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총동원시기 친일유림의 한시에 드러난 전쟁협력 논리 - 『성전성시집(聖戰誠詩集)』과 『축징병제실시(祝徵兵制實施)』를 중심으로 -

        한길로 열상고전연구회 2012 열상고전연구 Vol.35 No.-

        본고는 일제가 일으킨 침략전쟁을 미화하는 친일유림단체의 전쟁협력 논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이 남긴 한시(漢詩) 속 시어들 사이에 내재되어 있는 협력논리와 그 근거에 대해 살피고 동원된 문학적 수사에 주목하는 것이다. 만주사변 이후 ‘전쟁총동원시기’에 발간 된 친일 유림단체의 ‘한시집(漢詩集)’으로는, ‘폭지응징(暴支膺懲)’을 외치며 일제가 일으킨 중일전쟁을 미화하기 위해 ‘경학원(經學院)’에서 발간한『성전성시집(聖戰誠詩集)』(1937)과 ‘아시아·태평양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실시한 징병제를 환영하는 내용의 조선유도연합회(朝鮮儒道聯合會)의『축징병제실시(祝徵兵制實施)』(1943)가 있다. 위 시집들은 한문학을 통해 일제의 침략전쟁에 협력하고 찬양하는 유림들의 내적 논리와 자발적 협력의지를 잘 드러내는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이들의 작품들은 대개 한시(漢詩)라는 형식미를 활용하여 문학적 특성을 드러내기 보다는 압축된 내용으로 일제의 정책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더욱 주력하고 있었다. 그 속에는 일제가 주창한 ‘내선일체(內鮮一體)’ ·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 정책을 수용한 그들의 논리가 잘 드러나 있다. 제한된 독자층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이들의 창작행위는 한자의 권위를 빌려 일제에 자신의 신념을 보이기 위한 친일의 도구이자 친일유림의 내부결속을 위한 기제이기도 했다. 이러한 작품들은 국문으로 작성된 문학작품들과 함께 ‘친일문학’의 범주에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며, 나아가 동아시아 한문학의 한 조류로서 대만이나 중국의 친일문학 작품들과의 비교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Researched support war of aggression in Chinese poetry and Cooperation logic of the pro-Japanese confucianist. The『Sungjonsungsijip(聖戰誠詩集』is a Chinese poem collection which is written by the members of Gyeonghakwon to praise the Sino-Japanese War that occurred in 1937 by the Japanese, and『Chukjingbyungjaesilsi(祝徵兵制實施)』is a poem collection which has messages of the welcoming of the draft system enforced by Japan to mobilize army of Koreans to fight in the 1943 Asia Pacific War. In this paper, the perception of East Asia and wars expressed in these poems are looked at, and from it, how the pro-Japanese confucianists supported and followed Japan and what their ideas were when they promoted these ideas against the people of Korea will be studied, as well as the notion of East Asia in the huge war of these groups. Through this, the personal meaning of pro-Japanese Chinese literatures in the long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that started from the united Silla era will be questioned, and the assignment related to them for the present people will be drawn.

      • KCI등재

        중일전쟁기 지방 유림의 성격과 전쟁 협력시의 실상 - 전남 유림의 『황군위문사(皇軍慰問詞)』를 중심으로-

        한길로 열상고전연구회 2013 열상고전연구 Vol.38 No.-

        전라남도 당국이 주도하고 지역의 유림이 참여하여 간행한 『황군위문사(皇軍慰問詞)』는, 중일전쟁에 참전한 일본군의 승전을 기원하는 한편 이들의 침략 행위를 유가적 관점에서 미화하며, 조선 민중들의 적극적인 협력을 독려하는 내용의 시집이다. 오언절구가 대다수인 시집은 전남 도내 2부 14군 185명의 시를 싣고 있는데, 이들은 시를 통해 일제에 정당성을 부여하며 침략전쟁을 성전(聖戰) 혹은 폭지에 대한 응징이라고 여긴 채 중국을 야만의 국가로 인식하고 있었다. 시집은 중일전쟁 발발 후 3개월만인 1937년 10월경에 발간된 것으로 중앙의 경학원(經學院)에서 발간한 『성전성시집(聖戰誠詩集)』(1937, 12)보다 앞서는데, 이는 중일전쟁 이후 최초로 발간 된 전쟁협력 한시집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그리고 최초의 조선 문인의 시집으로 평가받는 임학수의 『전선시집戰線詩集)』보다 2년이나 빠른 것으로 당시 조선문단의 대응보다 지역의 유림집단의 한문학적 대응이 더욱 빨랐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시를 수록한 인물들의 인적구성 가운데 두드러지는 부분은 군수․도회의원․면협의원와 같은 지방 관료이면서 일제의 농촌수탈 기구라 평가받는 수리조합 및 금융조합에 깊이 연관된 인물들이 다수라는 것이다. 즉 유림이 지역의 관권과 경제권에 매우 밀접함을 드러내고 있다. 또 이들 중 상당수는 지역 향교에서 교임을 담당하고 있었는데 이는 일제 말 지방 향교가 관에 의해 유지․관리되면서 사실상 지방의 식민교화기구로 전락되었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이는 지역 사회에서 유림 세력과 향교가 여전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간파한 일제가 지역의 하급 관리들을 유림으로 포섭하고 향교를 장악하여 지방 통치에 적극 활용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작품은 총동원시기 지방 유림의 대응과 협력활동의 일면을 드러내는 동시에 굴절 된 유가 이념을 담지한 한시 창작의 일면을 드러내는 작품으로, 국문이 아닌 한자로 작성된 친일문학으로서의 정체성을 웅변하고 있다. Published through the efforts led by Jeollanam-do and engaging the region's Confucian scholars, Hwanggunwimunsa (皇軍慰問詞 'Consolation for Imperial Army') is a collection of poems that expressed wishes for the victory of the Japanese armed forces participating in the Sino-Japanese War, glorified their invasion from the Confucian standpoint, and argue that Koreans should cooperate aggressively. The poetry collection mostly composed of quatrains with five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carries poems by total 185 poets in fourteen groups and in two sections, and the authors of the poems provided justification to the Imperialist Japan and saw China a savage nation while regarding the invasion as a holy war or a retaliation against violence. Moreover, the authors justified the Japanese invasion based on Confucian rationale and rallied the Korean people into an active cooperation. The collected poetry was published around October 1937, just three months after the end of the Sino-Japanese War, which came before Seongjeonseongsijib (聖戰誠詩集 'Collected Poetry Dedicated to the Holy War'; December 1937) published by Gyeonghakwon (經學院 'Confucian Academy'), which makes it the first Sino-Korean poetry book supporting the war, published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is came two years before Jeonseonsijib (戰線詩集 'Warfront Poetry Book') by Im Hak-su, which is touted as the first poetry book of a Korean man of letters, and it shows that the response from the regional Confucian scholars came before the collaborative action from the Korean literary world. What is notable about the persons who contributed their poems is that most of them were at once regional bureaucrats such as county mayors, provincial assembly members, and myeon council members and key figures closely related to irrigation association and financial coop, which are understood as Japanese colonialist arms for exploiting the local agricultural communities.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se people were also in charge of teaching at regional hyanggyo ('regional confucian academy'), which shows that hyanggyo in each region in the late Japanese occupation period was under government control, having practically fallen into a regional institution for colonialist indoctrination. In conclusion, as what reveals an aspect of Sino-Korean poetry creation that at once betrayed a facette of the regional Confucian scholars' response in the period of total mobilization and their collaborative activities, this work holds the identity of pro-Japanese literature, written in Sino-Korean instead of Korean.

      • KCI등재

        근대 유림 고암(鼓巖) 황병중(黃炳中) 삶과 시 세계 고

        한길로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서강인문논총 Vol.- No.68

        Hwang Byeong-joong, a modern Confucian scholar, was a Confucian scholar and writer from Gwangyang, Jeollanam-do. He was an ordinary local intellectual who stayed in his hometown and worked hard to inherit the studies of senior Confucian scholars. However, in 1908, his brother and uncle resisted Japan, which led him to escape to Seoul and be arrested by Japanese military police. After returning to his hometown, he settled his family affairs and practiced it for the original intention as an old man. His literature contains the complex inner thoughts of Confucian intellectuals at the time, and the main emotions were agony and sighing. In particular, poems mourning the deaths of people around them embodied the righteous deaths of intellectuals at the time in literatu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his poetry world were the intransigence and intellectual belief in Japanese imperialism that lasted for about 30 years. This was a characteristic that contrasts with other works of the same period with many non-political and unrealistic themes.

      • KCI등재

        松隱 安昌濟의 挽詩에 나타난 ‘在滿’ 유림의 표상

        한길로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3 嶺南學 Vol.- No.85

        Song Eun Ahn-changje is a modern Confucian scholar from Uiryeong, Gyeongsangnam-do. In 1910, he moved to Manchuria with his family to avoid Japan's forced annexation. Ahn Chang-je, who lived there for 22 years, died there due to the chaos that occurred during the Manchurian Incident. Against this backdrop, the space of ‘Manchu’ became the center of his life and literature, and the genre that occupies the largest stake in his literature was "Requiem(挽詩)." In other words, Requiem was one of the important central axes of his poetry world. Most of the subjects of literature were Confucian scholars who migrated to Manchuria. A notable point is that the characters' origins and academic trends were not uniform. This soon contained one aspect of Korean Confucian scholars, who had been in conflict with each other for a long time, cooperated with each other in a space called Manchuria and also tried to promote the future together. His Requiem also revealed a very special literary color in terms of content, with most of Requiem's objects being "displaced" so their deaths he described were basically "died in a foreign land." However, Ahn Chang-je did not describe their lives and deaths only as the deaths of strangers who continued their lonely lives in this area. Their deaths were largely represented as ‘death of old subjects for fidelity, death of Confucian soldiers for independence, and death of Confucian people for pure learning’. In short, His Requiem had the characteristic of conveying the life and will of the deceased through concise and accurate terms rather than excessive praise. The work raises the need for an academic analysis of Requiem in the modern era. 경남 의령 출신의 근대 유림 松隱 安昌濟는 1910년 11월, ‘차라리 길가에서 죽겠노라.’는 결심으로 만주 이주를 택하여 柳河縣으로 향했다. 이후 약 22년간 만주 일대를 전전했던 ‘遼東逋士’ 안창제와 그 일가족의 삶은, 만주 사변 이후의 혼란 속에 발생한 兵禍와 함께 비극적으로 종료되었다. 이런 배경에서 ‘만주’라는 공간은 그의 삶과 문학의 중심이 되었는데, 그의 시세계에서 가장 많은 지분을 차지하고 있는 장르는 바로 ‘挽詩’였다. 즉 만시는 그의 시 세계의 중요한 중심 축 가운데 하나였던 것이다. 대다수의 시적 대상은 만주로 이주했던 유림들이었는데, 주목할 만한 지점은 그 인물들의 출신지와 학문적 경향이 균일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곧 오랜 시간 반목과 갈등 속에 있었던 한국 유림의 각 진영이 만주라는 공간에서 서로 會合하여, 함께 미래를 도모하기 위해 노력하던 일면을 담고 있는 것이었다. 만시의 대상 대부분이 만주에 머물던 ‘이산인’이었기에 그들의 죽음은 본질적으로 ‘客死’를 의미했다. 다만 안창제는 그들의 삶과 죽음을, 이역에서 고독한 생을 이어가다 삶을 마감한 이방인의 작고로만 묘사하지 않았다. 그들의 죽음을 크게 ‘절의를 위한 遺臣의 죽음’·‘독립을 위한 儒將의 죽음’·‘학문 전수를 위한 儒者의 죽음’으로 표상화했다. 특히 고인에 대한 과도한 찬양은 지양하고 그들의 삶과 지취를 주시하며 간결하고 적확한 시어를 통해, 그들의 죽음이 내포한 내·외적 의미를 온전히 또 분명히 전하려는 의도를 보였다. 요컨대 그의 만시는 당시 재만 지역 한인 유림의 다양한 삶의 방향과 의절을 총체적으로 담아내며, 근대기 만시에 대한 주목을 환기시키고 있다.

      • KCI등재

        일제 말 구(舊)지식인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추도시 연구- 『춘무공삼십년기추도시집(春畝公卅年忌追悼詩集)』(1938)을 중심으로 -

        한길로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7 한국문학연구 Vol.0 No.53

        A memory of Itou Hirobumi is restructured in earnest with 20th anniversary of his death in1929. In other words, he was lightened as ‘a hero’ who died tragically in dedicating to a peace for Japan and Joseon not to a collapse of Korean Empire and an instigator of the invasion to Joseon. In 1932, as “Bakmun temple” was built, the remembrance of him began to take shape. This place was reformed as the sights for paying respect with ‘Joseon Shrine․Japanese shinto shrine’. In 1938, when Wartime-mobilization began, reaching 30th anniversary of Itou'sdeath, the group of (pro-Japanese) former intellectuals who was a contemporary of Itou commemorated his death and wrote poems about praising his charitable deeds with Japanese and offered it to the dead. The first book of memorial poems on which Japanese and former intellectuals of Joseon, a colony, ‘collaborated’ was born after Itou's death. This book of poetry is derived from Itou's poems that expressed “Being concerned about the country and being devoted to the king(憂國忠君)” and it contains 80 poems that 49 Japanese and 31 people of Joseon wrote. The average age of people of Joseon was 65.5 so they were considered as elders as a generation in the period of empire of Korea. In other words, the Japanese Empire established the legitimacy by lightening Itou through “words” from the generation who directly experienced Itou. They who still used Chinese letter as a written language(文語) left poems that Itou's time was comparable to Tang-Song(唐宋) Period when civil administration was frequent or Itou was praised as the hero of the day through Sino-Korean poetry. They are elders who were born with the baptism of the tradition of Josen Dynasty and lived from the Residency-General to the collapse of the Japanese Empire and also typical former intellectuals of the time who had conformed to the colonial power. Such a point of these are ‘expressed’ in their poetry as well. Their poetry that reached the twilight ‘the official writers and artists of colony who were born as a literary man of Joseon’ speaks the one aspect of ‘the crumpled portrait’ of former intellectuals who had lived through Japanese colonial era and ‘Chinese literature that lost its identity’ seized by a colonial power. 1929년, 그의 죽음 20년을 계기로 조선에서의 이토 히로부미에 대한 ‘기억’은 본격적으로 재구축 되었다. 대한제국 멸망과 조선침략의 ‘원흉’이 아니라 일본과 조선의 화평을 위해 헌신하다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영웅’적 인물로 현창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1932년 “박문사”가 완공됨에 따라 그에 대한 추모 분위기가 더욱 고조되었는데 이후 이곳은 ‘조선신궁․경성신사’와 함께 참배 명소로 거듭나기도 했다. 그리고 전시동원체제가 시작된 1938년, 이토 사후 30년 기일을 맞아 함께 그의 시대를 함께 살아간 조선의 (협력적) 구지식인 집단은 일본인과 함께 그의 죽음을 다시금 추모하는 동시에 그의 공덕을 찬양하는 시를 작성해 박문사 영전에 올린다. 이토 사후, 일본인과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들이 ‘합작’한 최초의 추모시집이 탄생한 것이다. 위 시들은 “우국충군(憂國忠君)”의 뜻을 피력한 이토의 시를 차운한 것으로 시집에는 일본인 49명과 조선인 31명이 작성한 93수의 시를 수록하고 있다. 당시 이곳에 시를 수록한 조선인들의 평균연령은 65.5세로, 사실상 이들은 당대의 ‘원로’에 가까운 인물이었다. 즉 원로급 조선인 유력자․한학자․종교가 등을 이토 추모 행사에 동참시킴으로써 내지인뿐만 아니라 식민지인 역시 그에 대한 추모의지를 갖고 있음을 ‘전시’하려 했던 것이다. 과거처럼, 여전히 한자를 ‘제 1문어(文語)’를 활용하던 그들은 한시를 통해 이토의 시대를 문치(文治)가 빈빈(彬彬)했던 과거 당송(唐宋) 시대와 비견하거나 그를 일세의 영웅으로 칭송하는 시를 남겼다. 이들은 조선조 전통의 세례를 받고 태어나 통감부를 거쳐 일제 패망까지 살아간 원로이면서 식민권력에 순응해 온 당대의 전형적인 구지식인이라 평할 수 있는데 그들의 시 역시 이러한 점을 여실히 ‘표출’하고 있었다. 즉 식민지 공간에서 ‘기성의 언어이자 기득권의 문예’였던 한시가 차지하고 있는 한 지점, 다시 말하면 한시를 통해 일제와 그 주변의 권위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기획’되어 전개되고 있던 식민지시기 한시 창작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장석영의 러시아 체험을 통해 본 근대기 중화 사상의 일면

        한길로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용봉인문논총 Vol.- No.60

        회당 장석영의 『요좌기행』은 한문으로 작성된 20세기 북만주 및 러시아 기행문으로, 당대 유림의 대외인식과 현지의 실정을 매우 잘 담고 있는 유의미한 기록이자 한국 한문학의 영토를 넓힌 문학 작품이다. 당시 62세의 노유였던 그는 1912년 음력 1월, 맹동의 추위를 뚫고 만주와 러시아로향하여 약 100여 일 동안 15,000리를 돌아본다. 이민족의 지배를 피하고 유도의 회복을 위해 새로운 이거지를 모색하려던 그는 북만주를 넘어 지금의 극동 러시아까지 당도했다. 그곳에서 직접 눈으로 확인한 러시아의 문화와 재러 한인들의 삶은 그에게 대단히 큰 인상을 남겼다. 기차에서 만난 러시아 순검을 통해 ‘인(仁)’의 보편성을 확인하기도 했지만 러시아 문화는 그에게 상당한 당혹감을 주며, 결코 수용할 수 없는 이질감을 갖게 했다. 또한 ‘한인 독립운동 단체의 분열과 갈등·러시아 정교회를 긍정하고 이를 받아들인 한인 사회, 또한 정처 없이 각지를 떠도는 한인 청년들의 모습과 유교 전통이 붕괴’되는 한인 사회의 실황은 그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온다. 결국 정통 성리학자였던 그에게, 러시아에 산다는 것은 곧 한국인의 정체성을 잃은 채 “아호(俄胡)”가 되는 것으로 각인된다. 즉 직접 해외로 떠날 수 있었던 근대 유림 장석영에게 과거의 구제(舊制)와 중화의 전통은 더욱 절실하게 다가오는 ‘자기 정체성’이 되면서 반드시 보수해야 할스스로의 유산이자 전통이라는 것이 한층 확고해진 국면을 보였다. Hoedang Jang Seok-young’s 『Yojoagihaeng』, is the travel record of the 20th century to North Manchuria and Russia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is is a significant record of the external perception and local situation of Confucian intellectuals, and a literary work that expanded the territor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As a 62-year-old man at the time, he traveled 5,890km in a period of about 100 days to Manchuria and Russia in January 1912. The purpose of the trip was to leave Korea and move to a new place, but Russian culture and the lives of Korean residents in the Far East shocked him greatly. This is because there were many differences between Russian culture and Confucian traditions, and the lives of Koreans were also assimilated into Russia. He was also very disappointed by the division and conflict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Eventually, he judged that Russia was not a new place of life, and that their culture was collided with Korean traditions. In other words, the Sinocentrism inside him was being further strengthened. Sinocentrism was recognized as an internal tradition, not an external one, and his perception later led to the Confucius religious movement.

      • KCI등재

        도암 정돈섭(陶庵 丁敦燮)의 삶과 시 세계 고찰- 중국 이주 전후를 중심으로 -

        한길로 한민족어문학회 2022 韓民族語文學 Vol.- No.96

        Doam Jeong-Donseop, a native of Yeongju, Yeongnam, is a modern Confucian intellectual who has been living in the provinces to avoid the colonial reality and has tried to "practise" the Confucian spirit throughout his life. Around 1910, he was saddened by the reality of his country and chose to move frequently, and in 1914 he moved to China to jo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Movements of Confucian Religionization. He moved to China three times in all, and at the time of his last migration in 1941, he was 72 years old. And he died there. His poem strongly reflects the spirit and will of his life. The main emotions of literary works were passion for learning, longing for home country, and willingness to intransigent resistance. In short, through his life and Chinese poetry, it is possible to know the inner anguish of traditional intellectuals in the modern era who chose to move abroad. It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poetry written by Koreans in the modern period and the way Confucian intellectuals respond to the reality. 경북 영주 출신의 도암 정돈섭(陶庵 丁敦燮, 1870∼1941)은 과거 공자가 언급한 이른바 ‘피세(避世)와 피지(避地)’를 식민지 시기의 처세 준칙으로 삼고, 이를 종신토록 ‘실천’하는데 진력한 근세 유학자였다. 그의 삶의 지향과 실천 의지를 가장 명확히 보여주는 실례는 역시 ‘중국’으로의 이주였다. 그는 1910년을 전후로 난세를 피해 두문불출하다 1914년 중국으로 이주했지만 기대했던 성과 없이 귀국하게 된다. 2차 이주 이후 재차 국내로 돌아온 1917년부터, 그는 세상과 거리를 둔 채 간혹 기행을 하며 현실의 고뇌와 회한을 토로했다. 72세의 노구를 이끌고 감행된 1941년의 마지막 중국행은, 19세기 이래로 중국으로 향했던 수많은 유자가 보여준 의리 정신의 계승이자 종국적 면모를 담고 있었다. 이러한 그의 삶의 지향은 그의 한시에도 십분 반영되었다. 그의 한시에는 ‘학문에 대한 열정’과 식민지가 된 ‘고국의 현실에 대한 비탄’의 정서가 주를 이루면서도, ‘이민자의 애환과 고국에 대한 향수’ 역시 절실히 녹아 있었다. 즉 식민지 시기 지방 유림의 복잡다단한 내면과 난세의 현실과 일절 타협하지 않고자 했던 지사(志士)의 자의식이 기저에 흐르고 있었던 것이다. 요컨대 그의 삶과 한시는 해외 이주를 경험했던 근대기 전통지식인의 내적 고뇌와 일제에 대한 ‘비타협의 의지’를 담고 있어, 근대기 유림의 현실대응과 한시의 존재 양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서주(西洲) 김사진(金思鎭)의 한시에 나타난 중국 체험의 시적 정취-「요행일기(遼行日記)」를 중심으로-

        한길로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2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0 No.-

        A modern Confucian scholar from Yeongju, Kim Sa-jin left his country and moved to the Fengtian area of China, which was aimed at finding the path of Confucianism and Nationality. In February 1917, Kim decided to live in Fengtian with his friend, Jeong don-seop, and tried to find a place to stay with Korean compatriots. However, because he lacked migrant capital and was not familiar with the topographical features, life there was very difficult. And the continued political turmoil in Fengtian, so he returned home 10 months later. during this period, His daily life and inner self were reflected in his poems. The main contents were ‘the collapse of the country and the sorrow of separation, in addition the pain of living in a foreign country and longing for the home country’. It also includes the identity of Confucian intellectuals and the willingness to inherit national traditions. In summary, his poems are valuable works as special phases that can be found in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In addition, what his symbolizes of 「Yohang-Ilgi」 is that Seogando, which includes the Fengtian area, should be set as a very meaningful ‘space’ not only i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but also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영주 출신의 서주 김사진은 식민지가 되어 버린 조국을 벗어나 유도(儒道)와 민족의 진로를 찾기 위해 중국 봉천 지역으로 이주했던 근대 유림이다. 1917년 2월, 동문수학했던 도암 정돈섭과 함께 봉천에 도착한 그는 그곳을 가거지(可居地)로 삼고, 이역을 전전하는 동포들과 함께 머물 공간을 찾아 나선다. 하지만 현지 지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그에게 그곳 생활은 쉽지 않았고 당시 봉천의 정치ㆍ사회적 상황도 불안하여 결국 10개월 만에 귀국하게 된다. 이주에서 귀환까지, 그의 일상과 내면은 「요행일기(遼行日記)」에 대단히 선명히 새겨져 있었다. 그의 중국 체험이 반영된 한시는 ‘망국에 의한 이산의 통한과 이역 생활의 곤란, 고국에 대한 그리움’ 등을 표출하고 있었다. 또한 비록 이산자의 신분이지만 유자(儒者)의 정체성과 민족적 전통을 견지하려는 의지도 동시에 담겨 있었다. 결국 그의 중국행은 불의와 패도의 시대를 ‘은거와 자정(自靖)’이라는 유교적 방식으로 대응하면서 학문과 심성의 ‘근본’으로 돌아가 인간 본연의 가치를 추구했던 선유들의 의리 구현의 계승이자 공간적 확대를 의미했다. 더불어 이산에 의한 향수와 ‘동포애’가 결합 된 그의 시 세계는 근대기 한시에서 발견되는 매우 특수한 국면이었다. 요컨대 그의 「요행일기」는 봉천을 포함한 이른바 서간도라는 장소가, 한국 유학사뿐만 아니라 한국 한문학사에서도 상당히 유의미한 ‘공간’으로 설정되어야 함을 환기시키고 있다.

      • KCI등재

        재중 한인 디아스포라 김자순의 행적과 유교 인식 고찰

        한길로,오경양 국제한인문학회 2021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29

        본고는 1900∼1910년대, 중국 북경에 정착한 한인 디아스포라 김자순 (1879∼1916)의 생애를 고찰하는 연구이다. 그를 통해 ‘만주와 간도’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근대기 재중한인 연구의 확대를 시도하면서, 당대 중국에 머 물던 이들의 다양한 삶의 군상에 접근하려 한다. 김자순에 대한 기록은 크게 한국 유림의 기술과 일본 측 정보기관의 문서로 구분되는데 관련 기록은 1914∼1916년까지, 총 3년 사이에 작성되었다. 필자는 이 둘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며 그의 생애를 잠정 정리했다. 1879년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유년 시 절 한국을 떠나 일본으로 건너가 10여 년의 시간을 보내다 1900년을 좌우로 북경에 도착했다. 이곳에 정착한 그는 일본의 밀정으로 활동하였고 이후 『북경일보』의 주필을 맡으며 생활을 이어갔다. 1912년 중국에 입적한 그는 1914 년 공교 운동을 위해 북경을 찾은 이승희와 이병헌을 만나며 자신의 자취를 최초로 드러냈다. 이후 신한혁명당과 신화민단이라는 조직에 가담하며 활동 반경을 소폭 늘렸지만 1917년 37세의 일기로 사망했다. ‘모어’를 망각하고 ‘모국’을 벗어난 채 이역의 신민으로 살아가던 그는 필담을 통해 이승희와 대 화했다. 필담을 통해 그는 특히 ‘유교(儒敎)’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피력했다. ‘언어’라는 내적 사유 또 ‘국적’이라는 외적 지표를 통 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했던 그는, 바로 유교를 통해 이를 발견하고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해외 한인 독립운동의 특수한 일면을 담고 있는 당시 공교 운동은 사대부들의 집단 이주와 김자순과 같은 정착민의 호응 속에서 진행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of Kim Ja-Soon, a Korean diaspora who lived in Beijing from the 1900s to the 1910s. Through him, I try to find out the lives of Koreans who lived in China and to expand the research on the Korean diaspora during this period. The records of Kim Ja-soon were written and recorded by Koreans and Japanese from 1914 to 1916. Korean records were written by Confucian scholars, and Japanese records were confidential documents issued by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The combined results of these two records are as follows. Born in Seoul in 1878, he moved to Japan as a child and lived there for 10 years. After moving to China, he arrived in Beijing in 1900 and continued to live there. In Beijing, he was a reporter for the Beijing Daily and a secret intelligence officer under the command of the Japanese police. However, he died in 1916, when he was only 38 years old. In 1914, he met with a Korean Confucian scholar Lee Seung-Hee, and expressed his opinion, which was the first record. However, at that time, he forgot Korean and already acquired Chinese nationality. He met Lee Seung-Hee and communicated with her by writing, and the main theme of the conversation was Confucianism. Although he was not a Confucian scholar, he discovered his identity through Confucianism. That is why we do not need to distinguish between Korea and China. Through Confucianism, he was able to talk about his beliefs, the soul of his country, and his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