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60년대 최일수 문학비평 연구

        하상일(Ha Sang-Il) 한국문학회 2005 韓國文學論叢 Vol.40 No.-

        This paper is an examination of Choi Il-Soo's Literary Criticism in the 1950~1960's. This paper clsssified Choi Il-Soo's Criticism aspect of Literary Generation, Culture Tradition, National Literature. 1. About the Literary Generation, Choi Il-Soo used discourse strategy of inclusion and difference, distinct from other critic' strategy of exclusion and enhancement. 2. About the Culture Tradition, Choi Il-Soo surpassed the strategy of concealment by the tradition negationists and abstract and ideal discourse by the tradition accessionist. 3. About the National Literature, Choi Il-Soo's discourse re-defined the nationality through the historical view. And Choi Il-Soo's National Literature were continued to the concern about the third world's literature. And Choi Il-Soo's National realism were on the basis of the confidence in the progress of history and he had the intention to the methods of creation. Finally, We could understand that Choi Il-Soo's Literary Criticism were superior to others' in the field of 1950's Literary Criticism about the aspect in the tradition and National Literature and it could be more clear when compared with other critical subject.

      • KCI등재

        김시종과 『진달래』

        하상일 ( Ha Sang-il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57 No.-

        본 논문은 재일조선인 시인 김시종의 시와 시론을 『진달래』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진달래』는 1953년 2월 자신의 주도로 <오사카조선시인집단>을 조직하여 동인지 성격으로 출간한 것이다. 문학을 통해 오사카 지역 젊은 조선인을 조직한다는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창간했지만, 1955년 <총련> 결성 이후 재일조선인 운동 방침이 크게 전환되어 조직의 거센 비판을 받고 1958년 10월 20호를 끝으로 종간되었다. 이후 『가리온』을 창간하여 그 정신을 계속해서 이어나가려 했으나, 이 역시 조직의 비판으로 3호만 발간하고 중단되고 말았다. 본 논문은 해방 이후 김시종의 일본에서의 초기 활동을 주목하고, 『진달래』를 발간한 과정과 <총련>과의 갈등으로 빚어진 필화 사건, 그리고 <총련> 탈퇴 이후 독자적인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방향을 열어나간 점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진달래』전권의 서지사항과 여기에 수록된 김시종의 글을 전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김시종이 재일조선인시문학의 정체성과 방향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가졌었는지를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김시종 시문학의 발생적 토대를 이해하는 것인 동시에, 재일조선인 시문학이 <총련>과의 결별 과정에서 `조선`이라는 민족적 정체성을 어떻게 심화 발전시켜 나갔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되기도 한다. 이는 민족 혹은 국가의 이데올로기적 관념성을 넘어서 `재일`의 독자성과 주체성을 형성해 온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역사적 전개를 이해하는 뚜렷한 방향이 될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김시종과 『진달래』는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내용과 형식을 진정성 있게 성찰하는 주체적인 시론의 방향을 올곧게 제시해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s poems by the Korean-Japanese poet Kim Si-jong (b. 1929) and public commentaries focusing on the magazine “Jindallae”. “Jindallae” was published as a literary coterie magazine when the poet led and organized the Osaka Joseon Poet Group in February 1953. The magazine was founded with a political purpose to organize young Koreans in Osaka region through literature, but after the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在日本朝鮮人總聯合會), or abbreviated as “Chongryon(總聯),” was organized, the direction of movements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largely changed, while Kim`s movement was harshly criticized, resulting in the cessation of publication in October, 1958. The last issue was No. 20. Later Kim founded “Garion” to continue the spirit, but that too was criticized by the organization, and after three issues, the magazine was terminated. This thesis focuses on Kim Si-jong`s early activities post-liberation and discusses the process of publishing “Jindallae,” incidents occasioned by a serious slip of the pen due to conflicts with Chongryon, and the direction of poetry independently assumed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after his withdrawal from Chongryon. Thus, this thesis intensively discusses what stance Kim Si-jong took in terms of identity and direction of poetry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by examining bibliographical data and Kim Si-jong`s writings in all of “Jindallae” magazines. Such a critical mind i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foundation of Kim Si-jong`s poetry, and at the same time, to understand how the ethnic identity “Joseon(Korean)” was developed and intensified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poetry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split from Chongryon. This can be a clear direction that goes beyond the ideology of an ethnic group or a nation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poetry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formed independence and subjecthood as “Koreans living in Japan.” In that regard, it can be evaluated as meaningful that Kim Si-jong and “Jindallae” appropriately proposed the direction of independent poetry examining the content and form of poetry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 KCI등재

        백석의 지방주의와 향토

        하상일 ( Sang Il Ha ) 한민족문화학회 2013 한민족문화연구 Vol.43 No.-

        본 논문은 일제 말 제국주의 식민 담론의 확장 속에서 백석의 문학적 지향점이 어디에 있었는지를 사상적 측면과 창작방법론적 측면을 중심으로 밝히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즉 1930년대 중반 카프의 해체로부터 인식된 사회주의적 근대의 파산 혹은 위기가 ‘조선적인 것’이라는 전통에 대한 재발견으로 이어지고, 이러한 흐름이 서구에 맞선다는 왜곡된 명분을 앞세워 일제의 제국주의 전략을 강화하고자 했던 ‘대동아공영권’과도 자연스럽게 맞물리는 상황에서, 일본 유학에서 돌아온 백석의 문학이 어떤 사상적 준거에 토대를 두고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1930년대 김기림에 의해 주도되었던 모더니티의 창작방법론이 향토적 세계의 복원을 통해 공동체적 시원의 회복을 추구했던 백석의 시세계와 방법론적으로 어떻게 조응했는지를 논의하였다. 백석의 문학은 지방주의에 입각한 언어의식을 토대로 지역의 역사와 생활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일관된 방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러한 지방주의는 향토의 세계와 자연스럽게 조응하면서 감상적 복고주의의 차원이 아닌 근대를 성찰하는 기제로서의 모더니티의 감각을 실현하였다. 즉 비록 소재적인 측면에서는 토속적이고 민속적인 전통에 기대고 있지만 그것을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사물과 대상과의 관조적 거리를 확보하고 감정과 정서를 최대한 통제하여 그것을 감각적 이미지로 형상화하는 모더니티의 전략을 구사했던 것이다. 그리고 문명적 근대의 표상을 바라보는 태도에 있어서도 무조건적 동경으로서의 미적 감각에만 기대지 않고 그러한 표상이 조선인의 생활 속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를 구체화하는 ‘조선화된 근대’의 모습을 발견하는 데 주력하였다. 이런 점에서 백석이 추구한 지방주의와 향토의 문제는 전근대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철저하게 근대적인 것으로, 식민지 말기 동양론의 왜곡된 근대를 넘어서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주체적 근대 찾기의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the main purpose of literary Direction Baek seok Where in the expansion of the end of Japanese rule, imperialist colonial discourse had ideological aspects and creative methodological aspects to reveal. Literature attention based on provinces Baek seok of consciousness on the basis of the language specific shape to the life and history of the region showed a consistent directionality. Such a sense of modernity as naturally correspond with the folk of the world and to reflect on the modern non-sentimental dimension of reactional mechanisms provincialism was realized. In other words, although in terms of ethnic and folk traditions in a contemplative distance of the object and the target and how to express it, but leaning strategies and sensory feelings and emotions as much as possible by controlling it to shape the image of modernity that had secured . And a sense of unconditional hope as well as in looking at the representation of the modern civilizational attitudes found that the appearance of the ‘Chosun`s modern’ that embodies such representations in the lives of the Koreans has been projected How to focus. Problem in this regard and provincialism Baek seok pursue local pre-modern, but rather to be thoroughly modern, from beyond the true meaning of the late colonial period, the modern distortion of oriental modern favorites was of course you can.

      • KCI등재

        심훈의 중국 체류기 시 연구

        하상일 ( Sang Il Ha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1 No.-

        본 논문은 1920년부터 1923년까지 중국의 북경, 남경, 상해, 항주 등에 머무르면서 사회주의 독립운동 및 문학 활동을 한 심훈의 행적을 살펴보고, 이러한 중국에서의 활동이 그의 시세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증적으로 논의한 것이다. 즉 심훈이 중국에 체류하는 동안 여러 도시를 이동하면서 만났던 사회주의 독립운동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형성된 정치사회적 의미와, 이러한 경험적 토대 위에서 창작된 주요 시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심훈에게 중국이 어떤 역사적 혹은 문학적 실체로 의미화되었는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심훈이 중국에 체류하는 동안 겪었던 정치적 좌절과 회의가 그의 시에 두드러진 변화를 가져왔는데, 이러한 표면적 변화에 주목하여 그의 시작품 속에 내재된 의미를 상해 지역 사회주의 독립운동의 분파주의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내면화된 결과로 이해하였다. 이처럼 심훈의 중국 체류기 시세계는 크게 두 가지 경향으로 이원화되는데, 북경과 상해에서 쓴 전반기의 시와 남경, 항주에서 쓴 후반부의 시에 두드러진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에 대해 전반부의 시는 역사적 주체로서의 자각이 뚜렷이 반영되어 정치적 의식을 전면화하는 양상이 두드러졌고, 후반부의 시는 망향객으로서의 비애와 향수 등 개인적인 정서가 서정성의 세계로 표면화되었다고 보는 시각이 있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심훈의 중국행 자체가 이미 정치적 목적을 은폐하기 위한 위장된 행로였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그의 시를 ``변화``가 아닌 ``일관성``의 관점에서 바라 보아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즉 후반부의 시에서 개인적 서정성의 경향이 두드러진 것은 분파주의와 노선 갈등으로 치달았던 1920년대 초반 상해의 독립운동에 대한 절망과 회의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정치성의 탈각으로 보기보다는 오히려 정치성의 올곧은 정립을 위한 역설적 자기성찰의 과정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심훈에게 중국 체험은 독립운동을 매개로 한 사상적 거점과 이에 바탕을 둔 자신의 문학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그는 근대적 문명과 제국주의적 모순이 충돌하는 공간으로서의 상해의 이중성에 대한 절망과 독립운동의 노선 갈등에서 비롯된 정치적 분파 투쟁에 대한 실망으로 중국에서의 활동을 서둘러 접을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심훈은 귀국이후 이와 같은 중국에서의 체험을 반면교사로 삼아 정치적 좌절과 회의를 극복하는 새로운 문학의 방향성을 찾고자 했다. 귀국 이후 심훈의 문학 활동이 다양한 장르로 심화 확대되어 나간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이처럼 본 논문은 심훈의 사상과 문학의 형성 과정에서 1920년대 초반 중국에서의 체험이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고 보고, 심훈의 중국에서의 행적을 중심으로 그의 중국 체류기 시 세계의 변화 양상과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Sim Hun``s deeds and achievements in socialistic independence movement and literature while staying in Beijing, Nanjing, Shanghai, Hangzhou and other cities in China during the period between 1920 and 1923 and to make empirical discussion on how his activities in China affected his poetic world. In particular, political frustration and skepticism he experienced while in China brought a striking change in his poetry, which i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internalizing his critical recognition of factionalism found in socialistic independence movement that occurred most actively in Shanghai while focusing on these superficial changes. Sim Hun``s poetry world is largely classified into two distinctively different trends: one in early stage of his stay in Beijing and Shanghai and other in late stage of his stay in Nanjing and Hangzhou. His poets in the first half of his life as a poet embraced his consciousness as a historical principal agent clearly in them, exposing his political awareness forefront while those in the second half are viewed to depict his personal emotions such as grief, homesickness and nostalgia as a drifter far away from home against the backdrop of the world of lyricism. However,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his attempts, including his heading to China in the first place were disguised to hide his political purposes and believes that his poets should be viewed and appreciated in terms of ``consistency``, not ``change``. That is, the fact that his personal emotions and lyricism were actively incorporated into his poems in the second half of his poetic life was triggered by his frustration and skepticism he felt ab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Shanghai in early 1920s that was marred by factionalism and partisan conflict, which needs to be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a paradoxical introspection to establish his upright political direction rather than political exit. In this respect, this paper has discussed how the world of Sim Hun``s poets changed during his stay in China and what implications were carried in it with belief that Sim Hun``s experience of staying in China in early 1920s made a significant impact on his philosophy and his world of literature.

      • KCI우수등재

        김정한의 미발표작 「잃어버린 山所」 연구

        하상일(Ha, Sang-il)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80

        이 논문은 김정한의 미발표작 「잃어버린 산소」를 분석한 것이다. 특히 이 작품이 동아시아 민중 연대라는 새로운 지평과 지역성과 세계성에 토대를 둔 장소성을 부각시키고자 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이러한 소설의 방향은 1970년대 김정한의 소설에서 두드러진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1966년 그의 문단 복귀와 이러한 문제의식은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즉 1965년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에서 드러난 미국 중심의 신제국주의 정책이 김정한의 소설 세계가 오키나와, 남양군도와 같은 동아시아 문제로 확대되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음을 논증하였다. 우선, 「잃어버린 산소」에서 일제 말의 상황과 남양군도에서의 제국주의적 양상이 어떻게 구체화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비록 미완성에 그쳤지만, 「산서동뒷이야기」, 「오끼나와에서 온 편지」의 연장선상에 있다. 제국주의 억압이 가장 노골화되었던 일제 말의 상황을 배경으로 남양군도로 끌려갔던 조선인 노동자의 피폐한 삶을 중심으로 일본군 위안부, 결혼 이민 등 식민지 여성 수난의 역사를 증언하고 있는 작품이다. 미완의 상태에 머물러 일본의 패전 이후 조선인 노동자들의 귀환 과정과 고향으로 돌아와 잃어버린 땅을 둘러싼 역사의 모순에 맞서는 실천적 양상들이 구체화되지는 못했지만, 식민지로부터 해방 이후로 이어진 국가 권력의 횡포와 신식민지 현실을 특별히 부각시키고자 한 데 의의가 있다. 다음으로,「잃어버린 산소」에 반영된 주제의식을 통해 문단 복귀 이후 김정한의 소설적 변화를 특별히 주목하였다. 즉 해방 이후 올바르게 청산되지 못한 식민지 유산이 국가주의의 가면을 쓰고 여전히 횡행하는 신식민지 현실에 대한 비판에 초점을 두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적 문제의식은 그가 오랜 절필기를 끝내고 문단에 복귀하는 결정적 계기로 작용했다고 보았다. 1965년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을 지며보면서, 해방이 되었음에도 미국 중심의 신제국주의가 동아시아를 지배하고 있다는 데 대한 강한 비판을 새로운 소설적 방향으로 삼으면서 그의 소설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특정 국가에 대한 비판을 넘어서 제국주의와 국가주의에 철저하게 희생당한 동아시아 민중들의 연대를 모색하는 것으로 구체화되었다는 데 특별한 의미가 있다. This thesis analyzes “Lost Tomb” the unpublished work by the Korean novelist Kim Jeong-han(金廷漢, 1908~1996). Through this novel in particular, the author attempted to highlight people’s solidarity in East Asia as the new horizon and placeness based on regionality and globality. Such a critical mind was a prominent feature in the 1970s novels by Kim Jeong-han, and this thesis aims to disclose his critical mind was closely associated with his return to the literary world in 1966. More specifically, this thesis proved that the U.S.-centered neo-imperialist policy caused by the treaty between Korean and Japan and dispatch of Korean armed forces to Vietnam in 1965 functioned as an important instrument, expanding the world of Kim’s novels to East Asian region, like Okinawa and the South Sea Islands. First, this thesis analyzes how situations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imperialistic conditions in the South Sea Islands materialized. Though incomplete, the novel remains an extension of his novels, “The Rest of the Story in Sanseo-dong” (「산서동 뒷이야기」)and “The Letter from Okinawa” (「오끼나와에서 온 편지」). With circumstances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or at the height of imperialist oppression as the setting, the novel testifies the history of Korean women’s suffering under Japanese rule, such as the lives of comfort women for the Imperial Japanese Army and marriage immigrations, while focusing on the devastated lives of Korean laborers taken to the South Sea Islands. Although the novel was not completed to materialize the practical conditions against contradictions of the history surrounding the returning procedure of Korean laborers and their lost land in hometowns after Japan’s defeat in the war, the novel remains significant in that it highlighted the reality of the new colony and the tyranny wielded by the national authority which had only continued from the colony. Next, this thesis especially focused, through his sense of subject, Kim Jeong-han’s novelistic changes after he returned to the literary world. In other words, Kim focused on criticism on the reality of the new colony after liberation where the not-so-soundly settled legacy of the colonial past continued on to rampantly wield wrongful power in the disguise of nationalism. Thus, it is understood that such a critical mind functioned as a determining instrument for Kim Jeong-han to return to writing as he ended his long break. While observing th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and dispatch of Korean soldiers to Vietnam, the writer used, as his novelistic direction, his strong criticism that even if Korea was liberated, the U.S.-centered neo-imperialism dominated East Asia. Conclusively, it holds a special meaning in that the novel reached beyond criticizing specific nations and focused people’s solidarity in East Asia where people were thoroughly sacrificed by imperialism and nationalism.

      • KCI등재

        심훈과 중국

        하상일(Ha, Sang-il) 한국비평문학회 2015 批評文學 Vol.- No.55

        본 논문은 1920년 중국으로 건너가 1923년까지 북경, 남경, 상해를 거쳐 항주에 머무르면서 독립운동 및 문학 활동을 한 심훈의 행적을 복원하고, 이러한 중국 체험이 그의 문학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심훈의 중국행이 지닌 정치사회적 의미와 각 도시를 옮겨 다니다가 항주의 지강대학에 정착하게 되는 과정에서 발표한 주요 작품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당시 심훈에게 중국이 어떤 역사적 혹은 문학적 실체로 의미화 되었는지를 논의하였다. 그리고 중국으로 건너갈 당시 20세 청년에 불과했던 심훈이 중국에 체류하는 동안 겪었던 정치적 좌절과 회의가 여러 가지 변화를 가져왔는데, 이러한 변화에 주목하여 그의 작품 속에 반영된 중국의 의미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심훈에게 중국 체험은 민족적 사회주의의 길을 걷고자 했던 자신의 사상적 거점을 마련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그는 근대적 문명과 제국주의적 모순이 충돌하는 공간으로서의 상해의 이중성에 대한 절망과 독립운동의 노선 갈등에서 비롯된 정치적 분파 투쟁에 대한 실망으로 중국에서의 활동을 접었다. 그리고 귀국 이후 중국에서의 체험을 토대로 정치적 좌절과 회의를 극복하는 새로운 문학의 방향성을 찾고자 했다. 1930년 발표한 시 「그날이 오면」과 소설 「동방의 애인」은 바로 이러한 그의 문학적 지향성을 구체화한 작품들이다. 다만 이 작품들은 일제의 검열을 통과하지 못해 완성된 세계를 창출해 내지 못했다는 점에서, 그의 후기 소설들은 이러한 검열을 피하는 서사 전략으로 ‘국가’를 ‘고향’으로 변형시켜 계몽의 서사로 전이되는 양상을 드러냈음을 주목했다. 이런 점에서 「상록수」로 대표되는 그의 후기 소설을 단순히 계몽의 서사로 읽어낼 것이 아니라, 식민지 내부에서 허용 가능한 사회주의 서사의 변형 혹은 파열로 이해하는 문제의식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처럼 본 논문은 심훈의 사상과 문학의 형성 과정에서 중국 체험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그의 문학 작품에 반영된 중국의 의미와 영향 관계를 논의하였다. This paper is about korean writer Shim-hoon’s activities Beijing and Nanjing through Shanghai to Hangzhou in china from 1920 till 1923. we would see how those activities influenced his literatures by inspecting his footsteps in China. Shim-Hoon has to go to China with political and social meanings and each city of Hangzhou, while moving on to the Zhigang in the process for settlement in college, announced major pieces for analysis. Shim-Hoon at the time by China are in any literary or historical reality to discuss service that contributed to a specific meaning. Shim-Hoon, which saw a 20-year-old man at the time to cross over to China also experienced during our stay in China to be a political setback and I brought several changes, such a conference. His works have your attention to changes in China, which is reflected in the meaning of the discuss specifically. And such a political setback to hurry to go back and return to literature based on players experience in China, found that resulted in creativity. China experience is ethnic and own who wished to walk the path of socialism to Shim-Hoon military base in the history of the main purpose is to set up. But modern civilization and imperialist contradictions about dualism of the Shanghai Space as a conflicting political off shoot, which stemmed from the conflict, despair and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route fold up the disappointment of struggle for activities in China. Based upon its experience in China since come back and wanted to be able to find a new literary direction to overcome his meeting with a political setback. In 1930, published poems 「If the day comes」(「그날이 오면」), and novel that clarifies the literary his literary And this is the work be completed when she failed the inspection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failed to generate new jobs as a point in the world’s later novels included The epic to avoid censorship strategy of transforming the situation on the ‘National’ ‘Hometown’ enlightenment to reveal aspects of change from Epic. In this regard, the 「The evergreen」(「상록수」) simply to raise awareness of the epic novel of his later, represented by colonial within the permissible, not only thing that can read a socialist of narrative deformation or burst in the sense is a need to have a problem to understand. In this way, this paper is Shim-Hoon’s China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ideas and literature to see which centers on the meaning you, his literary work were reflected in Chinese discuss the meaning and effect relationship.

      • 심훈의 생애와 시세계의 변천

        하상일(Ha, Sang-il)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6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16 No.10

        This paper traced the life of Shim Hoon in the 1920s~1930s, divided his world of poetry into three parts, and discussed the meaning of such change. The first period was from the time of writing practice to 1923 when he stayed in China. It was an important period to understand the embryological ground and social/historical background of his poetry. The second is from 1923 when he came back from China to 1932 when he stopped all political and social activities and went down to Dangjin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This was the time when Shim Hoon actively created his works. The last period is from the time he went down to Dangjin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and devoted himself to writing novels with the background of rural area to his death due to sudden illness. Such division of period is not limited to his poetry writing but includes his overall literary works. In the sense that the division of a writer’s literary period cannot vary depending on specific genre, this paper tried to have its ground on the general division of literary period and diachronically review the changing process of his world of poetry. Especially, as this paper is based on historical and biological way of following the life of Shim Hoon, the tripartite division of his life of poetry with the junctures of major events will serve as a critical point to understand the changes and meanings of the poetry of Shim Hoon. First, aims to look into the Sim Hun’s deeds and achievements in socialistic independence movement and literature while staying in Beijing, Nanjing, Shanghai, Hangzhou and other cities in China during the period between 1920 and 1923 and to make empirical discussion on how his activities in China affected his poetic world. In particular, political frustration and skepticism he experienced while in China brought a striking change in his poetry, which i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internalizing his critical recognition of factionalism found in socialistic independence movement that occurred most actively in Shanghai while focusing on these superficial changes. Sim Hun’s creation of Sijo(時調) was most active in the 1930s, late period of his literary activities. It seems that he actively selected a Sijo genre as a strategy to criticize the contradiction of colonial reality while ambiguously hiding from the surveillance of Japanese colonialists. That is, his Sijo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life aesthetics as a spirit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 of colonial modernity with the underlying spirit of resistance to fundamentally surmount the colonial contradictions. In other words, Sim Hun’s Sijo in the 1930s was the well-planned poetic structure designed to reveal colonial contradictions in a way of ‘strategic natural hiding’ in a paradoxical manner just like critical awareness of reality hidden in narratives to enlighten farmers. In this respect, Sim Hun’s Sijo strategy should be evaluated as an active attempt of choosing a political will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of colonial modernity in a paradoxical style although his political nature did not appear on the surface at all.

      • KCI등재

        신동엽과 1960년대

        하상일(Ha Sang-Il)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5

        이 논문은 신동엽과 1960년대 문학을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한 것이다. 이는 1960년대 문학은 곧 4월혁명 문학이라는 도그마를 넘어서 1960년대 한국문학의 변화와 혁신을 1965년 이후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에 바탕을 두고 새롭게 논의하고자 한 데 의의가 있다. 4월혁명은 그 역사적 · 문학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초반 5 · 16 군사쿠데타에 의해 미완의 혁명이 되고 말았다는 점에서, 1960년대 문학은 4월혁명의 시대정신이 1960년대의 현실에서 어떻게 지속적으로 이어졌는가에 대한, 즉 5 · 16 이후의 역사적 상황에 4월혁명의 정신이 어떠한 대응양상을 보여주었는가에 대한 실증적인 이해가 더욱 중요한 과제라는 사실을 주목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무엇보다도 주목해야할 지점이 바로 1965년이다. 1965년은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이 이루어진 해라는 점에서 1965년 이전과 이후의 경계에는 4월혁명 이전과 이후의 뚜렷한 구분조차도 미처 담아내지 못한, 즉 아시아의 패권을 둘러싼 미국의 신제국주의 정책이 야기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적 문제가 깊숙이 은폐되어 있었다. 따라서 한일협정, 베트남 파병 등의 역사적 사건들은 4월혁명이 아닌 5 · 16 군사쿠데타 이후의 정치적 상황을 전제하지 않고서는 설명이 불가능한 문제였다. 그러므로 이에 맞서는 1965년 이후의 문학적 대응 양상은 1960년대 아시아 그리고 미국을 이해하는 세계사적 문제의식 안에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신동엽의 1960년대 문학은 바로 이러한 ‘65년 체제’를 주목함으로써 4월혁명의 자장 안에 갇혀 동어반복을 넘어서지 못했던 1960년대 한국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냈다고 할 수 있다. 1965년 이후 신동엽의 시는 한일협정에 내재된 신식민주의와 베트남 파병의 신제국주의적 태도를 근본적으로 비판하는 데 무엇보다도 집중했다. 미국 주도로 형성되어 갔던 1960년대의 아시아 외교 정책에서 한국과 일본이 전위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종속성과, 아시아의 냉전 체제에서 한국과 일본이 군사적으로 경제적으로 그 역할을 분담해 줌으로써 베트남전쟁을 효율적으로 대비하려는 미국의 신제국주의 전략을 강하게 비판했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신동엽은 한일협정이 미국의 베트남전쟁을 대비하기 위한 전략적 수순이었음을 정확히 간파함으로써 1960년대 한국문학의 저항성을 동아시아적 지형 위에서 이해하고자 했다. 이러한 문학적 통찰은 1960년대 한국문학을 4월혁명을 넘어서 ‘65년 체제’로 새롭게 읽어야 하는 문제제기를 던져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This paper discusses Shin Dong-yeop and literature in the 1960s focusing on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Vietnam dispatch. By critically reviewing the dogma that the literature in the 1960s is the literature of the April Revolution, this study finds its significance in renewing the discussions on Korean literature in the 1960s based o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East Asia since 1965. In the sense that 1965 was the year of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dispatch to Vietnam, America’s neo-imperialism over the hegemony of Asia was deeply concealed. This had not been captured in the boundary of prior and post April Revolution. Therefore,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Vietnam dispatch cannot be explained without presupposing the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May 16th military coup. Shin Dong-yeop"s literature in the 1960s focused on the ‘year 65 system’ and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the literature of the 1960s that was confined in the April Revolution. Since 1965, Shin Dong-yeop"s poetry fundamentally criticized the neo-colonialism underlying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neo-imperialism of Vietnam dispatch. He opposed to the subordination of Korea and Japan, which the U.S. used as its vanguard troops in its Asian foreign policy in the 1960s, and America’s neo-imperialist strategy to prepare for the Vietnam War efficiently. Therefore, by recognizing that the Korea- Japan Agreement was a strategic step to prepare for the Vietnam War, Shin Dong-yup approached the resistance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60"s in the East Asian landscape, instead of viewing it just as a domestic problem. This literary insight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raises the question of interpreting the Korean literature in the 1960s based on the year 65 system, beyond the April Revolution.

      • KCI등재

        김순남 문학비평 연구

        하상일(Ha Sang-Il) 우리문학회 2010 우리文學硏究 Vol.0 No.31

        본 논문은 1960년대 일본 동경에서 발간한 종합교양지 한양을 중심으로 활동한 재일동포 비평가 김순남의 비평세계를 연구한 것이다. 한양의 창간정신은 4월혁명의 시대정신에 바탕을 둔 현실 참여에 있었으므로, 이를 토대로 한 김순남의 비평 역시 1960년대 남한의 정치사회에 대한 비판에 초점을 둔 현실주의 정신을 표방하였다. 김순남은 ‘전통=주체=민족’이라는 등식으로 전통의 문제를 민족문학의 정신사적 토대로 인식했다. 그는 유종호, 백철 등의 서구문학 추종자들에 맞서 우리의 고전문학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려는 비판적 전통론의 입장을 표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학과 현실의 관계를 중요시하면서 4월혁명의 시대정신을 구현하는 참여문학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는 4월혁명 이후 한국문학의 지형을 ‘순수’와 ‘참여’의 대결로 파악하고, 당시 팽배했던 순수문학의 방법적 허약성과 정신적 타락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특히 모더니즘 문학의 난해성과 보수성에 대한 전면적인 부정을 통해 생활현실에 바탕을 둔 리얼리즘의 시대정신을 역설하였다. 그의 리얼리즘론에서 중요한 점은, 편내용주의나 소박한 모사론을 넘어서 문학의 현실적 개입과 실천을 무엇보다도 강조하는 데 있었다. 즉 리얼리즘을 사실에의 충실이나 사실과의 일치라는 차원에서 인식하지 않고, 4월혁명의 시대정신을 구체화하는 행동정신으로 파악하고자 했던 것이다. 김순남은 당시 비평의 사명이 이러한 문제의식을 선도해 나가지 못함으로써 비평정신의 빈곤에 허덕이고 있음을 가장 문제시하였다. 따라서 그는 4월혁명 이후 한국문학의 올바른 방향은 이러한 비평적 현실에 대한 근본적 성찰을 통해 4월혁명의 문학적 가능성을 열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literary criticism of Kim Sun-nam, the Korean critic residing in Japan who released articles on Hanyang(『漢陽』), the culture magazine issued in Tokyo Japan in the 1960's. As the spirit of publication of Hanyang was a participation in reality based on the spirit of the times of April Revolution, critique of Kim Sun-nam as well focused on criticism on the political society of South Korea in the 1960's. Kim Sun-nam insisted that artists were responsible for combining history and reality, and thus artistic values of works could be represented by establishing the nature of ideas based on social truth. He regarded 'pureness' without recognition of the historical reality as mere 'self-deception' and 'a flight from reality.' Thus, he defended realism in that artists should have the spirit of creativity and attitude to lead readers to the genuine truth and conscience of the age. Especially, he tried to give it a meaning by combining realism with romanticism. In his view, the values of realism should go beyond accurate observation and description of the reality and seek to present the vision of history. The Theory of Engagement Literature in 1960 emphasized the spirit and attitude of realism that criticized the difficulty and conservatism of the poetry of postwar modernism and reflected the reality in life. Kim Sun-nam insisted to attach to reality and write poems reflecting reality in life and awareness of history, saying that the poetry literature in time rationalized a flight from reality in the tent of difficulty. In addition, he investigated the matter of tradition by criticizing such tendency of modernism since he considered the poetry of modernism that lost the uniqueness of the nation and tended to ignore the tradition lacking the identity and representing the extreme Western-oriented nature of Korean modern poetry. In short, the ultimate direction of his criticism to modernism aimed to present the future vision of our poetry literature looted from the ethnic tradition.

      • KCI등재

        이육사와 중국

        하상일 ( Ha Sang-il ) 배달말학회 2017 배달말 Vol.60 No.-

        이육사는 식민지 시대를 살았던 대표적 저항시인이자 사상가이고 독립운동가이다. 이육사의 문학은 식민지 시기 독립운동을 실천하는 중요한 방법적 선택 가운데 한 가지였다는 점에서 독립운동사적 접근과 문학적 논의를 통합해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이육사의 행적과 활동 가운데 아직도 의문과 의혹으로 남겨진 사실들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재구해냄으로써, 각 시대의 문학적 실천이 어떠한 역사의식과 현실인식에서 비롯된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밝혀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가장 중요하게 떠오르는 과제가 이육사와 중국의 관계이다. 이육사의 중국행은 모두 다섯 번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의 중국행이 독립운동을 위한 것이었음은 이미 여러 경로를 통해 검증되었다. 뿐만 아니라 중국문학 작품 번역, 중국의 정치사회에 대한 시사평론, 중국문학에 대한 논평 등 당시 이육사의 중국에 대한 소양은 아주 남달랐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렇다면 이육사에게 당시 중국은 어떤 역사적 의미를 지녔던 것일까. 이 글은 바로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과정이다. 이육사와 중국의 관계는 독립운동의 차원이든 문학적 차원이든 아주 밀접한 영향 관계에 있었음에 틀림없다. 그리고 이러한 두 가지 방향은 상호 유기적인 관련을 맺으며 그의 삶과 활동 전반에 핵심적인 문제의식으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육사의 문학 세계를 해명하는 데 있어서 당시 그가 중국의 정세와 중국문학의 현실을 어떻게 바라보고 이해했는가 하는 문제는 상당히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 글은 이육사의 다섯 번의 중국행을 전기적으로 따라가면서 각 시기마다 그의 사상과 문학의 형성에 중국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었는지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Lee Yuk-sa (李陸史, 1904~1944) was a resistance poet, a thinker and an activist for independence who lived during the era of Japanese colonialism in Korea. Based on the view that the literature of Lee Yuk-sa was an important methodological choice to practice the Korean independent movement during the colonial period, it deserves in-depth research of integrated approaches in terms of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t movement and literary debate. That is to say, the task involves investigating in detail from what historic consciousness and realistic awareness Lee`s literary practice in each era had originated, thereby empirically confirming and examining the facts left as questions and doubts among his traces and activities. Of such a critical mind, the most important task is the relation between Lee Yuk-sa and China. Lee`s trips to China can be summarized as five times. That his trips to China were for the independent movement has already been verified through various routes. In addition, it can be estimated that his knowledge in China was exceptional as manifested through his translation works of Chinese literature, comments on current events of Chinese political society and reviews on Chinese literature. Then, to Lee Yuk-sa, what historic meaning did China have? This writing is none other than a process to obtain the answer to such a question. Clearly, the relation between Lee Yuk-sa and China must have been a very closely influential one, whether it was concerned with independent movement or literature. It can be said that the two directions had settled as a crucial critical mind in his life and overall activities, forming mutually organic relations. Thus, in explaining Lee Yuk-sa`s literary world, the issue of how he viewed and understood the circumstances in China and the reality of Chinese literature could serve as a very important task. By tracing Lee Yuk-sa`s five trips to China by period, this writing has its focus on investigating what meaning China was placed on his ideology and formation of literature per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