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조선 전기 악기유소를 모티브로 한 노리개 제작에 관한 연구

        최인숙(Choi In-Sook),김은정(Kim Eun-Jung) 한복문화학회 2016 韓服文化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ornaments for the Hanbok (a traditional Korean garment) that us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nots used to decorate musical instrument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despite there being little data on the design of these knots, through a graphical analysis of customary formalities in 『Sejong Chronicle』, a cultural archive. As a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pursue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based on a survey of the literature and material data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knot ornaments shown in customary formalities in “Sejong Chronicle” before manufacturing ornaments for Hanbok. Through a graph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blank space between knots despite the possibility of simple expression with graphics, in musical instruments. In the existing Norigae, knots were used just as auxiliary decoration, because knots were long and rich in fringe ornaments and colorful jewelry with similar forms to thos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ornaments of musical instruments recorded in 『Sejong Chronicle』, knots are used as major expressive elements for decoration, because they mainly consisted of knots without colorful jewelry. Also, the shape of ornaments is very short and simple compared to the current Norigae. Through applying such characteristics of ornaments on music instruments to the development of ornaments for Hanbok, it was found that knots were embossed and fringes were very plain.

      • KCI등재후보

        리더십 전략 그림동화를 활용한 교수활동이 유아의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최인숙 ( Ihn Sook Choi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1 아동복지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유아들이 대인관계 기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주제의 리더십 전략 그림동화를 듣고 다양한 교수활동을 경험하면 대인관계능력이 신장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4세, 5세 유아 124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리더십 전략 그림동화를 활용한 교수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대인관계기술의 전체 하위요인에서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의 하위영역별 분석결과에서는 사전-사후 검사 결과 사후검사의 평균점수가 ‘도와주기’, ‘협력하기’, ‘갈등해결하기’, ‘약속지키기’ 등의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인격형성의 기초가 이루어지는 유아기에 리더십 전략 그림동화를 이용하여 대인관계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음을 입증함으로서 유아의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that reading a leadership strategy picture book had on young children. This book contained topics designed to help young children develop interpersonal skills. There were 124 subjects in this study and they ranged in age from 4 to 5 yeas old. The collected data was tested using a t-test and analyzed using an SPSS 14.0 statisti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result wa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achieved high average points in the total subfactor of interpersonal skill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These children experienc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by utilizing the leadership story book. This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Second result was that, as a consequence of the post-tests, the subcategorical analytic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 average points in the post-test, with the exception of the prasing subfactor. This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study has provided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leadership program by validating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the interpersonal ability utilizing the leadership strategy picture book in young children`s age, which is the basis for personality formation.

      • KCI등재

        헌종(憲宗) 무신년(戊申年) 『진찬의궤(進饌儀軌)』 유소(流蘇) 연구

        최인숙(Choi In-Sook),김은정(Kim Eun-Jung) 한복문화학회 2020 韓服文化 Vol.23 No.1

        Yuso, a traditional Korean hanging decoration, is found many records in the royal court banquet Uigwe. There are many records in the "Jinchan Uigwe" in the Musin year compared with other "Yeonhyang Uigw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Yuso in "Jinchan Uigwe" in the Musin year of King Heonjong in Joseon. Literature reviews and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Nineteen royal banquet Uigwe from "Jinchan Uigwe" in the Musin year and Yuso information in veritable records, including Sejong Silok, Orye, and Akhakgwebeom were reviewed. Besides, previous studies and publications were research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al Palace Museum, the National Gugak Center"s Museum of Gugak, and other museum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five types of Yuso: a ceremonial decoration object, a ceremonial royal court dance object, a royal court music instrument, a musical instrument, and Hansam. There were five styles of Yuso: a long dangle style, a lace-up style, a knot and tassel style, a beaded tassel style, and a feather beaded style. Yuso consisted of in a variety of colors- red, navy, green, yellow, orange, white and black, and was made of silk threads, flannel threads, gold papers, gold leaves, gourd beads, pheasant tail feathers, blue papers, and wood beads. The string was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and a knot was not found in some cases. There is not yet scientific consensus on understanding Yuso, and therefore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 ascertainable information about Yuso.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 장난감 없는 프로그램의 단계적 적용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과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최인숙(Choi In Sook),홍정선(Hong Jeong Sun),안연경(Ahn Youn 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장난감 없는 프로그램의 단계적 적용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과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난감 없는 프로그램을 개발한 뒤 만 5세 유아에게 4주간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실험집단 유아 18명과 통제집단 유아 18명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비교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난감 없는 프로그램의 단계적 적용은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과 또래수용도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taged application of a program without toys on young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eer acceptance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A program without toys was developed and a study of its effect was conducted to the five-year-old children for 4 week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 & post test points gained from the experiment group of 18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of 18 childr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aged application of a program without toys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young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eer acceptance development.

      • KCI등재

        칸트의 이론철학에서 대상 개념에 대한 연구

        최인숙(In Sook Choi) 철학연구회 2000 哲學硏究 Vol.51 No.-

        이 논문은 칸트의 이론철학에서 대상 개념이 어떠한 의미로 사용되는가에 대하여 연구한다. 칸트에서 대상에 관한 객관적 인식 문제에 있어 선험적 자아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되는 경우가 더 많은 듯하다. 선험적 자아가 대상 인식의 객관성, 필연성을 부여하며, 선험적 자아 `밖의` 대상의 측면은 거의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기까지 한다. 칸트에서 주된 대상 개념인 현상은 선험적 자아가 자신의 형식에 의해 창조해낸 표상이 아니고, 주관 `밖의` 대상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현상은 주관 `밖의` 대상을 그 자체로서는 아니더라도 그 자체에 못미치는 정도로나마 우리의 사고와 감각능력에 의해 모사해내는 그런 대상 개념이 아니다. 우리의 인식 능력은 오로지 우리의 방식에 의한 능력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인식하는 대상은 우리의 인식 능력과의 `관계`에서 우리에게 알려진 대상이다. 이 `관계`의 대상이 바로 현상이다. 그렇지만 이 `관계`의 대상은 우리의 인식 능력 `안의` 관계에서만은 인식될 수 없다. 우리 인식 능력 `밖의` 대상과의 `관계`를 필요로 한다. 이 `관계`의 대상을 밝힘에 있어, 우리 인식 능력과 인식 능력 `밖의` 대상간의 `관계`를 긴장적으로 보여주는 데에 이 논문은 주안점을 두고 있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누리과정 지도서에 제시된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인성교육 요소 분석

        최인숙(In-Sook, Choi),안연경(Youn-Kyoung Ah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4

        본 연구는 인성교육 관련 요소가 누리과정 지도서에 제시된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 지도서에 제시된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인성교육 요소를 연령별, 생활주제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누리과정 지도서에 제시된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연령별 인성교육 요소를 살펴보면, 만 5세, 만 4세, 만 3세 순으로 인성교육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모든 연령에서 배려, 존중, 협력의 인성교육 요소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효와 나눔은 다소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누리과정 지도서에 제시된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생활주제별 인성교육 요소를 살펴보면, ‘유치원’, ‘나와 가족’, ‘우리동네’, ‘환경과 생활’ 등의 특정 주제에 인성교육 요소가 집중되고 생활주제별로 분포가 고르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누리과정 지도서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인성교육 요소가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지를 볼 수 있는 자료로 균형 잡힌 인성교육 요소가 누리과정 지도서의 이야기나누기에 포함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elements through discussion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 guidebook. For this, discussion activi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both frequency of age and life them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related to the target age of students, the greatest number of personality education elements were for 5 year olds, followed by those for 4 year olds and 3 year olds. Specifically, "consideration", "respect", "cooperation" showed a high distribution, whereas "filial piety" and "sharing" showed a very low distribution. Secon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based on life theme, it appeared that personality education element converged on particular life theme. These results are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uture direc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elements through discussion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 guidebook.

      • KCI등재

        현상학과 유식학에서 자기의식의 의미

        최인숙(In-Sook Choi) 한국현상학회 2007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2 No.-

        현상학은 독일의 철학자 후설이 정초한 이론이고, 유식학은 미륵, 무착(Asanga), 세친(Vasubandhu)에 의해 토대가 마련된 불교이론이다. 현상학과 유식학은 우리의 의식에 대한 이론이다. 우리의 모든 인식 표상을 현상(Phanomen, Erscheinung)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현상학과, 우리의 모든 인식 표상을 식(Vijnapti)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유식학은 둘 다 우리 의식의 끊임없는 흐름의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우리 의식의 체계를 탐구한다. 그런데 우리 마음 안에서 현상과 식은 개별적인 대상의 표상으로 나타난다. 현상과 식이 우리 주관의 의식이긴 하지만 이 의식은 대상을 가리키는 표상인 것이다. 그리하여 현상과 식은 주관(cogito, 見分)-의식작용(cogitatio, 識)-객관(cogitata, 相分)이라는 삼각 ‘관계’로서 나타난다. 그러나 현상학과 유식학은 순간순간 변화를 겪는 우리의 마음(사물에 대한 인식과 다른 사람들이나 자기자신의 심리에 대한 인식)을 추적하지만, 그 추적이 단지 임의적이고 우연적 발생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고, 모든 심리 현상의 궁극적 근원인 선험적 순수자아 및 제8식인 알라야식으로까지 나아간다. 선험적 순수자아 및 알라야식에 대한 인식은 결국 자아의 자기의식을 뜻한다. 개별적 대상인식에는 언제나 자아의 자기의식이 동반하며, 대상인식은 자기의식을 통해서만 그 정당성을 부여받게 된다. 그렇게 볼 때 대상인식은 결국 자아의 자기의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상학과 유식학에서 자기의식의 의미가 완전히 동일한 것은 아니다. 현상학에서의 자기의식은 유식학에서의 자기의식에 비해 훨씬 더 ‘동일하고’, ‘순수한’ 자아를 전제로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henomenology is grounded by the German philosopher E. Husserl and the vijnana-vada(唯識學) by Asanga and Vasubandhu. The phenomenogy and the vijnana-vada are theories about our consciousness. The phenomenology studies the phenomena(現象) of our knowledge and the vijnana-vada the vijnapti(識) of our own knowledge. Both theories follow the process of the endless stream of our consciousness. The phenomena and the vijnapti appear as singular ideas of the objects in our mind. The phenomena and the vijnapti are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but this consciousness is simultaneously the idea of the object. So, the phenomena and the vijnapti appear as a relation of cogito(見分)-cogitatio(識)-cogitata(相分). But the knowledge of objects is all founded on the ground of the transcendental Self, the alaya-vijnana(阿賴耶識). Therefore, the knowledge of objects means the consciousness of the transcendental Self, the alaya-vijnana. Finally, the knowledge of the objects in the phenomenology and the vijnana-vada is the Self-consciousness. Now, the phenomenology recognizes the pure ego, the vijana-vada doesn't. We can say that the vijnana-vada is an extreme theory in the sense of experience of the mental stre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