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

        한겨레(Gyu Le Han, MD),현주(Joo Hyun, MD),임동희(Dong Hui Lim, MD),정의상(Eui Sang Chung, MD, PhD),정태영(Tae Young Chung, MD, PhD)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10

        목적: 저자들은 국내 최초로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본원에서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을 시행 받은 9명, 10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2개월 이상 추적관찰 후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결과: 각막부종이 감소한 8안을 분석 시 술 전 최대 교정시력은 평균 1.64 ± 0.21 (logMAR)이었으며 술 후 1개월에 0.35 ± 0.2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여주었다(p=0.012, Wilcoxon signed ranks test). 술 후 3개월, 6개월, 12개월에 측정한 최대 교정시력은 0.25 ± 0.23, 0.20 ± 0.17, 0.16 ± 0.17 logMAR로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내피세포 수는 술 후 1개월에 1,996 ± 528/mm2로 측정되었고 3개월, 6개월, 12개월에 1,564 ± 174/mm2, 1,463 ± 541/mm2, 1,205 ± 358/mm2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술 전과 술 후 3개월째 각막 전면 난시값은 평균 3.32 ± 2.36 diopter, 2.57 ± 1.44 diopter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0안 중 2안에서 일차 각막절편 생착실패를 보였으며, 1안에서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1안에서 각막절편의 완전 분리가 발생하였다. 결론: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 장기 경과 관찰 결과 빠른 시력 호전을 보이고 12개월 이상 이를 유지하였다.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은 각막내피세포 질환의 치료에 있어 유용한 술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evaluate the 1-year results of Descemet's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 in Korea.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9 patients (10 eyes) with endothelial disease who underwent DMEK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3, and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2 month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In 8 eyes with successful results after surgery, best corrective visual acuity (BCVA) wa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1.64 ± 0.21 (log MAR, mean) to 0.35 ± 0.22 at 1 month and was maintained at 12 months (p = 0.012, Wilcoxon signed ranks test). BCVA at postoperative 3, 6 and 12 months were gradually increased (0.25 ± 0.23, 0.20 ± 0.17 and 0.16 ± 0.17 log MAR). Endothelial cell counts were 1,996 ± 528/mm2, 1,564 ± 174/mm2 and 1,463 ± 541/mm2, 1,205 ± 358/mm2 at 1, 3, 6, and 12 months after surgery, tended to decrease but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astigmatism before and 3 months after the operation (3.32 ± 2.36 diopter and 2.57± 1.44 diopter). Primary graft failure occurred in 2 eyes and 1 received reoperation. Total detachment was found in 1 eye. Conclusions: The 1-year results of DMEK showed fast visual recovery which was maintained for 12 months. DMEK may be a very efficient option for the surgical management of corneal endothelial disease.

      • KCI등재

        안구 철 침착증으로 발생한 백내장 및 지연성 이차성 녹내장 1예

        한겨레(Gyu Le Han),공민귀(Min Gui Kong),한종철(Jong Chul Han),기창원(Chang Won Kee)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11

        목적: 저자들은 철 이물에 의한 백내장 제거 후 10년 뒤 지연성 녹내장이 발생한 안구 철 침착증의 드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7세 환자가 3년 전 좌안을 철 조각에 수상한 뒤 본원에서 수정체 철 침착증으로 백내장 수술을 시행 받았다. 백내장 수술 10년 뒤 좌안의 안압 상승이 발생하였으며 철 침착증에 의한 이차성 녹내장으로 진단되었다. 섬유주 절제술을 시행 받았으며, 절제된 섬유주에서 철 성분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섬유 조직의 퇴행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결론: 외상성 수정체 철 침착증이 있는 환자에서 이를 치료한 후에도 지연성 이차성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다. Purpose: We report a rare case of ocular siderosis with delayed-onset secondary glaucoma occurring 10 years after cataract and iron foreign body removal. Case summary: A 47-year-old male who suffered an ocular injury with an iron material to his left eye 3 years prior to his initial visit was treated in our clinic for a cataract with siderosis lentis. Ten years after he underwent cataract surgery he developed secon-dary open-angle glaucoma. Trabecular block taken during trabeculectomy showed no iron material, however, a fibrosclerotic change was observed.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traumatic siderosis lentis, a potential risk of siderosis remains for a long period.

      • KCI등재

        브라운 맥린증후군의 2예

        이동영(Dongyoung Lee),한겨레(Gyu Le Han),임동희(Dong Hui Lim),정태영(Tae Young Chung)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8

        목적: 백내장수술 후 무수정체안에서 나타나는 브라운 맥린증후군의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증례 1) 4년 전 좌안 백내장수술을 받고 무수정체 상태인 54세 말판증후군 여성이 안과 검사 중 우연히 좌안의 주변부 각막부종이 발견되었다. 각막 중심부는 정상이나 주변부가 전체적으로 융기되어 있었고, 환자도 이물감, 통증, 눈물 흘림 등의 증상을 호소했다. 경면현미경검사상 각막내피세포 수나 형태는 특이 소견이 없었다. 항생제, 자가혈청 안약, 5% NaCl 안약을 사용하였고, 각막부종이 호전되어 추적 관찰 중이다. (증례 2) 11년 전 양안 백내장수술 후 좌안은 무수정체 상태로 지내던 61세 여자 환자가 황반원공에 대한 수술 후 2개월째에 좌안 각막 주변부의 미란과 부종이 확인되었다. 경면현미경검사상 각막내피세포 수나 형태는 특이 소견이 없었다. 5% NaCl, 인공눈물 점안하며 경과를 보았고, 각막 중앙부 침범 없이 주변 각막부종도 악화되지 않아 추적 관찰 중이다. 결론: 브라운 맥린증후군은 드문 질환이지만, 백내장수술 후 무수정체 상태의 환자에서 수년 내 각막 주변부로 부종이 나타난다면 그 가능성을 고려해봐야 한다. Purpose: To report two rare cases of Brown McLean syndrome after cataract surgery in a patient with aphakia. Case summary: (Case 1) A 54-year-old woman with Marfan’s syndrome who had aphakia and peripheral corneal edema after left eye cataract surgery 4 years ago. The patient had an elevated lesion in the peripheral cornea without involving the central cornea, and had symptoms of pain, irritation and tearing. Specular microscopy showed normal endothelial cell density and morphology in the edematous cornea. The peripheral corneal edema improved after use of antibiotics, autoserum eyedrops and 5% NaCl eyedrops. (Case 2) A 61-year-old woman with aphakia in her left eye after bilateral cataract surgery 11 years ago, underwent surgery for a macular hole in both eyes. The patient developed peripheral corneal erosions and edema in the left eye 2 months after the surgery. Specular microscopy showed normal endothelial cell density and morphology. The peripheral corneal edema was static over the years while using 5% NaCl eyedrops and artificial tears, and did not progress to involve the central cornea. Conclusions: Brown McLean syndrome is a rare disease but the po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if a patient with aphakia after cataract surgery has peripheral corneal edema for several years.

      • KCI등재

        고주파 전기수술기를 이용한 각막 신생혈관의 치료 2예

        최영주(Young Joo Choi),한겨레(Gyu Le Han),정태영(Tae Young Chung),임동희(Dong Hui Lim)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8

        목적: 약물치료와 레이저광응고술 후 재발한 각막 신생혈관에서 고주파 전기수술기를 이용한 치료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증례 1) 53세 남자 환자가 우안 각막혼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교정시력은 0.6이었다. 각막 하측에 신생혈관을 동반한 지질각막병증이 관찰되었다. 약물치료와 레이저광응고술에도 각막혼탁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공급혈관의 재발이 관찰되었다. 이에 고주파 전기수술기를 이용해 신생혈관 소작을 시행하였다. 1개월 후 교정시력은 0.9로 호전되었으며, 이후 4년 동안 신생혈관은 재발하지 않았고 각막혼탁도 서서히 줄어들었다. (증례 2) 23세 여자 환자가 1주 전부터 발생한 좌안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각막 신생혈관에 대해 레이저광응고술을 3차례 받았던 환자였다. 내원 당시 좌안 나안시력은 0.4로 측정되었다. 각막 상측에 신생혈관의 재발이 관찰되어 신생혈관 소작을 시행하였다. 치료 2개월 후 신생혈관 재발 없이 각막혼탁은 감소하였으며 나안시력은 0.5로 호전되었다. 결론: 각막 신생혈관 환자에서 고주파 전기수술기는 쉽고 효과적이며, 합병증 없이 각막혼탁의 감소 및 시력호전을 유도할 수 있다. Purpose: To report two cases of treatment using high-frequency radio wave electrosurgery for corneal neovascularization that recurred after medication and laser photocoagulation attempts. Case summary: (Case 1) A 53-year-old man visited our hospital complaining of corneal opacity.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in the left eye was 0.6. Lipid keratopathy indicated new inferior vessel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corneal opacity after medication and laser photocoagulation; however, the recurrence of feeder vessels was observed. Therefore, electrocautery was performed via high-frequency radio wave electrosurgery. Visual acuity, measured 1 month later, improved to 0.9. Over the subsequent 4-year observation period, new vessels did not recur and the corneal opacity decreased gradually. (Case 2) A 23-year-old woman visited complaining of left eye pain. She had undergone laser photocoagulation three times for corneal new vessels. Visual acuity in her left eye was 0.4. Recurrence of new vessels at the upper cornea was observed, and electrocautery was performed. After 2 months, corneal opacity decreased without revascularization, and visual acuity improved to 0.5.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corneal neovascularization, electrocautery using high-frequency radio wave electrosurgery is simple and effective and can reduce corneal opacity and improve vision without complications.

      • KCI등재

        펨토초레이저 상피투과 활모양각막절개 시 절개부 개방이 난시교정에 미치는 영향

        정준교(Joon Kyo Chung),한겨레(Gyu Le Han),노훈(Hoon Noh),임동희(Dong Hui Lim),정태영(Tae-Young Chung)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2

        목적: 각막난시교정을 위한 펨토초레이저 상피투과 활모양각막절개 시 절개부를 그대로 유지하는 방법에 비해 절개부를 개방하는 방법에서의 난시교정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6년 4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안과에서 펨토초레이저 백내장수술을 받을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절개부 개방군, 절개부 유지군에 대해 수술 전후로 각막난시의 크기 비교 및 벡터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절개부 개방군과 절개부 유지군에서 target induced astigmatism (TIA)가 각각 1.28 ± 0.55, 1.26 ± 0.29디옵터,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SIA)가 각각 0.80 ± 0.52, 0.53 ± 0.32디옵터, correction index (CI)가 각각 0.63 ± 0.28, 0.43 ± 0.26으로, 절개부 유지군보다 절개부 개방군에서 난시교정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48, p=0.025). TIA가 1.2디옵터 미만인 하위집단에서는 두 군의 SIA 및 CI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TIA가 1.2디옵터 이상인 하위집단에서는 SIA가 절개부 개방군, 유지군에서 각각 1.09 ± 0.59, 0.54 ± 0.37디옵터, CI는 0.60 ± 0.28, 0.36 ± 0.23으로 절개부 개방군에서 난시교정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22, p=0.047). 결론: 펨토초레이저 상피투과 활모양각막절개 시 절개부를 개방하는 방식이 절개부를 유지하는 방식보다 더 큰 난시교정 효과를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rneal astigmatism correction between “wound open” and “wound intact” methods during femtosecond laser-assisted transepithelial arcuate keratotomy. Methods: From April 2016 to December 2018, a retrospective survey was conducted on patients undergoing femtosecond laser cataract surgery at the Ophthalmology Department of Samsung Medical Center. Size comparison and vector analysis of corneal astigmatism before and after surgery were performed in the wound open and wound intact groups. Results: In the wound open and wound intact groups, the target-induced astigmatism (TIA) was 1.28 ± 0.55; and 1.26 ± 0.29 diopters, the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SIA) was 0.80 ± 0.52; and 0.53 ± 0.32 diopters, and the correction index (CI) was 0.63 ± 0.28; and 0.43 ± 0.26, respectively. The astigmatism correction was superior in the wound open group (p = 0.048, p = 0.025). In a subgroup with TIA < 1.2 diopt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A or CI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in the subgroup with a TIA > 1.2 diopters, the SIA was 1.09 ± 0.59; and 0.54 ± 0.37 diopters and the CI was 0.60 ± 0.28; and 0.36 ± 0.23 in the wound open and wound intact groups, respectively (p = 0.022, p = 0.047). Thus, astigmatism correction was superior in the wound open group. Conclusions: The wound open method during femtosecond laser-assisted transepithelial arcuate keratotomy was superior for astigmatism correction compared to the wound intact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