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진성다혈구증에 병발한 미세변화신증을 동반한 IgA 신병증

        정영종 ( Young Jong Jung ),김범 ( Beom Kim ),조영미 ( Yong Mee Cho ),김희섭 ( Hee Sup Kim ),김지호 ( Ji Ho Kim ),김수연 ( Soo Yeun Kim ),김봉석 ( Bong Seog Kim ),최윤미 ( Youn Mi Choi ),문경협 ( Kyoung Hyoub Moon ) 대한신장학회 2008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7 No.6

        Polycythemia vera is a hematopoietic stem cell disease, characterized by sustained and excessive proliferation of erythrocytic, granurocytic and megakaryocytic cells in the bone marrow resulting in pancytosis in peripheral blood. There have been a few reports of glomerulonephritis with polycythemia vera, most of which were IgA nephropathy. We report a case of a polycythemia vera associated with proteinuria. We confirmed the polycythemia vera according to World Health Organization criteria. Renal pathology showed IgA nephropathy and minimal change disease. Periodic phlebotomy was done and hydroxyurea was administered without specific managements for renal disease. After 3-month treatment, hemoglobin level decreased and proteinurea disappeared.

      • 임상 검체에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C형 간염 바이러스의 검출

        홍승복,우경남,이도훈,최윤미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6 忠北醫大學術誌 Vol.6 No.1

        C형 간염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로 현재 항원의 일부인 C-100-3에 대한 항체를 검출하므로써 HCV 감염의 진단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효소면역 측정법은 예민도는 매우 높으나 거기에 따른 위양성의 결과가 많다고 보고되어, 그에따른 문재점이 대두되고있다. 따라서 검사 결과의 특이도를 높임과 동시에 실질적으로 검사실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검사법의 도입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분자 생물학적 기법중 하나인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실제 임상 검체에서 HCV의 RNA를 검출하므로써 민감도뿐만 아니라 특이도를 높일 수 있는 검사 기법으로써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이 의심되는 총 67 검체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검체는 혈청을 이용하여 acid guanidium thiocyanate-phenol chloroform 방법으로 RNA를 추출하고 비구조성 유전자의 5'-noncoding 부위에 해당되는 부위를 primer로 사용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동시에 같이 실시한 anti-HCV 항체 검사는 microparticle enzyme immunoassay 방법을 이용하였고 4가지의 recombinant 단백질인 c200, c22-3, HC-34, HC-31에 대한 항체를 검출할 수 있다. RT-PCR 검사 결과, PCR 양성인 11명 중 9명에서 anti-HCV 항체가 검출되었으며, anti-HCV 항체가 음성인 30명은 모두 RT-PCR에서 음성을 보였다. RT-PCR 상 음성인 51명 중 30명은 anti-HCV 항체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10명에서는 항체가 검출되었다. ALT 수치 변화에 따른 비교를 살펴보면 RT-PCR과 anti-HCV 항체 양성자의 ALT 분포도를 살펴보면 40 UI/L 이하로 정상인 경우는 RT-PCR 양성 중에는 2명 (18.2%)이었고, anti-HCV 항체 양성 중 9명 (47.4%)이었다. 40 UI/L 이상으로 증가된 경우에서는 RT-PCR 양성 중 9명(81.82%), anti-HCV 항체 양성 중 10명 (52.6%)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C형 간염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법으로는 민감도는 높으나 특이도에 문제가 있는 anti-HCV 항체 검사 결과의 신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RT-PCR을 이용해 C형 간염의 감염 여부를 확진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enzyme immunoassay test is a very sensitive method to detect anti-HCV antibody but this is known to have high false positive rate. It is necessary to have another method to diagnosis hepatitis C viral infection. As a new method tool, we evaluated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to detect HCV RNA. A reverse transcription PCR was compared with the enzyme immunoassay in samples which were requested for anti-HCV antibody test. Of the 19 anti-HCV antibody positive samples, 9 were also positive for RT-PCR. Among RT-PCR positive 11 samples, none of all showed negative for anti-HCV antibody. The prevalence of HCV RT-PCR of the liver disease was 45.5% in the chronic hepatitis, 27.2% in liver cirrhosis, 27.3% in other liver disease. The positivity of RT-PCR was also higher in group had elevated serum ALT level than in group with normal serum ALT level. We concluded that HCV RT-PCR can be the additional test for the confirmation of anti-HCV antibody test by enzyme immunoassay.

      • 비분비성 다발성 골수종 1예

        최윤미,이도훈,김승택,신경섭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6 忠北醫大學術誌 Vol.6 No.1

        다발성 골수종은 특징적인 방사선학적 골융해 소견과 골수내 종양성 형질 세포의 증식, 혈청이나 소변내 단클론성 면역글로부린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그러나 아주 드물게는 단클론성 면역글로부린의 분비장애로 인해 혈청이나 소변으로 단클론성 단백질이 분비되지 않는 비분비성 다발성 골수종을 갖는 예가 있어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다발성 골수종은 전체 다발성 골수종의 1-5%의 빈도로 보고되는 드문 예로 진단에 있어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에 저자들은 혈액학적, 방사선학적, 면역화학적 그리고 면역형광법으로 비분비성 다발성 골수종 1예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61세 여자로 골수내 형질세포가 36%이고 두개골에 다발성 골융해 병소를 보이고 골반뼈에 골조송증과 늑골 및 11번 흉추에 오래된 골절소견을 보였다. 혈청과 뇨에서 단백전기영동에서 단클론성 면역글로부린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면역전기영동검사에서도 비정상 침전 단백질도 발견되지 않았다. 골수천자 검체로 시행한 간접면역형광검사에서 세포질내 IgG, kappa형 면역글로부린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자들은 비분비성 다발성 골수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possible diagnosis of multiple myeloma is usually raised by presence of typical radiographic "lytic" lesions, bone marow plasmacytosis(greater than 30%) and monoclonal immunoglobulin in serum and/or urine. However, about 1-5% of patients with multiple meyloma, a monoclonal immunoglobulin(M-spike) cannot be detected. The non-secretory myeloma has a block in release or synthesis of monoclonal protein, which are account for abscence of paraproteinemia. The authors experienced one case of nonsecretory multiple myeloma studied by hemoatologic, radiographic, immunochemical and immunfluorescent methods. The 61-years old female patient had bone marrow plasmacytosis(36%) and multiple lysitc lesion in skull, osteopenia in pelvis, old fracture in 11th thoracic vertebrae and rib. On electrophoretic study, there is no monoclonal peak in serum and urine and immunoelectrophoretic study reveals no abnormal precipitation arc. Immunofluorescence of bone marrow aspiration demonstrates intracytoplasmic IgG, kappa type M-component. So we report case of nonsecretory multiple myeloma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 호산구 증다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최윤미,채수안,형성민,신경섭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6 忠北醫大學術誌 Vol.6 No.1

        말초 혈액에서 호산구의 증가는 알러지성 질환, 기생충 감염, 악성종양 및 혈액질환, 약물반응, 세균 및 진균성 감염질환 등에서 자주 관찰된다. 그러나 많은 예에서는 충분한 조사에도 불구하고 원인을 밝힐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히 과호산구 과다증후군(HES; 이하 HES로 약함)과 같이 오랜시간 동안 원인을 모르는 호산구 증가가 지속되며 장기 침범 소견을 보이는 경우도 있으며 또는 일시적으로 호산구의 증가를 보일 수 있다. 현재 호산구 증다증에 대한 관심이 국내외적으로 집중되고 있으며, 호산구 증가의 임상적 고찰에 대한 연구결과도 다수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1995년 1월부터 9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에 입원 또는 외래환자 중 말초 혈액 호산구가 전체 백혈구의 20%이상되는 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 병록지를 검토하여 호산구 증다증의 원인과 그원인에 따른 호산구수 및 나이, 성별, 일반 혈액검사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남자가 2.55:1로 더 많았으며, 전체 71예중 45예에서만 원인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는알러지성 질환이 가장 많았고 그 밖에도 감염성 질환, 기생충 질환, 간 질환, 악성종양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 중 호산구의 수치는 악성질환에서 가장 높았다. 그밖의 검사 결과에서는 원인질환 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Peripheral blood eosinophilia is frequently observed in patients with allergic disease, parasitic disease. Occationally, bacterial and fungal infections, malignant disease, autoimmune disease, hematologic diseases are associated with eosinophilia. However in many instances, one could find no definite cause of eosinophilia despite through search. In particularly there is hypereosinophilic syndrome which are persistent with non-causible eosinophilia during long time and transient eosinophilia. In many years ago, interest against eoisinophila had been increased and clinical studies of eosinophilia were reported. We had conducted retrospective study to evaluate causes and to compare with eosinophil count, age, sex, CBC in each causes in 71 patients who had been admitted to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1995 to Sep. 1995.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52 years ranging from 13 to 83,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about 2.55 to 1. 2. Among 71 cases, 45(63.4%) cases were found to have identifiable and/or possible causes, and 26(36.6%) cases were of unknown causes. 3. Among cause-known group, bacterial or viral infections(20%), hepatobilliary diseases(7.8%), malignant diseases(17.8%), allergic disease or drug reactions(28.9%), parasitic infestaions(11.1%) were the major causes of eosinophilia 4. The amplitude of eosinophilia compared in each causes was highest in malignancy disease and lowest in allergic diseases. Other laboratory dat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 흉강액 호산구 증다증의 진단적 의의

        최윤미,지현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1992 울산의대학술지 Vol.1 No.1

        Eosinophilic pleural effusion(EPE) is a relatively rare phenomenon. It is defined as the presence of 10% or more eosinophils in the pleural fluid, exclusive of erythrocytes. Several reports have discussed the etiologic hetergenicity of EPE. The pathogenesis of EPE is not clear, but various etiologic factors are suggested in recent years. We decided to review our experience with EPE and to evaluate clinical utility of this phenomenon. Sixty-nine cases of eosinophilic pleural effusion(EPE) were reviewed. The etiologies of these cases were malignancy(44.9%), tuberculosis(21.7%), paragonimiasis(11.6%), pneumonia(7.2%), heart failure(5.8%) and others(8.8%). The incidence of pneumothorax in patients with EPE was 18.8% and average percentage of eosinophils(55±18%) in pleural fluid of pneumothorax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pneumothorax group(26±17%). This find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01). The cytological and chemical findings of pleural fluid and peripheral blood finding were analyzed according to underlying disease. We no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w of total protein, LD, glucose and percentage of peripheral eosinophil in paragonimiasis. We conclude that pathogenesis of EPE is still to be explored, but we might consider the possibility of associated malignancy, because the malignancy is one of the most common underlying disease in EPE, particularly in patients without evidence of pneumothora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