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군산연안 수질환경의 특성과 장기변동

        박승윤,최옥인,권정노,전경암,조영조,김형철,김평중,박종수,Park, Soung-Yun,Choi, Ok-In,Kwon, Jung-No,Jeon, Kyeong-Am,Jo, Jo-Yeong,Kim, Hyung-Chul,Kim, Pyoung-Joong,Park, Jong-S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5 No.4

        1972년부터 2006년까지 30년 동안 군산연안 수질환경의 특성과 장기변동 경향을 조사하였다. 6개 정점에서 수층(표층과 저층)별 계절별로 년 4회 수온, 염분, 부유물질, 화학적산소요구량, 용존산소, 영양염류에 대해 조사한 결과, 표층수와 저층수 간에는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인산인을 제외한 모든 조사항목에서 표 저층 간의 차이가 컸었다. 공간적 분포특성은 수온과 용존산소 및 부유물질은 정점 간 차이가 없었으나, 그 외 조사항목에서는 정점 간 차이가 컸으며 주성분 분석결과 금강 하구역인 정점 1과 중간해역인 정점 2-4 및 비교적 외해측인 정점 5-6의 세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계절별로는 화학적산소요구량과 부유물질을 제외한 조사 항목에서는 유의성이 입증되었고, 정점별로 차이가 있어 내측은 계절에 따른 변화가 큰 상태이었고 외해측으로 갈수록 변화폭이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24년 동안 수질의 장기 변동은 표층 네 그룹, 저층 다섯 그룹으로 구분되어 항목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기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염분, 수소이온농도 및 용존산소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화학적산소요구량은 불규칙한 변곡선 형태이며, 영양염류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근래에 약간 안정화되었다가 2006년에 다시 약간 증가하는 특징을 보여 경인연안, 아산연안 및 천수만과 마찬가지로 육수 유입의 원인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Long-term trend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d in the Gunsan coastal areas of Yellow Sea, Korea from 1972 to 2006.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6 stations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including water temperature, salinity, suspended solids(SS), chemical oxygen demand(COD), dissolved oxygen(DO) and nutrients.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emperature, DO and SS were not clear among stations but the seasonal variations were distinct except COD and SS. The trend analysi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during 24 years revealed the significant variations in water quality in the study area. Spatial water qualities were clearly classified into 3 clusters by PCA; station cluster 1, 2~4, and 5~6. Annual water qualities were clearly classified into 4 surface water clusters and 5 bottom water clusters by PCA. By this multi-variate analysis. The annual trends were summarized as follows; Salinity, pH and DO tended to increase since late 1970's, COD to increase since 1987, and SS to decrease and nutrients to increase in Gunsan coastal waters due to the input of fresh water from land same as in Kyoungin coastal area, Asan coastal area and Choensoo bay.

      • KCI등재

        한국 완도해역 낭장망 어업의 어획량 변동과 수온의 영향

        김진구(Jin Koo Kim),최옥인(Ok In Choi),장대수(Dae Soo Chang),김주일(Joo Il Kim) 한국수산과학회 200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5 No.5

        우리나라 남·서 해역에 위치한 완도 해역에서 1999∼2001년 3년간 낭장망에 의한 어획량 변동과 수온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완도 해역 수온은 1999년과 2001년에는 7∼10월 동안 20℃ 이상을 유지하였으나, 2000년에는 8∼9월에만 20℃ 이상으로 전년과 달리 저수온현상을 보였고, 인공위성 사진을 통하여 우리나라 남·서 해역에 강한 전선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완도해역에서 출현한 어류는 73종으로 치어 및 유어가 대부분이었고, 이들 중 앞동갈베도라치, 양태, 전어, 민동갈돔류, 밀복류의 5종은 조석전선이 강하게 발달한 2000년에는 출현하지 않았다. 완도수협 멸치 생산량은 1999년 1,000톤, 2000년 620톤, 2001년 1,056톤으로 7∼8월부터 증가 경향을 보이며, 8∼10월에 최대를 나타내었다. Fluctuation of the yield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and species composition of by-catch were examined to clarify the effect of sea water temperature using samples by bag net off Wando, west southern of Korea from 1999 to 2001. In 1999 and 2001, sea water temperature were higher than 20℃ from July to October, however that of 2000 was higher than 20℃ from August to September owing to the strong tidal front formed in south western area of Korea from late spring to summer. Fish captured by bag net off Wando was composed of approximately 73 species which belonging to the juveniles and young stages. Among them, Gymnapogon urospilotus, Lagocephalus sp., Omobranchus elegans, Platycephahis indices and Konosirus punctatus did not appeared in 2000 when tidal front were developed stronger than in 1999 and 2001. Yield of anchovy landed at fishery of Wando were 1,000 M/T in 1999, 620 M/T in 2000, 1,056 M/T in 2001 respectively and have a tendency to increase from July to August and reach to maximum from August to October.

      • KCI등재

        조석환경 변화에 의한 표층퇴적물의 시.공간적 분포 변화: 한국 서해안의 무안만

        류상옥,장진호,이희준,조영조,최옥인,Ryu, Sang-Ock,Chang, Jin-Ho,Lee, Hee-Jun,Jo, Yeong-Jo,Choi, Ok-In 한국해양학회 2009 바다 Vol.14 No.1

        하구언과 방조제 건설에 따라 고극조위 상승과 같은 조석환경 변화가 심한 무안만에서 표층퇴적물의 분포 변화와 변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고 조류관측을 실시하였다. 무안만의 표층퇴적물은 1998년에 비해 역과 사의 조립질퇴적물의 함량이 증가하고 실트의 함량이 감소하여 퇴적물의 평균입도는 6.2${\phi}$에서 5.8${\phi}$로 조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조립질퇴적물의 함량 증가와 실트의 함량 감소는 만조선 주변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동암리와 구로리, 압해도 조간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만조선 주변의 조립화 현상은 일차적으로 하구언 및 방조제 건설에 따른 고극조위 상승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서측 만입구 주변에서 세립질퇴적물의 함량이 증가하는 현상은 인공구조물(교각) 건설에 따른 조류속의 감소와 위상차에 의한 조류의 방향 변화 등 수류의 변형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Muan Bay has extensively undertaken artificial influences through a series of construction of dams and dykes nearby resulting in a substantial increase in highest high water level. To unravel sedimentary responses to the water level rise, we collected a number of surface sediment samples and hydrodynamic data from in-situ observations of tidal currents in Muan Bay in 1998 and 2007. Comparison of the data between 1998 and 2007 shows that the relative content of coarse fractions, sand and gravel, in the sediment samples has increased with a decreased mean size, on average, from 6.2 to 5.8${\phi}$ at the expense of silt contents. Such a coarsening trend, which is more evident around high water level, particularly on the tidal flats of Dongam-ri, Guro-ri and Aphae-do, is most likely attributable to rising water level. On the other hand, an increase of fine fractions locally in the western entrance of the bay can be explained with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tidal currents imposed by construction of bridges therein, such as decreased velocities and varied direction and phase of the tidal currents.

      • KCI등재

        2014년 추계 제주 북서부 해조장에서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력 특성

        권형규,양한섭,윤양호,최옥인,최임호,오석진,KWON, HYEONG KYU,YANG, HAN SOEB,YOON, YANG HO,CHOI, OK IN,CHOI, IM HO,OH, SEOK JIN 한국해양학회 2015 바다 Vol.20 No.4

        2014년 추계에 제주 북서부 연안의 해조장에서 해양환경 및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력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해역의 용존태 무기 질소와 용존태 무기 인은 중영양의 영양상태였으며, Redfield ratio는 16 이하로 무기 질소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제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용존태 유기 질소와 용존태 유기 인은 각각 용존태 총 질소와 용존태 총 인 중 약 63%, 46%를 구성하고 있었다. 광 이용 효율(${\alpha}$)과 최대 광합성량($P_m{^B}$)은 동귀(바다숲 조성 3년 경과 해역), 고내(바다숲 조성 1년 경과 해역), 비양도(천연해조장), 금능(갯녹음 해역) 순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력은 해조장이 위치한 해역이 갯녹음 해역에 비해서 높았다. 특히, 연구해역은 무기 질소가 제한된 환경이지만 상대적으로 풍부한 용존태 유기 질소는 높은 일차생산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광합성을 통해 한 시간 만에 전체 식물플랑크톤 탄소량의 약 14%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해조장의 물질순환과 생태적 가치평가를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were investigated in seaweed bed of northwestern coast of Jeju Island during Autumn, 2014. The trophic state based on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and phosphorus was mesotrophic. The Redfield ratio was less than 16, indicating that nitrogen was the limiting factor for the growth of phytoplankton. Dissolved organic nitrogen and phosphorus accounts for 63 and 46% of the dissolved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respectively.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alpha}$) and maximum photosynthetic capacity ($P_m{^B}$) were highest in the Donggwi (third-year marine forest), followed by Gonae (one-year marine forest), Biyangdo (natural seaweed bed) and Geumneung (whitening area). The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in the Donggwi, Gonae and Biyangdo also was higher than that in the Geumneung. Although nitrogen is the limiting factor, enriched dissolved organic nitrogen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to maintain primary productivity. In addition, phytoplankton community through photosynthesis could produce about 14% of phytoplankton carbon in one hour. These results will be able to use the important information for material cycle and ecological valuation of seaweed bed.

      • KCI등재
      • KCI등재

        황해의 해양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허승,박종수,안경호,이윤,최옥인,임동현,황운기,이승민,김평중,방현우,Heo, Seung,Park, Jong-Soo,An, Kyoung-Ho,Lee, Yoon,Choi, Ok-In,Lim, Dong-Hyun,Hwang, Woon-Ki,Lee, Seung-Min,Kim, Pyoung-Joong,Bang, Hyun-W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6 No.3

        황해의 해양환경, 어업자원 및 증양식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에서 해양생태계 보전의 일환으로 황해의 해양환경에 대한 다양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서해수산연구소가 황해에서 수행 중인 모니터링은 연안정지관측, 서해해양조사, 서해어장환경모니터링,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유해적조모니터링, 한중황해환경모니터링조사 및 해파리모니터링 등이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들은 중요 어족의 어장형성 해역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연근해 어업생산성을 제고하고, 기후변동에 따른 향후 수산자원 변동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한반도 주변해역의 체계적인 해양과학자료를 제공하여 수산업, 해양환경보전, 해양레저 등 한반도 주변해역의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으며, 연안어장의 지속적 생산을 유지하기 위한 어장환경 관리 및 보전정책 수립을 위한 국가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The 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which is in charge of research on marine environment, fisheries resources and aquaculture carries out various monitoring projects with an aim of marine ecosystem conservation. The monitoring projects include costal oceanographic observation, serial oceanographic observation, fishing ground monitoring, national marine environmental monitoring, harmful algal bloom monitoring, Korea-China joint monitoring on the Yellow Sea and jellyfish monitoring. The monitoring produces basic data on fishing ground locations of main fishery species to improve fishery productivity. The data are also used to estimate variations in fisheries resource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to set up the policy for creating economic value from fishery, marin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marine leisure activities and conserving/controlling the marine environment for the sustainable production in the fishing ground.

      • KCI등재후보

        환경보전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최병미,윤재성,김성길,김성수,최옥인,손민호,서인수,Choi, Byoung-Mi,Yun, Jae Seong,Kim, Seong Gil,Kim, Seong-Soo,Choi, Ok In,Son, Min Ho,Seo, In-Soo 한국해양생명과학회 2016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Vol.1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rea, Korea. Benthic animals were collected by van Veen grab sampler at spring (May) and summer (August) 2009. The total species number and mean density were 195 species 5.6 m<sup>-2</sup> and 667 individuals m<sup>-2</sup>, respectively. Polychaetes were the most dominant faunal group in species (96 species) and abundance (431 individuals m<sup>-2</sup>).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the polychaetes Lumbrineris longifolia (76±224 individuals m<sup>-2</sup>), Mediomastus californiensis (42±117 individuals m<sup>-2</sup>), Tharyx sp.3 (26±110 individuals m<sup>-2</sup>), the bivalvia Theora fragilis (54±78 individuals m<sup>-2</sup>) and the amphipod Eriopisella schellensis (70±146 individuals m<sup>-2</sup>). Based on the cluster and nMDS ordination analysis, macrobenthic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three faunal groups. The first group was characterized by high abundance of the polychaeta Sternaspis scutata and the amphipod Ampelisca cyclops iyoensis, which is located by most stations of Hampyeong Bay and St. 4 of Deungnyang Bay. The second group was numerically dominated by the polychaeta Capitella capitata at St. 4 and St. 5 in Gamak Bay where was most pollutant area. Finally, the third group was dominated by the polychaetes Heteromastus filiformis, Tharyx sp.3 and the amphipod Sinocorophium sinensis. Therefor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bay shape and pollution gradient may be important factors controlling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in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

      • KCI등재
      • KCI등재

        저층 경계면 연구용 Benthic chamber(BelcI) 개발

        이재성,박경수,강범주,김영태,배재현,김성수,박정준,최옥인,Lee, Jae-Seong,Bahk, Kyung-Soo,Khang, Buem-Joo,Kim, Young-Tae,Bae, Jae-Hyun,Kim, Seong-Soo,Park, Jung-Jun,Choi, Ok-In 한국해양학회 2010 바다 Vol.15 No.1

        소형선박에서 운영이 가능한 연안용 benthic chamber(BelcI)를 개발했다. 운영상에 유연성이 큰 BelcI는 연안 저층 경계면 연구에 폭넓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elcI는 몸체, 자동채수기, 교반기 및 전자제어부로 구성된다. 운영상에 유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몸체는 사각 셀 단위의 2단 구조로 설계했다. 센서신호의 증폭, 교반기 및 채수장치 제어회로를 초 전력 소모 회로로 구성하여 외부 전원장치를 제거했다.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기법으로 측정한 chamber 내부의 유체유통은 전형적인 radial-flow impeller의 특성을 나타냈다. chamber내 물의 혼합 시간은 약 30초로 추정되었으며, 바닥면에서 shear velocity($u^*$)는 약 $0.32\;cm\;s^{-1}$였다. 산경계층(DBL) 두께는 약 $180{\sim}230\;{\mu}m$였다. 현장에서 측정한 산소소모율은 약 $84\;mmol\;O_2\;m^{-2}\;d_{-1}$로 선상배양결과 보다 2배 이상 컸다. 저층 영양염 플럭스는 "질산+아질산"이 $0.18\;{\pm}\;0.07\;mmol\;m^{-2}\;d^{-1}$, 암모니움이 $2.3\;{\pm}\;0.5\;mmol\;m^{-2}\;d^{-1}$, 인산인이 $0.09\;{\pm}\;0.02\;mmol\;m^{-2}\;d^{-1}$, 규산규소가 $23\;{\pm}\;1\;mmol\;m^{-2}\;d^{-1}$로 추정되 었다. We have developed an in-situ benthic chamber (BelcI) for use in coastal studies that can be deployed from a small boat. It is expected that BelcI will be useful in studying the benthic boundary layer because of its flexibility. BelcI is divided into three main areas: 1) frame and body chamber, 2) water sampler, and 3) stirring devices, electric controller, and data acquisition technology. To maximize in-situ use, the frame is constructed from two layers that consist of square cells. All electronic parts (motor controller, pA meter, data acquisition, etc.) are low-power consumers so that the external power supply can be safely removed from the system. The hydrodynamics of BelcI, measured by PIV (particle image velocimetry), show a typical "radial-flow impeller" pattern. Mixing time of water in the chamber is about 30 s, and shear velocity ($u^*$) near the bottom layer was calculated at $0.32\;cm\;s^{-1}$. Measurements of diffusivity boundary layer thickness showed a range of $180-230\;{\mu}m$. Sediment oxygen consumption rate, measured in-situ,was $84\;mmol\;O_2\;m^{-2}\;d_{-1}$, more than two times higher than on-board incubation results. Benthic fluxes assessed from in-situ incubation were estimated as follows: nitrate + nitrite = $0.18\;{\pm}\;0.07\;mmol\;m^{-2}\;d^{-1}$ ammonium $23\;{\pm}\;1\;mmol\;m^{-2}\;d^{-1}$ phosphate = $0.09\;{\pm}\;0.02\;mmol\;m^{-2}\;d^{-1}$ and silicate = $23\;{\pm}\;1\;mmol\;m^{-2}\;d^{-1}$.

      • KCI등재

        전라남도 무안만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서식지 이용 및 갯벌등급 평가

        강태한 ( Tae Han Kang ),유승화 ( Seung Hwa Yoo ),이시완 ( Si Wan Lee ),최옥인 ( Ok In Choi ),이종빈 ( Chong Bi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2 No.5

        전라남도에 위치한 무안만 연안습지를 4개 영역(동암, 구로, 복룡 및 완산 갯벌)의 갯벌로 구분하여 수조류의 서식지 이용, 갯벌의 가치 및 등급평가를 위해 2007년 2월부터 10월까지 계절별로 4회에 걸쳐 이 지역에 도래하는 수조류를 조사하였다. 논병아리류 2종, 백로류 7종, 수면성 오리류 7종, 잠수성 오리류 6종, 섭금류 20종, 갈매기 3종 및 기타 9종 등을 포함하여 54종 15,755개체의 수조류가 관찰되었으며, 9,291개체가 관찰된 섭금류가 우점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들 분류군에서 갈매기류와 섭금류는 동암갯벌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구로갯벌을 이용하는 분류군은 주로 수면성 및 잠수성 오리류와 논병아리류로 나타났다. 종과 개체수를 고려한 UPGMA 군집분석 결과, 동암갯벌과 복룡갯벌이 밀접한 유사성을 보였으며 구로갯벌과 왕산갯벌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수조류의 다양도지수, 풍부도지수, 우점도지수 등의 생태적 지수, 법적보호종 및 최대 개체수 등을 기준으로 해서 갯벌등급을 살펴보았을 때, 복룡갯벌의 가치 및 중요도 순위가 다른 3개 갯벌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수조류에 의한 갯벌 등급화는 중요한 갯벌지역의 판단 및 지정, 그에 따른 효율적인 보전과 관리에 있어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on waterbirds visiting this area four times by season from February to October in 2007 to look into the habitat use of waterbirds, to do a value and grade testing of the tidal flat by dividing the foreshore on Muan Bay located in Jeollanam-do into four areas (Dongam, Guro, Bokryong and Wangsan tidal flats).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there existed a total of 15,755 individuals of 54 species including 2 species of grebes, 7 species of herons, 7 species of dabbling ducks, 6 species of diving ducks, 20 species of waders, 3 species of gulls and 9 other species and this survey also observed 9,291 individuals of the wading birds as a dominant group on Muan Bay. In these classified groups, the gulls and waders were observed to mostly use Dongam tidal flat as their habitat, while the group using Guro tidal flat as their habitat was mostly grebes, dabbling and diving ducks. As a result of UPGMA clustering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es and number of individuals, there appear the close similarities between Dongam and Bokryong tidal flats and so do Guro and Wangsan tidal flats. Taking a look at the grading of tidal flats by setting up ecological indexes, such as diversity index, abundance index, and dominance index, etc. legally reserved species and maximum number of individuals as a standard, the rank for the value and importance degree of Bokryong tidal flat appeared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three tidal flats. Like this, the gradation of tidal flats according to waterbirds are judged to able to suggest objective data on the issue of proper judgment and designation of valuable tidal flat areas and its subsequent effectiv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