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애착, 개인주의-집단주의 및 완벽주의와 결혼 의도 간의 관계

        최혜빈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애착, 개인주의-집단주의 및 완벽주의와 결혼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비혼 유형에 따른 심리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만 25세∼45세 사이의 미혼 남녀 369명(남: 138명, 여: 231명)이었다. 성인애착 척도,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 척도 및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의도에 따른 주요 연구변인들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사후검증을 한 결과, 비자발적 비혼자와 자발적 비혼자가 결혼 희망자보다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은 유의하게 더 높은 반면에 집단주의 성향은 유의하게 더 낮았다. 또한, 결혼 희망자보다 비자발적 비혼자와 자발적 비혼자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 연구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회피애착은 개인주의 성향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집단주의 성향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불안애착은 개인주의 성향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피애착은 자기지향 완벽주의 및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불안애착은 다차원적 완벽주의 및 그 하위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개인주의 성향은 다차원적 완벽주의 및 그 하위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결혼희망 집단을 참조로 비자발적 비혼 집단을 준거변수로 설정하였을 때, 성인애착은 부적으로, 집단주의 성향은 정적으로 결혼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발적 비혼 집단을 준거변수로 설정하였을 때는 집단주의 성향만 결혼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보였다. 비자발적 비혼 집단을 참조로 자발적 비혼 집단을 준거변수로 설정하였을 때는 집단주의 성향만이 결혼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애착, 개인주의-집단주의 및 완벽주의와 결혼의도 간의 관계를 입증함으로써 비혼자들의 심리적인 특징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 비혼자를 위한 상담 전략 수립에 이바지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COVID-19 상황의 중등학교 온라인 수업에서 역사교사가 겪는 어려움에 대한 연구

        최혜빈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등학교 역사교사들을 대상으로 COVID-19로 실시된 온라인 역사수업을 어떤 수업 형태로 실시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을 어떻게 적응하였는지, 그리고 시간이 흐른 뒤에도 무엇을 어려워하고 문제점이라고 느꼈는지를 실제적이고 입체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질적 연구 방식으로 5명의 역사교사를 선정하여 관련 내용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질문지 응답 및 심층면담의 내용을 분석하고 정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교사가 역사교육적인 면에서 느낀 어려움은 온라인 토론수업 등과 같은 학생 중심 수업 실시의 어려움, 그리고 학생과의 상호작용 문제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역사교육의 목표 중 하나는 다양한 해석과 시각을 인식하고 문제 해결 방안을 공동으로 찾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역사수업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역사교사들은 교실 수업과 비교하여 온라인 수업에서 학생의 생각을 자유롭게 나누거나 토의․토론 활동이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역사교사들은 학생과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느꼈다. 역사교사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학생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온라인에서 학생들의 호기심과 학습 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수업 구성 및 피드백 제공에 대해 어려움을 느꼈다. 둘째, 역사교사가 기술적인 면에서 느낀 어려움은 온라인 기반 역사 학습 자료 활용의 제약, 온라인 플랫폼 및 스마트 기기 사용의 어려움이다. 역사교사들은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역사 학습 자료가 부족하다고 느꼈다. 효과적인 역사 학습과 학생들의 흥미 유발을 위해 교과서 외에 다양한 학습 자료의 활용이 필요한데, 온라인 역사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자료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역사교사들은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역사과의 특성을 살린 학습 자료의 개발을 희망하였다. 또한 역사교사들은 기술적인 문제의 발생으로 온라인 플랫폼 사용에 어려움을 겪거나 온라인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의 부족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예기치 못한 온라인 플랫폼의 오류와 마비 때문에 수업 진행에 난항을 겪기도 하였고, 온라인 수업을 위한 스마트 기기들이 교사들에게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아 최근까지도 수업 진행에 어려움을 겪었다. 셋째, 역사교사가 제도적인 면에서 느낀 어려움은 온라인 수업 유형 선택의 한계, 저작권 문제 및 수업 공개에 대한 두려움이다. 역사교사들은 교육부가 제시한 온라인 수업 유형을 수업 내용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없었다. 설명식 수업, 토론식 수업, 글쓰기 수업, 역사 신문 만들기 수업 등 다양한 역사수업의 방법을 온라인 수업에서 실현시키는 데에 효과적이거나 적절한 운영 형태가 있음에도 이를 교사가 자유롭게 선택하기에는 여러 제약이 따랐다. 또한 역사교사들은 역사수업에서 필수적인 사진, 지도, 영상 등의 콘텐츠를 온라인 수업 학습 자료로 활용함에 있어서 저작권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저작권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수업 사례마다 저작권 적용이 달라 역사교사들은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 자료 활용에 한계를 느낄 수밖에 없었고 심리적으로 위축되었다. 이와 더불어 역사교사들은 수업권․초상권․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역사교사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역사관과 역사 인식을 담아 가르칠 가능성이 높은데 민감한 역사 문제에 대해서 학생이 수업 영상을 외부로 공유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이 언급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온라인 수업의 실태와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분석, 교사가 느낀 온라인 수업의 어려움 등에 대한 선행연구와 큰 틀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갖는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역사과 차원에서의 최근 온라인 수업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며, 특히 온라인 수업을 학교 현장에서 경험한 역사교사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통해 COVID-19 상황 이후 실시된 온라인 역사수업과 역사교사들의 사실적 경험 및 어려움을 분석하고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부상선수의 외상 후 성장 경험 탐색

        최혜빈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상에 대한 트라우마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극복하고 외상 후 성장을 이룬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그 경험과 과정을 탐색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참여적 실행연구인 포토보이스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판단표본추출법과 눈덩이 표본추출법을 통하여 연구목적에 부합하며 연구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최종 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4명의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참여적 실행 연구인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에 따라 총 6회의 인터뷰를 실시하고 인터뷰 내용 전사 및 코딩, 사진, 현장 노트 등의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사진고르기, 맥락화, 주제화의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 번째, 연구참여자들의 부상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경험은 ‘부상 직후:일상의 상실’, ‘트라우마 그 속에서:심연으로의 착굴’로 내면화되어 있는 것을 공통적으로 발견하였다. 두번째, 외상 후 성장 경험의 과정은 ‘성장의 전환점:찾아낸 원석’, ‘성장하고 거듭나기: 피워 낸 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부상선수들의 외상 후 성장은 진로의 재설정과 직접적 관련이 있었으며, 추후 부상선수들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정책적 지원과 관련 프로그램 개발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e the experience and process for athletes who overcame trauma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aused by injury and achieved post-traumatic growth. The research method utilize Photovoice,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method, and the final four people who voluntarily decid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rough the method of extracting judgment sampling and the method of extracting snowball sampling. A total of six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selected four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photovoice research method, which is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nd research materials such as transcription of interview contents and coding, photographs, and field notes were collected. The data

      •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개인 및 조직특성과 학습민첩성 관계 분석

        최혜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개인 및 조직특성과 학습민첩성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학습민첩성과 개인, 조직 특성의 수준을 구명하였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습민첩성 차이를 구명하였다. 셋째, 통제 변인을 통제한 후,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개인 특성(학습목표지향성, 실패내성)이 학습민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넷째, 통제 변인과 개인 특성을 통제한 후, 사무직 근로자의 조직 특성(직무도전성, 변혁적 리더십, 팀 학습행동, 긍정적 실책관리문화)이 학습민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공정거래위원회(2019)에서 공시하는 공시대상기업집단에 소속된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의 표집으로 이루어졌고 기업당 20명을 목표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360부로, 회수율은 90.0%였다. 불성실 응답 56부를 제외한 304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학습민첩성 수준은 성별, 연령, 학력, 직급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총 경력기간과 업종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학습민첩성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령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학습민첩성 전체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하위요인에서 40대가 20대보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의 경우 대학원을 졸업한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가 대학 졸업 이하인 경우보다 학습민첩성 수준이 높았다. 그리고 차장과 부장의 직급이 사원 직급보다 학습민첩성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개인 특성과 학습민첩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습목표지향성과 실패내성 모두 학습민첩성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조직 특성과 학습민첩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도전성과 팀 학습행동은 학습민첩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긍정적 실책관리문화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민첩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인 개인 및 조직 특성이 학습민첩성의 하위요인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세부적으로 본 결과, 학습목표지향성과 실패내성, 직무도전성과 팀 학습행동 모두 학습민첩성의 모든 하위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는 도전적인 상황 및 업무로부터 필요한 학습 내용을 빠르게 인지하여 탐색한 뒤 적용하는 학습민첩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학습민첩성 수준(평균 3.71점)은 낮은 편이 아니었다. 이는 급변하는 기업 상황 속에서 경험을 통해 민첩하게 학습하는 능력이 현대 사회의 근로자에게 핵심역량으로 요구되고 있고 다양한 업무와 상황을 경험함에 따라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학습에 대한 개인의 심리적 특성 및 태도는 학습민첩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학습민첩성과 개인, 조직 특성 가운데 가장 영향력이 큰 변인은 학습목표지향성과 실패내성이었다. 결과적으로 학습목표지향성은 학습민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깊이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기업근로자의 실패 내성과 학습민첩성의 영향 관계를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학습민첩성은 개인의 인식 및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개념이지만 조직 내 지원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학습민첩성이 전적으로 개인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전적인 직무와 팀 내 학습과 같은 조직 특성을 통해서도 촉진될 수 있다. 직무, 환경적 요인이 개인의 민첩한 학습 능력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직무와 기업 단위 조직의 구조 및 문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넷째, 학습민첩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학습목표지향성과 실패내성, 직무도전성 그리고 팀 학습행동은 학습민첩성의 모든 하위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각 변인이 학습민첩성의 하위 요인에 따라 설명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고 개인 특성이 조직 특성보다 학습민첩성을 설명하는 정도가 비교적 높은 결과를 통해 학습민첩성을 세부적으로 강화 및 개발하기 위해 부족한 학습민첩성 하위 요인에 따라 강화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기업 제도 및 정책 관점에서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학습민첩성을 높이기 위해 각 직무의 도전성과 개인의 능력을 함께 고려하여 개인이 인식하는 직무의 도전성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개별적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지도·관리 체계가 운영될 필요가 있다. 셋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들이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학습에 참여하고 실패에 대해 건설적이며 긍정적인 태도로 반응할 수 있도록 교육 훈련프로그램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넷째, 기업근로자를 위한 팀 학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단위 조직 내 구성원 간 상호관계 향상을 통한 협력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공식적 비공식적 다양한 채널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학문적 관점에서 첫째, 근로자의 학습민첩성에 대해 세부적으로 다양한 주체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가 학습민첩성이 향상되는 과정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학습민첩성과 성과에 관한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넷째, 측정도구의 타당성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국내 근로자들의 학습민첩성을 측정할 수 있는 범용적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individual,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agility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first, the level of learning agility an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was identified. Second, the differences in learning agilit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ird, after controlling the control variables,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learning goal orientation, failure tolerance) variables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on learning agility were analyzed. Fourth, after controlling the control variable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s, the effects of variables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job challeng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learning behavior, positive error management culture) of office workers were analyzed on learning agility.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office workers of large corporations belonging to the publicly disclosed business group published by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2019).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with a target of 20 people per company, which was a Purposive sampling. The recovered questionnaire was 360 copies, and the recovery rate was 90.0%. 304 people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target and used for analysis. excluding 56 workers who did not meet the standards and those who were unfaithf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learning agility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and rank,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otal career period and industry. In the case of gender, mal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learning agility than females.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gility overall, but it was found that the 40s in the sub-factors were higher than the 20s. In the case of academic background, workers who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s had higher levels of learning agility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or below.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learning ag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sitions of the deputy manager and the manager than in the staff position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learning agility, both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failure tolerance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learning agilit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learning agility, job challenge and team learning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agility, but the manag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ositive error management climate showed no significant influence. Fourth, This study examined in detail how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arning agility affect the sub-factors of learning agility. As a result, learning goal orientation, failure tolerance, job challenge, and team learning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sub-factors of learning ag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formed learning agility. The level of learning agility of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average 3.71 points) was not low, which means that the ability to learn agile through experience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situation is a key competency of workers in modern society and they experience various tasks and situations. Second, learning agility is most affected by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 toward learning.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were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failure tolerance. As a result, learning goal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agility, which prove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ed prior research, theory, and model, and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lure tolerance of business workers that was not dealt with in depth. Third, learning agility is a concept that is influenced by individual perceptions and attitudes, but can be improved through organizational support. Learning agility is not entirely determin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but can also be promoted through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challenging jobs and team learning. I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oved that job and environmental factors can contribute to an individual's ability, and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structure and culture of the job and corporate level. Fourth, Learning goal orientation, failure tolerance, job challenge, and team learning behavior, which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arning ag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sub-factors of learning agility.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to which each variable is explained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learning agility,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relatively higher in explaining learning agility tha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way to strengthen and develop learning agility according to sub-factors of insufficient learning agility.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rom a corporate system and policy perspective,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learning agility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challenge of each person's perception by considering each task's challenge and individual's abil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customized guidance and management system that reflect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mpanie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so that workers can participate in learning with realistic and specific purposes and respond constructively and positively to failures.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eam learning for corporate work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formal and informal channels and programs so that a cooperative system can be established through mutual relationship improvement among members within the unit organization.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first,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various subjects in detail on the learning agility of work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rocess of improving learning agility by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Third, research on learning agility and performance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needs to be expanded. Fourth, in-depth discussion of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needs to be mad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general-purpose tool to measure the learning agility of workers.

      • 외식업 SNS 품질이 온라인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셜미디어 인게이지먼트를 매개효과로

        최혜빈 한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먹방, 쿡방으로 인하여 외식분야에 대한 SNS 마케팅이 활발해 짐에 따라 기업들은 SNS를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브랜드를 노출했을 경우 장기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외식업 SNS의 품질적 요인들이 온라인 구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소셜미디어 인게이지먼트를 매개효과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 팬데믹 현상으로 인한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의 가속화로 SNS 마케팅을 추진하고자 하는 외식 기업들에게 효율적인 마케팅 기획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소셜미디어 인게이지먼트에 대하여 정확한 이해를 돕고, 이를 SNS 마케팅에 성공적으로 접목시키게 하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As SNS marketing in restaurant industry has been active recently due to popularity of eating shows and cooking shows, companies are holding their expectation on long-term effects on their brands by exposure to consumers through SNS. Focusing on this part, this study is based on how the quality factors of SNS in the restaurant industry are affecting intentions of online word-of-mouth and whether engagement of social media as a mediated effect is notable, by research on SNS users.

      • 어휘사 교육의 현황과 교육내용

        최혜빈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국어사 교육 내에서 어휘사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옛 국어에 대해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휘사를 통해 국어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어휘사를 국어 생활과 연관시켜 학습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현재 중등교육 과정에서 어휘사가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에 대해 2011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어Ⅱ』 11종과 『독서와 문법』6종의 교과서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어휘사 교육에서‘어휘의 변화’를 활용한 예시와 교육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어휘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표기의 변화, 음운의 변화, 문법의 변화까지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기 때문에 국어사 교육에 유용하다. 또한 차용어 유입에 대한 내용은 국어 어휘의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언어와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다. 3장에서는 어휘사 교육을 위한 어휘 선정의 기준과 그에 따른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음운 변화를 보여주는 어휘로 ‘김치’를 제시하여 다양한 음운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고, 의미 변화를 보여주는 어휘로 ‘사탕’을 제시하여 ‘설탕’과의 의미 영역이 변화한 과정을 밝혔다. 국어 생활을 반영하는 어휘로는 친족어휘‘형, 아우, 동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우리말이 외국어에 차용된 사례로 ‘모시’를 제시하여 새로운 차용 과정을 설명하였다. 4장에서는 새로운 어휘사 교수․학습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새로운 어휘를 활용한 통합적인 어휘 교육방법과, <한글편지>, <천자문> 등 새로운 제재를 활용한 어휘사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국어교육, 국어사, 어휘사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change process of Korean language through vocabulary history by utilizing vocabulary history in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in order to let students approach with interest in old Korean language, and searching for teaching· learning method that the students can learn Korean language history by associating vocabulary history with Korean language life. This research reviewed 11 textbooks of current 『Korean Language Ⅱ』and 6 textbooks of 『Reading and Grammar』regarding how the vocabulary history is currently educated mainly with 2011 revised curriculum. Also, suggested an example and method that utilized 'Vocabulary change'. Research on change of vocabulary can treat change of writing, change of phoneme, and change of grammar, therefore, it would be useful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can enable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language and the society, and give an opportunity to introspect subjective and creative Korean language us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hange process of various phoneme by suggesting ‘kimchi' as the word that shows phoneme change, and determined the process change of semantic area with ‘sugar' by suggesting ‘candy' as a word that shows semantic change. As the word that reflects Korean language life, this research suggested relative vocabulary, ‘elder brother(형), 아우, younger brother (동생)’. Also, explained a new borrowing process by suggesting ‘ramie (모시)’, as an example of utilizing Korean language in foreign language. As the integrated vocabulary education, this research suggested an education method that utilized a new vocabulary. This research suggested vocabulary history education by using the method that utilized ‘kimchi', <Korean letter>, and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texts. Also, intended to investigate change of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countries related to Korea through the cases of borrowed language change per period in connection with borrowed language. This way, this research suggested a new teaching· learning method for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by utilizing vocabulary history.

      • Hopkinson bar를 이용한 알루미늄의 동적변형거동 특성 및 구성방정식에 관한 연구

        최혜빈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러 가지 구조물에 높은 신뢰성을 부여하고 구조물을 최적으로 설계 제작하기 위해서는 그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사용 경계조건에 대응하는 기계적인 물성치를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현재 여러 가지 구조물의 설계 및 제작에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재료의 물성치는 “변형률 속도(Strain rate)”라는 하중 경계조건에 따라 그 기계적인 특성이 크게 변화한다. 즉, 변형률 속도가 매우 큰 하중이 가해지는 조건에서의 재료의 거동이 정적인 경우와는 매우 다르다. 정적하중 하에서 변형하는 재료의 응력-변형률 선도는 재래식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비교적 쉽게 정확하게 결정할 수가 있다. 그러나 변형률 속도가 매우 빠른 동적하중 하에 있는 재료의 변형거동을 나타내는 응력-변형률 선도를 실험적으로 정확하게 결정하기는 상대적으로 쉽지 않다. 따라서 특수한 시험기법이 개발되어야 하며, 시험데이터 해석기법도 창안되어야 한다. 고 변형률속도 하에서 재료의 거동은 Split Hopkinson Pressure Bar(SHPB)라는 실험 기법을 이용하여 규명할 수 있다. SHPB 기법은 1949년 Kolsky에 의해 102~104/s 의 변형률 속도에서 기계 재료의 동적 거동 특성을 규명하기위해 개발되었다. SHPB기법은 현재까지 금속과 세라믹 그리고 콘크리트와 같은 다양한 기계 재료의 동적인 물성치를 획득하기 위해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있다. SHPB 기법을 사용하여 기계재료의 동적 변형거동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실험이 이루어지는 동안 시편이 동적 응력 평형상태에 있어야 하며, 시편의 변형이 일정한 변형률 속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재료의 동적 변형거동 특성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실험을 수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 Hopkinson bar와 Pulse shaper 기법을 이용하여 동적 응력 평형상태에서의 알루미늄 합금 2024-T4의 온도와 변형률 속도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고온실험에서의 Hopkinson bar 실험방법의 주의점과 특징 및 해석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온도는 상온에서 시편의 녹는점 이하의 온도범위에서 수행을 하였다. 본 시편의 온도조건에 따른 응력-변형률 선도, 변형률속도 그리고 동적 응력평형 상태의 지표인 시편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응력을 규명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고변형률 속도에서의 구성방정식 중 하나인 Johnson-Cook 모델을 확립하였다. Optimal design of structures requires the accurate and complete material properties obtained from experiment carried out under various loading conditions. Most material properties used for structure design are usually obtained under very low strain-rate. In dynamic loading condition such as shock, material characteristics are absolutely different from those of static condi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velop a reliable experimental technique which can be used for the strain rate higher then 102s-1. The Split Hopkinson Pressure bar (SHPB) apparatus is a well known method successfully applicable in the strain-rate range of 102~104s-1.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investigation so far, we designed and manufactured SHPB system in Failure Control Research Center at Inha University. The dynamic material deformation behaviors obtained by using SHPB apparatu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static.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the strain rates on the dynamic stress equilibrium process in a aluminum alloy 2024-T4 specimen under SHPB testing have been investigated in detail by the experimental and proper analysis procedures. An experimental strategy has been proposed and evaluated with the modified high-temperature SHPB apparatus.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two types of aluminium alloys with various strain rates and at a temperature range from 25℃ to 500℃. The reflected wave with pulse shaper, the true stress - true strain relationship, strain rate, front-end and back-end stress with time scale are described at room and high tempera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train rate and temperature is fitted to the Johnson-Cook constitutive model. Details of the dynamic deformation of aluminum alloys 2024-T4 characteristic at high temperature has been found in this study.

      • R 기반, i-Smart 전력량과 외부기온의 회귀분석을 통한 건물 전력 사용량 특성 연구

        최혜빈 숙명여자대학교 TESOL·국제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7년 기준, 국가 총배출량의 20.4%에 이르는 1.45억톤CO2eq인데 그중 전력소비에 따른 온실가스 비중이 63%에 이른다. 따라서 건물 전력량의 관리는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중요한 요소이다. 건물 전력 최적화를 위해 건물당 수백 개의 센서를 설치해 운용하는 BEMS (Building Management System) 체계 구축에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산출되는 다량의 데이터 분석이 용이하지 않아 건물관리 현장에서 실효성이 크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5분마다 건물 전력량을 측정한 i-Smart 데이터를 이용하여 Change Point Model에 따라 냉방, 난방, 기저 부하 전력량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산출하였고 건물의 시간에 따른 전력사용 패턴을 비교분석하여 전력소비를 비용 효과적으로 최적화하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용도가 다른 건물 네 곳의(숙박용 건물 2개, 사무용 건물 1개, 교통복합용 건물 1개) 3년간 한전 i-Smart 전력 데이터에 대해, 시계열 및 상관성 분석을 시행하여 외부기온이 전력소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R 기반, 회귀분석을 통해 외부기온을 변수로 한 전력량 추정식을 산출하였고 4개 건물에 적용한 결과 2017년 전력사용량 기준, 4월부터 10월까지 월별 실제 전력사용량과의 추정오차는 평균 3.5%이었다. 건물 네 곳 중에서 10℃ 미만에서 전력사용량이 증가하는 사무용 건물과 교통복합용 건물에도 외부기온을 변수로 한 전력량 추정식을 적용하였을 때, 2017년 전력사용량 기준, 1월부터 3월까지 그리고 11월부터 12월까지 월별 실제 전력사용량과의 오차는 평균 2.9%이었다. Change Point Model을 적용하여, 7월 기준 산출한 냉방전력량 비중은 사무용 건물이 57.1%로 가장 높았고 숙박용 건물이 32~34.1%로 가장 낮았다. 난방전력량 비중은 2월 기준, 사무용건물이 8.6%, 교통복합 건물은 13.8%이었고 숙박용 건물에서는 난방을 위해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력량 소비패턴의 계절별, 시간대별 비교분석을 통해 투자가 수반되지 않는 관리 효율화만으로도 1% 이상의 전력량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of 2017, 145 million tons of greenhouse gas, accounting for 20.4% of the national emissions were emitted in Korea's building sector. And the 63% of the building sector emissions were generated by electric power consumption. Therefore, the management of building electric power is an important factor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building sector. Building Management System (BEMS), which installs and operates hundreds of sensors per building to optimize building electric power, is not very effective at the site of building management because it is costly and difficult to analyze the big data of electric power produc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lgorithm for estimating cooling, heating, and base load electric power according to the Change Point Model was calculated using the KEPCO i-Smart data, which measured the building electric power usage every 15 minutes. And the method of cost-effectively optimiz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electric power usage patterns over time in a building was considered. To this end, a time serie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i-Smart data for three years in four buildings with different uses (two accommodation buildings, one office building, and one traffic complex building), indicating that atmospheric temperature was the main factor affect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in buildings. In addition, the equation for estimat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was produced by R-based regression analysis with using atmospheric temperature as a variable, and as a result of applying it to the four buildings, the estimated error from the actual amount of electric power used per month from April to October in 2017 was 3.5% on average. By applying the Change Point Model, the proportion of cooling electric power calculated as of July in 2017 was the highest at 57.1% for office building and the lowest at 32-34.1% for accommodation building. As of February in 2017, the proportion of heating electric power was 8.6 percent for office building and 13.8 percent for traffic complex, while no electric power was used for heating in accommodation buildings. An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ver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could be reduced by more than 1% only by improving management efficiency without inve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