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별 연금 격차의 차이와 차별에 관한 실증

        한겨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 保健社會硏究 Vol.44 No.1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the gender pension gap in the National Pension System stems from ‘difference’ in the attributes of men and women or from unequal structural ‘discrimination’ in the labor market and family. To this end, OLS estimation and Oaxaca-Blinder decomposit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old-age pension recipients using KReIS 8th data. The analysis attributed about 53% of the gender pension gap to differences in attributes between men and women, and about 47% to structural discrimination that is not explained by individual, gender, and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A remarkable result was that ‘with or without children’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discrimination in the gender pension gap, which clearly suggests that the burden of care passed on to women is reproducing the gap in retirement income securit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labor market is still unevenly gendered, and that the gender-based role division within the family is such that most family care responsibilities are transferred to women. Therefore, simplistic measures such as accumulating human capital, promoting women's employment, and increasing pension coverage and benefit levels will only marginally reduce the gender pension gap.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long-term efforts to eradicate deep-rooted discrimination in the labor market and family. As a more immediate measure, a new care credit system can be considered to formally recognize the social value of family care.

      • KCI등재

        개인의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 유형과 성별 차이

        한겨레,김교성 한국사회보장학회 2019 사회보장연구 Vol.35 No.1

        This study analyzes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establishment of a multi-pillar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for individuals over the past 11 years. In particular, it tries to examine whether the multi-pillar system is effective in response to the social demand of gender equality. To this end, a Group-based Multi-trajector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econdary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of 2nd wave to 12th wav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6 heterogeneous types of the individual establishment of a multi-pillar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and only about 10 percent of the individuals who established a public and private pension system in a stable manner. Secondly, although the establishment of a multi-pillar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for men and women appears to be similar, there are significant qualitative differences in stable and long-term deployments. Thirdly, males, 30s, highly educated, with spouses, standard workers, and the higher group of the disposable income have the higher possibility to have multi-pillar old-age income secur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the public pension system and increase publicity of retirement benefits in order to realize the multi-pillar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본 연구는 공⋅사연금제도의 외형적 정착 이후 지난 11년 동안 우리나라 개인의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의 유형과 특성을 실증하였다. 특히, 젠더평등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조응하여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가 실효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2차부터 12차 자료를 사용하여 집단중심다중추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은 6개의 이질적인 형태로 나타났으며, 공⋅사연금제도를 안정적으로 구축하는 개인은 전체의 약 10%에 불과했다. 둘째, 남성과 여성의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은 표면상 유사한 유형으로 보이지만, 장기간 안정적 구축에 있어 상당한 질적 차이가 존재한다. 셋째, 유형별 특성을 살펴본 결과, 남성, 30대, 고학력자, 유배우자, 월 평균 가구 가처분소득이 높을수록, 상용직인 경우, 중층 혹은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의 내실화를 위해 공적연금의 강화와 퇴직급여의 공공성 확대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안구 철 침착증으로 발생한 백내장 및 지연성 이차성 녹내장 1예

        한겨레(Gyu Le Han),공민귀(Min Gui Kong),한종철(Jong Chul Han),기창원(Chang Won Kee)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11

        목적: 저자들은 철 이물에 의한 백내장 제거 후 10년 뒤 지연성 녹내장이 발생한 안구 철 침착증의 드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7세 환자가 3년 전 좌안을 철 조각에 수상한 뒤 본원에서 수정체 철 침착증으로 백내장 수술을 시행 받았다. 백내장 수술 10년 뒤 좌안의 안압 상승이 발생하였으며 철 침착증에 의한 이차성 녹내장으로 진단되었다. 섬유주 절제술을 시행 받았으며, 절제된 섬유주에서 철 성분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섬유 조직의 퇴행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결론: 외상성 수정체 철 침착증이 있는 환자에서 이를 치료한 후에도 지연성 이차성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다. Purpose: We report a rare case of ocular siderosis with delayed-onset secondary glaucoma occurring 10 years after cataract and iron foreign body removal. Case summary: A 47-year-old male who suffered an ocular injury with an iron material to his left eye 3 years prior to his initial visit was treated in our clinic for a cataract with siderosis lentis. Ten years after he underwent cataract surgery he developed secon-dary open-angle glaucoma. Trabecular block taken during trabeculectomy showed no iron material, however, a fibrosclerotic change was observed.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traumatic siderosis lentis, a potential risk of siderosis remains for a long period.

      • KCI등재

        Time Trade-Off를 이용한 아동의 일반적 건강상태기술체계인 CH-6D의 가치평가

        한겨레 ( Gyeo Reh Han ),강은정 ( Eun Jeong Kang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15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Child Health-6D(CH-6D)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는 2,304가지 건강상태에 대한 가치를 나타내는 가치(tariff)를 산출하는 것이었다. 조사 대상은 거주지가 서울이고 20세 이상 성인 중 조사여부에 대한 동의를 얻은 사람에 한하여 173명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들에게 26가지 건강상태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변량효과 모형을 이용하였고, 각각의 level과 상호작용 변수를 각각 독립변수로 두고, 종속변수는 1-TTO의 가치값을 놓고 분석하였다. 최적모형의 가능성이 있는 모형은 Ea34m1sq+I3m1로 나타났으며, 이 모형의 MAE(Mean Absolute Error)값을 계산하여 0.0631을 얻었다. 이 추정모형을 사용하여 건강상태 2,304개에 대한 가치점수를 얻었다. 이 모형에서 level 4까지 있는 영역에서 level 4의 회귀계수의 크기는 친구들과 어울려 놀기, 공부, 운동/뛰기, 힘 순이었으며 level 3까지 있는 영역에서 level 3의 회귀계수는 기분, 아픔/불편감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평균 ICC값은 0.835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tariff를 사용하여 향후 CH-6D의 신뢰성과 타당성 평가가 이뤄진다면 우리나라 고유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된 CH-6D의 임상 및 정책 활용도가 높아질 수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ference-based values of the 2,304 types of health states defined by the Child Health-6 Dimension (CH-6D) developed recently in South Kore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3 Seoul dwellers who whose age was between 20 and 60. The subjects evaluated 26 health states using the time trade-off (TTO) method. A random effect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values of the 2,304 health states. Various interaction variables as well as dummy variables estimating the main effect of each item were included in the model, while the dependent variable was defined as 1-TTO. The optimal model was turned out to be Ea34m1sq+I3m1 of which the mean absolute error (MAE) was 0.0631. Values of 2,304 health states were estimated using this model. Among the four items which had four levels,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level four was greatest for ‘playing with friends,’ followed by ‘studying,’ ‘exercising/running,’ and ‘vitality.’ Between the two items with three levels,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mood’ was greater than ‘pain/discomfort.’ Mean ICC at individual level was 0.835, which was satisfactory. Now that the tariff of the CH-6D is develop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tes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H6D so that the clinical and policy use of the CH-6D will be enhanced.

      • KCI등재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

        한겨레(Gyu Le Han, MD),현주(Joo Hyun, MD),임동희(Dong Hui Lim, MD),정의상(Eui Sang Chung, MD, PhD),정태영(Tae Young Chung, MD, PhD)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10

        목적: 저자들은 국내 최초로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본원에서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을 시행 받은 9명, 10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2개월 이상 추적관찰 후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결과: 각막부종이 감소한 8안을 분석 시 술 전 최대 교정시력은 평균 1.64 ± 0.21 (logMAR)이었으며 술 후 1개월에 0.35 ± 0.2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여주었다(p=0.012, Wilcoxon signed ranks test). 술 후 3개월, 6개월, 12개월에 측정한 최대 교정시력은 0.25 ± 0.23, 0.20 ± 0.17, 0.16 ± 0.17 logMAR로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내피세포 수는 술 후 1개월에 1,996 ± 528/mm2로 측정되었고 3개월, 6개월, 12개월에 1,564 ± 174/mm2, 1,463 ± 541/mm2, 1,205 ± 358/mm2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술 전과 술 후 3개월째 각막 전면 난시값은 평균 3.32 ± 2.36 diopter, 2.57 ± 1.44 diopter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0안 중 2안에서 일차 각막절편 생착실패를 보였으며, 1안에서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1안에서 각막절편의 완전 분리가 발생하였다. 결론: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 장기 경과 관찰 결과 빠른 시력 호전을 보이고 12개월 이상 이를 유지하였다.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은 각막내피세포 질환의 치료에 있어 유용한 술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evaluate the 1-year results of Descemet's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 in Korea.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9 patients (10 eyes) with endothelial disease who underwent DMEK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3, and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2 month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In 8 eyes with successful results after surgery, best corrective visual acuity (BCVA) wa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1.64 ± 0.21 (log MAR, mean) to 0.35 ± 0.22 at 1 month and was maintained at 12 months (p = 0.012, Wilcoxon signed ranks test). BCVA at postoperative 3, 6 and 12 months were gradually increased (0.25 ± 0.23, 0.20 ± 0.17 and 0.16 ± 0.17 log MAR). Endothelial cell counts were 1,996 ± 528/mm2, 1,564 ± 174/mm2 and 1,463 ± 541/mm2, 1,205 ± 358/mm2 at 1, 3, 6, and 12 months after surgery, tended to decrease but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astigmatism before and 3 months after the operation (3.32 ± 2.36 diopter and 2.57± 1.44 diopter). Primary graft failure occurred in 2 eyes and 1 received reoperation. Total detachment was found in 1 eye. Conclusions: The 1-year results of DMEK showed fast visual recovery which was maintained for 12 months. DMEK may be a very efficient option for the surgical management of corneal endothelial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