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반도 남해안 광양만 표층퇴적물 입도의 시ㆍ공간적 변화

        류상옥 한국해양학회 2003 바다 Vol.8 No.3

        한반도 남해안의 중앙부에 위치한 광양만에서 표층퇴적물의 시ㆍ공간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표층퇴적물과 부유퇴적물에 대한 퇴적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은 광양만이 개발되기 이전에는 섬진강 삼각주를 중심으로 서측을 향해 세립해지는 동-서 방향의 분포를 보였으나, 광양제철소가 건설된 이후에는 섬진강 삼각주가 파괴되고 동-서 방향의 분포로 변화하였다. 또한, 광양 컨테이너부두와 각종 산업단지가 조성된 최근에는 동-서 방향의 분포가 파괴되고 남-북 방향의 분포로 변화하였으며, 만의 남서측을 중심으로 평균입도가 뚜렷하게 세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광양만 개발에 따른 조류에너지의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며, 이러한 세립화는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부유퇴적물의 분포 특성과 거동에 관한 연구 결과, 광양만에서 부유퇴적물은 만 내부로 유입되는 양이 외부로 유출되는 양에 비해 많았으며, 부유퇴적물의 유출입은 남측보다는 북측의 만 입구를 통해, 그리고 표층과 중층보다는 저층을 통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광양만은 퇴적우세환경으로 표층퇴적물의 세립화는 만 외부에서 공급되는 부유퇴적물(주로 점토)의 집적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Sedimentological investigations on surface and suspended sediments were performed in Kwangyang Bay of the middle South Sea in order to reveal recent changes in depositional environments concerning anthropogenic influence. A variety of coastal developments caused the texture of the surface sediments to become distinctively finer, particularly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bay. Accordingly, the westward lining sedimentary facies was somewhat simplified from triple-mode distribution to the dual-mode one by the construction of POSCO. This east-west distribution to the sedimentary facies has recently graded into the north-south distribution by further construction of other industrial complexes including Kwangyang Port. The prominent textural changes in surface sediments are most likely associated with weakening of tidal currents related to the developments which is anticipated to be .still continued. The distribution and flux estimation of suspended sediments suggest a noticeable import of fine particles into the bay predominantly through a northern entrance rather than the southern entrance. The movements of suspended sediments in the water level near the seabed prevailed over those of the mid and surficial levels.

      • KCI등재

        호안 건설 후 광양만 조간대 퇴적물의 퇴적학적 특성

        류상옥,신용식 한국지구과학회 2006 韓國地球科學會誌 Vol.27 No.6

        In Kwangyang Bay, the south coast of Korea, surface sediments and sedimentation rates have been investigated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and variation of tidal flat sediments after the construction of sea dyke. The mean grain sizeof the surface sediments during autumn is coarser, and decrease from winter to sumer except for temporarily coarseningin the early sumer. The depositional processes are prevalent in spring, while erosional processes are dominant inbefore the construction of sea dyke. In the northern area of the bay, net annual sedimentation rates show similar resultsmonitored from 2001 to 2003 before the construction of sea dyke. However, in the western area of the bay, net annualsedimentation rates change from erosion-dominated to deposition-dominated environments. It is considered that the westernarea of the bay is changed to erosion-dominated environments, as a result of the changes of hydrodynamic conditions,caused by sea dyke construction.......... tidal flat sediment, seasonal variation, sedimentation rate, sea dyke, Kwangyang Bay. . : ..... .. .. . ... .... .. . ... .... ... .. .... .. ... ...

      • KCI등재

        조간대성 해빈 퇴적물의 이동양상에 관한 연구 I. 한국 남해안의 득량만

        류상옥,김주용,장진호,조영길,신상은,은고요나 한국지구과학회 2006 韓國地球科學會誌 Vol.27 No.2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ansport mechanism of tidal beach sediments in Deukryang Bay, south coast of Korea,beach profiles, surface sediments, sedimentation rates and hydrodynamic conditions have been investigated. The beach iscomposed of a steep beach face and gentle low-tide terrace, showing general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tide dominatedbeach. Central beach face of an indented coast becomes flattened in sumer, but ridge and runnel system developed inother seasons makes the beach profile rather irregular. These seasonal variations of beach profiles and sedimentation ratestrong wind wave is dominant, while deposition is dominant in other seasons. However, central beach showed an apparenterosional phase in sumer. This is caused by strong waves induced by southerly strong winds occurring ephemerally duringthe summer. On the other hand, sedimentation rates are 89.2 m/yr on the central beach and 60.5 mm/yr and 38.2 m/yron the sides. This result suggests that sediments are eroded on the central beach and subsequently transported to the bothsides. Therefore, the central part of Sumun beach, used as a beach bathing site, will be continuously eroded, if nearby dykecontinues to prevent the sediment supply from sources.......... Deukryang Bay, tidal beach, sediment transport, seasonal varia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간대성 해빈 퇴적물의 이동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반도 남해안의 득량만에서 해빈 주변 표층퇴적물과 해 빈 단면, 해빈 퇴적물, 해빈 퇴적률, 그리고 해빈 수리에너지 특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문 해빈은 급경사의 해 빈면과 완경사의 저조단구로 이루어져 일반적으로 조차가 파고에 비해 큰 해빈 단면의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만입된 해안의 중앙 해빈면은 여름에 평탄해지고 그 밖의 계절에는 파봉과 유흔이 발달하는 등 뚜렷한 계절변화를 보인다. 이 러한 해빈 단면의 계절변화는 연구지역의 해빈 퇴적작용이 주로 조석에 의해 지배되지만 파랑의 영향도 강하게 받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빈 퇴적률의 계절변화에서도 잘 나타난다. 즉, 겨울에는 강한 파랑의 영향에 의해 침식이 우세한 반면, 그 밖의 계절에는 상대적인 저에너지 조건 하에서 퇴적이 우세한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해빈의 중앙은 여름에도 뚜렷하게 침식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여름에 간헐적으로 발생한 남풍 계열의 강한 바람에 의한 파랑이 해빈에 강하게 미치기 때문이다. 한편, 해빈 퇴적물은 만입된 해빈의 중앙에서는 −89.2 mm/yr로 침식된 반면, 양쪽 측면에서는 각각 60.5 mm/yr와 38.2 mm/yr로 퇴적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해빈의 중앙에 분포하는 퇴적물 이 파랑이 강화되면 침식되어 양쪽 측면으로 이동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해수욕장으로 주로 이용되는 수문 해 빈의 중앙은 방파제 건설에 따른 조립질퇴적물의 공급이 제한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지속적으로 침식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한반도 서해 천수만의 해안선 변화 및 조간대 해빈 특성

        류상옥,장진호 한국지구과학회 2005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6 No.6

        Morphology, surface sediments, sedimentation rates and sea-cliff erosion have been monitored, for one year toinvestigate the shoreline changes and tidal beach characteristics in Cheonsu Bay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The sea-cliff of the bay consists of intensively weathered sedimentary rocks and soft soil, showing an erosion range of 58.9~73.3 cm/yr by a weak wave forcing. Active sea-cliff erosions are recognized by peculiar geomorphic features, includingsurface. The beach sediments show low compositional maturity at the south and north headlands and gradually hightowards the central part. This observation seems to be caused by the fact that beach sediments are to originate from theboth headlands in the study area and then transported by long-shore current associated with a wave action 한반도서해천수만에서해안선변화및조간대해빈특성을조사하기위하여 1년동안지형, 표층퇴적물, 퇴적율과해안절벽의침식율등을조사하였다. 천수만의해안선은심하게풍화된퇴적암과풍화토층으로구성되어있고관측결과.58.9~.73.3 cm/yr 후퇴하였다. 해안침식을지시하는톱날모양의해안선, 고조선해빈의전석, 침식되지못하고남아있는잔류암맥, 그리고바위섬모양의 “Island Stack” 등의여러가지특징들이발견되었다. 한편, 해빈퇴적물의조성성숙도는돌출부에서만입된중앙으로갈수록성숙된경향을보인다. 이는해빈을구성하는사질퇴적물의기원이남측과북측의돌출부에있음을의미하며, 침식된퇴적물은파랑에의해야기된연안류에의해만입된중앙으로이동되는것으로해석된다.

      • KCI등재

        함평만 조간대의 표층퇴적물과 집적률의 계절변화

        류상옥,유환수,이종덕,Ryu, Sang-Ock,You, Hoan-Su,Lee, Jong-Deock 한국해양학회 1999 바다 Vol.4 No.2

        한국 서해 남부 함평만 조간대의 현생퇴적작용을- 규명하기 위하여 안악조간대와 시목초간대에 설정된 각각의 측선들에서 27개월(1994. 10~1996. 12) 동안 약 2개월 간격으로 표층퇴적물의 입도분포와 집적률 변화를 조사하였다. 계절에 따른 표층퇴적물의 입도분포 변화는 반입구 가까이 북측에 위치한 안악조간대보다는 만 안쪽의 남측에 위치한 시목조간대에서 뚜렷하였으며 특히 만조선과 간조선 부근에서 크게 나타났다. 시목조간대에서는 여름철에 세립질퇴적물의 집적으로 인해 표층퇴적물의 입도가 세립해지는 반면 겨울철에는 침식되어 조립한 입도분포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연평균집적률은 3.7 mm/yr로 정상적 퇴적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안악조간대에서는 겨울철에 세립질퇴적물이 집적되고 여름철에 침식되는 비정상적인 조간대 퇴적작용을 보였으며, -49.6 mm/yr의 연평균집적률로 침식이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곳의 침식우세작용은 중부조간대에 건설된 방조제에 의해 야기되는 조류의 방향과 세기 변화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국부적인 결과만을 가지고 함평만 내의 모든 조간대에서 침식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우며 전체적인 퇴적물 수송량에 대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Grain-size distribution and accumulation rate of surface sediments on the tidal flats in Hampyong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in a sequential interval of 2 months for the period of 27 months (1994. 10~1996. 12). Seasonal variation of grain-size distribution is prevalent on the Shimock tidal flat in the southern side of the innerbay, rather than the Anarc tidal flat in the northern side around the baymouth. This variation, in particular, more distinctive in the areas around the both high and low tide water levels. The Shimock tidal flat shows typical seasonal variation of sedimentary processes, expected under monsoonal climate. Deposition of tine-grained sediments in summer dominates over erosion in winter, resulting in an annual accumulation rate of 3.7 mm/yr. In contrast, sedimentary processes on the Anarc tidal flat is abnormal that have experienced slight deposition of fine-grained sediments in the winter and severe erosion in the summer time, showing a negative annual accumulation rate of -49.6 mm/yr. Erosional processes in this area is interpreted due mainly to change of strength and direction of tidal currents, caused by the artificial construction of dyke for reclamation in the mid-tidal flat. As a result, It is immoderate to conclude whether sedimentary processes of Hampyong Bay is erosional or depositional at current situation. Further studies on sedimentary budget at the entrance to the bay are needed.

      • KCI등재

        조석환경 변화에 의한 표층퇴적물의 시.공간적 분포 변화: 한국 서해안의 무안만

        류상옥,장진호,이희준,조영조,최옥인,Ryu, Sang-Ock,Chang, Jin-Ho,Lee, Hee-Jun,Jo, Yeong-Jo,Choi, Ok-In 한국해양학회 2009 바다 Vol.14 No.1

        하구언과 방조제 건설에 따라 고극조위 상승과 같은 조석환경 변화가 심한 무안만에서 표층퇴적물의 분포 변화와 변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고 조류관측을 실시하였다. 무안만의 표층퇴적물은 1998년에 비해 역과 사의 조립질퇴적물의 함량이 증가하고 실트의 함량이 감소하여 퇴적물의 평균입도는 6.2${\phi}$에서 5.8${\phi}$로 조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조립질퇴적물의 함량 증가와 실트의 함량 감소는 만조선 주변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동암리와 구로리, 압해도 조간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만조선 주변의 조립화 현상은 일차적으로 하구언 및 방조제 건설에 따른 고극조위 상승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서측 만입구 주변에서 세립질퇴적물의 함량이 증가하는 현상은 인공구조물(교각) 건설에 따른 조류속의 감소와 위상차에 의한 조류의 방향 변화 등 수류의 변형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Muan Bay has extensively undertaken artificial influences through a series of construction of dams and dykes nearby resulting in a substantial increase in highest high water level. To unravel sedimentary responses to the water level rise, we collected a number of surface sediment samples and hydrodynamic data from in-situ observations of tidal currents in Muan Bay in 1998 and 2007. Comparison of the data between 1998 and 2007 shows that the relative content of coarse fractions, sand and gravel, in the sediment samples has increased with a decreased mean size, on average, from 6.2 to 5.8${\phi}$ at the expense of silt contents. Such a coarsening trend, which is more evident around high water level, particularly on the tidal flats of Dongam-ri, Guro-ri and Aphae-do, is most likely attributable to rising water level. On the other hand, an increase of fine fractions locally in the western entrance of the bay can be explained with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tidal currents imposed by construction of bridges therein, such as decreased velocities and varied direction and phase of the tidal currents.

      • KCI등재

        서해남부 무안만의 표층퇴적물의 분포와 조간대 퇴적률

        류상옥,김주용,장진호,Ryu, Sang-Ock,Kim, Joo-Young,Chang, Jin-Ho 한국지구과학회 200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2 No.1

        무안만에서 표층퇴적물의 공간적 분포와 하구언 건설에 따른 조간대의 퇴적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표층퇴적물을 채취하고 2개의 측선상에서 1998년 12월부터 2000년 3월까지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은 만입구 주변에 분포하는 연안 또는 하성 기원의 조립질퇴적물과 만 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서해안의 여러 강과 외해에서 공급된 세립질퇴적물로, 조직 특성에 따라 5개의 퇴적상으로 구분된다. 비록 조간대의 퇴적률은 계절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나 이들 측정값은 측선-GR에서 -8.9mm/yr, 측선-YH에서 -48.9mm/yr로 크게 침식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침식우세현상은 하구언과 방조제 건설에 따른 수류의 변형에 기인한 것으로, 하구언과 방조제가 건설된 이전에는 서측만입구를 통해 해수의 유동이 활발하였으나 건설된 이후에는 남측 만입구를 통해 해수의 유동이 활발해지고 목포구에서 조석필터효과 상실에 의해 남측 만입구에서 낙조우세가 더욱 심화되어 조간대의 침식작용이 가속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To consider the distribution of the surface sediments and sedimentary processes in tidal flat after the construction of sea-walls in the semiclosed Muan Bay,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studies on the sediments and sedimentation rates along two transect lines from February 1999 to March 2000 were carried out. The surface sediments in the bay are classified into 5 facies on the basis of textural parameters. The gravelly sediments including the cobbles and pebbles deposited in the bay-mouth are relic sediments which are formed in nearshore and fluvial environments at the low stand of sea level.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muddy sediments widely distributed on the tidal flat might be originated from suspended matter transported from several rivers and/or offshore. Although the sedimentation rates on the tidal flat vary with season, their estimation rates are -8.9 mm/yr on Line-GR and -48.9 mm/yr on Line-YH, respectively. The erosion-dominated processes in the tidal flat would be caused by strengthened ebb tides due to the decrease of tidal choking at Mokpogu and the migration of tidal currents at the bay-mouth. The hydrodynamical changes mentioned above are interpreted to be occurred after/before the construction of sea-dike/sea-walls in coastal zone of Mokpo.

      • KCI등재후보

        조간대 퇴적물의 계절적 변화 : 한국 남해안의 광양만

        류상옥,김주용,이희준,조영길,안성모 한국해양학회 2003 바다 Vol.8 No.4

        한반도 남해안의 중앙부에 위치한 광양만에서 조간대 퇴적물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집적률과 표층퇴적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2년에 걸친 조사결과 광양만 조간대는 주로 겨울에 퇴적되고 세립해지며, 여름에는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태풍과 폭우에 의해 침식되며 조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겨울의 퇴적현상은 파랑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서해안 조간대가 주로 겨울에 침식되는 것과 상반된 결과로, 이는 광양만의 반폐쇄적인 지형적 특성에 따라 파랑의 발달이 극히 제한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공단조성을 위해 주변에 인위적인 매립이 진행되고 있는 조간대에서는 계절과 무관하게 침식이 가속화되고 있다. A continuous monitoring of sedimentation rate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was carried out on the tidal flats in Kwangyang Bay, middle South Sea for two years on an every-two-monthly basis. This study shows that during the winter the tidal flats receive a thin surface layer of which texture becomes finer. In summer, the surface sediments were subject to rather abrupt erosion by occational typhoons and heavy rainfall resulting in a coarse-silt dominated texture. Due to nearly closed geomorphology of Kwangyang Bay, local waves created in the bay during winter are much subdued, in contrast to the rough wave climate and associated sedimentary cycle for open-type tidal flats in the Yellow Sea. In addition, unexpected artificial effects on the tidal-flat sedimentation by construction of a huge industrial complex along the shoreline of the bay are observed from a nearby tidal flat. Here, the sediments were consistently eroded without any sign of natural seasonal variations.

      • KCI등재

        반폐쇄된 무안만에서 부유물질의 계절적 변동 및 운반양상

        류상옥,김주용,유환수,Ryu, Sang-Ock,Kim, Joo-Young,You, Hoan-Su 한국지구과학회 2000 韓國地球科學會誌 Vol.21 No.2

        반폐쇄된 무안만에서 동계와 하계 동안 부유물질의 변동 및 이동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염분과 조류, 부유물질의 특성이 조사되었다. 무안만에서 부유물질 함량은 계절적으로 크게 변하여 동계에 낮고 수직적으로 균질한 반면, 하계에 높고 수직적으로 성층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하계에는 영산강하구언의 갑문조작에 따라 유입되는 담수와 부유물질이 남쪽을 따라 흐르던 연안류가 약화되면서 북측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부유물질의 잔여이동은 서측 만입구에서는 하구언과 방조제 건설에 따라 창조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면서 계절에 무관하게 만 내로 유입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남측 만입구에서는 낙조우세와 서측 만입구에서 조석의 비대칭 현상에 의해 만 외부로 유출되는 경향을 보인다. 부유물질의 잔여이동량은 서측 만입구에서 0.0078kg/m ${\cdot}$ sec, 남측 만입구에서 -0.0955kg/m ${\cdot}$ sec로 무안만이 전반적으로 침식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와 같은 침식현상은 만 내의 조간대를 중심으로 진행된 것으로 여겨진다. To understand the variation and transport pattern of suspended matters, salinity, tidal current and suspended matters in semiclosed Muan Bay have been monitored during winter and summer. The suspended matters show considerably seasonal variations with low concentration and homogeneity in the water column during winter season, but with high concentration and layering during summer season. Particularly, during summer season, the freshwater and the suspended matters influxed by the gate operation of the Youngsan River sea-dike are transported northward in accordance with the would flow into the inner-bay by relaxed flood currents after the construction of sea-dike and sea-walls in the Mokpo coastal zone. But, in the south bay-mouth, those matters outflow through the bay-mouth, resulting from tidal ebb dominance and asymmetry in the west bay-mouth. The residual suspended matter flux is much higher in the south bay-mouth(-0.0955kg/m ${\cdot}$ sec) than that of west bay-mouth(0.0078kg1m ${\cdot}$ sec). Accordingly, The Muan Bay is interpreted as erosion-dominated environments, and the erosion somewhat progresses in the intertidal flat of the b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