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박물관 교육에서 메타인지 질문을 활용한 사례 연구

        윤소정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17 박물관교육연구 Vol.- No.17

        본 연구는 공공기관이며 평생교육의 장인 박물관에서의 학습은 자연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서로 다른 사고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문헌연구와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박물관에 서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교육에 참여하고 사고의 폭을 확장시키는 위해서는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배운 지식들을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있는 메타인지 과정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메타인지 질문의 교육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메타인지 지식 질문을 적용하여 박물관교육을 실시한 후 학습자들의 반응을 참여관찰과 심층 면담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인지 질문 유형은 여러 인지 과정이 종합적으로 활용돼야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융복합적 인 성격을 갖는다. 둘째, 박물관 교육에서 메타인지 질문이 활용했을 때 학습자들은 적극적으로 교육에 참여했고 다양하게 사고를 확장시켰다.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교육 참여와 다양한 인지 과정을 위해 ‘메타인지 질문’을 활용하여 균형 잡힌 인지를 경험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박물관 교육 학습자들의 자발적 참여는 결국 소장품과의 소통 · 공감 · 이해 · 교류라는 교육 효과를 불러올 것이며 이것이야말로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유지시키는 질 높은 박물관 교육의 기본이라 할 수 있다. The following study started out from an idea that education in a museum, a public institution of learning for all ages, should be carried out in a natural atmosphere where one can share one’s thoughts and information. Literature reviews and a variety of case studies confirmed that in order to invite learners to actively take part in the education process and help them expand the scope of their thoughts, a meta-cognition process, a process different from rote learning, in which the acquired knowledge is applied in carious field is necessary. In order to surmise the education effect of the meta-cognitive questions the researcher first selected a museum workshee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tegorized the worksheet question types and cognitive process and conducted a multi-dimensional analysis each museum worksheet question type of the different institutions by applying it to the Anderson, Marzano model, Borich model and the Pearson-Johnson model. Firstly, the meta-cognition question types are convergent in nature because it can only materialize when a variety of cognitive processes are comprehensively utilized. Secondly, the application of meta-cognitive question in educational sessions in museums facilitated active participation and expanded the minds of the learners. In order to encourage self-directed earning and various cognitive processes, the questions that utilize meta-cognition must be used for a more balanced cognitive experienc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learner will result in communication / empathy / understanding / exchange with the collection of the museum and this is the essence of a high quality museum education that will help maintain a sustainable society.

      • KCI등재

        의과대학생들의 자아 상태 및 삶의 자세와 공감과의 관계

        윤소정,박귀화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7

        One of human being's basic needs is to be understood by others. This desire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doctor and a patient. Transactional analysis theory (TA) is one of famous characteristic theories and has been applied to communication and psycho therapy theory.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among ego states, basic positions, and empathy ability. 78 medical students were chosen as subjects, we surveyed the EG and OKG based upon cal theory and the Empathy Questionnaire. W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of ego states profiles and basic positions in life, and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m and empathy ability. The noticeable majority of students were A dominant type (54.43%) in characteristic structure. Most of students had the U+I+type (84.62%) in basic position in life. And NP ego state has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empathy ability. However, A ego stat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empathy ability. Therefore, we have to educate students to develop the NP and FC ego states before empathy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의과대학생들의 자아 상태, 삶의 자세, 그리고 공감과의 관계 규명을 통하여, 환자-의사간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의과대학 4학년 학생 78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아 상태, 삶의 자세 그리고 공감 정도를 측정하였다. 자아 상태와 삶의 자세는 한국교류분석협회에서 표준화한 ECL(Egogram Checklist List)와 삶의 자세 검사를 통해 알아보았으며, 공감 설문지는 정서적 공감척도(Mehrabian & Epstein, 1972)를 이용하였다. 자아 상태와 삶의 자세, 그리고 공감 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그리고 단순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아 상태와 삶의 자세에 따른 공감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변량분석과 비모수적 방법인 Kruskal-Wallis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의대생들은 성인자아기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인 성격 기능의 평균과 비교했을 때 양육적 어버이 자아기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자세에 있어서는 타인긍정․자기긍정 삶의 자세를 가진 유형이 가장 많았다. 공감능력은 양육적어버이 자아 상태와 가장 높은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성인자아 상태와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환자의 어려움을 보다 더 잘 공감하게 하기 위해서는 의과대학생들의 양육적어버이 자아 기능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이 요구되는 바이다.

      • KCI등재

        의과대학 학생들의 인문학적 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과정 개발 및 타당성 평가

        윤소정,박귀화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process for enhancing the humanities competence of the medical students. The research process was developed to be operated as a core subject course of 3 semesters. Among them, the research process for enhancing humanities capacity consisted of humanities and societies (6 teams) and education-psychology (2tea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8 second grade students and 22 professors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process. Among them, 13 professors participated in the study of humanities and 37 students. In the validity test, the professors were more likely to have more validity in the research process than the students in all areas of logic (p = .001), influence (p = .037), process (p = .001). The validity of the professo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tudents. The professors highly evaluated the students' learning outcomes and showed the most frequency to the prize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greement between the students and the professors through the kappa coefficient, the agreement degre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competence was moderate to .430. Problem solving ability was .340, which showed fair degree of agreement. However, other factors showed only a slight degree of agreement of less than .20. 본 연구에서는 의예과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과정을 개발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 그 중 인문학적 역량강화를 위한 연구과정의 학습성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과정은 의예과 3학기에 걸쳐 전공필수 교과목으로 운영되도록 개발하였다. 인문사회, 교육-심리, 공학, 분자의학의 4주제로 분류되었으며, 그 중 인문학적 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과정은 인문사회(6조)와 교육-심리(2조)로 구성되었다. 인문사회는 행정, 언론, 경영, 인문, 교육의 주제별로 조를 편성하였으며, 각 조별로 멘토 1명당 3~4명의 멘티가 함께 짝을 이루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의과대학에서 연구과정에 참여한 학생은 의예과 2학년 학생 88명이었으며, 학생 연구지도에 참여한 교수 22명이었다. 그중 인문학적 연구과정에 참여한 교수는 13명이었으며, 학생은 37명이었다. 타당성 평가에서는 논리(p=.001), 영향(p=.037), 과정(p=.001), 효율성(p=.045)의 전 영역에서 교수가 학생에 비해 연구과정에 대한 타당도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학적 역량강화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에 대한 교수의 학습성과 평가 결과에서는 상집단이 가장 많았다. kappa 계수를 통하여 학생과 교수간 학습성과 평가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과 협력 역량에 대한 평가 일치도는 .430으로 중등도 일치를 보였으며, 문제해결력은 .340으로 어느 정도의 일치를 보였다. 그러나 비판적 논리적 사고력, 글쓰기 영역, 발표력, 학자적 윤리 영역에서는 .20 이하로 약간의 일치도만이 나타났다.

      • KCI등재

        성인 기성복 패션한복 브랜드의 스타일 유형에 관한 연구

        윤소정 한복문화학회 2023 韓服文化 Vol.26 No.2

        This study aim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fashion-hanbok market, which has been evolving and expanding in new areas since the 2010s, and to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of growth of Hanbok brands. Over the past decade,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news articles about hanbok brands collected from the Naver, a search engine developed in Korea. Based on the style and price range of the brand products, 112 dominant brands were selected, and a positioning analysis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ed in four significant brand groups in the fashion-hanbok market,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The first group, "high-end designers," provides creative ideas to the fashion-hanbok market. The second group, "casual women's hanbok," is led by star designers and attracts social attention. The third group, "casual men's clothing," is newly formed and expected to create a new market with various designs such as "hip hop," "easy wear," and "formal wear." Finally, the "basic hanbok brands" group is expanding the fashion-hanbok consumer base and market size. The fashion- hanbok trend has gained strength through collaborations with popular culture and i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Newtro" trend. Many fashion-hanbok brands are using genderless product strategies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narrow target marke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ffline-based distribution strategies, online and offline select shops dealing with various hanbok brands have been attempted, along with short-term events such as pop-up stores and flea markets. Crowdfunding has also provided valuable sales opportunities for new brands. Changes in communication message strategies have been observed, with messages focusing on "Newtro," "Hip Trend," and "Eco-friendly, Naturalism" appealing to young consumers. 본 연구는 2010년대 이후로 새로운 영역을 형성하고 분화하고 있는 패션한복 시장 현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한복 브랜드의 성장 방향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으로 최근 10년 간 포털사이트에서 검색되는 한복 브랜드 관련 뉴스를 수집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주요 유통 채널에서 가시성 높은 브랜드 112개를 선정하고, 해당 브랜드 상품의 스타일과 가격대를 기준으로 포지셔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패션한복 시장에서 유의미한 브랜드 집단 4개가 도출되었고, 뉴스 내용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그 특성을 해석하였다. 첫째, ‘하이엔드 디자이너’ 영역의 브랜드들이 패션한복 시장에 창의적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있고, 둘째, ‘캐주얼 여성 한복’ 조닝에서 스타 디자이너들이 사회적 관심을 끌며 트렌드를 견인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뒤늦게 형성되고 있는 ‘캐주얼 남성복’ 조닝에서 ‘힙합’, ‘이지웨어’, ‘포멀웨어’ 등 다양한 디자인이 시도되고 있어 새로운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마지막으로, ‘베이직 한복 브랜드’들이 패션한복 소비층을 넓히고 시장 규모를 확대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니아 층에서 시작된 패션한복 트렌드는 대중문화와 협업하며 큰 힘을 얻었고, ‘뉴트로’ 트렌드의 긍정적 영향도 받고 있다. 현재 많은 패션한복 브랜드가 좁은 타겟의 마켓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젠더리스 제품 전략을 취하고 있다. 타겟층이 좁아 오프라인 기반 유통 전략은 고비용으로 효율이 낮고,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한복 브랜드를 취급하는 온·오프라인 상의 편집샵이 시도되거나, 단기 행사인 팝업스토어 및 플리마켓 방식이 활용되어 왔다. 여기에 최근에는 크라우드펀딩이 새로운 브랜드에게 유용한 판매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전략의 변화도 관찰되어, 2000년 이전의 생활한복은 ‘전통의 소중함’을 중점적으로 소구한 반면, 2000년 이후로는 ‘뉴트로’, ‘힙한 트렌드’, ‘친환경, 자연주의’ 메시지로 젊은 층에 소구하고, 이것이 소비자 확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의예과 학생들의 대학생활에 대한 경험표집 및 질적 분석

        윤소정,오민성,조재민,조현석,하승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As the importance of preliminary education is emphasized, controversy continues as to how to spend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the life of the students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of college life experi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f pre-medical second year students in Busan. Among the students wishing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9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ence sampling and 8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ivate interview. A total of 83 reflection essays were received a consent form and analyzed. Experiential sampling items were developed to suit the experience of the pre-medical students, and the Experience Sampling Form(ESF) was provided in the form of a Google survey.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ampl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tivities and emotions of the test period and the non test period.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flection essay are as follows: 'Meeting with various experiences and people', 'enjoying the free time as much as possible', 'meeting only the minimum standards', 'responsibility for the work to be done'. In individual interviews, we talked about life, relationships, and expectations for the future, and five meaningful themes were reveal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enable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chool experience of medical students. 의예과 시기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이 시기를 어떻게 보내야 하는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의예과 학생들의 대학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그들의 생활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부산 소재의 의과대학 의예과 2학년 중 참여를 희망한 학생 9명이 경험표집에 참여하였으며, 개별 면담에는 8명이 참여하였다. 또한 활용동의서를 받은 총 83부의 성찰에세이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경험표집 문항은 의예과 학생들의 경험에 맞도록 개발하였으며, 구글 설문의 형태로 경험표집양식(ESF; Experience Sampling Form)이 제공되었다. 경험표집 결과 시험기간과 비시험기간의 활동과 정서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성찰 에세이의 질적 분석 결과에서는 ‘다양한 경험과 사람들과의 만남’, ‘자유 시간 최대한 즐기기’, ‘최소 기준에만 충족’, ‘꼭 해야 할 일에 대한 책임’, ‘의도적으로 공부를 하지 않음’의 5가지 범주가 나타났으며, 개별 면담은 반구조화된 상태로 진행되었으며, 생활, 관계, 그리고 미래에 대한 기대에 대해 이야기 하도록 하여 5가지의 의미 있는 주제가 드러났다. 본 연구결과는 의예과 학생들의 학교 경험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