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조선 후기 지식인의 주체와 타자 인식의 문제 -항해 홍길주의 「석몽(釋夢)」과 「석몽(釋夢)」계(繫) 분석을 중심으로-

        최원경 ( Won Kyung Choi ) 우리한문학회 2011 漢文學報 Vol.24 No.-

        조선후기 말엽, 지식문화의 변화로 지식인들의 세계인식 확장과 더불어 자기 존재 방식에 대한 고민들이 생겨났다. 그리고 여러 방식을 통한 지식 교류로 흡수된 다양한 지식 정보에 의한 지배적 가치 기준에 대한 논란이 생겨났고, 인간 존재로서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하는 방식 등에 대한 깊은 고민이 야기되었다. 이러한 인식 사유 구조가 조선 후기 문사들의 인식 체계에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인식 사유 구조에 대한 평가 중에, 홍길주의 작품은 ``이것과 저것``, ``古와 今``에 관하여 상대주의의 색깔로 평가받고 있으나, 그 안에는 어떤 이상적 가치지향점이 분명 존재한다. 그 지향된 가치의 산물로 「釋夢」과 「釋夢」繫에는 문장의 이상향인 <중원>이 등장한다. 이 <중원>의 성격은 다소 논쟁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중원>은 자기 동일성의 확장이 아닌, 전혀 다른 반대 성질의 것(타자)도 흡수할 수 있는 아우름과, 정해진 것 없는 그 자신만의 특색이 함께 공존하는 그의 이상향의 표현이었다. 그런데 이것은 꿈을 통해 실현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문제점을 드러낸다. 본고는 개별적인 깨달음과 개인이 꾼 꿈의 세계는 기본적으로 타인과 소통이 불가능한데, 홍길주가 왜 그토록 깨달음의 경지에 관하여 반복적으로 표현하고 싶어 했는지, 또 어째서 꿈의 세계에 늘 타인을 등장시키는가 하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이것은 그가 찾는 이상적 문장의 세계로 가는 여정에서 생기는 문제라고 파악하였고, 이것을 「釋夢」·「釋夢」繫를 통하여 보다 다각도로 검토하고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이 작품 속의 문장론은 이상적 세계에 대한 존재 증명 문제에 관하여 생각해 볼 내용들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꿈을 통해 형상화된 그 이상적 세계는 그에 대한 긴 설명이 필요한 만큼, 이것을 찾기까지 작품 속에 드러나는 고민의 과정과 그 흔적에 의미가 있다. At the end of the Chosun (朝鮮) Dynasty the leading intellectuals tried to expand their perception of the world and were searching for a way to find the existentialistic view of themselves. This caused a controversial change in the major and dominant standards on how value was perceived. The outcome of the changes led to a different definition of value and it was reflected in some literary works by Hong, Gilju(洪吉周). His description of the Joongwon(中原) was that of an ideal world where all of the best writings were integrated in the most profound conditions possible. He believed that the writings and philosophy he described proofed to be the meaning of his own existence. But a character of this world is argumentative, because it includes both universality and thisness. The universality of this world does not only mean that self identification will become extended but it can even absorb the other character as a whole. The world Hong Gilju had founded was given to him by a dream. But is it possible that both individual enlightenment and individual dreams can be communicated by others then oneself? Hong Gilju(洪吉周) repeatedly tried to let other people come into his dreams and let them encounter his stage of enlightenment. The theory of Hong Gilju is a metaphor and the proof of his own existence. And that theory explains his ideal world which is embodied through the dream in its self existing way.

      • KCI등재

        항해 홍길주 散文 一考

        최원경(Choi, wonkyung)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9 No.-

        항해 홍길주의 문집에는 59편의 送序와 書簡文이 실려 있다. 기존 연구에서 이 작품들은 홍길주의 교유관계를 드러내거나, 그의 문장관을 분석할 때 주로 언급되었다. 본고는 홍길주가 지인에게 보내는 여러 글들 중, 내용과 형식면에서 문학적 지형을 넓힌 부분을 골라 분석한다. 그의 송서와 서간문 등을 살펴보면, 수신자들의 특징이 하나로 귀결되는 점이 있으며, 홍길주가 그들에게 전하는 메시지에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 있다. 특히 서간문에서는 다른 문인들과 소통하기 쉬운 성격의 작품 보다는 유독 실험적인 저술에 관하여 적극적으로 언급하고 있으며, 이것을 표현하는 방식도 파격적이다. 우리는 이 글들의 수신자의 특징, 홍길주가 그들에게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 그리고 홍길주의 실험적인 작품에 대한 편지글의 내용과 방식 등을 설명할 때, 모두 일맥상통하는 하나의 가치관과 연결하여 이야기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하면, 작은 것과 큰 것이 지닌 의미에 대한 해석, 중앙과 변방・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에 대한 홍길주의 해석, 기존의 글쓰기와는 다른 실험적 글쓰기의 의미 등이 모두 같은 맥락에서 설명될 수가 있다. 이러한 송서와 서간문 등과 같이 홍길주가 지인에게 보낸 여러 글들을 통해서도 우리는 그의 확장된 글쓰기의 면모와 세계관을 확인해 볼 수가 있다. Hong Gil-ju s collection of writings contains 59 letters and articles that were sent to a friend who left to someplace. These works were mainly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when revealing Hong Gil-ju s relationships he had or when analyzing his view of writing. This paper selects and analyzes works that show literary expansion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among various writings sent by Hong Gil-ju to his acquaintanc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ipients of these articles can be said to be nonmainstream of that time. Nevertheless, his message has important contents in the letters he wrote to them. And in his letters, he actively expressed his opinion on his experimental writing. When we talk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ipients of these letters and articles, the message that Hong Gil-ju wanted to convey, Hong Gil-ju s experimental work, and the way he conveys it, we can all explain it through one common value. In other words, different ways of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big and the small, deconstruct the difference in concepts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meaning of experimental writing different from existing writing, all can be explained in the same context.

      • KCI등재

        홍길주의 「삼사념(三事念)」에 나타난 재산에 관한 인식-유용(有用)과 무용(無用)

        최원경 ( Choi Wonkyung ) 우리한문학회 2017 漢文學報 Vol.37 No.-

        「三事念」은 홍길주가 재산이라고 인식하는 주요 재물과 기물에 관한 기록이다. 본 논문은 홍길주가 생각한 재산의 범주를 땅, 농지, 그곳에서 나오는 모든 수확물을 포함한 일반적인 재물과 재산이 될 수 있는 여러 기물들을 통칭하는 것으로 보았다. 삼사념의 도입부에 “덕의 밑천이 되는 것은 재물(資德曰財)”, “도를 도와주는 것은 기물(輔道曰器)”이라고 구분하고 있으며, 「삼사념」이라는 이름 아래 체계적으로 이들을 분류하여 기록하였기 때문이다. 「삼사념」의 ‘三事’는 正德·利用·厚生과 관련이 깊다. 「삼사념」의 내용은 三事, 곧 正德·利用·厚生이 상호 유기적이고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는 소유한 재산들로 덕을 쌓는 것이라고 여겼고, 일상에서 사용하는 각종 도구들은 도를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치를 지닌 것들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삼사념」의 내용들은 홍길주가 재산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추측할 여지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삼사념」에는 재산에 관한 기록과 더불어, 작가의 상상의 소산물인 듯한 매우 기이한 기물들에 대한 글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들을 통해 홍길주의 재산에 관한 인식과 더불어, 그가 생각한 재산의 범위와 그 성격과 용도 등을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재물, 기물들에 관한 기록이 어떤 양식을 통하여 구현하였는가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삼사념」이 수록되어 있는 『숙수념』이 당대 지식인들과의 많은 교류와 지적 자극에 의해서 저작된 것으로 보이는 만큼, 그 안에 담겨있는 신선한 내용과 기록하는 양식의 의미 등을 당대 다른 작품들과도 비교할 수가 있다. 홍길주는 재물의 사적인 축적을 용납하지 않고 대부분 공공의 목적에 부합하는 재물과 기물들을 사용할 것을 피력하였다. 더 나아가 그가 인식한 재산은 물질적인 것뿐만 아니라, 지적인 영역의 것들도 포함하고 있어서, 지식인으로써의 재산으로 성격이 규명될 수가 있다. 그는 여기에 그 실용의 범위가 상상을 초월하는 기물들에 관한 이야기를 銘文 혹은 序文 등의 형태로 기록하였는데, 그 내용이 매우 독특하다. 이 작품들 속에는 남에게 베풀 수 없는 지점, 극도의 유용함으로 포장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사용되지 못하는 무용과 잉여의 것들에 관한 내용들도 있어서 시선을 사로잡는다. Samsanyeom三事念 is the documented evidence of the major assets and goods that Hong Giljoo recognized as his property. Hong Gil-joo his views on general property and the way he categorized it as such are some of the elements this paper will examine. In this viewing, it includes land, agricultural land, all of the cultivated crops, and a variety of objects that can be named as a form of property. “Wealth support both virtue and the tool (goods) helps the Dao(道)”, was one of the claims Hong made in the earlier sections of his writing. Hong has been classified and recorded systematically under the name of 三事念. Samsa三事(Three things) means Jeongdeok,正德(Establish virtue right away), liyong利用·(use profitably) and housheng厚生(promotion of public welfare). The content of the 三事念 shows that these three elements have a mutual, organic and close relationship. The means of achieving the Dao道 was related to the use of ordinary daily tools. Building upon that, Hong believed virtue could be constructed out of regular possessions and belongings. However, the overall content of the 三事念 provides room for speculation on how Hong perceived property. What can be pointed out when observing the overall intention and contents of Hong when it is revealed through the 三事念? The documentation regarding objects with a more specific character, referring to wealth, goods, and tools to support his virtues should, therefore, be examined. We can find more evidence in the 三事念 involving the meaning of property. Although rather unusual articles that seem to be the product of the artist's imagination can be found in the writings as well. To identify to what extent property has been recognized, the way it has been characterized, and to which purpose, distinct forms of documentation on how wealth and objects are being implemented should be notified as such. Even though the 三事念, which is a chapter of 「Sukssunyeom孰遂念」, has been authored by many exchanges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with the intellectuals of that era, it is possible to compare its contents and the meaning of the writing style with other contemporary works. Hong did not tolerate his private accumulation of wealth, instead, he expressed the use of wealth and goods in accordance with the public purpose. In his view, the claim of property went beyond the realm of tangible goods. It also touched upon the intellectual domain and it is, therefore, characterized and identified as the property of the intellect. The documentation of the objects, beyond the imagination of the practical scope, in the form of an inscription or an introduction, is rather unique. Hong’s works are seemingly extreme useful. Nevertheless, the naked truth reveals the content to be useless and the surpluses can actually not be used.

      • KCI등재

        2008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영어교과서 어휘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어휘 규정에 대한 제언

        최원경(Choi, Won-Kyung)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13 영어교육연구 Vol.25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ly-used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which were qualified in 2010 and 2011 under the present national curriculum, in an attempt to discuss their lexical aspects and limitations and suggest ideas for amending guidelines of vocabulary use in the textbooks. In order to attain this research goal, this study examines a total of 21 qualified textbooks using corpus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variations of vocabulary use in the fifth and the sixth grade textbooks. In the meantime, hierarchical discrepancies are found from the third to the sixth grade textbooks throughout the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makes hνo suggestions on the guidelines of vocabulary use. First, it claims that the wordlist which is strongly recommended for elementary level should be magnified, and instead, its mandatory use should be expanded from 75 percent to 90 percent or above to enhance the best effect of vocabulary control. Second, it also proposes that hierarchical wordlists should be presented to narrow the gaps between the grades. These nνo suggestions are to point to a right direction for the textbooks published in the future, with cautiously amended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VR 기반 영어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정의적 영역 효과 탐색

        최원경(Choi, Wonkyung)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21 초등영어교육 Vol.27 No.4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particularly increasing interest in applying state-of-the-art digital technology such as VR (virtual reality) to the educational field amid the COVID-19 pandemic. Despite the high expectation that VR technology might be effective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not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schools.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recognition of and the affective effects on 3rd and 4th grad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VR-based English class. It first shows that almost all participants had already known and experienced VR technology before, and that they expressed great satisfaction with the VR-based English class. Second, the study also shows that participants displayed spatial presence, novelty and enjoyment during the VR-based class. Finally, it demonstrates that VR was modestly effective for some sub-elements of students’ affective domain: the improvement of motivation and confidence. Moreover, the VR-based class was particularly effective for easing students’ anxiety when they speak English.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pedagogical implications not only for the practitioners who are willing to apply VR technology to English language teaching, but also for researchers who are eager for future research regarding VR technology.

      • KCI등재

        AI 챗봇을 활용한 초등영어 과정중심 말하기 평가 : 가능성과 한계

        최원경(Choi, Wonkyung)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20 초등영어교육 Vol.26 No.1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tbots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context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which is one of the main features of 2015 revised English curriculum. The researcher has developed an AI chatbot and implemented a speaking performance test using it for 3rd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results first show that a specific function of the AI chatbot which can track students utterances during the speaking test must be a strong point in process-oriented assessment. It provides teachers with very useful information about students speaking processes as well as performances, which could further be used to help improv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Second, the results of a survey indicate that students are generally fond of interacting with AI chatbots and that their interests in chatbots may motivate willingness to speak in English. However, the results also show some limitations of using AI chatbots in classroom. Despite the breakthrough in AI technology, AI chatbots still have technical problems that may severely harm feasibility of using chatbots in process-oriented assessment, e.g. low accuracy rate of voice recognition. There is also an issue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I chatbot-based speaking test that should be endorsed by futur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AI chatbots should be cautiously applied in process-oriented assessment towards making full use of the state-of-the-art AI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