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치해석을 이용한 송전철탑 연결형 기초의 연결보 강성에 따른 거동 특성

        최영호,경두현,이준환,Choi, YoungHo,Kyung, DooHyun,Lee, JunHwan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연약점토지반에 근입된 송전철탑 기초를 대상으로, 기초부보강공법의 하나인 연결형 기초 형식의 거동과 연결보 특성에 따른 성능발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유한요소 해석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송전철탑 기초에 연결보의 매트와 닿는 면적비율변화에 의한 거동 및 저항력 특성을 분석하였고, 송전철탑 연결형 기초 모형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구축된 유한요소 해석 모델의 타당성의 검증을 실시하여 다양한 매개변수 해석을 통해 연결보의 강성 증가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여 송전철탑 연결형 기초의 거동에 효과적인 연결보의 강성을 선정 하였다. 또한, 연결보 자체 휨 모멘트 분포를 확인하여 취약부 분석을 실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performance connected-type foundations of behavior and the connected bea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into soft clay transmission tower foundation. For this purpose, the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was built and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tower foundation mat and the contact area of the connection beam by the percentage change in the behavior and resistanc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finite element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of the analytical model was conducted using connected-type transmission tower results of the model experiments constructed, and effective connected-type transmission tower basis of the behavior of connected beams were selected by analyzing the effect due to the increase of the stiffness. In addition, weak analysis by connected beam self-bending moment distribution was conducted.

      • KCI등재

        위치기반의 드라마 콘텐츠서비스용 스마트 플랫폼 설계

        최영호 ( Youngho Choi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논문에서는 PPL(Product Placement)을 변경할 수 있는 위치기반 실시간 비디오 클립을 스트리밍하는 스마트 플랫폼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플랫폼은 LTE 위치인식 기반의 GPS 좌표 값과 비콘 기술을 활용하여 Active Push형태로 사용자에게 촬영지의 드라마 영상을 제공한다. 또한 비디오 클립 내의 PPL 객체에 대한 사진, 동영상, 음악,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형태의 DB를 구성하였다. 제안한 플랫폼에서는 비디오 클립 스트리밍 서비스 상황에서 PPL 객체 DB에 대한 인터액티브 태그 동기화를 통해 PPL 객체의 색깔과 모양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하는 플랫폼에서는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에 따라 PPL 변경이 가능한 위치 기반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을 가능하게 한다. In this paper, a platform was proposed that can service the streaming of location based real-time video-clip for smart-travel-services to work with PPL(Product Place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drama like as LTE GPS and Beacon were used to provide the drama video with the PUSH service. And PPL DB with the attributes like as picture, video, music and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was designed. As a result, this platform could provide the location based video streaming service that could replace the original PPL properties, color or shape, with the other properties by the interactive tagging the PPL DB in drama scenes. The proposed platform could provide the location based real-time video streaming service that can alter the PPL properties with the request of service provider.

      • KCI등재

        1965년 한일 국교정상화에 대한 한국과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기술

        최영호(Choi, Youngho),이유아(Lee. Yooah) 한일관계사학회 2020 한일관계사연구 Vol.68 No.-

        본 연구는 1965년 국교정상화 문제와 관련하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역사교과서 기술 내응을 상호 검토하고 있다. 검토 결과, 한국과 일본 교과서에서 다음 세 가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국교정상화와 관련하여 한국의 교과서는 ‘한일협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반면, 일본의 교과서는 ‘기본조약’을 사용하고 있다. 1965년 기본조약과 4개의 협정이 체결된 것에 대해서, 한국은 ‘협정’에 일본은 ‘조약’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한일 양국이 모두 역사로서의 국교정상화에 대해서는 비중을 낮게 평가하고 있지만, 그 가운데 집필자들의 의도에도 불구하고 조약과 협정이 함께 섞여 있는 국교정상화 문제에 대해 한국과 일본이 달리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는 국교정상화와 관련하여 보면, 한국의 교과서는 비민주성이나 ‘몰역사성’을 비판하는 관점에서 이를 기술하고 있으며, 반면에 일본의 교과서는 출판사에 따라 기술이 달라지고 있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외교관계의 구축’이라는 측면에서 이를 기술하고 있다고 본다. 한국과 일본의 역사교과서가 공통적으로 어업자원의 보호보다는 독도(竹島)의 영유권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한일회담을 기술하고 있으면서도, 한일회담에 대해 한국은 전반적으로 ‘비민주적’인 관점에서 이를 비판하고 있고, 일본은 전반적으로 ‘생산성’의 측면에서 비판 없이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셋째는 미국의 개입 여부에 대한 기술에서 보면, 한국의 교과서에서는 이에 대해 별로 기술하고 있지 않지만, 일본의 교과서에서는 비교적 비중을 두어 기술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보인다. 바꿔 말하면, 한국의 역사교과서에서는 국교정상화에 대해서, 비민주적인 정책결정자의 ‘책임’을 강조하고 있으며, 일본의 역사교과서에서는 일본정부 정책결정자의 ‘책임’문제에 대해서 소홀히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한국의 교과서 집필자는 지나간 자국 정부와 화해하는데 있어서 인색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는데 반하여, 일본은 지나간 자국 정부에게 책임을 묻고 있지 않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한국의 교과서가 모두 박정희 정부의 권력 독점을 강렬하게 비판하고 있는데 반하여, 일본은 미국의 요청이나 국제정치적인 분위기를 강조한다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mutually the descriptions of Korea and Japan’s middle school"s history textbooks in reference to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two nations in 1965. We can indicate following three different points between two nations" textbooks as our examination result. Firstly Korean textbook uses a term "agreements", however Japanese textbook uses a term "treaty" in reference to the word for diplomatic normalization, regardless of the writer"s intentions, the textbooks evaluate differently in this way the normaliz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n 1965. In that time, two nations approve compromise documents of one principle treaty and four agreements diplomatically. Secondly Korean textbook describes the undemocratic nature or the lack of historicity, however Japanese one describes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 by and large in spite of a little difference of the publishers on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We can reveal that Korea"s one emphasizes the undemocratic nature of Park"s regime, however Japanese one gives weight to the productivity of Sato"s regime in the same time and textbooks of two nations in common describe the negotiations of the Korea-Japan"s talk from the point of view centrally on the Dokdo (Takeshima)"s sovereignty issue. Thirdly we can clarify the distinction in the textbooks of two nations that Korean textbook doesn"t but Japanese one places a great importance on America"s involvement of the normalization. That is, Korean textbook lays emphasis on responsibility of Korean policy makers, however Japanese one shows an air of indifference to responsibility of their bureaucrats. On the other hand, Korea is mean about the reconciliation with one"s regime past, however Japan does not denounce absolutely one"s regime past for decision making. Korean textbook narrates critically about the history of one"s own, however Japanese one presses the matter of American requests or international atmospheres.

      • KCI등재

        한국과의 어업협정 교섭을 위한 1952년 일본 측 기본방침에 관한 연구

        최영호(Choi Youngho)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0

        이 글은 어업협정 교섭을 위한 일본 측 기본방침이 생성되는 과정을 일본 외무성 공개문서를 중심으로 하여 밝히고 있다. ‘평화선’ 선포 이전에 일본 외무성이 ① 일본 어업의 곤경에 관한 인식, ② 한국의 낙후된 어로 인프라에 관한 인식, ③ 맥아더라인의 한시적 성격에 관한 인식, ④ 어족보호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 등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과의 교섭 방침에 임했다고 하는 것을 실증하였다. 그리고 ‘평화선’ 선포 직후에 일본 외무성이 이에 대해 어떻게 반박할 것인지 논의했던 것, 1952년 1월 23일에 처음으로 제시된 가와카미 사무관의 기본 방침안 내용, 그리고 2월 6일까지 일한 어업협정 교섭에 대한 일본 측 기본방침에 이르는 수산청과의 협의 내용 등을 밝히고 있다. 1952년 2월 15일에 제1차 한일회담이 일본 외무성에서 시작되었다. 어업문제에 관하여 일본 측은 기본적으로 ‘공해자유’의 원칙에 입각해 ① 어족보존을 위해 양국이 평등한 입장에서 공동 조치를 취할 것, ② 일정 수역에서는 필요한 기간 동안 저인망이나 트롤 어업을 금지할 것, ③ 공동위원회를 설치하여 어족보호와 개발을 위한 과학적 조사와 연구를 실시할 것 등을 제시하였다. 이에 반하여 한국 측은 기본적으로 ‘관할 수역’의 필요성에 입각해 자국 어선만이 조업할 수 있는 인접 관할 수역을 폭넓게 설정하고 그 외의 동해·황해·동중국해 등에서 어족보존 조치를 행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근본적인 의견 대립으로 인하여 제1차 회담은 2개월 만에 중단되었다 This paper outlines the processes by which Japan established the Basic Policy for the negotiation of fisheries agreement with Korea soon after the conclusion of the San Francisco Treaty in 1951 mainly through the recently released official documents. I reveal that the Japanese Foreign Ministry had perceived that (1) Japan’s fishery situation was in trouble, (2) Korea’s fishery infra -structures were falling behind, (3) the MacArthur Line was temporary, and (4) fishery resources deserve to be protected in facing the first negotiation with Korea in 1952. Further, the Ministry had in-depth internal discussions regarding how to respond to Korea’s declaration of maritime sovereignty. Kawakami Kenzō, an assistant junior official, presented a draft of the Basic Policy for the first time on January 23, 1952. The Foreign Ministry had several meetings with the Fisheries Agency to discuss the draft until February 6, 1952. The first negoti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began in the Japanese Foreign Ministry on February 15, 1952. In the fisheries negotiation, Japan stated the opinions (1) that both parties should engage in common actions equally for the preservation of resources, (2) that both parties should prohibit dragnet fishing boats or trawling fishing in an area during an appropriate period, and (3) that both parties should establish a joint commission to promote scientific investigation for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resources under the principle of “freedom of the seas.” On the other hand, Korea argued for widening the exclusive zone where a nation’s ship can exclusively operate and for protecting the resources in such areas of the East Sea,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under the necessity of an “exclusive offshore zone.” This conflict of fundamental opinions stopped the first negotiation in less than two months.

      • KCI등재

        라이프로그용 영상인식 기반의 스마트 플랫폼 설계

        최영호 ( Youngho Choi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논문에서는 LBS 연동형 스마트 플랫폼의 설계를 통해 타인의 라이프로그 정보를 참조할 수 있는 개인 블랙박스용 라이프 로그 서비스를 제안한다. 일반적이 라이프로그 서비스는 스마트 장치 사용자의 일상적인 행위를 저장함으로써 추후에 이를 다시 확인해 볼 수 있게 해준다. 제안한 라이프로그 서비스 플랫폼은 GPS/UFID 위치 정보와 스마트기기로부터 획득한 영상에서 추출한 다양한 정보를 라이프로그 데이터로 사용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다른 사용자가 구축한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 제공하는 타인의 정보는 기본적으로 500m 이내로 제한하였으나 이러한 범위는 조절가능하다. 제안한 플랫폼은 영상인식기법을 활용하여 획득한 영상에 대한 속성을 결정한 후 위치 정보, 영상 데이터, 영상 속성 그리고 관련된 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속성은 개체ID, 영상 형태, 획득시간, 획득 좌표이다. 사용하는 영상 형태 속성은 산, 바다, 거리, 건물 앞, 건물 내부 그리고 인물이다. 영상 속성이 인물인 경우 셔츠, 바지, 원피스, 액세서리와 같은 부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스마트 디지털 기기로 부터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를 수집하고 웹 서버로부터 웹 데이터를 수집하여, 파일 데이터와 웹 데이터를 라이프로그 데이터로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길찾기 등을 통해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designed a LBS-based smart platform for Lifelog service that can utilize the other`s lifelog information. The conventional Lifelog service means that the system records the daily activities of the smart device user so the user can retrieve the early-recorded information later. The proposed Lifelog service platform uses the GPS/UFI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various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mage as the lifelog data. Further, the proposed Lifelog platform using DB can provide the user with the Lifelog data recorded by the other service user. The system usually provide the other`s Lifelog data within the 500m distance from the user and the range of distance can be adjustable. The proposed smart platform based on image recognition for Lifelog can acquire the image from the smart device directly and perform the various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to produce the useful image attributes. And it can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image data, image attributes and the relevant web informations on the database that can be retrieved by the other use`s request. The attributes stored and managed in the image information database consist of the followings: Object ID, the image type, the capture time and the image GPS coordinates. The image type attribute has the following values: the mountain, the sea, the street, the front of building, the inside of building and the portrait. The captured image can be classified into the above image type by the pattern match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and the user`s direct selection as well. In case of the portrait-attribute, we can choose the multiple sub-attribute values from the shirt, pant, dress and accessory sub-attributes. Managing the Lifelog data in the database, the system can provide the user with the useful additional services like a path finding to the location of the other service user`s Lifelog data and information.

      • KCI등재

        Institutionalizing Japan"s Relief System for Repatriates

        Youngho Choi(최영호)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2 No.2

        이 연구는 일본 패전 이후 3개월 동안, 즉 일본이 포츠담 선언을 수락한 시점에서부터 11월 15일 하카타 항구에 후쿠오카현 임시인양민사무소가 설치될 때까지 후쿠오카현 하카타 항구에서 귀환자를 위한 원호 체계를 어떻게 갖추어 갔는지 역사적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 관련자료를 통하여 일본중앙정부, 조선총독부, 후쿠오카현 지방정부, 점령당국의 귀환자 원호 문제에 관한 관여 실태를 밝히고 있다. 이 시기는 아직 한반도 38도선 이북과 중국 북부의 일본인 민간인 전쟁피해자들 대부분이 현지에 억류된 상태에서 발이 묶어 있던 시기로 대부분의 일본인 귀환자들이 한반도 38도선 이남지역의 거주자였다. 따라서 식민지시기에 전쟁협력을 요청하기 위해 ‘내선일치’를 외치던 일본정부 관리들의 행태가 한반도로 돌 아오는 조선인들에게 일본에 대한 인식을 성격지우는 시기였다. 이 연구는 후쿠오카에 점령군이 도착할 때까지 일본의 공식적인 귀환 관련 업무 담당자들이 수송과 집단수용, 배급, 검역 등 공식적인 서비스에서 일본인 귀환자와 조선인 귀국자에 대한 차별적인 대우를 실시했다는 점을 밝히고 이것이 해방직후 조선인의 반일감정을 북돋우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고 보고 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relief system for repatriates at Hakata port, located in Fukuoka prefecture during the first three months, after the unconditional surrender by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on August 14, 1945, until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im Office for Repatriates in Fukuoka on November 15. It highlights the ethnic discrimination by Japanese officers displayed to Korean returnees. In comparison with Japanese repatriates, Korean returnees faced challenging health conditions with respect to transport, shelter, nutrition, inspection and other basic services. Before the arrival of the local occupation forces in the port, Korean repatriates had to bear systematic discrimination by the Japanese government, the Government General of Chosŏn, and the Fukuoka Prefectural government.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