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의 사회 심리적 특성과 인스타그램 게시 이미지 특성 간의 관계

        편미란,이상엽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

        The main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photos uploaded on Instagram and the user’s social psychological traits. Data were collected from 63 participants. Each participant’s social psychological traits (i.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public self-consciousness, narcissism, self-esteem, and social anxiety) were measured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In addition, the photos that the participants had uploaded on Instagram during the past three months from the start of data collection were also collected. We used Google Vision API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tos, which included the brightness and saturation of photos, ratio of portrait photos, that of portrait photos that contained joyful faces, and ratio of solo photos. A set of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1) individuals with high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ended to upload less saturated photos and more portrait photos, 2) users with high social anxiety were less likely to upload solo photos, 3) people with high public self-consciousness likely uploaded more solo photos and more bright photos, and 4) people with high self-esteem tended to upload more joyful photo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hotos uploaded on social media platforms are likely to reflect user’s social psychological trait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e text.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 게시된 사진의 특성과 개인의 사회 심리적 특성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총 63명의 참가자들로부터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각 참가자의 사회 심리적 특성(사회 비교 성향, 공적 자의식, 나르시시즘, 자아존중감, 사회불안)이 설문을 통해 측정되었다. 이와 함께 참가자들이 과거 3개월 동안 게시한 인스타그램 사진들도 함께 수집되었다. Google Vision API를 사용하여 사진의 명도와 채도, 인물 사진의 비율, 즐거운 감정을 나타낸 인물 사진의 비율, 인물 사진 중 단독 사진의 비율 등 사진의 특성을 분석했다. 회귀 분석 결과, 1) 사회 비교 성향이 높을수록 게시된 사진의 채도가 낮은 편이며, 인물 사진을 더 많이 게시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2)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단독 사진의 비중이 낮았으며, 3) 공적 자의식이 높을수록 단독 사진의 비중이 높고, 명도가 높은 사진을 더 많이 게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즐거운 감정이 담긴 사진을 더 많이 게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게시된 사진의 특성이 사용자의 사회 심리적 특성을 반영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에 대한 함의는 본문에서 논의되었다.

      • KCI등재

        Social Media Dependency and Civic Engagement Among Older Urban Adults in Korea

        편미란,김용찬 한국언론학회 2023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Vol.20 No.3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use among older adults in South Korea and civic engagement both at the national level (national political interest, political efficacy, and na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and at the local level (local interest, collective efficacy, and local participation). This study was guided by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ory and the social media dependency model. We focused on Kakao Talk, one of the most popular social media in South Korea, for this study. We modified the existing concept of social media dependency to address the dependency relationships of older adults with Kakao Talk. Using interviews with respondents aged 65 years or older (N = 280), we found that their social media dependency (measured as Kakao Talk dependency) was associated with local interest, collective efficacy, local participation, national political interest, and political efficacy. However, social media dependency was not associated with na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We then compared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s for interest, efficacy, and participation at the local and national leve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effect sizes between the local and national levels were not significant for interest and efficacy, but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s was significant for participation.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arch engine results and suicide rates: Comparing Naver and Google

        편미란(Pyun, Mi Ran),이상엽(Lee, Sang Yup)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0 사회융합연구 Vol.4 No.2

        자살을 고려하는 사람들은 자살을 시도하기 전 자살계획 단계를 갖는다. 계획 단계에서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게 되는데, 특히 검색엔진을 이용해 자살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검색엔진에는 국내기업의 검색엔진인 네이버와 해외기업의 검색엔진인 구글이 있다. 네이버의 경우 한국 검색엔진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구글은 3위를 기록하고 있다. 두 검색엔진이 가진 “자살”에 대한 검색 결과는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네이버의 경우 국내법이 적용되어 “자살” 검색 시 관련 정보가 거의 노출되지 않는 반면 구글의 경우 관련 정보가 다양하게 노출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살률과 각 검색엔진의 자살 관련 키워드(자살, 자살방법, 죽는방법)의 검색 빈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검색엔진 점유율이 높은 네이버가 더 유의한 관련이 있을지, 자살 정보가 더 다양하게 노출되는 구글이 더 유의한 관련이 있을지 비교해 보았다. 분석결과 네이버의 검색 빈도가 구글의 검색 빈도보다 자살률과 더 긍정적이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known that individuals considering suicide tend to search information about suicide on the Internet, particularly using search engines. In South Korea, two of the most used search engines, those are Naver, a domestic search engine, and Google, a foreign search engine. Naver ranks first in market share among search engines in Korea, While Google ranks third. Search results about “suicide” on the two search engines are substantially different. Due to Korean laws, there is little pro-suicide information on Naver when searching the term “suicide”. Meanwhile, Google tends to retrieve much more pro-suicide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South Korean suicide rates and search frequencies of suicide-related keywords to determine which search engine has a more significant relationship: Naver, which has a higher market share, or Google, which allows for more diverse exposure to suicide information. We found that the search frequency on Naver is more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icide rates than the search frequency on Googl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more detail in the text.

      • KCI등재
      • KCI등재

        브이로그에 등장하는 소비의 유형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러움과 인지된 신뢰성의 매개효과 및 구독자 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소희,편미란,이상엽 한국광고홍보학회 2024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6 No.1

        Vlogs focusing on personal daily life have recently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as a new type of marketing content. This study examined how purchase intentions differ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sumption depicted in vlog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content regarding individuals’ daily lives shared through social media can induce envy towards others. This means that viewers of vlogs may also feel envious of the vloggers. In this study, we looked at how the type of purchase affects the form of envy that viewers feel and how such envy affects purchase intentions. Additionall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redibility, as the success of marketing using the YouTube platform is related to the credibility of the YouTuber. We also studi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number of subscribers. As the number of subscribers reflects the popularity of a vlogger, the degree of envy and perceived credibility felt by viewers may differ based on subscriber count. This study designed and conducted a 2 (purchase type: material type vs. experiential type) X 2 (number of subscribers: high vs. low) factorial experiment, which was carried out online with 338 participant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condi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type of consumption on purchase intention was mediated by benign envy and perceived credibility.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malicious envy was not significant. Finally, the study presents i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개인의 일상을 주제로 하는 브이로그는 최근 마케팅을 위한 새로운 유형의 콘텐츠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브이로그에서 다뤄지는 소비의 유형에 따라 구매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공유되는 개인의 일상에 대한 내용은 다른 사람들에게 부러움을 유발한다. 이는 브이로그를 접하는 시청자들도 브이로거에 대한 부러움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 유형에 따라 시청자가 경험하는 브이로거에 대한 부러움의 형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그러한 부러움이 브이로그에서 소개되는 상품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유튜브 플랫폼을 활용한 마케팅의 성패는 유튜버에 대한 신뢰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인지된 신뢰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채널 구독자 수의 조절효과도 연구하였다. 구독자 수는 브이로거에 대한 인기도를 반영하기 때문에 구독자 수에 따라 시청자들이 느끼는 부러움의 정도나 신뢰성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2 (소비의 유형: 물질소비 vs. 경험소비) X 2 (구독자 수: 많음 vs. 적음) 개체 간 요인 실험을 설계하여 온라인 실험을 진행했고, 실험 참여자(N = 338)는 네 가지 조건 중 하나의 조건에 무작위 배치되었다. 연구결과, 소비의 유형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선의적 부러움 및 인지된 신뢰성에 의해 매개되었다. 한편 악의적 부러움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코로나19 팬데믹과 노인의 도시 디지털화 경험

        신혜진,편미란,피연진,윤소희,방로,김용찬 한국언론학회 2022 한국언론학보 Vol.66 No.4

        코로나19 이후 도시의 디지털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19 예방 및 관리를 목적으로 도시에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의 기술이 접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도시 거주 노인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인식, 태도, 경험을 살펴보고자 했다. 자료 수집을 위해 2021년 11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약 5개월간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은 코로나19 이후 방역을 목적으로 도입된 새로운 디지털 기술과 기존에 존재했던 디지털 기술 모두 코로나19 이전보다 더 많이 이용했다. 둘째, 노인들은 관계유지, 정보추구, 여가활동이라는 세 가지 동기를 갖고 디지털 기술을 이용했다. 셋째, 노인들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데 있어 세 가지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는 신체적 어려움, 인지적 어려움, 그리고 정서적 어려움이었다. 넷째, 노인들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할 때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려 노력했는데, 해결 노력의 모습은 노인들이 평소 디지털 기술에 얼마나 친숙한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디지털 기술 이용에 평소 친숙함을 느끼는 노인들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스스로 어려움을 해결하려는 반면, 디지털 기술 이용에 평소 친숙함을 느끼지 않는 노인들은 자녀 등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했다. 다섯째, 노인들은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도입된 새로운 디지털 기술과 기존에 존재했던 디지털 기술 모두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노인들은 디지털 기술이 가져올 미래에 대해서도 낙관적인 태도를 보였다. 더하여 노인들은 도시의 디지털화가 그들 자신뿐 아니라 다음 세대에 유익이 되는 미래의 모습이라고 생각하며, 이러한 흐름에 자신들도 적응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겼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이 노인이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중요한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디지털 전환 시대의 광고이용자의 권익향상 방안 : 소비자와 광고주의 권익, 직면한 문제, 권익향상 방안을 중심으로

        권예지,이경미,편미란 한국광고홍보학회 2022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advertising user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advertising industry. To this end, literature research, structured or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14 experts were asked to defin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advertising users, the difficulties consumers and advertisers currently face, and how to improv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advertising users.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consumer rights: right not to discriminate, right to accept and demand accurate information, right to see sound advertisements, right to avoid excessive advertising exposure, right to self-determination,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right to claim damages, right to education as advertising consumers. The derived advertisers' rights and interests were as follows: the right to express, the right to know transparent data, the right to request incorrect information correction, and the right to produce participatory advertisement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were summarized in terms of system, environment, and education to organize the difficulties of each consumer and advertiser and to improve rights and interests to solve the difficulties. Based on these resul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광고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광고이용자 권익향상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전문가 대상 구조화 및 반구조화 심층인터뷰를 실시했다. 전문가 14명에게 광고이용자 권익 정의, 소비자와 광고주가 현재 직면한 문제, 광고이용자 권익향상 방안을 물었다. 연구결과, 소비자 권익에는 차별받지 않을 권리, 정확한 정보를 수용‧요구할 권리, 건전한 광고를 볼 권리, 과도한 광고 노출 회피권, 개인정보보호 자기결정권, 개인정보보호권, 손해배상청구권, 광고소비자로서의 교육청구권이, 광고주 권익에는 표현의 권리, 투명한 데이터를 알 권리, 잘못된 정보 수정요청 권리, 참여형 광고 제작권 등이 도출됐다. 인터뷰 결과는 소비자와 광고주 각각의 문제를 정리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권익향상 방안에 대해 제도, 환경, 교육 차원으로 정리했다. 이 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학문적 및 실무적 함의를 논했다.

      • KCI우수등재

        한국의 공공 커뮤니케이션 개선 방안 탐색: 영국의 정부소통청(GCS)과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권예지,조아라,이지영,최지선,편미란,윤성인 한국방송학회 2024 한국방송학보 Vol.38 No.2

        이 연구는 한국 및 영국의 공공 커뮤니케이션 현황을 살펴본 뒤, 한국의 공공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한국 공공 커뮤니케이션의 발전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연구와 한국의 공공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18명을 대상으로 서면 및 대면 인터뷰를 실시했다. 영국의 정부소통청(GCS)은 공공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조직 구축, 프로세스 정교화 등을 통해 사회 다양성을 존중하되, 커뮤니케이션 과정은 일관되게 하려는 노력을 하고있다. 한국의 공공 커뮤니케이션은 지속성보다는 기관의 소속 변경, 폐지, 신설, 업무 축소 및 확대가 정권교체 등에 따라 반복됐다. 공익광고는 주로 메시지 연구 및 효과 중심, 정부광고는 제도의개선 방향, 국가브랜드는 2002년 월드컵이나 2010년 이후 한류 급부상 시기 등 시기별로 연구관심이 집중된 경향을 보였다. 한국의 공공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들은 현재의 공공 커뮤니케이션의현황을 진단하며, 일관된 방향성 필요, 충분한 예산과 우수전문인력 배치 노력, 프로세스 차원에서의 매뉴얼 구축, 컨설팅 역할 수행, 데이터 기반 운영 필요, 공공 커뮤니케이션 성과지표 개발 및 성과분석 필수, 공공 커뮤니케이션 관련 교육 마련, 컨트롤타워 필요성을 제기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Kingdom, aiming to offer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publication communication. We analysed local policies and initiatives in both countries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18 public communication experts in South Korea. Our findings reveal a stark contrast in approaches between the two nations. The UK’s Government Communications Service (GCS) focuses on social diversity and maintaining consistent communication by establishing pertinent organizations and refining processes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s public communication is frequently disrupted by government turnover, leading to frequent changes in institutional affiliation, establishments, and shifts in work scope, thereby hindering consistent public communications. The interviews highlight the need for a unified direction in public communication, adequate funding, and the establishment of expert resources in South Korea. Recommendations to enhance South Korea’s public communications include the creation of a detailed manual, adopting a consulting role, implementing data-driven operation, and developing performance indicators. and providing related training, and establishing a centralized overseeing bo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