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terminants of Health Care Expenditures and the Contribution of Associated Factors: 16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2003-2010

        한기명,조민호,전기홍 대한예방의학회 2013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46 No.6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determinants of cost increases into two categories, negotiable factors and non-negotiable factors, in order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health care expenditure increases and to clarify the contribution of associated factors select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Methods: The data in this analysis was from the statistical yearbook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 Economic Index from Statistics Korea and regional statistical yearbooks. The unit of analysis was the annual growth rate of variables of 16 cities and provinces from 2003 to 2010. First,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health care expenditures. We then us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o calculate the contribution of associated factors. The changes of coefficients (R2) of predictors, which were entered into this analysis step by step based on the empirical evidence of the investigator could explain the contribution of predictors to increased medical cost. Results: Health spending was mainly associated with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but the Medicare Economic Index (MEI) showed an inverse association. The contribution of predictors was as follows: the proportion of elderly in the population (22.4%), gross domestic product (GDP) per capita (4.5%), MEI (-12%), and other predictors (less than 1%). Conclusions: As Baby Boomers enter retirement, an increasing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aged 65 and over and the GDP will continue to increase, thus accelerating the inflation of health care expenditures and precipitating a crisis in the health insurance system.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providing comprehensive health services by an accountable care organization to achieve cost savings while ensuring high-quality care.

      • KCI등재

        중년기 기혼자의 초기 부적응 도식과 정서조절 방략에 따른 잠재계층 특성과 부부 친밀감의 차이

        한기명,양혜정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0 복지상담교육연구 Vol.9 No.2

        This study explored latent classes of individuals according to the early maladaptive schemas(EM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ERS), and also examined the differences in marital intimacy among the classes. Four hundred and eleven married individuals were surveyed using the Korean Young Schema Questionnaire-Short Form(YSQ-SF), 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ERSQ), and the Marital Intimacy Scal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o draw latent classes, and one-way ANOVA for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marital intimacy among classes and Tukey as a posted-hoc test were proceeded. The results indicated 4 separable classes. The ‘High Adaptive’ type scored the lowest EMS and used adaptive ERS the most, and the ‘High Maladaptive’ type scored the highest EMS and used maladaptive ERS the most. The ‘Middle Adaptive’ type had the 2nd lowest EMS and used adaptive ERS more and the ‘Middle Maladaptive’ type exhibited higher EMS level than the average. Also, the ‘High Adaptive’ showed the highest marital intimacy, the ‘Middle Adaptive’ also appeared higher marital intimacy than the ‘Middle Maladaptive’ and the ‘High Maladaptive’. This study provides th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individual's EMSs and ERSs causing dysfunctional patterns of marital interactions, and the basis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and education programs for couple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부 친밀감의 선행 변인으로서의 초기 부적응 도식과 정서조절 방략에 따라 잠재 프로파일 유형을 탐색적으로 도출하고, 각 계층별 부부 친밀감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부부 상호간의 역동과 역기능적 관계 패턴을 지속시키는 개인의 초기 부적응 도식과 역기능적인 정서조절 방략을 이해하는 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서울, 경기 지역의 30∼60세 기혼 남녀 41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과 함께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초기 부적응 도식 유형과 인지․체험․행동의 적응/부적응적 정서조절 방략에 따른 잠재계층을 도출한 후, 집단 간 부부 친밀감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Tukey 검정법으로 사후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도출된 4개의 잠재계층 중 ‘높은 적응형’은 가장 낮은 초기 부적응 도식 수준과 가장 높은 수준의 적응적 정서조절방략과 가장 낮은 수준의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을 사용하는 반면, ‘높은 부적응형’은 초기 부적응 도식 수준은 모든 측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적응적 정서조절방략과 가장 높은 수준의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을 보였다. 또한 ‘높은 적응형’이 다른 계층들에 비해 부부 친밀감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중간 적응형’도 ‘중간 부적응형’이나 ‘높은 부적응형’보다 높았지만, ‘중간 부적응형’과 ‘높은 부적응형’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부산 연안해역의 잔류성 유기오염물질과 중금속 오염평가: 퇴적물 오염지수 적용

        한기명,홍상희,심원준,나공태,김경태,하성용,장미,김기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6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8 No.3

        In order to assess the level of contamination and identify the priority contaminants in the Busan coast, intensive sediment sampling was conducted and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and heavy metals were analyzed. The Sediment Quality Index (SQI) was derived based on the contaminant data by comparing with Sediment Quality Guidelines (SQGs) established in Korea, Canada, and Australia/New Zealand. Toxic contaminants were found to be widely distributed across the coast. Among organic contaminants, PAHs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followed by butyltins, nonylphenols, PBDEs, DDTs, PCBs, HCHs and CHLs. Heavy metals were also abundantly detected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Zn followed by Cu > Cr > Pb > Ni > As > Cd > Hg. Compared to organic contaminants, most heavy metals, except for Cu and Hg, were homogeneously distributed along the coast in a good relationship with total organic carbon of sediment particles. In general,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compounds and heavy metals were highest at the inner part of harbor areas with a tendency to decline from inside areas to the outside, indicating the high loading of pollutants from harbors. A high exceedance for low-SQGs and high-SQGs was found for TBT, p,p’-DDT, p,p’-DDD, Cu and Zn. The SQI scores calculated from low-SQGs and high-SQGs were in the range of 18−100 and 54−100, respectively. The inner part of Busan Harbor, Dadaepo Harbor, and Gamcheon Harbor were observed as being regions of concern. Overall, TBT, Cu, and p,p’-DDT were the chemicals most frequently exceeding SQGs and influencing SQI scores.

      • KCI등재후보

        중고령층이 인지하는 지역사회의 고령친화도시 조성 정도와 삶의 만족, 연령차별과의 관계 : 연령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기명,임진섭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9 공공정책연구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 지역에 거주하는 중고령층 주민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지하는 지역사회의 고령친화도시 조성 정도가 삶의만족도와 연령차별 경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연령집단별로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고령친화도시 구축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50세 이상95세 미만의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거주환경을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장년층 98명, 전기노인집단 111명, 후기노인집단 187명으로 총 396명이 최종분석 대상에 포함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고령친화도시 조성 정도, 삶의 만족도, 연령차별 경험은 모두 연령집단 간의 차이를 보이며, 지역사회 고령친화도시 조성 정도, 삶의 만족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집단별 삶의 만족도와 연령차별 경험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독립변수인 지역사회 고령친화도시 조성 정도에 영향을 받고 있는 종속변수인 삶의 만족도와 연령차별 경험은 부적 관계로, 지역사회 고령친화도시 조성정도가 높을 경우, 삶의 만족도는 증가하며, 연령차별 경험 정도는낮게 나타났다. 셋째, 연령집단별로 살펴보면, 장년층은 건강과 관련한 요인에 의해, 전기노인 집단은 동거 여부가 삶의 만족도와연령차별 경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역사회 고령친화도시 조성 정도와 삶의 만족도 및 연령차별 경험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연령집단별 차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고령친화도시 조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이후 고용유지 영향 요인: 재발사건생존분석을 중심으로

        한기명,이민아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7 사회복지연구 Vol.48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determinants that affect job retention of injured workers depending upon types of return to work in order to suggest define the intervention priority for those who returned to original works and for those who did not. After constructing explaining variable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determinants were verified analyzing 1,292 people using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PSWCI) data. The job retention period turned out to be 46.6 months for those who returned to original work and 34.2 month for those who returned to new works. Injured workers who return to new works tend to have more unemployment experiences. As a result of Cox proportional regression analysis, the longer it takes to return to work, the longer both groups tend to retain after the accident. Age, recuperation period, health status, psycho-social rehabilitation, education and occupational training also affect on job retention probability for those who return to new work. Based upon the analyzed result, setting up an adequate duration for return-to-work, intervention for injured workers who experienced vulnerable working condition before the accident and continuous case management after return-to-work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들의 직업복귀 형태에 따른 고용유지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원직복귀시에는 고용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 원직복귀에 실패한 경우에는 어떠한 대상을 우선적으로 개입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한 영향요인을 구성하고, 이를 산재보험패널조사 내에 1,292명을 분석함으로써 각 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원직복귀집단의 경우 평균 46.6개월, 타직복귀집단의 경우 평균 34.2개월 동안 고용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직복귀가 원직복귀에 비해 여러 번 실업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일반적 특성에서도 열악한 노동시장 환경임을 확인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직업복귀기간이 길수록 지속적인 고용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직복귀 시 연령이 낮을수록, 요양기간이 짧을수록, 전반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일수록, 사회심리재활서비스, 교육 훈련 및 직업훈련을 경험한 경우 고용유지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직업복귀기간의 적절한 유예기간 설정과 재해 당시 근로환경이 열악한 근로자의 원직복귀 혹은 산재보상 및 재활서비스 우선적 개입,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성공 이후에도 사례관리 등을 통한 산재재활서비스의 적극적인 홍보 등을 정책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