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출토 지역과 시대에 따른 한국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 분류 특성

        김소진,한우림,황진주,정연중,한민수,Kim, So-Jin,Han, Woo-Rim,Hwang, Jin-Ju,Jeong, Youn-Joong,Han, Min-su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保存科學硏究 Vol.36 No.-

        This paper confirms characteristics of lead isotopes of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Korea peninsula using 673 data classified according to Age, type and region. Lead isotopes data in Early iron ages are distributed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but data in Joseon ages are concentrated in zone 3. Also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Seoul, Gyeonggi, Chungcheong, Jeolla and Gyeonsang are manufactured using raw materials of the entire Korea peninsula, but bronzes excavated from North Korea aren't produced using raw materials of Gyeonsang provinces. Lead isotopes data will be able to find moving routes of raw materials and to separate the period of mixing and recycling of lead. 한반도에서 출토된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 분석 자료 673건을 이용하여 시대별, 유형별, 지역별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납동위원소비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초기철기시대는 한반도 남부의 전역에 걸쳐 넓게 분포하는 반면, 조선시대의 납동위원소비는 대부분 zone 3로 대변되는 충청남 북도와 전라남 북도에 분포되었다. 또한 서울 경기, 충청, 전라, 경상도에서 출토된 청동기는 한반도 전역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나, 북한의 경우 경상남 북도의 원료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시대가 명확한 출토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 분석 자료를 추가적으로 확보한다면 청동기 원료의 이동 경로 뿐만 아니라, 납이 혼합되고 재활용되는 시기를 구분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활용한 인용사지 출토 청동기의 원료 산지 연구

        이은우,김소진,한우림,한민수,황진주,Lee, Eun Woo,Kim, So Jin,Han, Woo Rim,Han, Min Su,Hwang, Jin Ju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4 보존과학회지 Vol.30 No.4

        인용사지에서 출토된 청동기 5점으로부터 채취한 시료를 대상으로 원료의 기원과 이동을 확인하기 위해 성분분석 및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용사지에서 출토된 청동기는 구리 및 주석의 이원계 합금으로 제작되어 납이 인위적으로 첨가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출토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 분석 결과, Mabuchi(1985)의 분포도에 의해 한반도 남부 및 중국 남부 지역에 포함됨을 확인하였으며, 한반도 납동위원소 분포도에 도시하여 태백산분지인 Zone 2 및 옥천변성대에 해당하는 Zone 3에 위치함을 알 수 있었다. 대상 유물은 모두 납의 함량이 상당히 적은 주석청동으로, 이때의 납동위원소비는 구리 광석의 산지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납동위원소비 분석은 납을 미량으로 포함한 모든 유물에 적용 가능하므로,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데이터의 확보와 연구를 통해 산지 추정 연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Chemical and Pb isotope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the origin of bronze artefacts excavated from the Inyongsaji site in South Korea. The result of ICP-MS shows that they are tin bronzes in which lead was not intentionally added during production. Pb isotope data analyzed by TIMS are plotted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and China of the distribution map drawn by Mabuchi(1985). On the other hand, the identical isotope data are plotted in the Taebaek basin and the Olcheon metamorphic belt correspondent to zone2 and zone3 respectively. It is believed that the isotope data on the tin bronzes which have very low lead content can be used to trace the origin of copper ore rather than those of either lead or tin ore. Pb istope analysis allows diverse interpretation as it can be applied to any object containing trace amounts of lead. In addition, accumulation of isotope data as well as further studies will improve reliability of the provenance studies.

      • KCI등재

        납환의 제작방법 및 납동위원소비 특성 연구

        김소진,황진주,한우림,이은우,임석규,정연중,Kim, So-jin,Hwang, Jin-ju,Han, Woo-rim,Lee, Eun- woo,Rim, Seok-gyu,Jeong, Youn-joong 국립문화재연구원 201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7 No.4

        전국 사찰이나 폐사지의 탑주변에서 납으로 만들어진 납환(납구슬)이 약 30여 점 이상 출토되었고, 납환의 제작시기 및 제작목적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납환 11점에 대한 성분분석 및 납동위원소비분석을 통해 제작방법 및 동위원소적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납환은 반구형의 주형 2개를 이용하여 제작되었으며, 납 농도는 96%이상의 높은 순도를 보여준다. 11개 납환은 크기, 성분 및 주조방법 등에서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에 따른 원료물질의 산지는 한반도 영역 외 지역으로 추정된다. 또한 납동위원소비 분석 자료에 의해 11개의 납환은 2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지는데, 이를 원료 물질의 혼합과 연관시킨다면 그룹별 제작시기 또는 장소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추가적인 납환의 과학적인 분석과 문헌사학적인 연구를 병행한다면 납환의 제작방법이나 제작목적을 밝히는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More than 30 lead beads have been excavated from buddhist temples and sites but the production times are unknown the origi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manufacturing technique and provenance of 11 beads through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isotope analysis. Results shows that the lead beads are composed of high-purity lead and cast using for 2 semicircle moulds. Furthermore, 11 lead beads are similar in size, chemical composition and casting methods. Lead isotope analysis data suggest that the provenance of lead beads are not Korea peninsula. Also it is estimated that 11 lead beads were divided in 2 groups considering the time and places of production. The future works will be executed additional scientific analysis and historical background due to confirm the manufacturing system and provenance.

      • KCI등재

        한반도 납광산의 납동위원소비를 이용한 청동 원료의 산지추정 -청해진 출토 청동기를 중심으로-

        황진주 ( Jin Ju Hwang ),김소진 ( So Jin Kim ),한우림 ( Woo Rim Han ),한민수 ( Min Su Han ) 한국광물학회 2014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27 No.4

        본 연구는 국내 방연석 광산의 방연석에 대한 납동위원소비 분석 자료를 응용하여 청해진에서 출토되는 청동기에 사용된 납 원료의 산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부산물로 산출되는 미량원소의 종류와 함량이 산지추정의 보조지표로 이용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도 검토하고자 하였다. 장도 청해진에서 출토된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를 기존에 일본에서 사용하던 동북아시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에 적용하면, 청해진 출토 청동기는 중국산 납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를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에 적용하면 대상시료 대부분이 한반도 남부 옥천변성대와 영남육괴 지역의 방연석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미량원소 중에서 은(Ag)이나 안티몬(Sb)의 함량은 동일 지역(zone)의 납동위원소비가 비슷한 서로 다른 광상을 분리하는데 유용한 보조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was researched that provenance of the raw material for bronze relics excavated Cheonghaejin using the distribution of lead isotope ratio based on galena ores of South Korea. Also we want to make sure that the trace elements appearing as a by-product can be used as a secondary indicator for provenance research. In the case of the galena map of the East-North Asia (Mabuchi, 1985), data are plotted in China area.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most bronzes were produced with lead ore from China. On the other hand, the same data are plotted in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and Yeongnam Massif of the galena map of South Korea (KOPLID, 2012). Also the contents of Ag and Sb are available as indicator due to separate ores from similar zone in lead isotope rati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