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63호분 출토 금동관의 제작기법 및 원료 산지 연구

        한우림,권지현,박지연,김소진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2 보존과학회지 Vol.38 No.6

        An excavation project conducted by the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Heritage discovered a gilt-copper crown in Tomb No. 63 of the ancient tumuli in Gyodong andSonghyeon-dong, Changyeong. This study analyzed the aforementioned crown and identified thecertified group and the source of raw material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technique. Scientificanalysis confirmed that the crown was made of unalloyed copper and the surface was plated withgold and silver using the mercury amalgam technique. The gilded surface color is divided into redand yellow, and this is presumed to be due to differences in manufacturing processes such as thicknessand heat treatm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it was gilded. The copper raw material usedto manufacture the crown is identified as Zone 3 including Jeolla-do, Chungcheong-do, and northernGyeongsang-do, and the origin of the raw material and excavation site are not the same. Therefore,it is judged that raw materials from a different region than the excavated area of Changnyeong wereused, and the possibility that these were supplied from other regions and manufactured inChangnyeong cannot be excluded.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 조사한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중 도굴되지 않은 63호분에서 금동관이 출토되었다. 고대 금동관은 권력을 상징한다는 의미에서 다른 화려한 금속유물보다 높이 평가된다. 본 연구는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63호분에서 출토된 금동관을 분석하여 제작 기법에 따른 공인 집단 및 원료 산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과학적 분석 결과, 금동관은 합금하지 않은 구리로 제작하였으며 표면을 수은아말감 기법으로 금⋅은 도금한 것으로 확인된다. 도금된 표면은적색과 황색으로 구분되며 이는 도금 횟수에 따른 두께, 열처리 등 제작 공정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금동관 제작에 사용된 구리 원료는 전라도, 충청도 및 경상도 북부지역을 포함한 Zone 3로 확인되며 원료 산지와 출토지가 동일하지 않음을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출토지인 창녕과는 다른 지역의 원료를 사용하였던 것으로판단되며 타 지역에서 원료를 공급받아 창녕 지역에서 제작하였을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다.

      • KCI등재

        태안 마도해역 출수 청동숟가락의성분조성과 납동위원소비

        한우림,김소진,황진주 국립문화재연구원 201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9 No.3

        This study compares eight bronze spoons in the Goryeo Dynasty and analyzes their components and lead isotopes in order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roduction sites and excavation sites. Most of the excavated spoons have elliptical heads, and their handles are categorized into two types. Bronze spoons are made of binary Cu–Sn alloys, but Pb is not added. The same artifacts can have different trace elements depending on location, and the spoons had high Ag conten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ir lead isotopic ratio, they were made with raw materials produced in Zone 3 of the South Korean galena map. If the data of the trace elements in the raw ores of the bronze is accumulated, it can be used to indicate the provenance of the artifacts. 본 연구에서는 태안 마도해역에서 출수된 고려시대 청동숟가락 8점의 양식을 비교하고, 생산지와 출수지와의 관계를 파악하기위한 성분분석 및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실시하였다. 출수 청동숟가락의 술잎은 대부분이 타원형이었으며 술총은 능형과 연미형으로구분된다. 청동숟가락은 구리(Cu)와 주석(Sn)의 2원계 합금으로 제작되어 납(Pb)이 인위적으로 첨가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같은유물일지라도 시험편 채취 후 분석위치에 따라 미량원소 성분변화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미량원소 중 은(Ag)이 높게 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수 청동숟가락의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를 포함하는 zone 3에서 원료를 공급받았음을 알 수 있다. 청동제작에 사용되는 원료 광석의 미량원소 분석결과가 축적된다면 납동위원소비와 더불어 산지추정에 좋은인자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풍납토성 출토 청동유물의 제작기술 및 납 원료의 산지추정

        한우림,김소진,한민수,황진주,이은우 국립문화재연구원 2015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8 No.2

        Bronzes, Earthenwares and various artifacts were excavated from Pungnap earthen fortress in the early Baekje age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the manufacture technology of bronze artefacts and provenance of lead in bronzes. Microstructure and chemical composition results show that 3 of them are Cu- Sn-Pb alloys in which an intentional lead addition was carried out and one is tin bronze showing straight twin structure within crystal grains. Also CuFeS2 or Cu5FeS4 was used as raw materials through the detection of S and Fe as trace elements. The lead isotope results could be matched with one of the zones of southern Korea and China on the East Asian map. This results shows that data were plotted either in zone 2 or zone 3 of the South Korean galena map. However, one of bronze artifacts was matched with the zone of Northern China. 풍납토성은 백제 초기의 토성으로 토기 및 주거유물과 더불어 다량의 청동기가 출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풍납토성 출토 청동기 의 제작기술과 청동기 내에 포함된 납 원료의 산지를 추정하기 위해 출토지가 명확한 7점의 청동기 시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금속심이 남아있는 4점에 대한 미세조직 및 성분 분석 결과, 3점은 Cu-Sn-Pb의 3원계 합금이며 나머지 1점은 Cu-Sn의 2원계 합 금의 청동기로, 조직 내에 뚜렷한 쌍정이 관찰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성분 이외에 S(황), Fe(철)가 검출되어 황동광(CuFeS2) 또 는 반동광(Cu5FeS4)을 원광석으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이용한 산지 추정 결과 4점의 청동포수, 청동세환 2점, 청동유물 편(나)의 청동기에 산지는 zone 3(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의 지역으로 표시되었다. 청동유물 편(라)는 중국 북부 로 표시되었으며 청동검은 zone 2(경상남·북도)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함안 말이산 8호분 말 갑옷 제작기법 연구

        한우림,박지연,박영아,김소진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3 보존과학회지 Vol.39 No.4

        함안 말이산 고분군은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에 집중 조영된 아라가야 왕급 고분으 로, 특히 8호분은 말 갑옷과 마주, 사람 갑옷과 투구가 한 세트로 출토되어 가야 중장기병 복원 연구에 중요한 고분이다. 본 연구는 5세기 후반에 조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함안 말이산 8호분 에서 출토된 말 갑옷의 제작 및 표면 처리기법을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했다. 말 갑옷은 부위 에 따라 다른 금속 조직이 확인되는데, 말의 측면과 엉덩이를 보호하는 신갑과 고갑의 경우 연철 조직인 Ferrite가 확인되는 반면, 목과 가슴을 보호하는 경⋅흉갑 및 마주의 일부에는 Pearlite가 주도적으로 관찰된다. 이는 탄소 함량이 낮은 철기를 제작하여 갑옷으로 성형한 뒤, 방어를 위해 강도가 필요한 부분인 경⋅흉갑 및 마주의 챙 부분은 별도로 탄소 함량을 높여준 것으로 판단된다. 갑옷 일부에서는 별도의 수리 흔적 및 추가 투공 위치가 관찰되며, 말 갑옷 부위에 따라 탄소 함량의 차이를 둔 것을 통해 말 갑옷은 부장용이 아닌 실제 전쟁 행위에 활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전쟁 시 말을 보호하기 위해 목과 가슴 부분을 강도가 높은 철기로 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말 갑옷의 표면으로 추정되는 칠 도막 층에서 C(탄소)가 상대적으 로 높게 검출되는 것을 통해 갑옷 표면에 칠 등을 활용한 표면 처리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까지 분석 사례가 없는 말 갑옷 편에 대한 금속학적 분석 연구로, 이를 통해 갑옷 부위에 따른 제작 의도와 나아가 고대 전쟁 행위 시 말의 치명적인 부위를 어느 부분으로 생각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Haman Malisan Ancient Tumuli are a group of tombs belonging to the Aragaya kings that were intensively built in the late 5th to early 6th centuries. In particular, Tomb No. 8 is an important tomb for the study of restoration of Gaya’s heavy equipped cavalry, as horse armor, human armor and helmet were excavated as a set. This study sought to confirm through analysis the production and surface treatment techniques of horse armor excavated from Tomb No. 8 of the ancient tumuli in Marisan in Haman,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built in the late 5th century. Different metal structures are identified in horse armor depending on the part. Ferrite, a soft iron structure, is identified in the body armor and hip armor that protects the horse’s sides and hips, while pearlite is dominant in p arts o f the neck a nd c hest a rmor t hat protect the neck a nd c hest. It i s b elieved that i ron with a low carbon content was manufactured and molded into armor, and then separate carburization was performed on the neck and chest armor and the top of the chanfron, which were parts that required strength for defense. Traces of repairs and additional drilling positions are observed in some parts of the armor, and the difference in carbon content depending on the part of the horse armor suggests that the horse armor was used for actual warfare rather than for burial. Additionally, it is believed that the neck and chest were made of high-strength iron to protect the horse during war. It is presumed that the surface of the armor was surface treated using lacquer, as relatively high levels of C(carbon) were detected in the lacquer layer, which is believed to be the surface of the horse arm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ased on metallurgical analysis of pieces of horse armor that have not been analyzed to date, and the production intention. Furthermore, it will be used as very important data to confirm which part of the horse was considered fatal during ancient warfare.

      • KCI등재

        초기철기시대 청동기의 제작기술 - 충주 호암동유적과 부여 청송리유적 출토 청동기의 비교 연구

        한우림,황진주,김소진 국립문화재연구원 2018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1 No.4

        Thirty-three Early Iron Age bronzes at the sites of Hoam-dong in Chungju and Cheongsong-ri in Buyeo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stud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and the provenance of lead. Chemical analysis using X-ray fluorescence showed that 33 bronzes consist of copper(Cu), tin(Sn) and lead(Pb) served as major elements. Major and minor elemental analyses by EPMA were performed on two mirrors and 2 weapons of the bronze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s that bronze mirrors from Chungju and Buyeo were high-tin bronzes(>30 wt%). And 20% of tin and 5% of lead were founded in bronze weapons. Iron, zinc, arsenic, silver, nickel, sulfur and cobalt detected in four bronzes as minor and trace elements. The four bronzes were alloyed considering their function and were not heat treated after casting due to their high tin content. Lead isotope analysis using TIMS indicates that thirty-three bronzes were distributed southern Korea peninsula except Zone 1. As a result, lead raw materials came from various regions in Korean Peninsula not from Gyeongsang-do regions.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bronze ware generalized at this age, and bronze was produced in various sites using raw materials from various sources. 충주 호암동유적 및 부여 청송리유적 출토 청동기 33점의 분석을 통해 초기철기시대 청동기의 제작기술과 납의 산지를 연구하였다. 휴대용X선형광분석기를 이용한 비파괴 성분분석 결과 출토된 청동기 33점은 인위적으로 납을 첨가한 구리(Cu), 주석(Sn), 납(Pb)의 3원계 합금으로 판단된다. 4점의 청동기(동경 2점, 동검 1점, 동모 1점)의 전자탐침미소분석기를 이용한 성분분석 결과 충주 및 부여 출토 동경은 30%의 주석(Sn)과 10% 미만의 납이 포함된 고주석청동기로 확인되었으며 동모와 동검에서는 20% 내외의 주석과 5%의 납(Pb)이 검출되었다. 미량원소로는 철(Fe), 아연(Zn), 비소(As), 은(Ag), 니켈(Ni), 황(S) 및 코발트(Co)가 검출되었다 청동기 4점은 기능적인 면을 고려하여 합금되었으며 주석함량이 높아 주조 이후 열처리는 하지 않았다. 열이온화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충주와 부여 출토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통해 초기철기시대 청동기 3 3 점은 Zone 1을 제외한 한반도 남부 전 지역에 걸쳐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충주와 부여에서 출토된 청동기는 경상도 지역의 납 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한반도 내 다양한 산지의 납 원료를 사용했음을 판단하였다. 출토지가 달라 제작기술과 원료산지의 차이점이 존재할 것이라 추정하였으나 분석결과를 통해 이 시기의 청동기의 제작기술은 일반화되어 있었으며,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산지의 원료를 이용하여 청동기를 제작하였음을 추정하였다.

      • KCI등재

        강릉 굴산사지에서 출토된 청동기의 제작: 제작기술 및 원료산지

        한우림,김소진,이은우,황진주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9 보존과학회지 Vol.35 No.3

        Bronzes excavated from a Gulsansa temple site in Gangneung were investigated in orderto study the production of technology and provenance in this area. The bronze artifacts were discoveredto consist of copper-tin or copper-tin-lead alloys using chemical analysis(EDS and EPMA). Theexcavated bronzes were manufactured using a casting or hammering process, and a bronze belt wasgilded with gold foil. The provenance of 25 bronzes was studied using lead isotope analysis(TIMSand LA-MC-ICPMS). The results reveal the use of raw materials found near the excavated site. The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provenance in Gangneungwithout the need for a lot of data. Our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of Gulsansa and bronzeartifacts in Goryo(12-13th century). 강릉 굴산사지에서 출토된 청동기 25점은 에너지분광분석기(EDS)와 전자탐침X선분석기(EPMA)를 이용하여 성분분석해준 결과 출토된 청동기가 구리-주석의 2원계 혹은 구리-주석-납의 3원계 합금임을 알 수 있다. 합금 이후 주조 혹은 단조공정이 진행되었으며 청동고리의 경우,금도금이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납 동위원소는 열이온화질량분석기(TIMS)와 레이저삭막 유도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기(LA-MC-ICPMS)를 이용해 주었으며, 분석결과 출토지와 근거리의 납원료를 사용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데이터가 많지 않은 강릉지역 청동기의 제작기술 및 산지추정에 연구 목적이 있으며, 굴산사 실체의 확인 및 12∼13세기 고려시대 청동기의분석자료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방연석 제련실험을 통한 납 추출과정 및 물리화학적 거동변화 연구

        한우림,김소진,이은우,황진주,김수기,한민수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3 보존과학회지 Vol.29 No.1

        납을 획득하는 방법과 처리과정에서 일어나는 물리·화학적 거동변화를 확인함으로써 납이 함유된 고대 금속유물의 제작기법 연구에 활용하고자 방연석을 현재 가행 중인 광산에서 채취하여 세척 및 선광 등의 전처리 공정을 거쳐 제련 및 정련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납은 배소-화학반응에 의해 추출되며, 1,000℃이상의 고온에서도 방연석이 matte 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후 잔존하고 있는 방연석을 제거하기 위해 정련실험을 실시한 결과, 약 11.1g/㎤의 비중을 갖는 금속 납이 추출되었으며 방연석 내 미량으로 존재하고 있던 Ag가 입계 내에 응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고순도의 납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번 이상의 정련 과정과 은을 제거하기 위한 회취법 등이 시행되었을 것이다.

      • KCI등재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출토 마구류(馬具類)의 조성 및 원료 산지 추정

        한우림,박지연,김소진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4 No.1

        This study analyzed 19 samples of harness fittings and pendants, which were excavated in Tomb No. 15 in Songhyeon-dong, Changnyeong. Harness fittings and pendants are used for ostentation, rather than practicality, and were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in Gaya culture. So, they are considered artifacts that compare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raw material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provenience studies of Bihwa Gaya, which is estimated to be from the 5th to 6th centur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harness fittings were made of pure copper and were gilded with Au·Ag alloys on their surfaces. Hg was detected together and plated with a mercury amalgam method. As a result of the pendant (fish scales-pattern, oval and fish-tail shape), analysis showed that Fe in the background metal, Cu in the middle layer, and Au and Ag on the surface were the main components. The method of adhesion between Cu and Au·Ag gilded layers are plated by a mercury amalgamation method. So, it was identified by the gilt-iron·gold·bronze technique. Since the pendant (heart shaped) is found to be the main component of Fe in the background metal and Ag in the surface layer, the metal was made gilt-iron·silver technique. The background metal and gilding were additionally fixed using a rivet. The raw materials of 3 harnesses excavated from Changnyeong are plotted in zone 2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And 16 harnesses were plotted in Chinese copper ore by Mabuchi Hishao in the Chinese Peninsula. 본 연구는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 15호분에서 출토된 마구류인 입주부운주와 행엽 18건 19점을 분석하였다. 입주부운주와 행엽은 마구 장신구로 실용성보다는 신분 과시의 목적으로 사용되었는데 가야문화권 내 모든 고분에 서 출토되고 있으므로 각 문화권 제작 기법 및 원료 산지를 비교할 수 있는 유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입주부운 주와 행엽의 부위에 따른 제작 기법 및 원료 산지를 확인하여 5~6세기로 추정되는 비화가야의 금제 유물 제작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입주부운주는 순구리로 제작되었으며, 표면에 금(Au)·은(Ag)·수은(Hg) 등이 함께 검출되어 수은 아말감법으로 도금하였음이 확인된다. 어린문, 편원어미형 행엽의 분석 결과 바탕층(철)-중간층(구리)- 도금층(금·은)이 확인되며, 구리(Cu)와 표면 금(Au)·은(Ag) 도금층은 수은 아말감법으로 도금한 철지금동판장 기법으 로 확인된다. 심엽형 행엽은 바탕 금속에서는 철(Fe), 표면층에서는 은(Ag)이 주성분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철지 은장 기법으로 제작되었으며, 바탕 금속과 도금층은 원두정을 이용해 고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창녕에서 출토된 마구 류 19점의 원료 산지는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와 마부치히사오(馬淵久夫), 중국 납동위원소비 데이터를 통해 확 인한 결과 보요(2점) 및 어린문 행엽(1점)은 한반도 남부 태백산분지의 구리 광석을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16점은 중 국의 구리 광석을 원료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 프라이버시 보존 머신러닝의 연구 동향

        한우림 ( Woorim Han ),이영한 ( Younghan Lee ),전소희 ( Sohee Jun ),조윤기 ( Yungi Cho ),백윤흥 ( Yunheung Pae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2

        AI (Artificial Intelligence) is being utilized in various fields and services to give convenience to human life. Unfortunately, there are many security vulnerabilities in today’s ML (Machine Learning) systems, causing various privacy concerns as some AI models need individuals’ private data to train them. Such concerns lead to the interest in ML systems which can preserve the privacy of individuals’ data. This paper introduces the latest research on various attacks that infringe data privacy and the corresponding defense techniq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