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乾鳳寺 關聯 漢詩文의 硏究

        韓美英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고성군 거진읍 냉천리, 금강산 남쪽 기슭에 자리한 건봉사는 520년(법흥왕7) 阿道和尙이 圓覺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다. 신라 경덕왕 17년에 發徵和尙이 원각사를 중건하고 만일염불회를 결사하였다. 1358년(공민왕7)에는 懶翁和尙이 건봉사라 개명하였다. 건봉사는 조선왕조의 崇儒抑佛 정책 아래에서도 왕실의 願堂으로서 비호를 받으며 거찰의 명맥을 이어 나갔다. 임진왜란 때에는 四溟大師 惟政이 승병을 모집하여 항전하면서 왜군에게 강탈당한 불치아사리를 찾아 가지고 돌아와 건봉사에 안치하였다. 건봉사는 6.25의 兵火로 불이문을 제외한 건물이 소실되었으나 1989년 1월 20일에 민간인의 출입 통제선이 완화되어 옛 명성을 찾아가고 있다. 건봉사의 모습은 한시, 기행문, 비문 속에 적지 않게 남아 있다. 먼저 漢詩를 보면, 32수의 시가 있는데 사찰의 경관에 대한 시, 삶의 고뇌를 표출한 시, 사찰의 역사에 대한 시, 백성과 승려의 삶에 대한 시, 승려와의 교유의 시, 건봉사를 회고하는 시 가 있다. 건봉사는 시인들에게 현실의 질곡을 벗어난 휴식처이자, 현실의 도피처요, 天遊의 공간이며, 이상향의 공간이기도 한 복합적 세계로 인식된다. 기행문에 남은 건봉사 관련 기술은 17세기의 기행문인 尹宣擧의「巴東紀行」과 18세기의 기행문인 蔡之洪의「東征記」, 19세기의 기행문인 許薰의「東遊錄」의 일부분으로서 간략하게 기술되어 있다. 세 편의 기행문은 공통적으로 출발→노정→목적지→귀로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건봉사에 대해서는 노정 혹은 귀로 부분에서 기술 하였다. 원당으로서 받은 혜택이나 富饒한 전각의 모습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관점에서 기술되고 있는 특징이 있다. 碑文은 李宜顯의「金剛山雲坡堂大師碑銘」과 작자미상의 「有明朝鮮國 日庵大師塔銘幷序」, 李德壽의「牧羊堂大師靈眼碑銘」, 南公轍의「乾鳳禪院泗溟大師紀績碑銘」, 呂圭亨의 「碧梧大宗師碑」외에 다수가 있다. 비문의 공통적인 구조는 탄생담, 성장담, 수행담, 행적담, 사망담, 의론, 銘의 일곱 가지 체재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의현, 작자미상의 비문은 승려의 생평을 저술함에 있어 비문을 부탁한 제자가 화자로 등장한다. 南公轍과 呂圭亨이 찬한 비문은 형식에 있어 자유로운 편이다. Located in the south foot of Mt. Geumgang, Nangcheon-ri Geogin-eup, Goseong-gun, Geonbongsa, a Buddhist templ e, was built under the name of Wongaksa by Adowhasang in 520 (the 7th year of King Beopheung’s tenure). Aside from its eventful history, the image of Geonbongsa remained impr essive in Sino Korean poems, travel sketches, or inscriptions. First, the images of Geonbongsa open up the range of em otions in Sino Korean poems; a poem about the landscape of this temple on a journey to Mt. Geumgang, a poem revealing a suffering life, a poem written about the history and relics of the temple, a poem reflecting a pity for people and monks, a poem showing the friendship with monks, and a poem recalling the days of Geonbongsa, etc. Geonbongsa was a comfortable place to take a rest for the night to the poets who started on a journey to Mt. Geumgang. There have not remained many records on Geonbongsa compared to poems. We can only peep a little in some travels ketches; Padonggihaeng by Yoon-Seongeo in the 17^(th) century, Dongjeonggi by Chae-Jihong in the 18^(th) century, and Dongyoorok by Heo-Hoon in the 19^(th) century. These three travel sketches consist of the same structure, that is, departure, journey, destination, and return trip. Amo ng the structure, we can see the records on Geonbongsa in the part of journey or return trip. However, these records show us some negative points of view on benefits given to this temple as a prayer house and magnificent and big size of temple. Inscriptions vary like this: Geumgangsanwoonpadangdaes abimyeong by Yi-Uihyheon, Yoomyeongjoseongookilamdaesatapmyeongbyeongseo Which is anonymous, Mokyangdangdaesa younganbimyeong by Yi-Deok soo, Gonbongseonwonsamyeongdaesagijeokbimyeong by Nam- Gongcheol, and Byeokohdaejongsabi by Yeo-Gyoohyeong, etc. Inscriptions are composed of 7 items, such as birth, growt h, achievement, work, death, good deed, and engraving. The inscriptions by Yi-Uihyeon and Which is anonymous reveal a monk’s normal life, and its speaker is his disciple who asked for the inscription. It seems that the writer wante d to be separated. The inscriptions by Nam-Gongcheol and Yeo-Gyoohyeong have a free form.

      • 이야기 음악을 적용한 즉흥 연주 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한미영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변화의 세기이며, 정보의 세기이다. 급격하게 변화하고, 계속해서 생겨나는 정보 홍수의 시대 속에서 현대 사회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람보다 가지고 있는 정보를 창의적으로 이용하여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다양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사람을 필요로 한다. 이렇게 정보를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강조되면서 음악 교육에서도 창의적 활동에 중점을 둔 창작 영역이 강조되어야 할 중요한 영역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창작 영역 중 즉흥 연주는 창작 영역 중에서 어린 아이들의 흥미를 자극하고, 자발적이며 창의적인 음악 활동 할 수 있으며 음악 학습에 있어서 어떠한 활동보다도 어린이들의 자유로운 선택과 표현이 허용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사들이 즉흥 연주를 기보 능력과 연계화시켜 생각하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창작활동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즉흥 연주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하기 위하여 즉흥 연주에 이야기 음악을 적용해 보았다. 이야기 음악이란 동화나 생활 속에서 악기로 표현할 수 있는 요소를 찾아내서 음악의 구성 요소를 적절히 결합한 후 이를 여러 가지 악기로 연주하는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 3학년은 음악이라는 단일 교과를 처음 접하는 학년이다. 이때 음악적 능력을 일정한 수준까지 길러주는 것이 고학년이 되어서 음악의 흥미와 학습 능력을 떨어뜨리지 않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할 것이다. 이 시기에 음악의 흥미를 잃어버리면 고학년이 되어서는 흥미를 되찾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3학년 아동의 특성과 음악적 감각에 맞는 학습 방법을 고찰하고, 이야기 음악을 적용하여 아이들의 즉흥 연주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즉흥 연주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현행 제 7차 교육과정에 나오는 국어 교과서에 있는 이야기와 3학년 수준에 맞는 문학 작품을 이야기 자료로 만들고, 이 시기에 학습되어야 할 음악 개념에 따라 지도안을 재구성하였으며 상황에 따라 지도안을 개발하여 연구자의 담임학급인 3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정의적 영역에서는 아동들이 갖고 있는 즉흥 연주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활동으로 아동들에게 타인에 대한 배려, 의견수렴, 의견 조정 등의 민주주의적 태도를 자연스럽게 함양시킬 수 있었다. 또한 음악에 흥미를 가지고 있지 않은 아이들에게도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었다. 인지적인 면에서는 음악 개념을 보다 더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었고, 음악 교과 외의 국어, 체육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 즉흥 연주 능력의 평가에서는 즉흥 연주 및 표현 능력이 향상되었고 단순하고 감각적인 단계에서 점차 음악 개념에 맞게 음악적으로 수준 있는 단계로 심화 발전 되었다. 또한 기발하고 창의적인 즉흥 연주가 가능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이야기 음악 활동은 어린이들의 즉흥 연주 능력을 신장시키킬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야기 음악 활동이 자발적인 참여와 적극적인 표현을 할 수 있는 중요한 활동이라는 것이라는 인식을 확고히 하게 되었다. 21st century is the time of change and information. In the rush flow of information, the one who can actively adjust and use the information he has to react for the perpetually diversified and global society than a person who has more information is required. In the present society that emphasizes on the faculty to use information creatively, creativity in composing music is accentuated in music education as well. In particular, improvised play intrigues children's interest, draw their spontaneous and creative participation , and permit them more free selection and expression. However, teachers feel difficulty for they think children's musical proficiency is prerequisite for improvised play. Story music is applied to decrease pressure of creative activities and maximize the effect of improvised play. Story music is the music of which elements that can be described by music from fairy tales and daily life are combined with musical constituent and then played with various musical instruments. Children are introduced to the first formal musical course when they become 3rd grade in elementary school. It is an essential period to grow children's musical faculty to the certain level so they can conserve their interest in music and learning ability when they go up to higher grades. If they lose their interest, it is difficult for them to retrieve it in upper grad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eaching methods which is suitable for the musical sense of the 3r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develop their improvised musical faculty by applying story music. To suggest applicable teaching methods for improved play, stories from present korean text of 7th course of education and literary tales written for the 3rd grade students are chosen as material and lesson plans are rearranged complying with musical conception which is devised to be taught to children. These lesson plans are applied to 3rd grade students in my class. As a result, conclusions are drawn in three aspects. First in the area of definition, children can lower the pressure of improvised play. They are able to learn skills of consideration, agreement, negotiation through group works and democratic attitude naturally. Story music can appeal to children who didn't have interest in music. For intellectual aspect, story music helps students to perceive musical conception more clearly and aids other subjects such as korean and physical education. Children's proficiency of improvised play and expression improved when evaluated and they progressed from very simple and sensible stage to musically sophisticated stage. Children are able to be more creative and improvise their play.

      • 文化遺産觀光地 屬性에 관한 韓·中 比較 硏究 : 景福宮과 紫禁城을 訪問한 韓國과 中國人 觀光客 對象으로

        한미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산관광은 국제관광의 중요한 부분이며 개발도상국가에서는 국내여행의 주요 매력지가 되고 있다. 최근 한·중 양국 간의 관광교류가 점점 빈번해지면서 유산관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중 교류가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중 문화유산에 대한 비교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런 상황은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에도 똑같은 상황이다. 한국과 중국은 유사한 문화적 전통과 상이한 사회제도를 가지고 발전해 오고 있다.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은 관광객 행동뿐만 아니라 자연에 대한 태도, 소비성향, 여가시간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유산관광지 속성에 대한 한․중 비교 분석을 하고자 한다. 세분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유산관광지 속성이 한·중 관광자간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문화유산관광지로서 자금성과 경복궁의 관광지속성에 대한 한·중 관광자의 선호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한·중 양국의 관광객에 대한 이해와 양국의 유산관광의 개발, 한·중관광객의 유치와 유산관광의 활성화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문화유산관광지 속성을 개념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크게 셋 부분으로 문헌 고찰을 시도하였다. 첫 번째, 유산의 개념과 분류, 유산관광의 개념, 유산관광과 문화관광의 차이, 문화유산의 개념, 문화유산관광의 개념 등을 알아보았다. 두 번째, 관광지의 개념과 속성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하여 문화유산관광지의 개념과 문화유산관광지 속성을 파악하였고, 본 연구에서 측정될 문화유산관광지 속성을 도출하였다. 셋 번째, 한·중 유산의 분류체계를 비교 했으며 비교문화연구방법을 파악하였다. 이론고찰을 토대로 한·중관광객이 문화유산관광지 속성에 대한 선호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중국의 대표적인 궁궐 자금성과 한국의 방문객이 자강 많은 경복궁을 조사대상지로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으로 측정항목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차이분석(T-test)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적에 따라 문화유산관광지 속성에 대한 선호의 차이를 살펴보며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는 매력성과 교육성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금성을 방문한 관광객을 보았을 때는 매력성, 쾌적성, 교육성, 서비스, 편의시설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경복궁을 방문한 관광객을 보았을 때는 쾌적성, 교육성, 서비스, 편의시설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목적지에 따라 문화유산관광지 속성에 대한 선호의 차이를 살펴보며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는 모든 속성들이 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국인 관광객을 보았을 때는 접근성과 서비스 외의 기타 속성들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한국관광객을 보았을 매력성과 쾌적성 외의 기타 속성들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국적별로 보았을 때 중국관광객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정성, 매력성, 교육성, 편의시설 순으로 나타났으며, 한국관광객은 매력성, 진정성, 쾌적성, 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목적별로 분석할 결과는 자금성의 경우 진정성, 매력성, 교육성, 편의시설, 접근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경복궁의 경우 매력성, 진정성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인관광객의 분석결과는 자금성의 경우 진정성, 편의시설, 매력성, 교육성, 접근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경복궁의 경우 교육성, 매력성, 진정성, 편의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인관광객의 분석결과는 자금성의 경우 편의시설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복궁의 경우 매력성, 진정성, 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일반관광지 속성의 선호도와 만족의 관계를 밝힌 연구와는 달리 최근 중요 이슈인 유산관광의 개념으로 접근하여, 국적과 목적지에 따라 문화유산관광지 속성에 대한 선호의 차이, 또는 그 선호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로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국가별 차이를 조사하는 비교문화연구는 관광마케팅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관광개발에도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과제이다.

      • 제주 4·3항쟁 연구 : 통일정부수립운동으로서의 성격을 중심으로

        한미영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세계화로 나아가기 위한 우리 주체의 확립에 우선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인 남북한 분단과 지역사회 갈등을 해방정국 시기의 제주도 4·3항쟁이라는 상황하에서 서술하려 한다. 제주 4·3항쟁은 제주도의 역사적 민중항쟁 속에 흐르는 반외세, 반정부, 자치 독립주의가 남북분단이라는 상황하에서 남로당의 단독선거 반대투쟁을 매개로 1948년 4월 3일 발발한 통일정부수립운동이다. 4·3항쟁의 통일정부수립 운동은 직접적으로 미소의 이데올로기 세계질서 대립과정의 부산물인 분단에 의해 야기된 것이며, 이를 저지하기 위한 4·3항쟁의 통일정부수립운동의 과정 속에서는 정부의 탄압과 제주도민의 반정부적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5·10단선이라는 남북분단의 위기하에서, 제주도당은 5·10단선을 기필코 저지해야 한다는 인식과 미군정, 우익의 탄압으로부터 당의 존립자체가 위태로와 지는 상황 속에서 당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자위적인 측면이 맞물리면서 4·3무장투쟁을 결정하였다. 제주도당의 이러한 결정은 3·1절 기념시위와 3·10총파업을 기점으로 탄압을 가중시켰던 미군정과 중앙과 지방의 갈등구조를 이용한 보이는 서북 청년단의 탄압에 투쟁하려는 일반 제주도민의 상황과 결합하면서 정당성을 획득할 수 있었다. 따라서 4·3투쟁의 측면은 제주도당의 독자적인 이해관계에 따른 단선저지 라는 정치적인 측면과, 제주도민의 투쟁방향에 따른 미군정·경찰·서북 청년단의 탄압에의 투쟁이라는 측면이 혼재되어 통일정부 수립론으로 귀결된다. 그러나 4·3항쟁에서의 통일정부론에서는 단선저지와 미군정·경찰·서북 청년단의 탄압으로 인해 정치적 성격을 가진다. 제주 4·3 항쟁에서의 통일정부 수립론은 3시기로 전개된다. 제1시기는 단선이 시작되기 전까지인 1948.4·3-8월말까지의 시기로, 제주민중이 과거의 역사적 저항운동의 경험, 해방이후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상황, 운동주체(남로당) 역량에 대한 낙관적 인식과 객관적 정세의 주관적 판단 등이 복합적으로 상승 작용하여, 당중앙과 분리되어 자주적인 남로당과 연대해 민중항쟁으로 발전·전개된 시기이다. 이 시기는 보복적 차원의 성격이 강했으며, 단선반대를 통일정부 지지로 인식했다. 제2시기는 1948.9월-1949.5월 15일로, 비록 제주도에서는 선거를 파탄·저지 시켰지만 중앙에서는 선거가 치러지고 단독정부 수립이 기정 사실화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남로당이 당 중앙과 긴밀히 연계되면서 단선반대는 곧 남한 정부에 대한 반대이며 이들의 통일정부론은 인민공화국의 지지였다. 제3시기는 1949.5.15∼1953.6월말로, 단독정부 수립 후 이제는 통일정부 수립이 아닌 본격적인 북한지지의 성격을 지니며 이로 인한 미군정과 남한정부의 탄압으로 민중에게 항쟁의 이상은 지워지고 수난의 현실이 다가오는 시기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issues of the partition of N. Korea and S. and the feud or conflict between regional communities which should be decided beforehand in the first place before the establishment of our(Korean) subject in order to progress toward globaliz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 4·3 Resistance of Cheju residents in a period of the political situation of liberation. The 4·3 Resistance of Cheju Residents is a movement of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government motivated from anti-foreign power, anti-government, self-government independentism, which was broken out on April 3, 1948 with a medium of a struggle rejecting an exclusive election by the Namro political party under the circumstances of partition of N. Korea and S. The movement of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government through the 4·3 Resistance of Cheju Residents was caused by a by-product of the process of the confrontation of the two orders of the world - the ideologies of the U.S.A and Soviet, and it can be recognized as a movement to resist the government's suppression and an anti-government movement by Cheju residents in order to hamper the direct control of Korea by the U.S.A and Soviet. In a crisis of partition of N. Korea and S. along with 5·10 election(the election on May lo), the Chejudo political party recognized to necessarily hamper the 5·10 exclusive election; and in a situation that the party's survival or existence be endangered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the right wing's suppression, a self-defensive aspect enabling the party's activity went in gear with it and the 4·3 armed resistance was determined to be carried by the party. Such a determination of the party could acquire its legitimacy in combination with the situation of Cheju residents who were fighting against the suppression of the Seobuk Chungnyondang(Seobook Young People's Group) which seemed to utilize the U.S. military government accelerating the suppression from a starting point of the demonstration to commemorate the anniversary of the 3·l(Samil)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3·10 Total Strike and the conflict structure between the central region and local region. Therefore, the 4·3 armed resistance of Cheju residents can be concluded as a theory of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government, in a mix of a political aspect of hampering an exclusive election according to the Chejudo party's unique interests and an aspect of fighting against the suppression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police, and Seobuk Chungnyondang(Seobook Young People's Group). After all, the theory of a unified government by the 4·3 armed resistance of Cheju residents is characterized by politics caused by the hinderance of exclusive election and the suppression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police, and Seobuk Chungnyondang(Seobook Young People's Group). And the theory of establishment of a unified government by the 4·3 armed resistance of Cheju residents can be developed in three periods; the 1st period is from April 3 to the end of August, 1948 until the beginning of the exclusive election - the period during which the resistance of populace was developed and evolved into the resistance of the populace being separated from the center of the political parties and then jointing with the independent Namro political party in a mixedly multiplied effect of the Cheju resident's experience of the past, historical resistance movement, political and economical situations since the Liberation, optimistic awareness of the capacity of the Namro political party(the subject of the movement), subjective judgement of the objective situation, etc. This period was strongly characterized by a dimension of revenge, and the rejection of the exclusive election was recognized as a backup to a unified goverment. The 2nd period is from September, 1948 to May 15, 1949, during which even though the selection came to a rupture and hampered in Cheju Island, the election was carried out in the central region(Seou1); and in that period, establishment of an exclusive government became an established fact. In this period, with the Namro political party being closely associated and linked with the center of the party, rejection of the exclusive election meant the very objection agains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their theory of a unified government meant the very support to a people's republic. The 3rd period was from May 15, 1949 to the end of June, 1953, during which since the exclusive government established, the regular backup for N. Korea was characterized, not that unified government being characterized. And resultantly, in that period, with suppressions of the U.S.military government and the S. Korea government, the ideal of the resistance of the populace was erased and the realities of ordeal was approaching.

      • 보건소정보시스템의 활용도, 만족도, 필요도 조사

        한미영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formation system of Public Health Canters have been renewed since 1995. For 10 years, the IT environment has developed with growth as fast as that experienced in other high-tech industries such as semiconductors and bio research. This growth has brought changes into out office environment to make office work easier and more efficient and to increase the rate of change from paper-based work to computer-based work. According to the new system environment, many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computing and IT fields. Firstly is the huge issue of using the information system with the operation which is based on Client Server instead of Web-based. Secondly, both paper and computer still need to be processed and paper works should be supported at th same time. One of the core duties of Public Health Centers consists of reporting with statistical records the productivity in a fixed task or irregular fixed work. Sometimes, MOHW(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used to order irregular requirements (Formal performance information report) as needed for the analysis of administrative data process among working members. In addition, the work of the public health centers to input and output the data process among working members. In addition, the work of the public health center becomes more complicated and specialized. These days, end-users in the information system of public health centers are complaining of the difficulty to operate and install adaptations. For this reason, our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agnosis of the present information system of Public Health Centers. We also intended to demonstrate the relation among the factors to be accepted which are acknowledged by using the system. We established the variable of utilization, satisfaction and needs as a dependent variable, while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the location and the classification that covered the population. We collected 146 responses from 246 questionnaried distributed at a public health center with a response rate of 58% after responses with complete answer were excluded.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as a postal survey with 174(Listed in Regional Public Health Law)items. The utilization of the information system in public health center was only 36% of that set by the module program. The highest utilization percentage(44.21%) of the information system in the public health center was health promotion, health education, oral health, and nutrition improvement as items from the Regional Public health Acts. The needs in information system resulted that there was the difference of among the local parts (P-value0.054). Public health centers in large cities had the highest utilization at 41%.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utilization and needs was 0.616(P-value 0.000) as middle stage Our study investigated the information system in public health centers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satisfaction, and needs as independent variables. To more specific study, the variable has be reviewed with other factors. 보건복지부가 전국을 대상으로 보건소정보화전략을 추진했던 1995년부터 지금까지의 단계별 구축 및 확산전략을 통해 보급률 95%까지 상승시켰지만, 지방자치제 도입과 노령화와 저소득층 보장의 정책적 지원 아래 보건복지를 수행하는 지역행정기관으로써 역할이 증대됨에 따라 전문화되고 급속도로 변화되는 보건소의 업무를 지원에 있어 보건소정보시스템은 긍정적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국 보건소를 대상으로 보건소 정보시스템의 사용현황을 보건소 현장 사용자의 의견을 기초로 조사, 분석하여 현재 보건소 정보시스템의 현주소를 진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보건소 정보시스템이 어떻게 이용되는지에 대한 이용가치를 분석하고자 현 업에서의 시스템 활용도, 사용만족도, 필요도 현황을 조사하였다. 보건복지부가 전국을 대상으로 보건소정보화전략을 추진했던 1995년부터 지금까지의 단계별 구축 및 확산전략을 통해 보급률 95%까지 상승시켰지만, 지방자치제 도입과 노령화와 저소득층 보장의 정책적 지원 아래 보건복지를 수행하는 지역행정기관으로써 역할이 증대됨에 따라 전문화되고 급속도로 변화되는 보건소의 업무를 지원에 있어 보건소정보시스템은 긍정적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보건소 정보시스템의 사용가치에 대한 활용도, 만족도, 필요도를 통해 보건소 정보시스템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전국 246개 142개 보건소 58%의 응답률을 얻었다. 현재 만족도가 가장 높은 업무는 국민건강증진 및 보건교육, 구강건강 및 영양개선사업으로 응답자가 가장 많았던 업무였다. 그러나 정신보건에 사항의 업무에 대한 시스템사용은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방문보건사업은 현장기록 업무가 많고, 많은 전문 인력이 투입되어 다량의 문서와 정보를 관리하는 업무로 평균 4.49의 필요도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 필요도의 차이가 유의한 결과값 P-value 0.054을 보임으로 지역별 차이를 반영해야 함이 증명되고 있다. 보건소 유형별로 활용도가 가장 높은 곳은 대도시 41%, 만족도는 중소도시 3.65의 보통(척도3)와 만족(척도4)사이의 값을 취하고 있다. 필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보건소 유형은 의료원으로써 3.65로 전산화 여부와 무관함(척도3)과 필요함(척도4)사이에 값을 보였다. 활용도와 필요도간에 가장 우선순위로 두고 있는 것은 진료부분으로 나타났고, 활용도와 만족도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활용도와 만족도의 Pearson 상관계수 0.616(P-value 0.000)으로 중간정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지역별, 보건소 유형별 차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지역별, 보건소 유형별 차이가 없거나 미약함을 상관분석과 ANOVA분석과 차이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지역별 필요도의 차이에서는 유의수준 10% 검정통계량 F값이 1.78이며, P-value값은 0.054로 유의한 결과 값을 보여주고 있다. 지역별 차이를 설명하는데 있어 필요도를 제외한 활용도와 만족도는 유의성을 갖지 못함으로 지역별 특성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보건소 유형 및 지역별 필요도만의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 하였지만 단순 지역 및 유형만을 변수로 보았으므로 이를 명확히 지지하기 위한 그 밖의 다른 추가적인 변수를 찾아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현재 보건소 업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보건소 정보시스템 뿐만 아니라, 유관기관의 업무 수행 지원프로그램이 웹기반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업무기능을 고려하여 각각의 특성이 반영될 수 있는 분석이 추가로 필요할 것이다. 보건소 정보시스템은 사용자가 업무에 효율적으로 반영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기반한 프로그램에 대한 기획이 심도 있게 고려되어야 하며, 중앙에서 자료에 대한 관리와 통제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합리적인 정보화가 되어야 한다. 보건소 현장에서 표준적인 업무를 수행하되 각 보건소마다의 특성(지역별, 유형별)을 반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업무분석이 실시되어야 하며, 보건소의 실무를 수행하고 있는 업무자그룹과 보건복지부간의 업무프로세서에 대한 정책적 합의가 반드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현대무용에서의 몰입경험

        한미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rticulat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its components of flow experience in dance through describing and analyzing,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dancers own experiential description. For doing this, the study focused its main concern into the dance performers own subjective experience. The experiential description and analysis method was used to collect and analyze 15 research participants flow experience and to categorize their meaning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nd each categories were compared with the content of 9 components of flow-model proposed by Csikszentmihalyi The following findings were articulat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1. The nature of dance is an experiential phenomenon happened in the dimension of time and space by bodily movement. From this perspectiv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flow experience in dance are consisted of the following three definitional factors: 1) lived time, 2) lived space, 3) live body. Those of components would be the tool for investigating the nature and structure of dance performance. 2. Based research participants description of flow experience in doing dance performance, the experiential meanings of flow experience were categorized as follows: 1) disappearance of dichotomy, 2) concentration, 3) perfection, 4) forgotten consciousness, and 5) satisfaction and fullness. Compared with components of flow-model of Csikszentmihalyi, the above categories were related with, in order, 1) unit of behavior and recognition, 2) concentration toward subject, 3) control, 4) lose of self-esteem, 5) intrinsic reward of experience. 3. The relation between flow experience and dance performance would be viewed the following aspect of the process of flow experience in dance: 1) body condition and recognition, 2) level of movement performance, 3) condition of psychological aspect of dancer. In conclusion, it suggeste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value of flow experience in dance would be helpful for the educational context of dance among dancer, choreographer, and dance educator in terms of methodological dimension. In addition, this study assured that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would be proper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researching the dance experience. 무용은 인간의 의식과 신체가 총체적으로 구현된 가장 직접적이고 원초적인 경험이다. 무용에서의 육화된 신체는 의식의 발현체로서 경험을 제공하는 토대이다. 무용경험의 과정은 수행자의 주관적 인식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체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수행 중에 체험하게 되는 ‘몰입경험’의 본질적 특성과 구조를 현상학적 묘사를 통하여 규명하는 것이었다. 연구문제가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1) 무용수행에 있어서 몰입경험의 본질적 특성은 무엇인가? 2) 몰입의 상황에서 체험하는 구조적 요소는 무엇인가? 3) 무용수행과 몰입경험과의 연관성은 무엇인가? 무용에서의 몰입경험에 관련되는 세 가지의 연구문제들은 Csikszentmihalyi가 제시한 몰입경험 모델의 구성요소들과 비교논의 되었다. 연구 참가자로서 선정된 전문 현대무용수 15명의 무용에서의 몰입경험 체험이 현상학에 근거한 ‘체험적 묘사와 분석방법’ 을 통하여 범주화 및 의미화 되었다. 분석된 연구결과와 해석을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이 연구의 결론으로서 명료화되었다: 1. 무용경험의 본질은 시간과 공간의 차원에서 수행자의 신체 움직임과 역동적인 작용에 의하여 발생되는 체험현상이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무용에서의 몰입경험은 다음 세 가지 실존체의 체험이 생생하게 체험되는 인식체계의 방식으로서 특징지을 수 있었다: 1) 체험적 시간성, 2) 체험적 공간성, 3) 체험적 신체성. 이것들은 몰입의 상황에서 체득되는 무용경험의 본질과 구조를 이해하는 척도라고 할 수 있었다. 2. 연구 참가자들의 몰입경험 체험묘사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5가지의 의미범주들이 분류화 되었다: 1) 이원론적 인식의 용해, 2) 집중, 3) 완벽함, 4) 망각, 5) 만족감 혹은 충만감. Csikszentmihalyi가 제시한 몰입경험 모델 9가지 요소와 비교할 때, 각각의 의미범주들은 1) 행위와 인식의 통합, 2) 과제에 대한 집중, 3) 통제력, 4) 자의식의 상실, 5) 시간 감각의 상실, 6) 내적 보상체험과 관련하여 그 시사점을 논의할 수 있었다. 3. 몰입경험과 무용수행간의 관련성을 살펴볼 수 있는 시사적 실마리는 몰입경험의 상황에서의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국면의 체험의 특징적 양상들을 비교의 시각에서 묘사한 것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었다: 1) 신체 상태 및 인식, 2) 동작수행의 정도 3) 심리상태의 변화. 결론적으로, 무용에서의 몰입경험의 체득과 이해는 무용수, 안무가 무용 교육자 등에게 이론과 실제적 차원에서 매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이 제기되었다. 또한 현상학적 접근은 무용에서의 생생한 경험의 과정을 밝혀주는 적합한 방법론적 틀이라는 것이 시사되었다.

      • 경험의 연속성 측면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통한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교생활 적응 연구

        한미영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경험의 연속성 측면에서의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교생활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해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화기술적인 연구이다. 경험의 연속성 측면의 프로젝트 접근법을 수업에 적용하여 자료 수집, 분석, 해석을 하였다. D시에 소재한 M초등학교 1학년 1개 학 반 (29명)과 2학년 1개 학반(31명)을 대상으로 2008년 3월부터 2009년 6월까지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하였으며, 참여관찰, 면담, 교사일지, 소감문 등을 통하여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된 변화 과정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아동들은 교사를 신뢰하면서 심리적 안정감을 갖게 되었으며 자신감이 증대되어 학교생활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둘째,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아동들은 친구에 대한 관심이 생기고 배려심이 증대 되었으며 친구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이 생기고 협동심이 증대되었다. 셋째,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아동들은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높아졌으며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이 신장되었으며 적극적인 태도 형성으로 문제해결력이 높아졌다. 넷째,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아동들은 학교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으며 학교시설 활용능력이 신장되었으며 학교에 대한 친근감을 갖게 되었고 애교심이 증대되었다. 결론적으로, 경험의 연속성 측면의 프로젝트 접근법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교육 방법이다.

      • W. S. 머윈과 게리 스나이더의 생태시 연구

        한미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cological awareness that was materialized in the poetries of W. S. Merwin and Gary Snyder and to contemplate over the ecological forecast and the ethical values of its practice each poet offers to the modern readers. In Chapter One “Introduction,” I first pursue the definition of ecological poetry and its main characteristics to discus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raditional poetries on nature, whose main subject is the existing nature itself, and the ecological poetries, and offer a research direction of this paper after analyzing the preceding researches conducted in Korea on Merwin and Snyder. In Chapter Two, I mainly examine The Lice which is praised as the most ecological poetry book of Merwin to ponder over his criticism on anthropocentric ideology and language. Merwin judges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ecological risks lies in the anthropocentric ideology and language which asses all values of the nature in the anthropocentric viewpoint and identify the nature as the resources to fulfill human desire. Due to such anthropocentric way of thinking, humans have been able to place themselves in the highest position to rule the ecological system. Even while they are exploiting the nature in its entirety, including organic and inorganic matters, under the name of civilization or resource development, they have been able to justify their acts as an inevitable process. However, Merwin believ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nature has become distant ultimately because of such anthropocentric reasoning and raises a doubt on the absolute faith in the anthropocentric language. For instance, he actualizes his poetic strategy that provides the loophole within the linguistic system. He also block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anthropocentric meaning by omitting the punctuation marks or using ambiguous expressions. Through letting the ecological awareness be soaked its way into the dismantled linguistic space or the loophole, he makes his readers ponder over the alienation between humans and their natural surroundings and imagine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that has been cut off among species. At the same time, Merwin also uses his poetic strategy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humans-who have not been able to have any guilty consciousness or any sense of exploitation, even though they have been exploiting the nature- to recover their ecological sense. Later in Chapter Three, I mainly examine Snyder’s Turtle Island, which demonstrates his ecological awareness most clearly among his poetry books, to contemplate on the process in which he seeks the solution to the ecological problems from Native Americans’ way of living, concept of space, and attitude toward dealing with the nature as well as from Zen Buddhists’ ideology. Snyder has the Zen Buddhist awareness that believes all existences are related to, and mutually dependent on, one another. While actually living on the “Turtle Island,” Snyder views the natural food chain in the perspectives of fate and samsara. In addition, he once again looks into the life of Native Americans who well identify the ecology of their habitat and possess a sense of community with their natural surroundings also in the perspectives of fate and samsara. Through this process, Snyder reaches the moment of epiphany that the community for which he has yearned includes all things that exist in the natural surroundings he belongs to, such as rivers, rocks, animals, and plants as well as all other living organisms. This moment of epiphany provides him a turning point of his own ecological awareness. Snyder links ecological awareness and the practice of Zen Buddhist ideology to depict the state of the humanity living in the modern environment that has been destroyed by anthropocentricity. He uses his poetic strategy that offers the ethics of practicing “the right way of habitation.” In conclusion, as I face the emerging Anthropocene that pessimistically forecasts the eventual apocalypse of the Earth due to the current environmental destruction caused by the humanity, I ponder once more in detail over the process how Merwin and Snyder each develops his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nature in a perspective of ecological system into ecological poetry studies in order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right way of habitation.” As two poets suggest, if the humanity discards the anthropocentric thinking and language that justify such practices, then in turn, this can allow the humanity to experie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bjects and the objects by expanding their body and mind to recover their sense of linking themselves to their natural surroundings and eventually acquire the awareness of self-realization that they are a part of the ecological system. Moreover, as Merwin and Snyder have actualized, if the humanity can supplement their visual sense with their tactile and auditory senses, which are the proximate sensory relatively less developed due to visual centrism, and if the humanity as a part of nature’s ecological system can accept the fate and samsara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natural surroundings to actualize the right way of habitation, then this will lead them to diminish their selfishness that justifies their destruction of nature under the name of building a civilization. And therefore, they will develop capabilities of the ecological thinking and linguistic expressions to coexist with the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