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토간에 유발한 VX2암종의 발견을 위한 Superparamagnetic Iron Oxde 조영증강MRI의 적정 Sequence$^1$

        한준구,이경호,최병인,Han, Jun-Gu,Lee, Gyeong-Ho,Choe, Byeong-In 대한영상의학회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8 No.1

        목적: 이 실험 연구의 목적은 악성다발간종양 평가에 가장 적절한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이하 SPIO)조영증강자기공명영상(이하 MRI)기법을 밝히는 것이다. 대상과 방법: 간에 VX2암종을 다발성으로 심은 12 마리 가토에, 총 9 가지 서로 다른 기법을 이용한 SPIO조영증강MRI를 시행하였다. 포함된 기법은 급속스핀에코T2강조 및 양자밀도강조영상과 에코시간을 다양하게 변화시킨 (7 msec, 12 msec, 15 msec, 35 msec)경사에코$T2^*$강조 영상이었다. 종양과 간실질의 대조잡음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고, 판독자 두 명의 합의에 의 해 종양경계의 명확성과 영상인공물의 정도를 4등급으로 평가하였다. 각 기법의 종양 발견예민도와 양성예측도는 육안병리조직과의 비교를 통하여 구하였다. 결과: 대조잡음비는 급속스핀에코 T2강조영상과 긴에코시간(35 msec)의 경사에코 $T2^*$강조기법에서 가장 높았고, 종양경계의 명확성은 급속스핀에코T2강조영상과 중간정도에코시간(12msec)의 경사에코$T2^*$강조기법들에서 가장 뚜렷하였으며 영상인공물의 영향이 가장 적은 기법은 짧은에코시간 (7 msec)의 경사에코$T2^*$강조영상이었다. 종양발견예민도는 중간정도에코시간(12 msec)의 경사에코기법들 (FLASH 84%; FISP 82%)과 T2강조영상(79%)및 양자밀도강조영상 (76%)의 급속스핀에코가 우수하였다. 양성예측도는 모든 기법에서 대체로 우수하였고 (86%-97%)각 기법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5). 결론: 이 실험연구에서 SPIO조영증강MRI의 여러 기법 중 급속스핀에코T2강조영상과 중간에코시간 (12 msec)의 경사에코$T2^*$강조영상이 가장 높은 영상의 질과 우수한 종양발견율을 보여간의 다발암종의 평가에 가장 적절한 기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pulse sequences for SPIO-enhanced MR imaging in the evaluation of multiple hepatic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rabbits with multiple VX2 liver tumors underwent SPIO-enhanced MRI using the following nine pulse sequences: TSE T2-weighted imaging (T2WI), TSE proton density-weighted imaging (PDWI), and GRE $T2^*$-weighted imaging ($T2^*$WI) with seven different echo times (TE). Liver-lesion contrastto-noise ratios (CNRs) were calculated, and images were also assessed qualitatively by two radiologists, who reached a consensus as to lesion conspicuity and imaging artefacts using a four-level scale. By means of pathologic correlation, the sensitiv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each sequence was calculated. Results: TSE T2WI and long-TE (35 msec) FLASH $T2^*$WI showed the highest liver-lesion CNR. The best lesion conspicuity was seen at TSE T2WI and medium-TE (12 msec) GRE $T2^*$WI. Short TE GRE T2*WI showed the least imaging artefacts. The four sequences which demonstrated the best sensitivity were medium-TE (12 msec), GRE $T2^*$WI (FLASH, 84%; FISP, 82%), TSE T2WI (79%), and TSE PDWI (76%). All nine sequences showed overall high positive predictive value (86-97%),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Conclusion: In terms of image quality and the detection of sensitivity, TSE T2WI and medium TE (12 msec) GRE $T2^*$WI were the top two pulse sequences among the various sequences used for on SPIO-enhanced MRI. They are thus considered to be the optimal sequences for evaluating multiple malignant hepatic tumors.

      • KCI등재후보

        재발성화농성담관염: 다중시기 나선식 CT의 국소감약차이와 임상.병리 소견의 연관성$^1$

        한준구,김태경,김석준,김현범,Han, Jun-Gu,Kim, Tae-Gyeong,Kim, Seok-Jun,Kim, Hyeon-Beom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2

        목적: 재발성화농성담관염 환자의 다중시기 나선식 CT에서의 국소감약차이(focal attenuation differences; FAD)와 담관벽 조영증강의 임상적,병리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60명 환자의 다중시기 (조영전기, 동맥기, 간문맥기)CT영상을 분석하였다. 조영 전기를 기준으로 두 가지 형태의 FAD(Type A: iso, Type B: low attenuation)를 볼 수 있었으며 FAD의 빈도, 형태와 분포양상 (엽성 분포 또는 반점형, 다병소성 분포) 및 담관벽 조영 증강을 분석하여 임상소견 및 병리결과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총 40명의 환자에서 FAD를 관찰할 수 있었다.Type A FAD를 보인 27명 환자 중 19명은 임상적으로 활동성 염증 상태였고 Type B FAD를 보인 13명중 10명은 임상적으로 염증의 증거가 없었다. CT상 FAD가 있었고 병리로 확인된 환자에서 Type A FAD를 보인 15명중 10명은 활동성 염증이 있었고 Type B FAD를 보인10명중 9명은 만성염증 상태로 판명되었다.FAD를 보이지 않은 20명중 18명은 임상적으로 염증의 증거가 없었으며, 병리로 확인된 11명중 9명에서 잠복성(dormant)염증 상태를 보였다 (p<0.001). 그러나, FAD의 분포 형태와 담관벽의 조영증강은 임상.병리소견과 통계적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재발성화농성담관염 환자에서 다중시기의 CT에서의 FAD를 관찰함으로써 염증의 활성도를 예측할 수 있다. Purpose: To determine the clinical and the pathologic significance of the focal attenuation differences (FAD) and bile duct wall enhancement occurring in recurrent pyogenic cholangitis (RPC) and seen at multiphasic spiral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multiphasic (non-contrast, arterial and portal or delayed phase) spiral CT findings of 60 consecutive patients, two types of FAD were noted during the non-contrast phase. These were Type A (iso) and Type B (low attenuation), and their distribution pattern (lobar versus patchy, multifocal) and th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bile duct wall enhancement were recorded. The radiologic findings were correlated with the clinical and pathologic findings. Results: Two types of FAD were noted in 40 of the 60 patients. Active in flammation was present in 19 of the 27 with Type-A and in ten of the 15 in whom the presence of RPC was pathologically proven. Ten of the 13 with Type-B FAD were in a subclinical state, and nine of the ten in whom RPC was pathologically proven had chronic inflammation. Among 20 patients who did not have FAD, RPC was subclinical in 18 and dormant in nine of the eleven in whom its presence was pathologically proven (P<0.001). Clinico-pathologic correlation with bile duct wall enhancement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FAD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e inflammatory activity of RPC can be predicted by analysis of the FAD seen at multiphasic spiral CT.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실험적으로 유발한 가토 VX2 암종의 종양 혈관: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 초음파 및 혈관 조영술 소견과 병리조직학적 소견과의 비교

        김영훈,한준구,정진욱,이경호,김석준,최병인,장기현,Kim, Yeong-Hun,Han, Jun-Gu,Jeong, Jin-Uk,Lee, Gyeong-Ho,Kim, Seok-Jun,Choe, Byeong-In,Jang, Gi-Hyeon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5

        목적: 실험적으로 가토의 대퇴부에 유발한 VX2 암종의 종양 혈관상을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초음파 및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술의 조영 증강 양상으로 평가하고 양자의 소견을 비교하며 조영 증강 양상의 차이를 유발하는 병리 조직학적 근거를 규명하는데 있다. 대상과 방법: 가토의 대퇴부에 이식된 30개의 VX2 암종에 대해 조영 전 출력 도플러 초음파 영상을 얻고 미세기포 초음파 조영제를 정주 하여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 초음파 영상을 얻은 후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조직 절편을 얻어 영상 소견과 병리 조직학적 소견을 연관 분석하였다. 조영 전 및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 초음파와 혈관 조영술 영상에서 종양 혈관의 분포 양상을 분석하고 종양내 혈관 밀집도 점수 및 종양의 전체 면적에 대한 혈관 면적의 백분율을 구하였다.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괴사정도, 섬유혈관성 간질 및 피막의 발달 정도를 분석한 뒤 이를 영상 소견과 연관시켜 보았다. 결과: VX2 암종의 종양 혈관상은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 초음파검사에서 무혈관성이 9예, 주 변부 분포형이 15예, 미만성 분포형이 6예였다. 혈관 조영술에서는 8예가 무혈관성, 14예가 주변부 혈관 분포, 그리고 나머지 8예는 미만성 혈관 분포를 보였다. 혈관 분포의 양상은 두 검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혈관 밀집도 점수와 혈관 면적 백분율은 조영증강 출력 도플러와 혈관 조영술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병리 조직학적 검사에서 미만성 혈관분포를 보였던 예들은 종양의 경계가 분명하고 피막과 섬유혈관성 간질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괴사정도, 피막 및 섬유성 간질의 발달 정도는 출력 도플러 초음파 및 혈관 조영술의 혈관밀집도 점수, 혈관 면적 백분율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가토의 대퇴부에 유발한 VX2 암종은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 초음파와 혈관 조영술에서 무혈관성에서부터 과혈관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양 혈관상을 보였고 이러한 종양 혈관의 양상은 괴사정도, 섬유성 간질 및 피막의 발달 정도 같은 병리 조직학적 지표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urpose: To describe findings of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nd DSA in experimentally induced VX2 carcinomas in rabbit thigh and to correlate the imaging findings with the histopathologic featur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0 VX2 carcinomas were implanted in rabbit thigh, and after conventional and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nd DSA, histopathologic examination was performed.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nd DSA, were use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umor vascularity; to assess its grade and the percentage of a tumor area occupied by vessels, conventional and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s well as DSA, were used. The grade of necrosis and the development of fibrovascular stroma and capsule were histopathologically determined. The findings of power Doppler sonograph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DSA and the imaging features were correlated with the histopathologic features. Results: At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the signal was either avascular (n=9), peripheral (n=15) or diffuse (n=6), while at DSA, the corresponding totals were eight, fourteen and eigh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elation between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nd DSA, both in their depiction of the distribution of patterns of tumor vascularity and as regards their findings of grade and percentage of vascular area. As determined by both conventional and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nd by DSA, grade of necrosis and the development of fibrovascular stroma and a capsule correlated with grade and the percentage of vascular area. Conclusion: Experimentally induced VX2 carcinomas in rabbit thigh demonstrated various patterns of tumor vascularity, and the findings of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correlated with those of DSA. Tumor vascularity, as demonstrated by two imaging modalities, correlated closely with grade of necrosis and the development of fibrovascular stroma and a capsule, as revealed by histopathologic examination.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췌십이지장 절제술후의 가성동맥류: 혈관조영술을 이용한 진단과 색전술

        정준용,이상현,김삼수,한헌,정혜원,한준구,최병인,정진욱,박재형,Jeong, Jun-Yong,Lee, Sang-Hyeon,Kim, Sam-Su,Han, Heon,Jeong, Hye-Won,Han, Jun-Gu,Choe, Byeong-In,Jeong, Jin-Uk,Park, Jae-Hyeong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7 No.2

        목적: 췌십이지장 절제술후 합병증으로 출혈을 보인 환자에서 혈관조영술을 이용한 가성동맥류의 진단 및 색전술을 통한 지혈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총 51개월 동안 췌십이지장 절제술을 시행 받은 298명의 환자 중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출혈로 혈관조영술을 시행한 19명(6.4%)의 환자에서 가성동맥류가 발견된 9명(3.0%)을 대상으로 출혈 전후의 임상소견, 혈관조영술 소견 및 색전술의 지혈효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9명의 환자에서 혈관조영술로 가성동맥류를 진단하였다(총간동맥 4명, 위십이지장동맥 3명, 고유간동맥 1명, 좌위대망막동맥 1명). 크기는 0.3 cm에서 6.5 cm로 평균 1.9 cm이었고 조영제의 혈관외유출은 5명(55.6%)에서 보였다. 혈관조영술을 시행받은 나머지 10명의 환자에서는 혈관조영에서 출혈의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 수술 2주일 이내와 이후의 조기 또는 지연출혈에 동반된 경우는 각각 5명, 4명이었다. 가성동맥류를 진단받은 9명 환자 중 대량 출혈이전에 문합부 유출로 인한 복강내의 체액 또는 농양 배출을 위해 경피적배액술을 시행받은 환자는 7명(77.8%)이었으며 9명 모두에서 소량의 예기출혈을 보였다. 혈관조영술로 정확한 가성동맥류 위치를 파악하여 환자는 8명에서 코일을, 나머지 한명에서는 gelfoam을 이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하였고 모두에서 지혈에 성공하였다. 색전술과 연관된 주요 합병증을 경험한 환자와 추적기간 중(72-1336일,평균 640일)재출혈을 보인 환자는 없었다. 결론: 췌십이지장 절제술후 가성동맥류는 드물지만 출혈의 원인으로 중요하며 혈관조영술 및색전술로 가성동맥류의 조기 진단 및 성공적인 지혈을 하여 위험이 높은 응급수술을 최소화할수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ngiography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seudoaneurysm manifesting arterial hemorrhage as a significant complication following pancreatoduodenectomy. Materials and Methods: For 51 months, of a total of 298 patients who had undergone pancreatoduodenectomy, 19 patients (6.4%) developed clinically significant hemorrhage and nine patients proved to have a pseudoaneurysm on angiography. These nine patients (3.0%) were managed by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We analyzed clinical feature, angiographic findings and hemostatic effect of embolization retrospectively. Results: In nine patients (3.0%), pseudoaneurysm was diagnosed on angiography (common hepatic artery in four, gastroduodenal artery in three, proper hepatic artery in one, and left gastroepoploic artery in one patient). The size ranged from 0.3 cm to 6.5 cm (mean 1.9 cm). And extravasation was noted in five patients (55.6%). The remained ten patients showed no evidence of bleeding on angiography. Those who manifested as early bleeding (within two weeks) or delayed bleeding (later than two weeks) were five and four patients respectively. Before the onset of major bleeding, among the nine pseudoaneurysm patients, seven patients (77.8%) had experienced percutaneous drainage due to intra-abdominal fluid collection with or without abscess resulting from anastomotic leak, and all nine patients had had preliminary minor bleeding. The angiogram demonstrated an exact site of bleeding as a pseudoaneurysm followed by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microcoil in eight patients, gelfoam in one) and achieved complete hemostasis yielding a success rate of 100%. Overall, no patients experienced complications related directly to the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technique. During the follow-up period (72-1,336days, mean 640), no recurrence of bleeding was noted. Conclusion: Although pseudoaneurysm is a rare complication, it is important as a cause of hemorrhage after pancreatoduodenectomy. Angiography followed by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allows early diagnosis and hemostasis of pseudoaneurysm and minimizes the need for high-risk emergency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