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과피색이 다양한 풋고추 과실의 성숙단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변화
최효길,강남준,정재연,이재면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는 각기 고유한 과피색을 갖는 3가지 고추 품종의 성숙 단계에 따른 생리활성 화합물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변색기에 과피색이 보라색, 녹색, 연두색인 3가지 고추 품종이며, 미숙기, 변색기, 최색기, 완숙기로 구분된 성숙 4단계별로 각각의 고추를수확하여 캡사이신, 아스코르브산, 캠페롤, 퀘르세틴 및 당성분 등의 생리활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고추 과실의 캡사이신 함량은 다양한 과피색을 가진 모든 품종에서 성숙 단계가진행됨에 따라 일관되게 증가하였다.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은보라색 및 연두색 품종의 발달 초기에 가장 풍부하였고, 성숙이 진행될수록 감소하였다. 캠페롤 함량은 보라색 품종의 경우 변색기에 비하여 완숙기에 약 30% 감소한 반면에, 녹색 품종에서는 미숙기에서 완숙기까지 점차 증가하였다. 하지만, 연두색 품종의 캠페롤 함량은 성숙이 진행되면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퀘르세틴 함량의 경우 보라색과 녹색 품종에서는 성숙할수록 감소하였지만 연두색 품종은 증가하였다. 풋고추과실의 주요 유리당인 포도당, 과당, 자당의 축적 양상은 보라색과 녹색 품종에서는 성숙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보였다. 반면에 연두색 품종에서는 미숙기에서 이미 유리당함량이 높은 상태였다. 그러나 성숙하는 동안 약간 감소하였다가 성숙기에 다시 증가하였다. 이처럼 고추는 과피색에 따라 성숙 단계별로 축적되어지는 생리활성 화합물의 함량 차이가 크다. 따라서 생리활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목적으로 하는 생리활성 물질 함량이 최고조에 달하는성숙 단계에서 수확하여 이용해야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bioactive compounds across the ripening stages of three pepper cultivars, each characterized by unique skin colors.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pepper cultivars distinguished by their skin colors as green, purple, and yellow green at breaker ripening stage. Samples were harvested at each of the four ripening stages, including premature, breaker, turning, and mature, and subjected to analysis for various bioactive compounds, including capsaicin, ascorbic acid, kaempferol, quercetin, and sugars. In all cultivars with varying skin colors, the capsaicin content within green pepper fruits consistently increased as the ripening stages advanced. Ascorbic acid was most abundant during the premature stage of development in purple and green cultivars, subsequently declining as maturation progressed. In the case of the purple cultivar, kaempferol content decreased by approximately 30% at the mature stage, while the green cultivar exhibited a gradual increase in kaempferol content with maturation. Conversely, the kaempferol content of the yellow green cultivar rapidly declined as maturation progressed. Regarding quercetin content, the purple and green cultivars tended to decrease with maturity, while the yellow green cultivar displayed an increasing trend. Furthermore, the accumulation patterns of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the predominant free sugars in green pepper fruit, demonstrated an inclination to increase as the maturation stage advanced in both purple and green cultivars. In contrast, the yellow green cultivar initially showed an elevation in free sugar content during the immature stage, followed by a minor reduction during maturation and a subsequent rise during the mature stage. Each pepper cultivar, distinguished by its unique skin color, exhibits varying levels of bioactive substances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Therefore, optimal harvesting and utilization should align with periods when the desired substance content is at its peak.
2단 고설베드재배 수박의 베드 위치와 재식밀도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최효길,문병용,권준국,박경섭,강동현,정호정,조명환,강남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8 No.2
본 연구는 딸기의 2단 고설베드재배가 끝난 여름철 동안 수박재배 시, 베드 위치와 재식밀도가 수박의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고설 베드상자는 길이 102cm, 폭 22cm, 높이 13cm의 규격이고, 배지는 코코피트(coir)를 사용하였다. 수박은 베드 위치 및 재식밀도에 따라 베드상단 1주(A), 베드 상하단 각 1주로 상단(B) 및 하단(C), 상하단 각2주로 상단 2주(D), 하단 2주(E)로 정식 처리하였다. 수박은 2012년 5월 8일에 2단 고설베드에 정식하여 양액과 점적관수로 재배하였고 7월 25일에 수확되었다. 수박의 품질을 비교하고자, 과실 무게와 크기를 조사하였고, 과육 내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페놀화합물, 당도 및 산도 등의 기능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과실의 외관 품질인 과고, 과폭 및 과중은 A처리가 다른 처리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특히 과중은 A, B, C, D, E처리 순으로 무거웠다. 식물체의 초장이나 엽수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줄기 직경과 엽면적은 A처리가 유의하게 컸다. 수박 과육 내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및 산도는 처리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한편 당도는 A, B 및 D 처리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페놀화합물 함량은 A처리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과의 수박 생산을 위해서는 A처리, 소과의 수박 생산에는 D와 E의 처리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d position and planting densities of watermelon grown on two-story bed on fruit quality in summer season (strawberry resting period). The width, length and height of a bed were 22, 102, and 13 cm and the medium in bed were used coir. Watermelon was t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bed position and planting density, one crop planting per one bed (A), upper bed (B) and lower bed (C) as one crop planting per one bed, upper bed (D) and lower bed (E) as two crop planting per one bed, respectively. Watermelons (Citrullus vulgaris Schard) were planted on two-story bed on May 8 and grown by drip irrigation and nutrient solution, and harvested on July 25. To compare quality of watermelon, fruit weight and size were measured, and analyzed phytochemicals as ascorbic acid, flavonoids, phenolic compounds, sugar content and acidity. External fruit quality as fruit height, fruit thickness and fruit weight was the highest in treatment A. In particular fruit weight was heavier in order of treatment A, B, C, D, and 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nt height and leaf number according to treatments, however stem diameter and leaf area were greater significantly in treatment A. I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reatments to flavonoid, antioxidant activity and acidity in flesh fruit. While sugar contents in fruit were higher significantly in treatment A, B, and D. Phenolic compounds in fruit was the highest in treatment A. The results were suggested that treatment A is suitable for producing big size watermelon, and Treatment D and E are an advantage for producing small size watermelon.
LED 보광이 딸기 두 품종의 성숙도에 따른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최효길,정호정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9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Ds on the fruit qualities of two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cultivars such as hardness,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strawberry fruits, which were harvested by 50% and 100% ripening levels of fruits grown under LEDs illuminated during 6 hours after sunset from November 2018 to January of the following year. In the hardness of strawberry fruit, when two strawberry cultivars were illuminated red LED light, in 50% ripening as well as 100% ripening fruit of both ‘Daewang’ and ‘Seolhyang’ cultivars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Also, in the sugar content on 50% ripening fruit of two cultivars, the fruit of red LED l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LEDs and control. On the other hand, in the acidity of 50% and 100% ripening levels of strawberry fruit, the fruit under control condition was higher in than that of LEDs. The phenolic compounds of strawberry fruit grown in control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strawberry treated with LEDs. However, the influence of LEDs on flavonoid and anthocyanin content of strawberry fruit did not affected. Changes in the phytochemicals contents of the strawberry tends to be affected depending on the maturity of fruit. Antioxidant activity such as DPPH and ABTS of were not different by maturity of fruit, and supplementation of LEDs during 6 hours at night. Therefore, we concluded that lighting of LEDs is effective for fruit quality in terms of sugar accumulation and fruit hardness. 본 연구는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두 품종인 대왕과 설향을 LED 조명으로 일몰 후부터 6시간 동안 2018년 11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야간 보광 처리한후, 각각 50%와 100% 착색되었을 때, 과실을 수확하여딸기 과실의 경도, 식물화합물 및 항산화 활력을 측정하여 LED 광과 성숙도에 따른 과실 품질변화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딸기 과일의 경도에서는, 두 품종 모두적색 LED를 보광했을 때, 50%뿐만 아니라 100% 익은과실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당도 또한 50% 착색된 과실을 비교한 경우, 적색 LED 광이 품종 모두에서 다른 광처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딸기의 산도에서는 LED 광 처리구보다는 대조구에서 50%뿐만아니라 100% 착색된 과실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페놀화합물의 경우, LED 광을 처리한 딸기보다는 대조구 상태에서 생육한 딸기 과실의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하지만플라보노이드와 안토시아닌 함량에서는 LED 광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식물화합물의 경우는 LED 광보다는 익어가면서 성숙도에 따라 그 함량의 변화가 달라지는 경향이 크다. 또한, DPPH 및 ABTS 항산화능의 경우는성숙도 및 LED 보광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본연구 결과로 미루어 보아, 과실의 당도와 유통 측면에서는, LED 보광이 충분히 과실 품질에 도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고성과 동료와의 비교맥락에서 목표지향성이 관찰학습에 미치는 효과: 자기설정 목표수준의 차별적 매개효과
최효임,유태용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4 No.4
고성과 동료의 행동을 관찰하고 이를 개인의 수행에 적용시키는 사람은 누구일까?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에게 위협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고성과 동료와의 상호작용에서 고성과 동료의 행동을 관찰하여 학습하는 성향의 사람이 누군지 확인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목표지향성과 증명목표지향성의 수준이 고성과 동료의 행동에 대한 관찰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동기화된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목표지향성의 유형에 따라 목표 설정 시 서로 다른 참조점(자기 수행 수준 vs. 타인 수행 수준)을 기준으로 목표수준을 높게 설정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미국에 거주하는 현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21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습목표지향성과 관찰학습은 정적인 관련이 있었고, 증명목표지향성도 관찰학습과 정적인 관련이 있었다. 자기참조 목표수준은 학습목표지향성과 관찰학습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타인참조 목표수준은 증명목표지향성과 관찰학습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