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피색이 다양한 풋고추 과실의 성숙단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변화

        최효길,강남준,정재연,이재면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는 각기 고유한 과피색을 갖는 3가지 고추 품종의 성숙 단계에 따른 생리활성 화합물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변색기에 과피색이 보라색, 녹색, 연두색인 3가지 고추 품종이며, 미숙기, 변색기, 최색기, 완숙기로 구분된 성숙 4단계별로 각각의 고추를수확하여 캡사이신, 아스코르브산, 캠페롤, 퀘르세틴 및 당성분 등의 생리활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고추 과실의 캡사이신 함량은 다양한 과피색을 가진 모든 품종에서 성숙 단계가진행됨에 따라 일관되게 증가하였다.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은보라색 및 연두색 품종의 발달 초기에 가장 풍부하였고, 성숙이 진행될수록 감소하였다. 캠페롤 함량은 보라색 품종의 경우 변색기에 비하여 완숙기에 약 30% 감소한 반면에, 녹색 품종에서는 미숙기에서 완숙기까지 점차 증가하였다. 하지만, 연두색 품종의 캠페롤 함량은 성숙이 진행되면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퀘르세틴 함량의 경우 보라색과 녹색 품종에서는 성숙할수록 감소하였지만 연두색 품종은 증가하였다. 풋고추과실의 주요 유리당인 포도당, 과당, 자당의 축적 양상은 보라색과 녹색 품종에서는 성숙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보였다. 반면에 연두색 품종에서는 미숙기에서 이미 유리당함량이 높은 상태였다. 그러나 성숙하는 동안 약간 감소하였다가 성숙기에 다시 증가하였다. 이처럼 고추는 과피색에 따라 성숙 단계별로 축적되어지는 생리활성 화합물의 함량 차이가 크다. 따라서 생리활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목적으로 하는 생리활성 물질 함량이 최고조에 달하는성숙 단계에서 수확하여 이용해야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bioactive compounds across the ripening stages of three pepper cultivars, each characterized by unique skin colors.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pepper cultivars distinguished by their skin colors as green, purple, and yellow green at breaker ripening stage. Samples were harvested at each of the four ripening stages, including premature, breaker, turning, and mature, and subjected to analysis for various bioactive compounds, including capsaicin, ascorbic acid, kaempferol, quercetin, and sugars. In all cultivars with varying skin colors, the capsaicin content within green pepper fruits consistently increased as the ripening stages advanced. Ascorbic acid was most abundant during the premature stage of development in purple and green cultivars, subsequently declining as maturation progressed. In the case of the purple cultivar, kaempferol content decreased by approximately 30% at the mature stage, while the green cultivar exhibited a gradual increase in kaempferol content with maturation. Conversely, the kaempferol content of the yellow green cultivar rapidly declined as maturation progressed. Regarding quercetin content, the purple and green cultivars tended to decrease with maturity, while the yellow green cultivar displayed an increasing trend. Furthermore, the accumulation patterns of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the predominant free sugars in green pepper fruit, demonstrated an inclination to increase as the maturation stage advanced in both purple and green cultivars. In contrast, the yellow green cultivar initially showed an elevation in free sugar content during the immature stage, followed by a minor reduction during maturation and a subsequent rise during the mature stage. Each pepper cultivar, distinguished by its unique skin color, exhibits varying levels of bioactive substances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Therefore, optimal harvesting and utilization should align with periods when the desired substance content is at its peak.

      • KCI등재

        LED 보광이 딸기 두 품종의 성숙도에 따른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최효길,정호정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9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Ds on the fruit qualities of two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cultivars such as hardness,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strawberry fruits, which were harvested by 50% and 100% ripening levels of fruits grown under LEDs illuminated during 6 hours after sunset from November 2018 to January of the following year. In the hardness of strawberry fruit, when two strawberry cultivars were illuminated red LED light, in 50% ripening as well as 100% ripening fruit of both ‘Daewang’ and ‘Seolhyang’ cultivars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Also, in the sugar content on 50% ripening fruit of two cultivars, the fruit of red LED l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LEDs and control. On the other hand, in the acidity of 50% and 100% ripening levels of strawberry fruit, the fruit under control condition was higher in than that of LEDs. The phenolic compounds of strawberry fruit grown in control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strawberry treated with LEDs. However, the influence of LEDs on flavonoid and anthocyanin content of strawberry fruit did not affected. Changes in the phytochemicals contents of the strawberry tends to be affected depending on the maturity of fruit. Antioxidant activity such as DPPH and ABTS of were not different by maturity of fruit, and supplementation of LEDs during 6 hours at night. Therefore, we concluded that lighting of LEDs is effective for fruit quality in terms of sugar accumulation and fruit hardness. 본 연구는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두 품종인 대왕과 설향을 LED 조명으로 일몰 후부터 6시간 동안 2018년 11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야간 보광 처리한후, 각각 50%와 100% 착색되었을 때, 과실을 수확하여딸기 과실의 경도, 식물화합물 및 항산화 활력을 측정하여 LED 광과 성숙도에 따른 과실 품질변화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딸기 과일의 경도에서는, 두 품종 모두적색 LED를 보광했을 때, 50%뿐만 아니라 100% 익은과실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당도 또한 50% 착색된 과실을 비교한 경우, 적색 LED 광이 품종 모두에서 다른 광처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딸기의 산도에서는 LED 광 처리구보다는 대조구에서 50%뿐만아니라 100% 착색된 과실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페놀화합물의 경우, LED 광을 처리한 딸기보다는 대조구 상태에서 생육한 딸기 과실의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하지만플라보노이드와 안토시아닌 함량에서는 LED 광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식물화합물의 경우는 LED 광보다는 익어가면서 성숙도에 따라 그 함량의 변화가 달라지는 경향이 크다. 또한, DPPH 및 ABTS 항산화능의 경우는성숙도 및 LED 보광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본연구 결과로 미루어 보아, 과실의 당도와 유통 측면에서는, LED 보광이 충분히 과실 품질에 도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2단 고설베드재배 수박의 베드 위치와 재식밀도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최효길,문병용,권준국,박경섭,강동현,정호정,조명환,강남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8 No.2

        본 연구는 딸기의 2단 고설베드재배가 끝난 여름철 동안 수박재배 시, 베드 위치와 재식밀도가 수박의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고설 베드상자는 길이 102cm, 폭 22cm, 높이 13cm의 규격이고, 배지는 코코피트(coir)를 사용하였다. 수박은 베드 위치 및 재식밀도에 따라 베드상단 1주(A), 베드 상하단 각 1주로 상단(B) 및 하단(C), 상하단 각2주로 상단 2주(D), 하단 2주(E)로 정식 처리하였다. 수박은 2012년 5월 8일에 2단 고설베드에 정식하여 양액과 점적관수로 재배하였고 7월 25일에 수확되었다. 수박의 품질을 비교하고자, 과실 무게와 크기를 조사하였고, 과육 내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페놀화합물, 당도 및 산도 등의 기능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과실의 외관 품질인 과고, 과폭 및 과중은 A처리가 다른 처리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특히 과중은 A, B, C, D, E처리 순으로 무거웠다. 식물체의 초장이나 엽수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줄기 직경과 엽면적은 A처리가 유의하게 컸다. 수박 과육 내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및 산도는 처리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한편 당도는 A, B 및 D 처리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페놀화합물 함량은 A처리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과의 수박 생산을 위해서는 A처리, 소과의 수박 생산에는 D와 E의 처리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d position and planting densities of watermelon grown on two-story bed on fruit quality in summer season (strawberry resting period). The width, length and height of a bed were 22, 102, and 13 cm and the medium in bed were used coir. Watermelon was t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bed position and planting density, one crop planting per one bed (A), upper bed (B) and lower bed (C) as one crop planting per one bed, upper bed (D) and lower bed (E) as two crop planting per one bed, respectively. Watermelons (Citrullus vulgaris Schard) were planted on two-story bed on May 8 and grown by drip irrigation and nutrient solution, and harvested on July 25. To compare quality of watermelon, fruit weight and size were measured, and analyzed phytochemicals as ascorbic acid, flavonoids, phenolic compounds, sugar content and acidity. External fruit quality as fruit height, fruit thickness and fruit weight was the highest in treatment A. In particular fruit weight was heavier in order of treatment A, B, C, D, and 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nt height and leaf number according to treatments, however stem diameter and leaf area were greater significantly in treatment A. I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reatments to flavonoid, antioxidant activity and acidity in flesh fruit. While sugar contents in fruit were higher significantly in treatment A, B, and D. Phenolic compounds in fruit was the highest in treatment A. The results were suggested that treatment A is suitable for producing big size watermelon, and Treatment D and E are an advantage for producing small size watermelon.

      • KCI등재

        살리실 산 처리가 딸기 생육과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최효길,황미란,최근수,강남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2 No.5

        저온기 시설딸기의 생산성 증대와 품질 향상을 위한 재배적 응용기술을 개발하고자 살리실 산 처리가 시설딸기 ‘매향’과 ‘설향’ 품종의 생육과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딸기 잎의 생장특성(엽장, 엽폭, 엽수 및 SPAD 값)을 조사한 결과 살리실 산 처리는 방법이나 농도에 상관없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딸기 과실의 무게와 당도는 처리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경도에서 살리실 산 처리를 했을 때 대조구와 비교하여 월등한 차이가 나타났다. ‘매향’ 품종의 과실경도는 대조구 대비 엽면처리 시 처리농도에 따라 각각 36.8과 21.1% 증가하였고 관주처리가 처리농도에 따라 각각 31.6과 31.7% 증가하였다. ‘설향’ 품종의 과실경도는 대조구 대비 엽면처리가 처리농도에 따라 각각 47.1과 15.8% 증가하였으며 관주처리가 각각 15.8%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살리실 산 엽면 및 관주처리 시 ‘매향’과 ‘설향’ 품종 잎의 SOD와 POD 효소의 활성은 두 품종 모두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엽 조직내 과산화수소와 환원산소종의 생성량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매향’의 SOD 활성은 대조구 대비 처리농도에 따라 엽면처리가 각각 30.0과 38.80% 증가하였고, 관주처리가 각각 10.0과 14.4% 증가하였다. ‘설향’의 SOD 활성은 대조구 대비 처리농도에 따라 엽면처리가 각각 23.6과 40.4% 증가하였고, 관주처리가 각각 12.4와 14.1% 증가하였다. POD 활성은 대조구 대비 살리실 산 처리에 의해 두 품종 모두 엽면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관주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매향’의 POD 활성은 대조구 대비 처리농도에 따라 엽면처리가 각각 77.8과 98.7% 증가한 반면 관주처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는 없었다. ‘설향’의 경우 대조구 대비 처리농도에 따라 엽면처리가 각각 76.6과 88.6%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살리실 산 처리는 딸기의 품질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용화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exogenously applied salicylic acid on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in ‘Maehyang’ and ‘Sulhyang’ strawberry plants was investigated. Growing patterns of ‘Maehyang’ and ‘Sulhyang’ strawberry plants based on leaf length, leaf width, leaf area and SPAD values were generally unaffected by foliar or rootzone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The fruit weight and soluble solids in ‘Maehyang’ and ‘Sulhyang’ strawberry plants have not been influenced by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However, firmness of frui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foliar and rootzone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The activities of SOD and POD in the leaves of ‘Maehyang’ and ‘Sulhyang’ strawberry plants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by foliar and rootzone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Plants were foliar- and rootzone-applied with exogenous salicylic acid(0.5 and 1.0 mM). The levels of H2O2 and superoxide anions in the leaves of ‘Maehyang’ and ‘Sulhyang’ strawberry plants were reduced by foliar or rootzone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 KCI등재후보

        Combined Heart and Liver Transplantation: The Asan Medical Center Experience

        최효,윤태진,정성호,이재원,송기원,이성규,김경모,김재중 대한이식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Transplantation Vol.31 No.2

        Combined heart-liver transplantation (CHLT) is an increasingly accepted treatment for select patients with advanced heart and liver disease. However, CHLT are infrequently performed, despite growing optimism about their effectiveness. Here, we report Asan Medical Center experience with CHLT in three patients presenting with advanced heart and liver failure. One patient died of brain swelling because of intractable hyperammonemia on postoperative day 9. The two other patients were still alive at 53 and 9 months postsurgery. None of these patients required readmission for cardiac or hepatic graft dysfunction and no rejection episodes were detected on routine cardiac biopsie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HLT cases from Korea.

      • 沿岸境界層에서의 表層風의 日變化

        최효,Choi, Hyo 한국해양학회 1984 韓國海洋學會誌 Vol.19 No.2

        Diurnal variations of coastal surface wind speed are analyzed with five years of hourly wind from Port Aransas, Texas. These data reveal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nighttime wind maximum near midnight, especially during those seasons when onshore flow prevails. Nighttime wind maxima with a southerly component occurred approximately three times more frequently than with a northerly component on the annual average. The neutral atmospheric stability prevails near the coast. Thus it allows downward transfer of momentum from the nocturnal low level jet under the onshore wind situation and strong wind shear between an elevated frontal and ground-based inversion for offshore wind, resulting in the nocturnal coastal surface wind maximum.

      • KCI등재

        LED 전조재배가 딸기의 과실품질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최효길,정호정,문병용,Khoshimkhujaev Bekhzod,권준국,박경섭,이선이,조명환,강남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1

        LED 보광 재배에 따른 딸기‘대왕’과‘설향’품종의 과실품질과 생산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11 월 10일부터 3월 20일까지의 생육기간 동안 각각의 LED 광인 청색, 적색 그리고 혼합(청색:적색 = 3:7) 광을 17시부터 23시까지 75±5 μmol·m-2·s-1의 광량으로 조절하여 전조하였다. 겨울철 딸기 전조 재배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백열등을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딸기 두 품종에 있어, 생산 량은 청색 LED 광에서 증가하였고, 과실 경도와 당 함량은 3종류의 LED 광 모두에서 향상되었 다. 반면에 산도는 적색 LED 광에서 가장 높았다. 과실의 안토시아닌 함량에 있어서‘대왕’은 청색과 혼합 LED 광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설향’은 혼합 LED에서 증가하였다. 적색 LED는 유기산에 있어‘대왕’과‘설향’과실에 각각 말산과 옥살산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대 왕’ 과실의 페놀화합물 함량은 적색 LED와 대조구인 백열등이 다른 LED 광 처리보다 유의적으 로 높았으나, ‘설향’ 과실은 대조구인 백열등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효과적인 생산량과 과실 품질을 고려해 볼 때, 겨울철 딸기 재배에 있어 보조광원으로 청색 LED 광이 유리할 것이다. The effects of supplemental LED lightings on fruit quality and yield of two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cultivars ‘Daewang’ and 'Seolhyang' were determined when blue (441 nm), red (659 nm) and mixed (blue:red = 3:7) LED lights were each supplied daily from 17:00 to 23:00 h, throughout growth period (from Nov. 10 to Mar. 20), with light intensity being adjusted to 75 μmol·m-2·s-1. Incandescent bulbs, which are usually supplemented for winter strawberry cultivation, was used as a control. In both cultivars, blue LED increased yield, and all three types of LEDs enhanced fruit hardness and SSC, while acidity was highest in red LED. Anthocyanin contents in frui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both blue and mixed LED lightings in 'Daewang', while in 'Seolhyang' only by the blue LED, compared to the incandescent bulb control. Blue and mixed LED lights enhanced glucose contents in‘Daewang’ fruit, while did the mixed LED light in 'Seolhyang’ fruit. As for fruit organic acids, red LED significantly increased malic and oxalic acid contents in 'Daewang' and 'Seolhyang', respectively. In 'Daewang', fruit phenolic compounds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ed LED or incandescent bulb control than other LED treatments, while in‘Seolhyang’seemed to be highest in the incandescent bulb control. Considering its positive effect on yield and fruit quality, blue LED could be a potential supplemental lighting source for strawberry cultivation winter seas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