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 영재와 일반학생의 음악경험 및 음악흥미도의 차이 비교

        태진미(Jinmi T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0 영재와 영재교육 Vol.9 No.3

        본 연구는 영재와 일반학생의 음악경험 및 음악 흥미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영재를 위한 예술교육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가장 폭넓게 시행되고 있는 국내 영재교육의 분야인 과학, 수학, 수 과학 분야 초등영재 119명과 일반학생 73명을 대상으로 음악경험 및 흥미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재 및 일반학생들의 유.초등기 음악경험은 모두 중간대의 점수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영재학생들의 음악 흥미도는 대체로 중간대의 점수 수준에 분포되어 있었으나,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이 수학, 수 과학 영재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학년 간 차이는 없으나, 음악경험 및 흥미도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offering basic data to arranging a plan for vitalizing art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which is being activated these days, by comparing difference between music experience and interest level in the gifted children and general students. The difference between music experience and interest level of the gifted children in each field was comparatively analyzed targeting 73 general students and 119 elementary gifted children in the fields of science, mathematics, and mathematics & science, which are the gifted education fields at home that are being enforced now most extensively. As a result of researching, first, the music experience in babyhood and childhood of the gifted children and general students was indicated all to be mid level. Second, the music interest level is distributed in the mid level. The science-gifted children and general students were survey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gifted children i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 science. Thir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school years. However, girl students were indicat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boy students in both music experience and interest level.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교육 정책 실현을 위한 학교음악교육의 개선 과제

        태진미 ( Jin Mi Tae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0 예술교육연구 Vol.8 No.2

        문화예술교육의 본질적 가치에 입각한 문화시민 양성을 위한 교육정책은 모든 국민의 보편교육인 현행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정상화하고 활성화하는 측면에서 출발되어야 한다. 한편 현재 학교문화예술교육 관련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이라는 포괄적 접근에서 이루어져 세부 교과의 구체적인 문제점 도출 및 개선을 위한 실천적 접근에 많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본질적 가치와 정체성,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문화예술교육 정책 실현을 위한 현행 학교음악교육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둘째, 문화예술교육 정책 실현을 위한 학교음악교육의 개선 과제가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화예술교육이 단순히 또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정규교육에 기초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정규교육을 강화, 보완할 뿐만 아니라 이를 넘어 문화예술교육의 창조적 실현을 이루기 위한 상호 협력적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educational policy for training cultural citizen based on essential value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needs to be started in the aspect of normalizing and vitalizing the current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which is all people`s universal education. In the meantime, a research relevant to the current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performed in the comprehensive approach called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reby showing many limitations to the practical approach for eliciting and improving specific problem about the detailed curriculum. It is the real situation of being imminent in a specific research on essential value, identity, goal, contents, method, and evaluation of music education as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aim, first, of clarifying what a problem is about the current school music education for realiz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y, and second, of suggesting what an improvement task is for school music education for realiz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y.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in suggesting a plan for vitalizing the mutually cooperative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creatively realiz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beyond this, as well as reinforcing and supplementing regular education, on the other hand, even with being based on regular education, not what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mply added as another curriculum.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재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실행모형 개발

        태진미(Tae, Jin-Mi)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3

        This study has developed an implementation model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of young gifted children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In order to meet the research goal, the objectives of the implementation model of inclusive education were clearly spelt out and the contents and operational methods of the model were drawn through theoretical inquiry, focus group interviews and case studies. The model’s draft was reviewed by a specialized advisory board for its goodness of fit and was finalized after amendments. The finalized institution-wide inclusive education model consisted of the following processes: preparation, understanding giftedness and confirming requests, intervention, and termination. The stage of ‘understanding giftedness and confirming requests’ proposed strategies for selecting gifted children and methods for analyzing these learners’ interests and capabilities for understanding their educational requests. Regarding specific inclusiv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the ‘intervention’ stage provided modified strategies for amended curriculum,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as well as educational goals, contents, methods, environmental outcomes and evaluations to administer child oriented instructions. In the materials stage and operational method of inclusive educational support, the composition of supporting data to strengthen competency when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were proposed. Under circumstances, where there was a lack of information or experience relating to inclusive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this study was found to be meaningful and useful as it proposed a macroscopic system for mutual cooperation and connection among various parties concern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at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이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재 통합교육의 구체적 지원 방향 모색을 위해 기관 전체 통합교육 지원의 실행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통합교육지원 실행모형의 목적을 설정하였고 모형의 내용 및 운영방법은 이론적 고찰과 포커스그룹 인터뷰, 사례조사를 통해 도출하였다. 모형의 시안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적합성을 검토하였고 수정보완을 거쳐 최종 완성하였다. 완성된 기관 전체 통합교육 실행모형은 준비, 영재성의 이해 및 요구확인, 개입, 종결의 절차로 구성되었다. 한편 ‘영재성의 이해 및 요구확인’ 단계에서는 유아영재의 선별 전략과 교육적 요구확인을 위한 학습자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개입단계’에서는 구체적인 통합수업 설계원리로 교육과정 수정, 활동중심 삽입교수, 유아중심 직접교수 시행을 위한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환경, 산출물 및 평가의 수정전략을 제안하였다. 통합교육 지원의 단계별 내용 및 운영방법에서는 각 단계별 세부 활동과 더불어 통합교육 실행에 필요한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 자료의 구성내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영재 통합교육 관련 정보나 경험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규 교육기관에서의 유아영재 통합교육 실행에 관한 다양한 관계자들의 상호협력과 연계를 위한 거시적 체제를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구 활용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태진미(Jin Mi T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2

        본 연구는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첨단제품 활용형 STEAM 교육 콘텐츠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교구를 활용해 소프트웨어(이하 SW)적 정보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학습에 대한 동기 유발 및 창의·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을 배양하는 초등학생용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학습자들의 창의적 설계력 함양을 위해 사용자의 불편함과 요구를 찾아내 가능한 해결책을 상상·발굴하고 이를 적용·보완하는 창의적 문제해결방법인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전략을 기반으로 하였다. 연구를 통해 초등 3~4학년용 6차시 프로그램 2종, 5~6학년용 프로그램 10차시(모듈형)와 6차시 총 28차시의 STEAM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연구개발한 프로그램은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를 확인하였고 S시의 2개 초등학교의 협조를 얻어 704명의 학생들에게 4차시 이상 적용하였다. 수업 적용 후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두 집단 모두 대부분의 하위 영역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냄으로써 개발 프로그램의 만족도 측면에서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As a part of the study to develop STEAM education content utilizing the most advanced product by KOFAC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 STEAM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pupils that motivates them to study and cultivates creative/fusion thought and problem-solving power in the process to combine software (SW) information by utilizing the teaching tool. To cultivate learner's creative designing power, development of the program is based on the strategy of Design Thinking, the creative problem-solving method that imagines/finds and applies/supplements possible solutions by determining a user's inconvenience and demand. Through the study, we devised two programs in 6 hours for the 3rd~4th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as well as a program in 10 hours for the 5th-6th grades (module type) and program in 6 hours, creating a program total of 28 hours. The studied and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704 pupils over 4 hours by getting the cooperation of two elementary schools in S city. After they were applied to the class, satisfaction in the programs developed for teachers and pupils was evaluated. Both groups then showed high average values in most low areas, proving that the developed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aspect of satisfaction.

      • KCI등재

        비공학계열 대학생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태진미 ( Tae Jin-mi ),고일주 ( Koh Il-joo ),박진호 ( Park Jin-ho ),김정연 ( Kim Chung-yun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3

        최근 비공학계열인 인문·사회계열 대학생들에게까지 캡스톤 디자인 수업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므로 창의 공학적 설계에 대한 이해가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는 수요자인 비공학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인식 및 요구를 사전에 조사하여 구체적 수업설계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은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설문에 대해 비공학계열 대학생 179명과 공학계열 대학생 145명 총 324명을 대상으로 성별, 학년별 및 전공계열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에서 대학에서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사회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 및 필요성 인식은 낮은 수준이었다. 특히, 비공학계열에서는 학습자의 진로를 다각도로 모색하고 계발할 수 있고, 사회적 요구 즉, 진출할 진로분야의 현대적 변화와 요구에 부응하는 내용 및 타 분야와의 통합(융합)경험을 강화하는 캡스톤 디자인 수업으로서의 요구가 공학계열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문·사회계열 등의 비공학계열 대학생을 창의 융합인재로 육성하기 위해 비공학계열 기반 캡스톤 디자인 수업의 방향을 설계하고 그 타당성을 확인하여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Recently a capstone design course has been implemented for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 in nonengineering such a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extensively. So it was needed to investigate recognition and needs about the capstone design course beforehand, to make a detailed instructional design for learners who lacked understanding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relatively compared to other students whose major was engineering. Accordingly,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out recognition and needs about a capstone design course for university students, collecting fundamental data of a capstone design course for university students who specialized in nonengineering. 324 university students including 179 in nonengineering and 145 in engineering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and differenc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major. Even if interest and the need of a capstone design course have been increasing in the society,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needs about a capstone design course of university students was low.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nonengineering group and engineering group, in the necessity as a capstone design course where careers would be found and developed from various aspects, the social need, that is to say, contents about modern changes and the demand in the field where university students would work and integration (convergence) experience with other fields. Therefore this study result is meaningful when a university student whose major is nonengineering is fostered as a creativity-convergence person and when it is useful as a basic material in developing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programs after direction and validity of a capstone design course based on nonengineering are identified.

      • KCI등재

        아동보육 현장에서 나타나는 실천적 지식 향상의 필요성과 가능성

        태진미(Tae Jin-Mi) 한국영재교육학회 2012 영재와 영재교육 Vol.11 No.1

        본 연구는 영유아보육시설(어린이집)에서의 일상과 경험 속에서 발생하는 지적우수 아들의 돌봄과 교육, 상담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특성을 고려해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수행되었다. 4개 기관에서 참여한 7명의 교사들과 12회기의 학습공동체 활동 과정에서의 주요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모든 대화는 비디오녹화 후 전사했으며, 전사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어가는 과정에서 행간에 흐르는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핵심주제를 뽑아내는 것을 분석의 주요한 과제로 삼았다. 최종 정리는 Wolcott(1994)의 세 가지 자료변형과정인 기술, 분석, 해석을 통합적으로 적용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적 우수아 사례를 통해 영유아보육현장에서의 실천적 지식의 필요성과 그 신장 가능성을 피력하고 있다. This study is intensively addressing problems of care,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intellectually gifted children, which take place amid daily life and experience at child care center. Accordingly, it was performed with a narrative exploratory method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A main case is being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y for 12 sessions together with 7 participatory teachers from 4 centers. All talks were transcribed following video recording. The main task of analysis was taken, which extracts the comprehensive and overall core theme of flowing in the line-spacing in the process of proceeding with repetitively reading the transcribed contents. The final arrangement was integrated to be applied techniqu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hich are three kinds of data modification course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frankly stating the necessity of practical knowledge and its strengthening possibility in the child care field through a case of intellectually gifted children.

      • KCI등재

        5-7세 유아의 음악성과 노래 창작력 발달의 특성 연구

        태진미(Jinmi Tae)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03 음악교육공학 Vol.- No.3

        Introduction gives prove to actuality of the chosen research problems; purpose, object, subject and tasks are being defined; theoretical grounds are being disclosed; methods and steps of the investigation are being introduced; the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literature on the research problems is given; the content and results of the experiment concerning the following objectives are being represented: 1. learning features of aptitude for music display in children 2. learning features of singing improvisation in children 3. learn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actions in children with different level of musical and creative abilities For the first time within the framework of resolving the problem of musical abilities and singing, the complex integrative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approach has experimentally been used. The structure of the method includes complementary part: psychological diagnostics of creativity and emotionality in children and psychological musical examination.

      • KCI등재

        유아용 다중지능 검사개발 및 타당화

        태진미(JinMi Tae),박소연(SoYeon Park),이혜경(HyeKyoung Lee)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2023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부모가 평정하는 유아용 다중지능 검사를 개발한 후 개발된 검사가 신뢰롭고 타당한지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개발 방향을 모색하였고 유아 다중지능검사의 개발 관련 내용 전문가 13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후 8개 지능을 측정하는 169개 예비문항을 개발하여 129명의 유아 학부모를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하였으며, 문항의 양호도를 살펴본 후 본 검사에 활용할 127개 문항을 최종 선정하였다. 8개 지능의 신뢰도는 .803에서 .919사이로 양호한 신뢰도를 나타냈으며, 수정지수를 사용하여 오차 요인 간 상관을 10개 허용한 수정된 연구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구인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본 검사에 참여했던 유아(n=564) 중 41명의 개별 지능에 대한 담임교사의 주관적 평정치를 산출하여 다중지능 점수와의 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인간친화, 언어, 음악 지능 영역에서 높은 상관을 보였고 논리수학, 신체운동, 자연탐구 영역에서도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준거타당도를 확보하였다.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multiple intelligence test (MIT) for children and verifi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test, we reviewed previous relevant studies and input from a Delphi survey conducted on thirteen experts. First, we developed 169 preliminary items for measuring eight bits of intelligence and applied them to 129 parents of children. From this test run, we re-examined the quality of the 169 items and selected 127.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s was satisfactory in the range of 0.803-0.919. To ensure construct validity, we used a revised research model that utilizes the modification index to allow ten correlations between error factors. Further, we conducted subjective intelligence ratings for 41 children by asking their teachers to rate their MIT score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eachers’ ratings(n=41) and the children(n=564)’s MIT scores. The teachers’ ratings and the children’s MIT scores showed a high correlation in interpersonal, linguistic, and musical intelligences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logical-mathematical, bodily-kinesthetic, and naturalist intelligences, thereby, verifying the superiority of our MIT.

      • KCI등재

        영재를 위한 문화예술 통합 교육의 필요성과 적용 방안

        태진미(Jin-Mi Tae)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6 No.-

        현재 문화, 예술, 과학,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최첨단 신지식의 탄생은 공통적으로 '상상력'과 '감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문화와 예술, 전통과 역사, 자연과 인류, 사회와 과학이 어우러지는 무궁한 소재, 풍부한 감성과 상상력을 기반으로 하는 원천적 인재 육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시대가 도래 하였다. 학문 학제간의 융합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영재들을 위해 학문 간의 통섭과 통합 교육이 구체적으로 어떤 측면에서 필요한 지에 대한 개념의 정립이나 통합 교육의 실현 방안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영재 교육 분야 중에서 과학, 수학, 정보 등의 일반적인 학문 분야의 영재를 위한 문화예술 통합 교육의 필요성을 밝히고 국내ㆍ외의 문화예술 통합 교육 사례 고찰을 통해 현 단계의 국내 실정을 고려한 교육 기관, 가정, 국가 및 연구 정책 기관에서의 구체적인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recent birth of new high-tech technology in diverse fields such as culture, arts, science and technology are being based on 'imagination' and 'sensitivity' in common. The era arrived that needs to make an effort to originally foster the gifted on the basis of eternal materials of being harmonized culture & arts, tradition & history, nature & mankind, and society & science. Despite of getting higher in recognition of necessity for convergence between learning and interdisciplinary, it is the real situation of being very insufficient yet in the establishment of a concept on from which aspect the consilience between studies and the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gifted are specifically necessary and in a research on a plan for realizing the integrated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clarified the necessity for the culture & arts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gifted in the general learning fields such as science, mathematics, and information among diverse gifted educations, and proposed a plan for specific application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home, nation, and research policy institu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omestic real situation in the current phase through considering cases of the culture & arts integrated education at home and abroad.

      • KCI등재후보

        학교교육과정 개혁으로서의 미국 K-12의 예술통합교육 사례 분석

        태진미 ( Jin Mi Tae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1 예술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학교교육과정 ``개혁``으로서의 예술통합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미국 K-12의 사례를 분석 소개함으로써 최근 국내외의 예술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맥락적 이해 및 교육적 의미를 제시하고 한국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CAPE, A+School, AIM 등의 프로그램들은 학교 예술통합교육을 통해 예술교육이 학생의 개인적 차원의 유익을 넘어 교사, 교육과정, 학업성취 향상, 학교분위기 개선, 나아가 취업능력 및 사회생활 전반에 끼친 혁신적 교육효과를 일으켰다. 이러한 사례들은 국내 예술교육에서 ``교육 개혁``으로서의 예술통합교육의 보다 확장된 가치를 고취시키고 시대적, 사회적 변화와 요구에 따른 국제 사회에서의 전망과 방향에 일치하는 예술교육의 실현을 위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analyzed and introduced a case of America`s K-12, which is being progressed the integrated arts education as ``reform`` of school education. Thus, the aim was to suggest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n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at home and abroad in these days and was to elicit implication in school education. Programs such as CAPE, A+School, and AIM caused innovative educational effects, on which the arts education through the integrated school arts education had, such as enhancing teacher and curriculum,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and further influencing the employment ability and the whole social life beyond students` benefits in individual dimension. These cases have great implication for encouraging the more expanded value in the integrated arts education as ``educational reform`` in the domestic arts education and for realizing the arts education of being consistent with prospect and direction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ccording to historical and social change and dem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