하고 있었다. 둘째, 의 내용상 특징을 살폈다. 는 조정의 고위 관리와 장수의 무능에 대한 비판과 함께 유능한 지방관리의 충절을 대비시키고, 실기의 특성을 반영하듯 자신이 체험한 전란 현장의 사실적 묘사로 생동감을 극대화하고 있었다. 또 언행이 불일치하거나 탐욕에 물든 지방관,일행을 배반한 동지, 목민관에 대해 변함없는 충정을 유지하는 백성 등 전란에 직면한 다양한 인물들의 모습도 조명했다. 특히 임금에 대한 충정과 홀어머니에 대한 효심은 물론, 임금의 포상 대신 고향 비안의 軍額반감을 요청하는 등‘忠孝爲先’의 가훈 계승과 애민 · 애향정신도 잘 드러나고 있었다. 따라서 는 병자호란의 전투에 직접 참여한 무관의 진솔한 체험이 생생하게 잘 반영된 실기텍스트로 자리매김할 수 있겠다. This paper seek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and narrative aspects of Byeongranigi, a documentary regarding the Manchu Invasion of the Joseon Dynasty in 1636. First, the life of the author and narrative aspects of Byeongranigi are examined. The author Park Hyo-soon went to the front when the Manchu War broke out and fought against Jin in Pyeongan-do. Byeongranigi is the diary in which Park Hyo-soon records the battles of the Manchu War and seven years and four months of his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the war. To highlight his war experience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war, he recorded his activities on a daily basis during the war but summarized other events briefly with focus on some major incident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are identified. Byeongranigi passes criticism on the incompetency of high-ranking officials and generals and shows a contrast with the loyalty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It also maximizes the lively experience with realistic portrayal of the war and reflects various aspects of people who were faced with the war. In particular, it reveals his loyalty to the king and filial piety, the family code of conduct that he cherished as well as love of the people and local patriotism as shown in the case where he made requests for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soldiers to be dispatched from his hometown Bian. Thus, Byeongranigi has its significance as a text with a high literary value in consideration of its narrativ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contents as a documentary recorded by a military officer who participated in the Manchu War.

      • KCI등재

        일본 廣島縣 향토사료에 반영된 조선후기 통신사와 福山藩 文士의 문화교류 연구

        한태문(Han, Tai-M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1 No.-

        이 글은 『備陽六郡志』(1770)를 비롯해 오늘날 廣島縣의 향토사료에 반영된 조선후기 통신사와 福山藩 문사의 문화교류를 살핀 것이다. 조선후기 통신사에 대한 福山藩의 접대장소는 韜浦의 福禪寺였다. 특히 객관인 對潮樓는 빼어난 경관으로 통신사와 福山藩 문사가 필담창화를 즐기는 문화교류의 공간이었다. 辛卯통신사(1711)에서는 이방언이 상경길에 ‘日東第一形勝’이란 글씨를 남겼고, 귀로에 세 사신이 시를 지어 절의 승려에게 선물하였다. 하지만 통신사와 지역 문사 간 교류는 그리 활성화되지 않았다. 己亥통신사(1719)에서는 福山藩儒 伊藤長英이 신유한 · 성몽량과 필담창화를 했고, 성몽량은 필담을 통해 伊藤仁齋의 『童子問』을 요청해 얻었다. 필담창화를 통한 문사교류가 본격화되고, 일본 서적이 통신사를 통해 조선에 유입되는 과정을 자세하게 반영하고 있다. 丁卯통신사(1747)에서는 福山藩儒 伊藤輝祖가 조선의 네 문사와 만났다. 이봉환은 『童子問』이 조선의 학자에게 칭찬을 받는다고 대답하면서 『論語古義』를 비롯한 伊藤仁齋의 다른 책을 더 얻었다. 그리고 조선의 문사 9인이 시를, 홍경해는 ‘對潮樓’라는 글씨를, 김계승은 ‘心光山’이라는 글씨를 남기는 등 다양한 문화교류 활동이 펼쳐졌다. 癸未통신사(1763)에서는 岡藩儒 柴山寬猛이 조선 문사와 시를 주고받고, 남옥이 蕉中和尙을 對潮樓에 빗대어 ‘일본 제일의 고승’으로 칭찬하였다. 이밖에도 향토사료는 조선전기 최초의 통신사(1428) 박서생이 지은 시의 배경이 福山藩의 韜浦이며, 통신사 단절 이후에도 福山藩 문사들은 여전히 對潮樓에 올라 통신사의 시에 차운하는 전통을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福山藩의 향토사료는 사행록과 필담창화집을 통해서는 알 수 없었던 통신사와 福山藩 문사의 문화교류를 지역민의 입장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This article reviewed cultural exchanges between Tongshinsa of the late Chosun Dynasty and writers in Fukuyamahan reflected in the folklore materials of Hiroshima. The folklore materials such as ‘Biyangyuggunji’(1770), ‘Seobimyeonggu’(1804), ‘Bogsanjilyo’(1809), ‘Binamji-myeongseung’(1915), etc. were used as textbooks. First, we examined the background of writer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reception area of Fukuyamahan for Tongshinsa of the late Chosun Dynasty was Bokseonsa at Dopo. Particularly, in case of the guest house, Daejolu with outstanding scenery, it became a cultural exchange place where the writers of Tongshinsa and Fukuyamahan socialized and enjoyed exchanging poems and writings together. Second, we looked at Sinmyo-Tongshinsa (1711). Lee, Bang-eon visited Daejolu on his way to Seoul and left the handwriting, The most scenic place in Japan, and on the way back home, three envoys made poems and presented them to the monk. The exchange between Tongshinsa and local writers was not active yet. Third, we explored Gihae-Tongshinsa(1719). A writer in Fukuyamahan, Ideung-Jangyeong, exchanged poems and writings with Shin, Yu-han and Seong, Mong-Ryang. Specially, they asked and answered each other’s interests by 8 items. In that process, Dongjamun written by Ideung-Injae was able to be introduced to the Chosun Dynasty by the request of Seong, Mong--Ryang through Tongshinsa. It showed that writer exchanges hit its stride through exchanging poems and writings and cultural exchanges, such as introduction of Japanese books into the Chosun Dynasty, had taken place in a variety of ways. Fourth, we studied Jeongmyo-Tongshinsa(1747). Ideung-Hwijo, son of Ideung-Jangyeong, met four writers of the Chosun Dynasty and exchanged poems. Lee, Bong-hwan told Ideung-Hwijo that Dongjamun had been praised by Chosun scholars and he were presented more books of Ideung-Injae. Further, nine writers of the Chosun Dynasty left poems, Hong, Gyeong-hae left his handwriting, Daejolu, and Kim, Gye-seung left the handwriting, Simgwangsan. Fifth, we investigated Gyemi-Tongshinsa(1763). A Confucian scholar, Sisan-Gwanmaeng exchanged poems with writers of the Chosun Dynasty and Nam-og compared the Buddhist monk, Cho-jung to Daejolu to praise him as the greatest monk of Japan. Sixth, we examined before and after Tongshinsa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folklore materials showed that the background of the poem, written by Park, Seo-saeng who was the first Tongshinsa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as Dopo in Fukuyamahan, and even after Tongshinsa was stopped, the writers of Fukuyamahan still visited Daejolu and showed that they were continuing the tradition of writing poems using the cadences of poems of Tongshinsa. As such, The folklore materials of Fukuyamahan shall be considered as valuable materials as they kept a record of the cultural exchange aspects between Tongshinsa and writers in Fukuyamahan, which were hardly seen in Sahaenglok,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ocal people.

      • KCI등재

        庚寅通信使(1590)의 文化使節로서의 성격

        한태문(Tai-moon Ha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6 No.-

        이 글은 파견배경과 사행노정, 문화교류 활동의 구체적인 양상 등을 통해 경인통신사의 문화사절로서의 성격을 밝힌 것이다. 먼저 파견 배경과 사행 노정을 살폈다. 경인통신사는 豊臣秀吉의 통일 축하와 교린의 실현을 위해 3백여 명의 사행원이 1590년 3월 5일 서울을 출발하여 7월 22일 京都에 도착, 11월 7일에 國書를 전달한 뒤 이듬해 2월 말에 復命하였다. 그 노정은 목적지가 江戶가 아닌 京都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조선 후기 통신사의 서울—京都의 왕복 노정을 거의 그대로 밟고 있었다. 다음은 문화교류 활동의 다양한 양상을 살폈다. 먼저 문학은 주로 승려와 필담ㆍ창화를 통해 교류하였는데 특히, 宗蕣은 許筬과의 교류를 통해 승려에서 유학자로 변신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리고 서화는 사자관 李海龍의 눈부신 활약과 對馬島主가 소장한 그림에 대한 품평을 중심으로, 음악은 技藝에 뛰어난 악공이 공식연회 석상이나 일본인의 요청에 의한 공연으로, 軍官들도 일본인을 대상으로 馬上武藝를 펼쳤다. 또한 사행 도중 발병한 전염병으로 양국 의원간의 협력치료가 이루어지고 『大明一統志』를 매개로 양국 풍속의 교류도 이루어졌다. 따라서 경인통신사는 조선 후기 통신사에 버금가는 문화교류 사절로서의 성격을 충분히 지니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Gyeongintongsinsa(1590) as a cultural delegation by focusing on the background of its dispatch, the journey of the envoys, and the concrete aspects of their cultural exchanges. First of all, the article investigates the background of the dispatch and the envoys’ journey as well. To celebrate the national unification by Toyotomi Hideyoshi and form good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Gyeongintongsinsa consist of more than 300 members departed from Seoul on March 5 and arrived in Kyoto on July 22, 1590. After delivering the national document on November 7, it came back at the end of February next year with the completion of their mission. Although the destination of the journey was Kyoto, not Edo, its journey was almost the same as Tongsinsa’s ‘Seoul-to-Kyoto round journey' in the late Choseon Dynasty. Next, various aspects of its cultural exchanges were investigated. Above all, literature was mainly exchanged with monks by communicating in writing and exchanging poems. In particular, Jong Sun had a chance to change from a monk to a Confucian scholar through the exchanges with Heo Seong. An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ere exchanged mainly through Sajagwan Lee Hae Ryong’s remarkable activities and also criticism on the paintings that Tsushima Hansyu possessed. For music, court musicians did throw performances at a formal banquet or upon Japanese’ request. Also, military officials showed ‘masangmuye'―several feats performed during horseback riding―to the Japanese people. And for the infectious diseases they got to suffer while playing an envoy’s roles, there was cooperative treatment for the representatives of both countries, and with the mediation of Daemyeongiltongji, they exchanged the customs of both nations as well. Therefore, it can be safely said that Gyeongintongsinsa have enough characteristics as a delegation for cultural exchanges which was second only to Tongsinsa in the late Choseon Dynasty.

      • KCI등재

        乙未通信使(1655) 창화시집 『朝鮮三官使酬和』 연구

        한태문(Han Tae mo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7 동양한문학연구 Vol.46 No.-

        이 글은 乙未通信使(1655) 창화시집인 『朝鮮三官使酬和』에 대해 살핀 것이다. 첫째, 형성배경을 살폈다. 『朝鮮三官使酬和』는 일본 막부의 4대 장군 德川家綱의 襲職을 축하하는 사절인 을미통신사행(1655)에서 조선의 세 사신(趙珩ㆍ兪瑒ㆍ南龍翼)과 일본의 두 접반승(九巖中達ㆍ茂源紹柏)이 사행 노정을 함께 하면서 서로 창화한 시를 모은 것이다. 둘째, 수록 창화시의 현황과 특징을 살폈다. 『朝鮮三官使酬和』는 7언절구 44수, 7언율시 11수, 5언 율시 21수 등 총 65題 76首를 수록하고 있다. 편집체제는 三使의 경우 정사-부사-종사관, 접반승의 경우는 九巖中達-茂源紹柏의 순서로 엮어 위계를 존중하고 있고, 창화한 날짜가 다르더라도 창화 현장의 느낌이 살아나게 贈詩-次韻詩의 순서로 재배치하고 있다. 또 접반승 中達을 중심으로 엮되 對馬島로부터 韜浦까지 상경 노정에서 이루어진 창화시만을 모아 엮은 것이 특징이다. 셋째, 『朝鮮三官使酬和』에 반영된 노정과 내용상의 특징을 살폈다. 첫 노정인 對馬島에서의 창화는 삼사와 두 접반승이 서로 만난 기쁨과 상대의 詩才에 대한 찬탄 및 宿緣의 소중함이, 壹岐島와 藍島에서는 儒者와 佛者로서 상대의 품성에 대한 찬양과 覇家臺를 중심으로 박제상과 정몽주 두 충신에 대한 追慕之情이 두드러졌다. 赤間關에서는 악천후로 지체되는 使行에 대한 조바심과 위로 및 자연풍광에 대한 찬탄이, 上關과 韜浦에서는 翫月의 시흥에 녹아든 同類의식과 盤臺寺의 독특한 생활방식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졌다. 이처럼 『朝鮮三官使酬和』는 창화시집이 그리 많지 않은 을미통신사(1655) 때 산출되었고, 그동안 학계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통신사 三使와 일본 接伴僧의 창화시를 모은 최초의 창화시집으로 이후 『槎客通筒集』(1711)과 같은 통신사-접반승의 창화시집 편찬의 전통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문화교류사적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about the poetry Joseonsamgwansasuhwa, which was created during the Eulmi-Tongshinsa(1655). First,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Joseonsamgwansasuhwa is examined. Eulmi-Tongshinsa(1655) is a delegation sent to celebrate Tokugawa-Iecheuna, the fourth Syogun of Japan s Bakuhu. Joseonsamgwansasuhwa is a collection of poems created by the three delegates from Joseon, Jo-hyung, Yoo-chang, and Nam-yongik, and the two Japanese monks, Kyugan-Judatsu, Mogen-shouhaku of the Japan, who were in charge of hospitality and guidance and three envoy of Joseon Dynasty. Secondly,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oetry in Joseonsamgwansasuhwa examined. Joseonsamgwansasuhwa contains 76 poems in total. The three envoys from the Joseon Dynasty are shown in order of Ambassador, Vice Ambassador and the Third Ambassador, and Japanese assistant monks, Kyugan-Judatsu, Mogen-shouhaku of Japan. And, although the date of the reply to the original is different, it is rearranged following the right order of consecutive dates so that the reader would feel vividly. In addition, the collected poems are mainly the ones written on the Kyugan-Judatsu, and these poems have the characterization of the poetry written on the roads from Tsushima to Tomonoura. Thirdly, the nature of the travel plans and contents that in Joseonsamgwansasuhwa examined. In Tsushima, central points of the pieces were laid on the joy of meeting, the admiration for the each other s poetic talent, and the importance of the long-standing relationship. In Ikinoshima and Ainoshima writings, praise for the opponent and remembrance for Park Je-Sang and Jung Mong-ju were remarkable. Int Akamagaseki, the impatience and comfort of the schedule of being late because of the weather and the admiration for the scenery were prominent. Finally, the pieces written in Kaminoseki show that they shared friendship while they were expressing their admiration of the moon, and the Tomonoura writings show their interest in the uniquely Bandaiji s way of life. Therefore, Joseonsamgwansasuhwa is the first collection of poems exchanged between the three envoy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Japanese monks who have not been noticed in the academic world. Its significance is highly appreciated in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 KCI등재

        『국어국문학』에 반영된 고전문학 연구의 흐름

        한태문(Han, Tai-moon) 국어국문학회 2012 국어국문학 Vol.- No.160

        This study reviews the results of research on classical literature which have been includ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 academic journal issued by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o celebrate its 60th anniversary. Firstly, the literatures have been divided into the first period(1952-1970), the second period(1971-1990) and the third period(1991-2011) by twenty years. Then the tendency of research on different genres including general theory, classical poetry, classical narrative, classical prose, sino-korean literature, oral literature and folklore. This review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re have been more of studies carried out during the second period, compared to the first period, but the number of papers has decreased during the third period. It seems that this is because academic societies have been divided according to different genres variously and the results of their research have also been divided differently as there have been more of academic journals during the third period. However, there have been continuous research on Hyang-ga, Chinese poem, Pansori, thus having increased the number of their studies. Secondly, there have been studies which have not been relatively vitalized. In general, however, entire parts of the classical literature have been studied in depth continuously. Thirdly, further studies need to be directed to enhance the statu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East Asia and the entire world, to deepen connection to related studies, to find the ways to utilize the literature educationally and culturally, and finally the research in this field needs to be carried out more widely.

      • KCI등재

        密陽 表忠寺 소장 〈泗溟大師日本上陸行列圖八曲屛〉 연구

        한태문(Han Tai-M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한국민족문화 Vol.38 No.-

        본 연구는 일본의 두 학자에 의해 촉발된 밀양 표충사 소장 〈泗溟大師日本上陸行列圖八曲屛〉에 대한 논의가, 정작 국내 학계에선 구체적인 고증작업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데 대한 반성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밀양 표충사 소장 행렬도는 1605년 사명당이 德川家康과의 회담을 위해 京都 伏見城으로 향하는 행렬을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행렬도에는 국서 가마와 馬上才, 그리고 1682년 통신사부터 등장하는 제술관 및 조선후기 통신사행에 버금가는 대규모 인원이 등장하여, 적어도 1682년 이후의 통신사 행렬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682년 이후 통신사 행렬도 중 1711년 통신사 행렬을 묘사한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正德元年辛卯年朝鮮國之信使登城行列〉이 표충사 소장 행렬도와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서로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표충사 소장 행렬도는 국사편찬위원회 소장본의 전체 행렬도 가운데, 통신사 행렬을 중심으로 對馬島 家臣 일부분이 앞뒤로 호위하고 있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1711년 통신사 행렬을 묘사한 그림임에도 불구하고 표충사 소장 행렬도를 비롯하여 異本인 〈이원식본〉과 〈김씨본〉 등이 한결같이 ‘사명당의 伏見城 登城 행렬’을 畵題로 삼고 있는 것은, 통신사의 행렬을 사명당의 행렬로 환치하고픈 기증자 또는 제작자의 열망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Milyang Pyochungsa houses an old folding-screen painting of Samyeongdang who proceeded into the castle of Kyoto Fushimi in order to confer with Tokugawa Ieyas in 1605. This painting describes Carrier for National Credentials, Tongshinsa, On-Horse Acrobatic Feats, Jesulgwan which appeared since 1682, showing people as many as those at the painting of late-Chusun Tongshinsa.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is painting describes the procession of post-1682 Tongshinsa. This Pyochungsa painting was made by imitating a section from a whole painting of procession owned by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which describes the 1711 Tongshinsa procession. The scene of Tsushima warriors escorting this procession was cut out from this procession to become the Pyochungsa folding screen. Compared with the original one of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 lot of people were deleted and the order of procession was differently described. Even though the Pyochungsa painting, the photograph of procession owned by Lee Won Shik, and the painting of procession owned by Mr. Kim describe the procession of 1711 Tongshinsa, they are all together entitled "Procession into the Castle of Kyoto Fushimi," This entitling can be considered to be an expression of the donator's and the maker's desire to replace Tongshinsa's procession with Samyeongdang's.

      • KCI등재

        조선시대 對日 使行과 梁山

        한태문(Han, Tai-M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한국민족문화 Vol.41 No.-

        본 연구는 그동안 對日 사행의 路程지역에 대한 연구가 일본노정과 국내노정 중 下行路에 편중된 데에 대한 반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부산과 인접한 梁山이 對日 사행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각종 使行錄과 문헌자료 등을 통해 재조명한 것이다. 그 결과 양산은 1420년 回禮使行에서 1881년 紳士遊覽團에 이르기까지 對日사행의 중요한 경유지였고, 龍堂과 釜山에서의 사행 접대는 물론 黃山驛을 중심으로 사행에 필요한 인원과 물자를 제공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사행록에는 양산을 대표하는 인물과 자연도 반영되어 있었다. 곧 양산 출신의 朴堤上은 조선의 통신사와 일본의 문사들에게 충절의 표상으로 받들어져 그에 대한 추모시를 남기는 것이 전례가 되었다. 그리고 詩興을 불러일으키는 양산의 澄心軒·淸溪堂·臨鏡臺 등의 아름다운 경관은 통신사의 완상공간으로, 통도사는 修信使와 紳士遊覽團의 완상공간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따라서 양산은 조선시대에 행해진 對日 사행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고장으로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derived from reflection about the studies on the itinerary regions where the envoys passed through during envoy’s visit to Japan which were biased on itinerary towards Busan among Japan or domestic regions. Even among those, the status of Yangsan which was neglected by the studies even though it was contiguous to Busan positioned in envoy’s visit to Japan was intensively shed new light through the reports about envoys and other literary documents etc. As a result, Yangsan was an important stopover for envoy’s visit to Japan such as Hoeryesa(回禮使)ㆍTongsinsa(通信使)ㆍSusinsa(修信使)ㆍShinsaeuramdan (Excursion Group, 紳士遊覽團) etc. from 1420 until 1881.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reception for the envoys in Yongdang(龍堂), Busan and Hwangsanyeok(train station, 黃山驛) performed roles providing necessary personnel and materials for envoy’s visiting. In addition, the people and nature representing Yangsan were reflected in the reports of envoys. Park, Je-Sang(朴堤上) who was born in Yangsan was respected as representation of loyalty and incision by Tongsinsa of Joseon and the writers of Japan, so remaining the memorial poem for him became a precedent. And the beautiful sceneries such as Jingsimheon(澄心軒)·Cheonggyedang(淸溪堂)·Imgyeongdae(臨鏡臺)etc.in Yangsan became appreciation spaces for Tongsinsa, and Tongdosa was described as appreciation space for Susinsa and Shinsaeuramdan (Excursion Group). Thus, Yangsan is needed to become a region which has a close relation to envoy’s visit to Japa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