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력선 통신에서의 시변 임피던스 자동 적응에 관한 연구

        최원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thesis aims at the development of the Power Line Communication(PLC) system that is robust to the time varying noise on the power line and the time varying access impedance of the power line. Especially, in this thesis, the underground power line communication channel for the streetlight is considered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the underground power line channel model which, include the variation of the access impedance, is used to confirm proposed methods for the channel adaptation The PLC is one of the effective solution than other communication techniques. Because the PLC uses the existing power lines. However the PLC has some problems that its reliability is low and communication range is limited, because of time variant characteristics on the power line channel. The access impedance of the power line channel are time variant and this feature leads to impedance mismatching between the access impedance and output impedance of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impedance mismatching leads to the problem of reducing the communication rang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sis and model this characteristic in order to design the high reliable PLC system. In this thesis, the measured data in the field are used to model the underground power line network and provide new models of channel characteristics. The noise, cable characteristics, loads. The access impedance are considered for model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By simulating and analyzing the power lines, this thesis proposed the modulation technique for low speed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the novel coupling circuit and the useful network protocol. The proposed time domain noise model is closed to the field environment by includ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it is used in order to determine the suitable modulation technique for low speed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The access impedance and cable model are used in order to propose the new equivalent circuit of the underground power line. The proposed equivalent circuit is more convenient than any other models to analyze and determine the time varying transfer characteristic. The proposed coupling circuit could be adapted to the access impedance of the power line by changing it's output impedance. The proposed coupling circuit, which performs impedance matching by using the micro-controller and the power OP-AMP, provides maximum signal power transmitting capability, high reliability, the simple structure and the simple control.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is coupler has a good experimentally performance in the laboratory. Besides, the proposed protocol has the hierarchical structure which composed of repeaters in the master-slave network and it combines the existing routing techniques such as the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he proposed network protocol is designed to change the repeater in the network by external conditions as the communication range variation. The PLC modem is made by the proposed coupling circuit and network technique and have the output signal power of 1W, the received signal sensitivity of 1mV, the center frequency of 132kHz. It's performances are confirmed by laboratory and field experiments. The proposed systems have been experimented in the field for about ten months.

      • 자바 카드 프로그램 적재 및 실행 속도 개선에 관한 연구

        최원호 慶南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Recently most smart cards use Java card platform. Technologies of Java card have portability, platform independence, highly security function. But, these technologies have a problem related on speed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Java language. Specially, this problem of speed comes from the way of data writing method and the way of installing Applet in Java card.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method that uses RAM instead of EEPROM to improve the execution speed of Java card. Proposed methods adapt to a prefetching LRU-OBL buffer cache scheme into Java card environment and modify Java card installer more efficiently. All data generated in Java card are managed in the buffer cache considering its quality. We use this buffer method to reduce I/O count, specially EEPROM writing. Therefore, we improve the execution speed of Java card by using our buffer cache scheme and a new Java card installer. 오늘날 대부분의 스마트카드는 자바카드 플랫폼을 채택한 자바카드가 표준안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자바카드 기술은 이식성, 플랫폼 독립성, 높은 보안성 기능을 스마트카드에 제공한다. 그러나 자바카드는 일반 스마트카드에 비해 자바 언어상의 특성으로 인해 실행속도 저하의 단점을 갖고 있다. 자바카드 실행속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은 일반적인 스마트카드에 비해 자바카드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과 자바카드 설치기가 애플릿을 설치하는 방식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바카드 프로그램의 적재와 실행의 속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자바카드에서 EEPROM에 데이터에 대한 저장, 갱신, 삭제하는 과정들을 처리 속도가 빠른 RAM을 이용하여 자바카드의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바카드에서 RAM을 활용한 방법으로 자바카드 환경에 맞는 선반입 LRU-OBL버퍼 캐쉬 기법과 자바카드 설치기에서 RAM을 이용한 레졸루션 과정을 제시한다. 자바카드에서 생성되는 모든 데이터들을 데이터 특성에 따라 버퍼 캐쉬에서 관리함으로써 EEPROM에 대한 기록 횟수를 최대한 줄여 자바카드의 프로그램 적재 및 실행속도를 향상시킨다.

      • 요부 안정화 운동이 요천추부의 구조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최원호 인천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만성 요통환자 30명을 대상으로 6주간 요부 안정화를 위한 토구운동, 토구와 자가 요부 안정화 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 그리고 물리치료를 시행한 후 요천추부의 구조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측정방법은 일반 X-ray 장비를 이용하여 요추전만각, 요천추각을 측정하였으며, 근 활성도의 변화는 근전도기를 사용하여 다열근과 척추기립근을 측정하였다. 자세정렬은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시상면상에서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6주 동안 주 3회 토구와 매트 및 물리치료시설이 모두 갖추어진 곳에서 안정화운동 및 물리치료 처치를 시행하였다. 모든 대상자에게 사전 측정과 6주 후 사후 측정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스웨스트리 지수의 경우, 처치 유형과 처치 기간 사이에 교호작용 효과는 없었으며, 6주간의 처치 후 유형 간 요통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통증 자각도의 경우, 처치 유형과 처치 기간 사이에 교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6주간의 처치 후 처치 유형별 통증의 분산분석 결과 유형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개별비교 결과 복합운동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셋째, 근 활성도의 경우, 다열근과 척추기립근 모두 처치 유형과 처치 기간 사이에 교호작용 효과는 없었으며, 6주간의 처치 후 처치 유형별 근 활성도의 분산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복합운동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넷째, 요천추 분절 각도의 경우, 요추전만각과 요천추각 모두 처치 유형과 처치 기간 사이에 교호작용 효과는 없었으며, 6주간의 처치 후 처치 유형별 요천추부 각도의 분산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처치 유형 간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자세정렬의 경우, 외이 및 견관절, 슬관절, 외측내과 모두 처치 유형과 처치 기간 사이에 교호작용 효과는 없었으며, 6주간의 처치 후 처치 유형별 자세의 분산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처치 유형 간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토구와 자가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 토구운동과 물리치료 처치를 만성 요통환자에게 6주간 적용한 결과 복합운동 후 통증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근 활성도의 분석 결과에서는 복합운동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만성 요통환자에게 토구와 자가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을 한다면 요통 및 그와 관련된 요천추부의 구조와 기능에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패밀리레스토랑 이용고객의 선택속성

        최원호 湖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국가의 경제성장에 발맞추어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시간적·경제적 여유가 생기면서 국민들의 식생활의 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외식산업의 대형화·기업화의 변화 추세가 보여지고 있다. 따라서 현대의 외식산업은 사회·경제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대되어 과거에 소비성으로 분류되었던 국가정책에서 벗어나 이제는 국가경제에 기여하는 산업의 일부가 되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의 외식산업은 1980년대에 들어 여러 국제적인 대규모행사를 통해 외식업체의 해외 유명브랜드의 도입과 항께 국민들의 요구와 가치관의 변화 등의 사회·경제적인 여건의 변화로 인해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어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에 힘입어 외식산업의 주도를 이루고 있는 패밀리 레스토랑의 이용고객의 선택속성을 파악하여 패밀리 레스토랑 이용고객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을 이해하는데 의미있는 연구가 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광주지역으로 한정하여 기존에 지역 외식기업만이 존재하던 광주에 체인경영 패밀리레스토랑이 들어오면서 많은 변화들이 생기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외식기업들이 광주에 진출하게 될 젓으로 판단되어 광주지역의 최초의 체인경영 패밀리레스토랑인 T.G.I. Friday's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외식산업, 패밀리레스토랑, 체인경영, 선택속성 등을 개념화하고 기술함으로써 실증적인 검증의 틀을 마련한다. 둘째, 패밀리레스토랑 이용고객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기술한다. 셋째, 패밀리레스토랑 방문고객의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기술한다. 넷째, 패밀리레스토랑 이용행태에 따른 이용동기를 분석한다. 다섯째, 패밀리레스토랑 이용행태에 따라 방문시 중요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고 기술한다. 여섯째, 이용동기가 중요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일곱째, 본 연구를 통하여 패밀리레스토랑의 이용고객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분석이 의미있는 연구가 되고, 실무적으로 시장세분화, 시장개발, 메뉴개발 둥의 마케팅전략수립에 이용될 수 있는 실증적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에 대한 분석방법은 SPSS for window 1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밀리레스토랑을 방문고객의 일반적인 특성으로는 수입이 100만원 이하의 대학 생 여성이 대부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패밀리레스토랑 방문고객의 이용행태 분석 결과 월 평균 이용횟수는 3회 미만, 월 평균 외식비용은 15,000-30,000원미만, 정보취득의 형태는 주변의 권유가 가장 많았다. 또한 패밀리레스토랑 방문시 동반하는 사람으로는 친구가 가장 많았고, 방문 의사결정을 하는 것은 본인이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시간으로는 1-2시간, 방문시간은 19-21시간, 방문 교통수단으로는 버스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행태에 따른 패밀리레스토랑 이용동기에 대한 분석결과는 성별에 따른 '시간절약', 교육수준에 따른 '접대 및 친목도모'의 두 가지 항목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이용행태에 따른 패밀리레스토랑 방문시 중요도 및 만 족도 분석 결과 자동차 소유여부에 따른 '시설 및 접근성' 교육수준에 따른 '매장이미지' 의 두가지 항목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소득수준에 따른 '시설 및 접근성'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이용동기가 중요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이용동기 중 '여흥'에 대해 만족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매장이미지'의 한 가지 항목만 제외) 이용동기 중 '시간절약'에 대해 중요도의 '메뉴 및 가격'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용동기중 '분위기'에 대해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해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중요도에서 '서비스 질'의 한 가지 항목만 제외) 이용동기 중 '접대 및 친목도모'에 대해서는 중요도의 '시설 및 접근성'의 항목에 대해서만, 만족도의 '시설 및 접근성', '매장 이미지'의 항목에 대해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광주지역의 패밀리레스토랑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여 이용고객의 의사결정과정을 이해하고, 그 결과로 이용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 줌으로써 장기적인 이익과 성장을 추구하고 실제로 전체적빈 속성들 중에서 지역적인 특성이나 업체의 실정에 맞는 마케팅 활동을 시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people's living standards improved in step with the national economic growth, there arose temporal economic margin. Then, it shows the trend of change of scale-up industrialization in the dining out industry according to the change of dietary habits (or the people. Accordingly, the modern dining out industry came out from the national policy classified as consumption-oriented industry ago because of the increase of relative importance occupied socially economicall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t becomes a part of industry that contributed to the national economy now. The domestic dining out industry has shown impressive growth by the change of social economic conditions like the people's demand and the change of their values with the introduction of overseas famous brand in the dining out industry through the several international large-scaled events with the 1980s.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grasp the selective attributes that the customers use the family restaurant, leading the dining out industry backed up by this change. And, it is to be meaningful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purchase decision making of the customers who use the family restaurant. Also, there arose a lot of changes as a family restaurant like a chain store entered into Gwangju city where the regional dining out industries before. This study is to select T.G.I. Friday's, the first family restaurant as a chain store in Gwangju city as an object research because it was considered as more dining out industries would enter into Gwangju city.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ncrete subjective as follows. First, it is to make the dining out industry, family restaurant, chain management, and selective attributes, etc. conceptualized and described, and prepare for the frame of empirical test. Second, it is to analyze and describe the general features of customers who use the family restaurant. Third, it is to analyze and describe the usage behavior of the customers who visit the family restaurant. Fourth, it is to analyze the usage motive according to the usage behavior of family restaurant. Fifth, it is to analyze and describe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hen they visit according to the usage behavior of family restaurant. Sixth, it is to analyze the result that the usage motive affects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Seventh, through this research, it is to suggest empirical results that the analysis of process of purchase decision making of the customers who use the family restaurant will be meaningful research, and that can be used in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y like market segmentation, market development, and menu development. etc. in practical business. As for the analytical method about the empirical analysis, it used SPSS for window 1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features of customers who visited the family restaurant, it showed that it occupied most of college women who earned below 1 million w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age behavior of customers who visited the family restaurant. it occupied below 3 times in the monthly average usage numbers, below 15~30 thousands won in the monthly average dining out expenses, and the recommendation by the suburbs most. Also, it occupied a friend most as a companion when visiting the family restaurant, and the people themselves made a decision most for visiting there. In addition, it presented that it occupied 1-2 hours in the usage hours, 19-21 hours in visiting hours, and buses i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for visiting.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usage motive of family restaurant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there aros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o items like 'Reception and Cultivation of mutual friendship' by the educational level and 'Economy of time' by the sex. Fourth,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hen visiting the family restaurant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there aros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o items like 'Facilities and accessibility' whether the possession of automobiles and 'Store image' by the educational level. Also, there aros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ilities and accessibility' by the earnings level.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ults that the usage motive affected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here aros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Entertainment' among the usage motives.(Except for an item,'Store image') There aros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nu and price' in the degree of importance about the 'Economy of time' among the usage motives. And, there aros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bout the 'Atmosphere' among the usage motives.(Except for an item, 'Quality of services' in the degree of importance) Also, there aros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 item like 'Facilities and accessibility' by the degree of importance about 'Reception and Cultivation of mutual friendship' and two items like 'Facilities and accessibility' and 'Store image'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mong the usage motives. On a basis of research result,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that the family restaurant in Gwangju area are going, and understand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of the usage customers. As a result, it needs to pursue the long-term profits and growth by making the usage customers' needs satisfied. And, it needs to execute the marketing activities adequat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r the actual circumstances of industries among the total attributes.

      • [成唯識論]에 나타난 轉依개념

        최원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좀처럼 외따로 떨어져 나와 있다는 느낌을 떨쳐버리지 못한다. 이러한 ‘분리’의 느낌은 모든 불안과 두려움이 생겨나는 근원지이다. ‘분리’되어 있다는 것은 우리의 능력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 곧 세계를 완전하게 파악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는 어떤 ‘제약’ 혹은 ‘악(惡)’의 지배하에 놓일 수밖에 없다. 그로 인해 우리 내부에서는 ‘완전한 존재’ 가 되고자 하는 바램, ‘진리와 하나’가 되고자 하는 강렬한 열망이 서서히 자라나게 되고, 어떻게 자신의 개체적 생명이 지니는 한계를 너머 진리와 하나되는 질적 변혁이 가능한가라는 물음이 생기게 된다. ‘유식(唯識, Vijn~apti-ma ̄tra)’의 입장에서 바라볼 때, ‘분리’되어 있는 세계의 현실은 우리의 마음 안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지나지 않는다. 그렇게 세계를 빚어내는 우리 마음의 기저에는 모든 사물과 관념들이 떠올랐다 사라지는 ‘아뢰야식(阿賴耶識, a ̄laya-vijn~a ̄na)’이라는 토대가 있다. 이 ‘아뢰야식(阿賴耶識)’은 근본적으로 주관(見分, 能取, gra ̄haka)·객관(相分, 所取, gra ̄hya)이 분리되는 방식으로만 존재한다. 따라서 유식(唯識)의 시선으로 바라볼 때, 우리가 말한 ‘분리’의 근원은 바로 ‘아뢰야식(阿賴耶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토대가 되는 식(識, Vijn~apti)으로부터 다섯 가지 감각적 인식과 여섯 번째의 분별(分別) 의식이 생겨나서 세계를 감각적으로 혹은 개념적으로 가르고 쪼개며, 거기에 덧붙여 말나식(末那識, mano-vijn~a ̄na)이라는 자기 중심적 의식이 나와서 ‘나’와 ‘세계’를 대립시킨다. 이 과정에서 갖가지 번뇌와 고통이 생겨나고 그로 인해 우리는 업(業, karma)의 연속으로 빠져든다는 것이다. 결국 ‘아뢰야식(阿賴耶識)’으로서 이해된 인간은 끊임없이 불만과 두려움을 느끼지 않을 수 없는 존재가 되어버린다. 그러나 이 아뢰야식(阿賴耶識)은 ‘분리’가 일어나는 근본 장소이면서도 동시에 그러한 분리(分離)의 극복이 이루어지는 바탕이기도 하다. 유식(唯識)에서는 이러한 분리(分離)가 사라지는 극적 변혁의 순간을 ‘전의(轉依, asraya-parivrtti)’라고 표현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 ‘전의(轉依)’ 개념을 중심으로, 인간이 어떻게 분리와 대립을 넘어서서 진리에로 나아가는가를 다루었다. 앞서 말했듯, 아뢰야식(阿賴耶識)은 사물의 본래 모습을 왜곡시킴으로써 생긴 차이를 바로잡는, 다시 말하면 왜곡된 우리의 시선을 올바로 맞춰서 세계 본래의 모습(實相)을 볼 수 있게 해주는 근거지로도 이해되고 있다. 문자적 의미로 보면 ‘전의(轉依, asraya-parivrtti)’란 ‘의지하고 있는 곳(依, asraya)을 바꾼다(轉, parivrtti)’는 뜻이며, 여기서 의지하고 있는 곳이란 바로 아뢰야식(阿賴耶識)을 말한다. ‘아뢰야식이라는 의지처를 질적으로 변혁시킨다’는 것은 결국 전과는 아주 다른 방식으로 세계와 내가 드러나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유식(唯識)에서는 ‘이전과 다르게 드러난 실상 그대로의 세계’를 ‘원성실성(圓成實性, parinispanna)’이라 하는 반면에, 이전의 거품처럼 부풀려지고 뒤틀린 세계를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 palikalpita)’이라 한다. 아뢰야식(阿賴耶識)은 바로 그 뒤틀림이 풀어지고 실상이 드러나는 토대 자체로서, ‘의타기성(依他起性, paratantra)’이라고 한다. 이 세 가지 용어로 ‘전의(轉依)’의 구조를 틀거리 지운다면, 결국 ‘의타기성(依他起性)’인 ‘아뢰야식(阿賴耶識)’이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의 거품을 벗겨내고 ‘원성실성(圓成實性)’의 본래의 모습으로 되는 것이다. 즉 우리의 세계는 ‘의타기성(依他起性)’위에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의 방식으로 매달려 있고, 그 허상의 모습을 던져버린 후에야 본래의 모습을 온전하게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의타기성(依他起性, paratantra)’이란 ‘다른 것에 의지해서 일어나는 식(識)’이다. 이 세상에 완전히 아무것도 없다고는 할 수 없고, 미혹에서 깨달음으로 전환되는 토대로서, 먼 옛날부터 다른 것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식(識)’은 이어져 왔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실재 온전한 세계를 더 커다랗게, 혹은 아주 왜소하게 굴절시키는 우리도 모르는 여러 가지 ‘힘’들이 미치고 있다. 이로 인해 세계는 점점 언어화되고 사물화되면서 인간의 오해와 욕망은 더욱 증폭(增幅)되어간다. 그 결과 ‘식(識)’이라는 토대 위에 오직 ‘인간적 오해와 편견에 의해서 일정하게 드러난 세계’ 즉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 palikalpita)’이 덧붙여진다. 이것은 오해와 편견에 의해 구성된 세계로서 본래의 실상을 가리는 단순한 허상이므로 실재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 모든 뒤틀림이 사라지고 ‘오직 식(唯識)’일 뿐이라는 것이 알려질 때 그런 상태 자체가 ‘원성실성(圓成實性, parinispanna)’이다. 위에서 언뜻 나타났듯, ‘변계소집(遍計所執)’에서 ‘원성실(圓成實)’로 나아가는 문제, 다시 말하면 진리의 세계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다시 진리의 세계와 하나되는 문제는 결국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의 세계를 이끌고가는 ‘힘’인 ‘추중(□重, daustholya ̄s´raya)’을 어떻게 떨궈내느냐에 달려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우리의 행위를 이끌고 가는 동인(動因)이기 때문이다. ‘아뢰야식(阿賴耶識)’이라는 정원(庭園) 안에는 과거의 행위들이 남긴 흔적이 ‘거친 씨앗’의 형태로 안에 남아 있는데, 그것이 ‘추중(□重)’이다. 그 힘은 너무 막강해서 어느 때고 집착의 힘을 빌려 끊임없이 우리를 휘저어 놓는다. 더구나 그것은 모든 ‘번뇌(煩惱, kles´a)를 띤(有漏)’ 행위를 일으키는 원인이면서도 현재 일어난 행위들에 의해 더욱 더 무르익어 간다. 이 ‘추중(□重)’은 ‘내가 존재한다’는 아집(我執)에서 생기는 ‘번뇌장(煩惱障, kles´a-a ̄varana)’과 ‘알아야 할 바를 모르는’ 데서 생기는 소지장(所知障, jn~eya-a ̄varana)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실재보다 확대된, 여분의 환상이 꿈틀거리는 상상의 공간에서는 욕망은 배가되고 정념은 몇 배나 끓어오르기 때문에 심신(心身)의 고통이 뒤따르게 된다. 또한 숱한 오해와 그릇된 견해가 판을 치면서 진리에 대해 눈 멀게 만든다. 그 결과 인간은 점점 더 겉잡을 수 없는 거짓 환영의 무리 속으로 빠져들며 고통스러워 하게 된다. 그러나 언젠가 그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결연한 의지’와 ‘선한 바램’이 서서히 나타나기 마련이고, 그것을 이루어주는 ‘번뇌(煩惱, kles´a) 없는(無漏)’ 씨앗들이 성숙하게 된다. ‘유식(唯識)’에서는 번뇌(煩惱, kles´a)를 띤 씨앗이든 번뇌 없는 깨끗한 씨앗(無漏種子)이든 과거로부터 우리 안에 있었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추중(□重, dausthuly)’이 사라지고 점차로 ‘번뇌(煩惱) 없는’ 씨앗들이 드러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는 유식(唯識) 수행자들이 진정으로 무엇을 극복하고 다시 무엇을 실현하려 했는가를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이제 우리는 본격으로 ‘전의(轉依)’를 다루는 단계로 접어든다. 유식(唯識)에서는 현실적 문제로서 우리의 절망적인 상태를 직시하여, 인간의 마음은 그대로 내버려두면 욕망이 일어나는 대로 행위하고 그로 인해 또다른 고통을 불러들인다고 보았다. ‘식(識)’의 존재만을 인정하는 유가 수행자들의 입장에서는 ‘더럽게 물들어 있는 거친 씨앗들(□重)’을 깨끗하게 씻어냄에 따라 그릇된 행위의 순환으로부터 ‘완전한 자유’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앞에서 말한 ‘전의(轉依)’의 완성은 결국 ‘추중(□重)’의 극복 과정과 동일하며, 구체적으로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障)’을 제거함으로써 심신(心身)의 편안함과 완전한 지혜를 드러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 짐작할 수 있듯이, 유식(唯識) 수행자들은 단순히 번뇌(煩惱)의 제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완전한 앎을 가능하게 하는 지혜를 얻음으로써 진리와 하나되고자 하는 궁극적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본 논문 III장에서 논의된 다섯 가지 수행의 길에서도, 번뇌(煩惱)의 소멸과 지혜의 완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가 동시에 다루어지고 있다. ‘자량위(資糧位, sambhara-vastha)’에서는 크게 마음을 낸 뒤 자신의 신념을 위해 고난을 견뎌낼 수 있는 밑천들을 쌓아가고, ‘가행위(加行位, prayog-vastha)’에서는 집중적으로 인식 주체(能取, gra ̄haka)와 인식 대상(所取, gra ̄hya)이 단지 마음의 나타남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관찰하며, ‘통달위(通達位, prativedha-vastha, darsanamarga)’에서는 ‘모든 것이 오직 마음에 지나지 않는다’는 관념마저도 사물화시키지 않게 됨으로써 유식(唯識)의 진리를 깨닫게 된다. 이 과정에서 ‘번뇌 없는’ 지혜가 생겨나서 거칠고 조악한 장애들이 끊어지게 된다. 그러나 진리를 보았다 해도 우리의 몸 깊숙이 뿌리박혀 있는 ‘태어나면서부터 갖고 온 번뇌(俱生起)’들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그 ‘구생기(俱生起)’의 번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아는 것에 머물지 않고 그렇게 살고자 하는 결연한 의지가 필요하다. 그것은 행동으로 드러나야 하고 생활 속에 뿌리내려져야 한다. 곧 더욱 혹독한 ‘자기 정제’의 수행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제 ‘수습위(修習位 bavana-vastha, bhavanamarga)’에서는 번뇌 없는 지혜의 씨앗들이 더욱 무르익어, 드디어 ‘의식(意識, 제6식)’과 ‘말나식(末那識, mano-vijn~a ̄na)’의 ‘전의(轉依)’가 완전하게 이뤄지고 묘관찰지(妙觀察智, pratyaveksa ̄jn~a ̄na)와 평등성지(平等性智, samata ̄jn~a ̄na)를 얻게 된다. 우리가 둘로 가르는 분별 의식과 ‘자아’라는 그릇된 관념으로부터 자신을 해방시키면 마음 깊은 곳에서 내면의 빛과 같은 지혜들이 완전히 일깨워진다. 즉 다섯 가지 감각과 아뢰야식(阿賴耶識)의 전의(轉依)가 마저 이뤄짐으로써 성소작지(成所作智, krtya^nustha ̄najn~a ̄na)와 대원경지(大圓鏡智, a ̄dars´ajn~a ̄na)를 이루고, 드디어 내면의 질적 변혁(變革)은 완성된다. 이 깊은 곳의 지혜를 충분히 일깨웠을 때, 마치 크고 맑은 거울처럼 우주 구석구석까지 모든 존재를 그 속에 떠올려 아는 상태가 된다. 아뢰야식(阿賴耶識)의 전의(轉依)란 결국 우주 전체가 근본적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뜻한다. 이 신비스런 상태 속에서 비로소 우리는 ‘흠이 없는 기쁨’으로 가득찬, 본질적으로 진리 그 자체인 붇다의 ‘법신(法身)’과 하나된다. 이것이 바로 ‘구경위(究竟位, nistha-vastha, dharmakaya)’이다. From the view of the "Only-Consciousness", our "divided" reality is nothing but the occurrences in the mind, which is the underlying structure of molding the world. There lies, in the mind, the "alaya-vijnana" which appears and disappears repeatedly. This "alaya-vijnana" exists only as a divided state either objectively or subjectively. Therefore,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nly-Consciousness", the "division" we mentioned results from this "alaya-vijnana". Coming from "Consciousness"(vijnana), five sensitive consciousness and the sixth judging consciousness split the world either in their sensitive or conceptual ways. Furthermore the self-conscious "mano-vijnapti" is added to these six consciousnesses, and it estranges "I" from the world. The "vexing-passions"(klesa) and the agony are formed in this entire process of "consciousness". It is believed that man is to fall into the endless series of "karma". In other words, if we understand "man" as the accumulated seeds(bijas) in "alaya-vijnana", man should be the self-conflicting "being", who feels pain and fear without an end. This "alaya-vijnana" is the ground where the "division" occurs. But it is also true that this ground is the same place the "alaya-vijnana" conquers the "division" over and become transformed(or converted) in its own quality. According to the "Only-Consciousness", the dramatic moment of this conversion is called the "asraya-parivrtti". In this thesis we will discuss, from the perspective of this "asraya-parivrtti", how man can develop from this "division" and "strageness" into the real "truth". The "differences" are distorted aspects from the true state of the thing. As we previewed above, the "asraya-parivrtti" can correct man's insight, and then man is able to perceive the true state of the thing. The "Asraya-parivrtti", in its literal meaning, is to change(parivrtti) the depending post(asraya). And the depending post in this context is the "alaya-vijnana". Therefore, the "asraya-parivrtti", converting the quality of its depending post, can be understood that the world and "I" perceive each other through the totally changed manner from the way before. In the "Only-Consciousness", 'the true state of the world itself' is termed as the "parinispanna" while the "palikalpita" refers to the world before it goes under transforming, constantly distorted or in the state of fluxing. "Asraya-parivrtti" is the ground where this distortions are raveled and reveal itself in a real state, so it can be called "paratantra". If we understand the meanning of the "asraya-parivrtti" in the relations of these three terms, the "alaya-vijnana" which is the "paratantra" converts itself into a true state of the "parinispanna" by divesting the crust of the "palikalpita". After all, as our world stands upon the "paratantra" in the shape of the "palikalpita", we can achieve the genuine perception of the true state of a thing only after we get away those illusiory aspects. The "nature of dependence on others"(paratantra) is the "consciousness" that comes through the dependence on others.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nothing perfect in the world, so the "consciousness" has been the traditional way of our depending on something if we want to get a realization out of illusions. But there also exist lots of unknown "powers" in the midst of our dependence, and they distort the world smaller or bigger than it is. And the more the world becomes structured and materialized, the wider man's misunderstanding and desire expand. As a result, the "consciousness" is covered with the "nature of mere-imagination"(palikalpita), the world represented only through the misconception and prejudice of man. It is by no means the true state of the world because it is formulated by the illusions of misconceptions and prejudices. Therefore the "nature of ultimate reality"(parinispanna) is achieved only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Only-Consciousness", in which all those distortions are overcome. As we put forward above, the problem of advancing from the "palikalpita" toward the "parinispanna" is nothing but the problem of getting into the wholeness with the world of truth out of this divided world, where the truth is fragmented in so many ways. And that absolutely depends on how to emancipate from the "dausthulyasraya" because it is the power that leads the world of "palikalpita", so our behaviors are mainly motivated from it. The "dausthulyasraya" is, as it were, the 'raw seed' in the garden of the "alaya-vijnana" which contains all the behaviors of the past. The "dausthulyasraya" is so powerful that in the form of the attachment it endlessly makes us distressed. And not only it causes every "klesa" of man, but it insistently becomes effective in the present behaviors that happen. This "dausthulyasraya" can be sub-categorized in the "klesa-avarana" and the "jneya-avarana". The former comes from the obstinacy that 'I' do exist, and the latter means the ignorance of something which one should know about. In a magnified fancy, or in a swelling illusory, man increases his desires, and his passion becomes blown up without limits. This naturally brings endless pains both in the body and the mind. And it entails lots of misunderstandings and prejudices in their full play, and leads to the blindness against truth. Consequently man is to desperately fall into the dark abyss of the immense illusions. But this is not the end of all. Gradually in the depth of those illusions there rise a 'fortitudinous will' and a 'good wish' coming from the "mature seed without klesa". In "Only-Consciousness", whatever the "seed" is full of "klesa" or pure without klesa, it is the very place where the past remains. we can get, from the entire process where the "dausthulyasraya" is extinguished out and then the "seed without klesa" slowly reveals itself, something concrete. Those are what the ascetic seekers in "alaya-vijnana" try to overcome, and wish to bring forth. "Only-Consciousness" can have a insight into man's desperate situation, and consider man's mind as a state which causes man to run after his desires and then to suffer from its resulting pain. The ascetics who have a belief only in the "vijnana" explain that, from the recurrent cycling of bad behaviors, man can achieve the 'perfect freedom only after purifying the 'raw seed of stained or rusted behaviors'. The completion of the "asraya-parivrtti" mentioned earlier implies the whole process to overcome the "dausthulyasraya" after all. Specifically, that process involves to manage out both the "klesa-avarana" and "jneya-avarana", so to get the peaceful state of body and mind and to discover the world of the true wisdom. Therefore it is inferred that the ascetics of the "Only-Consciousness" do not linger merely on the emancipation from the "klesa", but keep advancing toward the ultimate goal of obtaining the genuine wisdom and consequently of being in such a unified state with the truth. In the third chapter of this thesis, we will discuss five stages of asceticism, considering them with the relations of two ultimate goals, the removing the "klesa" and the achieving the genuine wisdom. Of all the five stages of asceticism, the first is the "stage of moral provisioning" (sambhara-vastha), in which man is to open up the mind generously, and accumulate the energy(source) as great as possible for enduring the trials against his belief. In the second "stage of intensified effort" (prayog-vastha), man should repeatedly give intensive effort to have an insight that all the "grahaka" and "grahya" are nothing but the temporary images on the mind. Reaching the third "stage of unimpeded, penetrating understanding" (prativedha-vastha, darsanamarga), man can realize even the last stage's insight, that is, the conception that 'everything depends on the state of mind' should not be materialized if he is to go further into the truth of the "Only-Consciousness". In the process of these stages there emerges the wisdom "without klesa", so man can be relieved of the coarse and miserable disturbances. But though man is able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the light of the truth, the "innate klesa" inscribed in the deep skin of our body is not to be destroyed away at one stroke. To extinguish the 'inborn klesa' out, it is required to cross over the limit of the mere knowledge by the one's strength of the stoic will to follow the truth. Truth should come in the form of real behaviors, and in rooting it firmly in the every aspect of lives it demands the strict practicing of 'self-purification'. And in the fourth "stage of exercising cultivation"(bavna-vastha, bhavanamarge), the "seed of wisdom without klesa" is fast ripening, the 'consciousness' and 'mano-vijnana' are accomplished, and finally man can achieve the "profound contemplation wisdom"(pratyaveksajnana) and the "universal equality wisdom"(samatajnana). If we could release ourselves from the dividing consciousness and the mis-oriented concept of "I", we can truly realize the genuine wisdom like a radiant inner light of our mind. The five senses and the "asraya-parivrtti" are eventually finished in the "perfect achievement wisdom"(krtyanusthanajnana) together with the "great mirror wisdom"(adarsajnana), and in the long run the conversion of the inner quality becomes completed. The fullest realization of the inner wisdom leads to an perfect understanding, like the greatest and the clearest mirror, of every being in the entire universe. After all, the "asraya-parivrtti" of the "alaya-vijnana" means that the whole universe transforms itself in its fundamental basis. In the very mystic state of this perfect transformation, we can unite in the immaculate rejoice with Bhudda, the truth itself. And this is the final "stage of ultimate realization"(nistha-vastha, dharmakaya).

      • 성과공유제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최원호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studies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the benefit sharing system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the benefit sharing system policy in operation to expand the win-win cooperation and to resolve polarization between large and small companies, and to study whether the benefit sharing is working realistically. At the beginning, We identify the definition and type of benefit sharing and investigate related pilot study. In the main topic, we checked the overall operation status of the benefit sharing currently being promoted, and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benefit sharing was operated mainly in cashability and single-shot. Based on this, the qualitative effects of the individual benefit sharing confirmation task were analyzed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survey response on what nature of the task was effective, such as the type of benefit sharing, benefit sharing method, and the main efforts of the introducing company. The analysis confirmed that non-cashability tasks, both in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sectors, were helpful, and that cashability tasks produced poor results from a new product or technological enhancement perspective. As confirmed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focus more on increasing technologies that can pursue mutual development in the long term rather than the cashability and single-shot direction currently in operation. 본 연구는 성과공유제 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을 연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 관계를 확대하고 양극화를 해소를 위해 정부에서 운영중인 성과공유제의 현황을 확인하고 관련업체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각 기업에서 진행하고 있는 성과공유제가 현실성 있게 운영되고 있는지의 여부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이 무엇인가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입부에서는 성과공유제의 정의와 유형을 파악하고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하였다. 본론에서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성과공유제의 운영 현황 전반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현금성, 단발성 위주로 성과공유제가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성과공유 유형, 성과공유 방식, 도입기업의 주된 노력 등 어떠한 성격의 확인과제가 효과적이였는지에 대해 설문응답에 기초하여 개별 성과공유 확인과제의 정성적 효과를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무적 부분과 비재무적 부분 모두 비현금성 과제가 도움이 되며, 신제품 혹은 기술력 향상 관점에서는 되려 현금성 과제가 좋지 않은 결과를 도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바와 같이, 성과공유제의 방향성에 있어 기존 운영되고 있는 현금성, 단발성 위주의 방향보다는 장기적으로 상호발전을 추구할 수 있는 기술의 증대 부분에 더욱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열전도성 플라스틱을 이용한 LED 조명의 방열 설계에 관한 연구

        최원호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열전도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LED의 히트싱크 구조를 최적 설계하는 것이다. 열전도성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방식보다 30~40%의 중량감소가 가능해지며, 제품성능 향상 및 자유로운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열전도 플라스틱 소재는 금속 소재에 비해 열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방열성능이 떨어져 열에 대한 문제점이 예상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열전도성 플라스틱 소재의 장점인 우수한 성형성을 활용하여 방열효율이 극대화 될 수 있는 Heat-sink 구조를 최적설계 하였다. HeatsinkDesigner를 사용하여 핀의 개수, 두께, 베이스 두께를 고려한 최적화된 방열판을 설계하였다. 또한 솔리드 웍스 플로우 시뮬레이터 및 열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최적의 히트 싱크의 열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핀의 개수는 22개, 핀의 두께는 1.5mm, 베이스 두께는 3.8mm 이다. 히트싱크의 무게는 310g, 최고온도는 64.93, 최저온도는 45.96 이다. 열전도성 플라스틱 방열판의 낮은 열전도도로 인하여 알루미늄 방열판보다 최고 온도는 14.3℃도 높고, 최저 온도는 2.19℃ 낮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study will design the structural optimization of 30W LED heat sink using the thermal conductive plastic materials. The advantages of thermal conductive plastic heat sink are having various designs and being able to lighten products. A heat sink was optimized in terms of the number, and the thickness of fins and the base thickness of the heat sink, using the HeatsinkDesigner software. Also by using SolidWorks Flow simulation and thermal analysis software,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heat sink were analyzed. As the result, the optimized heat sink has 22 fins, which are 1.5mm thick and a 3.8mm-thick base. The weight of the heat sink was 310g, and the highest and the lowest temperature were 64.93℃ and 45.96℃ respectively. Because of the low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hermal conductive plastic, the highest and the lowest temperature of the thermal conductive plastic heat sink were 14.3℃ higher and 2.19℃ lower respectively than an aluminum heat sin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