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하철 실내 소음 하에서 음향기기 사용에 따른 음향반사역치와 소음 속 어음인지 변화

        한우재,전현지,마선미,Han, Woojae,Chun, Hyungi,Ma, Sunmi 한국음향학회 2015 韓國音響學會誌 Vol.34 No.2

        환경 소음의 무절제한 노출이 청력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보고는 익히 알려져 있지만, 지하철 실내 소음과 휴대용 음향기기 음량에 따른 이중 소음 노출에 대한 탑승객들의 청력 손실 여부는 많은 연구들에서 여전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지하철 실내 소음 하에서 탑승객들이 이어폰을 이용하여 개인음향기기 사용 시 음향 반사 역치와 소음속 어음인지도가 어떻게 변화하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20대의 젊은 건청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실험 그룹과 대조그룹으로 각각 20명씩 구분하였다. 실험 전 모든 대상자에게 5개의 주파수에서 음향반사역치검사와 0, -5 dB SNR에서 문장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그룹은 60분간 73.45 dBA의 실제 서울도심지하철의 평균 실내 소음 강도를 들으며 개인별 선호 음량으로 이어폰을 통해 좋아하는 음악을 들었고, 대조그룹은 동일강도의 지하철 소음에만 노출된 채 신문 혹은 잡지를 읽었다. 60분간의 지하철 소음 노출 후 음향반사역치검사와 소음 속 문장검사를 재실시하여 기준선과 비교하였다. 소음 노출 전 후 비교 시, 두 그룹 간 음향반사역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소음 속 문장 검사결과에서는 실험 그룹의 어음인지도가 소음 노출 후 유의하게 하락하였다. 본 결과를 근거로 지하철 탑승객이 일정기간 동안 지하철 실내 소음에 노출된 채 반복적으로 음악을 듣는 습관이 지속될 시 일시적인 어음인지력 저하의 위험이 예상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Although it is well-known that environmental noise can lead to hearing loss in individuals, the true extent of subway noise effects in the general population remains poorl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ee changes of acoustic reflex thresholds and speech perception scores when passengers listen to music presented from their personal listening device in the subway. Forty subjects with normal hearing participated being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s a baseline, all subjects were measured by acoustic reflex thresholds in five test frequencies and Korean speech perception in noise (KSPIN) test at 0 and -5 dB SNR. In the experiment, the control group read newspaper or magazine in the subway noise, whereas the experimental group listened to music presented from their smartphone under the subway noise through speakers at 73.45 dBA for 60 min. After completing the experiment, two groups also conducted both acoustic reflex thresholds and KSPIN tests in the same condition as the baselin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correct percent in speech-in-noise test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of that between two signal-to-noise ratios, which means the double noise exposure of 60 min might cause some degradation of speech perception when noise increases compared to only subway noise condition tha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 concluded that a risk of some degraded speech perception ability would be expected when passengers have a habit of listening to music in the subway noisy situation for a long duration.

      • KCI등재

        Effects of Hearing Protection Methods and Noise Directions on Bone-Conduction Sensitivity

        한우재,유재형,Han, Woojae,Yu, Jyaehyoung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2013 韓國音響學會誌 Vol.32 No.5

        The present study aimed to find the most sensitive placement of the skull to perceive speech through the bone vibrator in various protection methods while being exposed to noise. Twenty young normal-hearing adults (10 male and 10 female)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stimulus, Korean spondee words were presented via one of five skull locations (i.e., jaw angle, condyle, temple, mastoid, and vertex), while the participants wore one of four protection methods (i.e., ear form, ear plug, ear muff, and ear form and muff together) against white noise in one of four noise directions (i.e., 0, 90, 180, 270 degrees). The results showed: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ive skull locations with condyle being the most sensitive placement;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our protection methods, with the ear form plus ear muff condition (or dual protection) providing the lowest threshold; 3) when exposed to noise from 90 degrees, the significantly lowest threshold was found;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ults by gender. The pattern of results suggests that the communicative condition via the condyle bone conduction and the dual protection of the air conduction under any noise direction might be ideal for preventing noise-induced hearing loss, although further studies should be undertaken in this area. 본 논문은 소음 속에서 다양한 청력보호구 착용 시 청자의 두개골 위에 골진동체 자극을 이용하여 가장 민감한 어음인지 부위를 찾고자 하였다. 20명의 정상청력의 남성과 여성(각 10명)에게 강강격의 이음절어를 사용하여 네 종류의 청력보호구 (이어폼, 이어플러그, 이어머프, 이어폼과 머프 동시 착용)와 다섯 군데의 골진동체 위치 (하악골각, 관절구, 관자놀이, 유양돌기, 정수리)를 네가지의 소음 방향(0, 90, 180, 270도)에 따라 어음인지역치검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골진동체의 위치 중 관절구가 가장 역치가 낮았으며, 2) 청력보호구 종류는 이어폼과 머프를 동시에 착용(이중 보호) 하였을 때 가장 역치가 낮았다. 3) 소음 방향에 따라서는 90도에서 소음이 제시되었을 때 가장 낮은 역치를 나타냈으나, 4) 실험 대상자의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소음성난청을 예방하며 소음 속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이중보호 청력보호구 착용 하에서 관절구를 통한 언어전달이 가장 효율적이다.

      • KCI등재

        시간 변화와 선택적 단어 강조법이 정상 청력 성인의 문장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한우재,유재형,조수진,Han, Woojae,Yu, Jyaehyoung,Cho, Soojin 한국음향학회 2013 韓國音響學會誌 Vol.32 No.5

        본 연구는 정상 청력인에서 시간 변화 (i.e., 압축과 확장)와 선택적 단어 강조법이 문장인지도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정상 청력을 지닌 성인 20명이 연구에 참여 하였다. 자극음으로 한국표준 일반용 문장표(KS-SL-A)가 사용되었고, 문법적으로는 적절하지만 의미론적으로는 변칙적이고 무의미하게 재구성한 후, 여성 화자에 의해 녹음하였다. 시간 변화는 7단계 (e.g., ${\pm}60%$, ${\pm}40%$, ${\pm}20%$, 0 %)의 압축 및 확장으로 조절하였다. 이 때 선택적 단어 강조법 (i.e., 문장 내에서 특정 단어를 강조)의 효과를 보기 위하여 모든 대상자들에게 2주 간격으로 두 번 검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1) 시간 변화에 따른 문장인지도 정반응률은 60 % 압축 조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2) 선택적 단어의 강조 유무에 따른 문장인지도의 정반응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6 ~ 7개의 어절로 이루어진 장문장의 자극음을 사용할 경우, 40 % 압축 조건에서 단어가 +6 dB 강조되었을 때, 유의하게 정반응률이 향상되었다. 3) 성별에 따른 문장인지도의 정반응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금 빠른 시간 압축과 선택적 단어 강조법을 함께 사용했을 때가 시간 확장만 사용하였을 때보다 문장을 이해하는데 더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후속 연구에 의한 표준화 자료가 동반되어야 하겠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sentence perception scores were changed under various conditions of time alteration (compression and/or expansion) and selective word stress in normal hearing listeners. Twenty young normal hearing adults (ten males) were participated. As stimuli, Korean standard-sentence list for adults (KS-SL-A) modified to semantically anomalous sentences was newly recorded by a female speaker. Seven different time-altered conditions (e.g., ${\pm}60%$, ${\pm}40%$, ${\pm}20%$, 0 %) were controlled. To see the effect of selective word stress (i.e., the emphasis of specific syllables in the sentence), all subjects were tested twice 2 weeks apart. The results showed 1)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sentence perception scores among the different time-altered conditions, yet only in the 60 % compression condition;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sentence perception scores in the effect of stress; however,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f the selective word stress in the sentences consisting of 6 ~ 7 syllables at the 40 % compression condition; 3)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The pattern of results suggests that the combination of time compression and selective word stress is more effective to understand speech, instead of only using time expansion condition. However, further studies should be needed for standardization.

      • KCI등재

        정신질환 범죄자를 대하는 경찰의 경험에 관한 연구 -초점집단면접을 중심으로-

        한우재 ( Han Woojae ),대수민 ( Dae Su-min ),박지형 ( Park Ji-hyu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가족복지학 Vol.69 No.2

        정신질환 범죄자의 수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일반 범죄자보다 이들의 재범률은 매우 높은 편이다. 또한, 정신질환 범죄자의 강력범죄 비율은 전체 범죄자와 비교하면 5배 정도 높다. 자연스레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내 사건에 대한 경찰의 개입은 늘고 있으나, 대부분 연구는 관련 이론이나 해외사례를 소개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특히, 일선에서 정신질환자들을 대하는 경찰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구대에서 근무하는 경찰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경찰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경험을 다양한 차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5월 지구대에 근무하는 경찰 3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접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미숙함과 복합적인 감정’, ‘예정된 실패와 상처’, ‘체계적인 접근 및 협력의 한계’ 등 3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정신질환자를 대한 경찰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 There is increasing number of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in the community, and their recidivism rate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general offenders In addition, the felony crime rate of mentally ill offenders is approximately five times higher than that of all offenders. While police intervention for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is increasing, previous studies only provided theories and case studies from other countries. In particular,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the police who encounter people with mental illness on the front lines. Thus, this study aims to conduct the focus group interview to further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the police with mentally ill offenders in various dimens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sub-themes were derived in this study: ‘immaturity and complex emotions’, ‘predicted failures and stress’, and ‘systematic approach and coope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as discussed for the police to work with offender with mental illness.

      • KCI등재

        정신질환 범죄자의 지역사회통합에 대한 소고

        한우재(Han, Woojae),백세현(Baek, Sehyun),이성규(Lee, Sungkyu) 한국교정복지학회 2022 교정복지연구 Vol.- No.77

        정신질환 범죄자의 지속적인 증가와 높은 재범율로 인해 현행 정신질환 범죄자를 대상으로 한 시설 내 처우의 효과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정신질환과 범죄라는 복합적인 문제에 대해서 형벌중심의 개입이 아닌 치료중심의 다양한 접근들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정신질환 범죄자의 성공적인 재활을 위해 지역사회통합의 개념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선행연구는 정신질환 범죄자의 처우와 관련하여 치료와 지역사회통합을 이론적 개념적으로만 다룰 뿐, 기본 원칙이나 사례연구를 통해 종합적으로 다루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 범죄자의 성공적인 재활을 위해 다차원적인 지역사회통합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또한, 해외사례를 바탕으로 정신질환 범죄자의 성공적인 지역사회 재활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국내 정신질환 범죄자 처우 현황 및 문제점과 지역사회 통합의 다차원적 개념에 대해서 논하였다. 또한,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서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8가지 원칙을 제시하였고, 실제 지역사회 기관 및 교정시설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신질환 범죄자의 성공적인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과제에 대해 논하였다. An increase and high recidivism rate among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bring the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institution-centered approach. In addition, there are is various approaches focusing on treatment rather than punishment to deal with complicated issues related crime and mental illnes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community integration has been emphasized for the successful rehabilitation of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However, previous studies only treated this issue in a theoretical and conceptual way without comprehensive understanding using critical principles and practical examples. This study aimed to discuss multidimensional community integration for the successful rehabilitation of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Further, we suggested specific and applicable solutions for successful community rehabilitation by introducing examples of other countries. This study discussed the statistics, problems of current approaches for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in Korea, and the multidimensional concept of community integration. We also provided 8 principles for community integr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foreign case study and introduced various programs in correctional facilities and community agencies. Last, we discussed about tasks for successful community integration of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 KCI등재

        부모양육방식, 또래영향, 지역사회환경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학업중단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우재(Han, Woojae),정인관(Chung, Inkwa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 No.76

        매해 학업을 중단하는 청소년의 비율은 늘어가고 있다. 하지만 학업중단 청소년의 비행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비행연구가 인구사회학적, 개인적 요인들에 초점을 맞추고, 지역사회환경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등한시 해왔다. 본 연구는 2013년도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에 참여한 776명을 대상으로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부모양육방식, 또래영향, 지역환경요인으로 나누어 다변량회귀분석을 사용해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많을수록 비행행동이 줄어들었으며, 학대나 방임의 경험이 많을수록 또래관계가 좋을수록, 또래의 비행행동이 많을수록 학업중단 청소년의 비행행동이 늘어났다. 지역사회환경과 비행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지역사회 내 유대가 좋을수록 비행행동이 줄었고, 유해환경이 많을수록 비행행동이 늘어났다.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대처하고 예방하기 위한 학문적, 정책적, 실천적 노력에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The percentage of school drop-out youth is increasing each year. However, research on the delinquency of school drop-out youth is rare. In addition, most of the delinquency studies have focused on demographic and individual factors, while the influence of the community environment on delinquency has been neglected. This study use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factors (parental style, peer effect, community environment) affecting delinquency among 776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13 school drop-out panel survey. As a result, the more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the less delinquent behavior. In addition, the more experiences of parental abuse or neglect, the better the peer relationship, the more delinquent behavior of the peers, the more delinquent behavior of school drop-out youth.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environment and the delinquency, the better the human relations within the community, the less the delinquency behavior, and the more harmful community environments, the more the delinquency behavior.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on academic,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cope with and prevent delinquency behavior of school drop-out youth.

      • KCI등재

        경찰의 정신질환자 경험과 인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우재(Han, Woojae),김나영(Kim, Nayo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51 No.3

        지역사회 내 정신질환 범죄자 수는 지속해서 늘고 있으며, 지역사회의 문지기(Gate Keeper)로서 경찰의 역할을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정신질환자를 대하는 경찰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인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경찰의 정신질환자와의 경험(접촉 빈도, 폭력 경험)이나 인식(태도, 어려움, 자신감)을 알아보고, 이러한 것들이 경찰의 관련 업무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205명의 경찰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경험이나 인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지구대나 파출소에 근무하는 경우 정신질환자와의 접촉의 빈도가 매우 높고(평균 월 1회에서 2~3회 사이), 폭력피해 경험 또한 평균 월 1회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 대부분은 정신질환자 관련 업무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대처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경찰의 정신질환자 관련 업무의 소진에 있어서 부정적 태도, 대처의 어려움, 자신감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number of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in the community continues to grow, and the role of the police as gatekeepers in the community is critical. However, there are few empirical studies on police officers working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number of contacts and incidents of violence) and perceptions (attitudes, difficulties, confidence) of police officers regarding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as well 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officer burnout.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205 police officers, and the impact of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burnout was investigat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police officers have a high frequency of contact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averaging between 1 to 2 to 3 times a month. Furthermore, they reported experiencing violence, on average, once a month. Additionall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displayed a negative attitude and encountered difficulties when dealing with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Lastly, negative attitudes, work difficulties, and self-confidence related to working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significantly influenced police officer burnout.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치료명령제도의 효과성과 제도개선을 위한 연구

        한우재(Han, Woojae),대수민(Dae, Soomi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50 No.2

        정신질환 범죄자는 꾸준히 그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재범률은 일반 범죄자에 비해서 높다. 또한, 정신질환 범죄자 중 강력범죄의 비율은 일반 범죄자의 비율보다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처벌을 중심으로 한 정신질환 범죄자 처우의 효과성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2016년부터 대안적인 사법형태의 하나인 치료명령 제도가 시작되었다. 제도 시행 6년째가 되었지만, 아직까지 치료명령제도의 효과성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명령 제도운영의 효과성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실효적인 제도의 형성이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보호관찰소에서 치료명령을 담당하는 실무자 중 경험과 지식이 풍부한 보호관찰관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목적에 부합하는 운영’, ‘참여자의 특성을 반영한 치료명령’, ‘실무자를 위한 지속 가능한 업무환경조성’, ‘정신질환 범죄자를 위한 체계적인 접근’ 등 4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질환 범죄자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명령제도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실천적 · 정책적 함의를 논하였다. The number of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is steadily increasing, and their recidivism rate is higher compared to offenders without mental illness. In addition, the rate of severe crime by mentally ill offenders was five times higher than general criminals. As questions were raised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punishment-centered approach for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the treatment order started as an alternative criminal justice system in 2016. While it has been only 5 years, there is lack of empirical studies about the treatment 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order and provide the alternatives for better operation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probation officers in charge of treatment ord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four sub-themes were derived: Operation suited to the purpose, Treatment order by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Providing sustainable work environment for practitioners, and Systematic approach for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treatment order for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극음의 음향적 특성과 청각 뇌간에서의 전기생리학적 반응의 상관성

        전현지,한우재,Chun, Hyungi,Han, Woojae 한국음향학회 2016 韓國音響學會誌 Vol.35 No.1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the human auditory system is organized tonotopically and people generally listen to sounds as a function of frequency distribution through the auditory system. However, it is still unclear how acoustic features of speech sounds are indicated to the human brain in terms of speech percep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wo sounds with similar high-frequency characteristics in the acoustic analysis show similar results at the level of auditory brainstem. Thirty three young adults with normal hearing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stimuli, two Korean monosyllables (i.e., /ja/ and /cha/) and four frequencies of toneburst (i.e., 500, 1000, 2000, and 4000 Hz) were used to elicit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Measures of monosyllable and toneburst were highly replicable and the wave V of waveform was detectable in all subjects. In the results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ja/ syllable had a high correlation with 4000 Hz of toneburst which means that its acoustic characteristics (i.e., 3671~5384 Hz) showed the same results in the brainstem. However, the /cha/ syllable had a high correlation with 1000 and 2000 Hz of toneburst although it has acoustical distribution of 3362~5412 Hz. We concluded that there was disagreement between acoustic features and physiology outcomes at the auditory brainstem level. This finding suggests that an acoustical-perceptual mapping study is needed to scrutinize human speech perception. 청각기관의 음조체계로 인해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주파수 분포에 따라 소리를 듣는다. 그러나 어음인지 측면에서 어음의 음향적 특성이 사람의 뇌에서 어떻게 인식되는지는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사한 고주파수 음향적 특성을 갖는 두 개의 어음이 청각 뇌간에서 전기생리학적으로 어떻게 발현되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정상 청력을 지닌 20대 성인 33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자극음으로 두 개의 한국어 단음절 /자/와 /차/, 4개의 주파수로 구성된 톤버스트음(500, 1000, 2000, 4000 Hz)을 사용하여 청성뇌간반응을 얻었다. 연구 결과, 단음절과 톤버스트음 모두 높은 재현성을 보였고, 파형 V는 모든 피검자에게서 잘 발현되었다.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결과, 3671 ~ 5384 Hz 대역에서 에너지 분포를 갖는 /자/ 음절은 4000 Hz의 톤버스트음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차/ 음절은 1000 Hz와 2000 Hz의 톤버스트음과 높은 상관성을 보여, 3362~5412 Hz의 음향적 특성과 청각 뇌간에서 생리학적 반응은 일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람의 어음인지과정을 면밀히 조사하기 위해 음향-청지각적 매핑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 KCI등재

        설문지를 통한 소음성난청에 대한 인식 조사 및 분석

        이동욱,유재형,한우재,Lee, Donguk,Yu, Jyaehyung,Han, Woojae 한국음향학회 2015 韓國音響學會誌 Vol.34 No.4

        소음성난청은 고려 시 되어야 하는 공중보건 문제로 알려져 있지만, 큰 소음의 노출로 인해 난청이 발생됨을 많은 사람들은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인들이 얼마나 중요하고 심각하게 소음성난청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는지 22개의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20대부터 60대의 성인 남녀 150명을 대상으로 청력손실과 이명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건강 문제들에 대한 사회 및 개인적 중요도, 소음노출과 청력손실에 대한 인지 정도, 청력 보존 방법에 대한 인식을 문답하였다. 연구 결과, 다른 건강 문제들과 비교하여 응답자 중 약 17.33 %만이 청력손실을 '매우 큰 문제'로 인식하였다. 놀랍게도 다수의 응답자인 82 %는 청력손실에 관한 정보를 듣거나 보지 못하였다고 답변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약 85 %의 응답자들은 큰 소음이 있는 환경에서 청력 문제 및 이명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하였지만, 그 중 11.33 %만이 이어플러그를 착용해 본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많은 응답자들은 추후 의료진이 권장하거나(80 %), 소음으로 인한 영구적 청력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정보를 접한다면(78.67 %) 청력보호를 위해 소음 노출 시 이어플러그를 착용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소음으로 인한 영구적 청력 손실의 잠재성과 효율적인 청력 보호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으로 일반인들의 소음성난청을 예방하여야 하겠다. Although 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 is a significant public health problem, many people might not be aware that exposure to loud noise could occur hearing lo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ze how importantly and seriously people are aware of NIHL using a 22-question survey. It was administered to random 150 people including between 20 s to 60 s. The questionnaire contained questions about i) views toward general health issues including hearing loss and tinnitus, ii) noise exposure, and iii) views toward hearing protection. Results showed that hearing loss was defined on a likert scale as 'a very big problem' by 17.33 % of respondents compared with other health issues. Surprisingly, most respondents (82 %) had not heard, read, or seen anything lately related to the issue of hearing loss. Many respondents had experience hearing problem or tinnitus under loud noise situations (85 %), however, only 11.33 % of respondents had used earplugs. Fortunately, many could be motivated to try ear protection if they were advised by a medical professional (80 %) or were aware of the potential for permeant hearing loss (78.67 %). We concluded that awareness of the potential for permanent hearing loss with noise and effective methods of hearing protection should be announced to public for preventing NIH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