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0세 이후 고령 산모의 임신과 출산의 임상적 고찰

        최수란 ( Su Ran Choi ),김광준 ( Gwang Jun Kim ),이순표 ( Soon Pyo Lee ),김석영 ( Suk Young Kim ),윤성준 ( Seung Jun Yoon ),이의돈 ( Eui Don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3

        목적 : 40세 이상 고령산모의 임신과 출산의 임상 양상을 파악하여 향후 고령산모의 임신과 출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 방법 : 1999년 1월부터 2001년 6월까지 가천의과대학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7,882명의 산모중 임신 20주 이후에 분만한 40세 이상의 산모 95명을 연구군으로 하였고, 이 기간 동안 무작위로 추출한 20세 이상 40세 미만의 산모 94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통계학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출산율은 40세 이상 고령 Objective : To access the pregnancy tendency and delivery in women aged 40 years and older. Methods : From January 1999 to June 2001, 7882 deliveries were in Gacheon Medical School. Among them we compared 95 cases of pregnant women aged 40 years and older

      • KCI등재

        임신 중기 양수의 이상 염색체 분석

        김광준(Gwang Jun Kim),최수란(Su Ran Choi),이순표(Soon Pyeu Lee),황병철(Byung Chul Whang),이의돈(Eyi Don Lee),김석영(Suk Young Kim),윤성준(Sung Jun Yoon),한은애(Eun Hye Han),안정렬(Jung Rerl Ahn),최유덕(Yu Duk Choi),최승헌(Seung Hyu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6

        목적 : 임신 중기 양수검사의 핵형 분석상 염색체 이상으로 나온 결과를 비정상 염색체 결과와 정상 변이형으로 대별한 후, 적응증과 나이에 따라 두 군의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1997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만 4년간 가천의과대학 길병원 산부인과에서 시행한 1,390건의 임신 중기 양수검사를 대상으로 산모의 연령, 검사의 적응증을 중심으로 양수검사의 결과와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양수검사의 핵형분석 결과 이상 염색체 핵형이 88예 (6.3%)였으며 이상 핵형 중 정상 변이형 (normal variant)이 29예 (2.1%)로 비정상 핵형은 59예 (4.2%)이였다. 비정상 핵형 중 상염색체 수적인 이상은 37 예 (62.7%), 성염색체 수적 이상은 7예 (11.9%)였다. 이상 염색체 핵형중 비정상 염색체는 산모의 연령이 40세 이후인 경우 발생율이 높았고, 초음파상 이상이 있었던 경우나 기형아 출산의 기왕력이 있었던 경우에 발생율이 높았으나, 정상 변이형은 나이나 적응증과 상관없이 발생하였다. 결론 : 염색체 검사의 결과 분석시, 염색체 이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정상변이형은 비정상 핵형과는 적응증과 산모의 나이와의 상관관계에 있어 서로 다른 결과를 보이므로 구별되어 분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bjective : To analyze cytogenetic results of prenatal genetic amniocentesis. Methods : From January 1997 to December 2000, We analyzed 1,390 cases of midtrimester amniocentesis which were done at Gil medical center of Gachon medical school according to its indications and maternal age. Results : Chromosomal aberrations were found in 88 cases (6.3%). Of all our chromosomal aberrations, 29 cases (2.1%) of normal variants and 59 cases (4.2%) of abnormal karyotypes were found. 37 cases of autosomal numerical abnormal karyotypes and 7 cases of sex chromosomal abnormal karyotypes were diagnosed. In abnormal karyotype group, the incidence was high after 40 years of maternal age and in abnormal ultrasound findings, but no such correlations were found in normal variant group. Conclusion : In analysis of midtrimester amniocentesis, it would be better to analyze separately abnormal karyotype group and normal variant group.

      • KCI등재

        초임부에서 유도된 진통 분만의 임상적 고찰

        최영실 ( Young Sil Choi ),박현경 ( Hyun Kyung Park ),최수란 ( Su Ran Choi ),양성천 ( Sung Chun Yang ),이용우 ( Yong Woo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2

        목적: 초임부에서 유도된 진통으로 분만을 시작한 군의 임상적 특징을 자연 진통으로 분만을 시작한 군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4년 8월부터 2006년 7월까지 분만이 이루어진 73명의 초 임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대상 군을 유도된 진통으로 분만을 시작한 군과 자연 진통으로 분만을 시작한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Bishop score를 4점을 기준으로 ≤4점과 >4점으로 나누어 각 경우에서 분만 방법을 비교하였다. 통계 방법으로 Student t-test, Chi-square, 그리고 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유도된 진통으로 분만을 시작한 군은 자연 진통으로 분만을 시작한 군에 비해 ≤4점의 Bishop score를 갖는 임신부가 의미 있게 많았고, 입원부터 분만까지의 시간도 의미 있게 길게 나타났다 (p<0.05). 분만 방법은 유도된 진통으로 분만을 시작한 군에서 자연 진통으로 분만을 시작한 군보다 제왕절개 분만이 더 높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고, 양수 내 태변 착색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Bishop score가 >4점인 경우 제왕절개 분만보다 정상 질식 분만이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100). 결론: 초 임부에서 유도된 진통으로 분만을 시작하였을 때 Bishop score가 낮고 제왕절개분만이 증가하는 위험이 있다. 그리고 성공적인 정상질식 분만의 예측인자는 좋은 상태의 자궁경부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nduction of labor group in nulliparous women at term with a single fetus in cephalic presentation. Methods: w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medical records of 73 nulliparous women delivered between August 2004 and July 2006.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as induction of labor group and spontaneous onset of labor group to compare of obstetrical data. Student t-test, Chi-square, and Fisher`s exact test were performed. Results: Induction of labor group than spontaneous onset of labor group had higher ≤4 of Bishop score cervical status and time from admission to delivery was longer (p<0.05). The rate of cesarean delivery and meconium stained amniotic fluid were higher in induction of labor group (p<0.05). In case of Bishop score is higher than 4, normal vaginal delivery is higher than cesarean delivery (p=0.100). Conclusion: Induction of labor in nulliparous women is associated with low Bishop score and an increased risk of cesarean delivery. Success of vaginal delivery is tightly associated with favorable cervical status.

      • KCI등재

        양막파수가 안된 양수과소증 임신에서 경복부 양수주입술이 주산기 예후에 미치는 영향

        김광준 ( Gwang Jun Kim ),윤성준 ( Sung Jun Yoon ),최수란 ( Su Ran Choi ),이순표 ( Soon Pyeu Lee ),황병철 ( Byung Chul Whang ),최유덕 ( Yu Duk Choi ),이의돈 ( Eyi Don Lee ) 대한주산의학회 2002 Perinatology Vol.13 No.1

        연구배경:양수과소증은 양막파열, 태아기형, 태반기능의 부전과 연관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예후가 좋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치료법으로 양수주입술이 고안되었으나 그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장기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목적:환자-대조군연구를 통해 양수주입술의 장기적 효과를 확인하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양수과소증으로 진단받은 73명의 단태임신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양막파열이 되었거나, 초음파검사상 중증태아기형이 확인된 경우는 제외시켰다. 양수 주입술 시행에 동의하여 양수주입을 시행한 21명을 연구군으로, 52명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양수주입은 31차례 시행되었다. 진단 시 평균 양수지수는 양수주입군 4.2(±1.6), 대조군 4.6±1.4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그 외 산모의 나이, 제태연령, 분만력등에서 두 군간 차이가 없었다. 결과:주입된 양수의 양은 평균 536ml(200~700)이였고, 소요시간은 61(±39.2)분이였으며, 주입후 양수지수는 평균 양수지수는 4.2에서 10.0으로 유의하게 상승되었다. 하지만 임신 결과 지표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다음과 같다: 1) 출생시 평균 제태기간은 양수주입군 36.3(±3.5)주, 대조군 37.2(±2.9)주였다. 2) 평균 체중은 양수주입군 2.54(±0.9)kg, 대조군 2.51(±0.8)kg였다. 3) 신생아 활력지수가 6점이하인 경우는 양수주입군이 1분-3/17, 5분-0/17, 대조군이 1분-6/44, 5분-1/49였다. 4) 수술적 분만빈도는 양수주입군이 0.79, 대조군이 0.65였다. 5) 두 군 모두 2예의 태아사망이 있었다. 결론 : 양수과소증에서 경복부 양수주입술의 장기적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Objective: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ipartum efficiency of amnioinfusion in oligohydramnios without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Methods:73 singleton pregnant women with oligohydramnio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omen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were excluded. 21 women were treated with transabdominal amnioinfusion 31 times and 52 women were closely observed without amnioinfusion. Mean amniotic fluid index, mean gestational age, mean maternal age and the parity at the time of diagnosis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both groups. Results:Mean amounts of infused artificial amniotic fluid was 536ml(200-700), the mean time consumed was 61(±39.2)min. After infusion, mean amniotic fluid index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4.2(±1.6) to 10.0(±2.9). But we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gnancy outcomes. The outcomes are as follows:1)Mean gestational age at birth was 36.3(±3.5) weeks in amnioinfusion group and 37.2(±2.9) weeks in control group. 2) Mean birth weight was 2.54(±0.9)kg versus 2.51(±0.8)kg. 3) The proportions of poor Apgar score at 1 minute and 5 minu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4) Cesarean section rate was 0.79 versus 0.65. 5.There were two still births in both groups. Conclusion:Transabdominal amnioinfusion in oligohydramnios has little effects in improving longterm pregnancy outcomes.

      • KCI등재

        한국 여성의 FMR1 유전자의 CGG 반복횟수 분포

        송경철(Kyung Chul Song),김광준(Gwang Jun Kim),황유진(Yu Jin Whang),최수란(Su Ran Choi),이순표(Soon Pyeu Lee),황병철(Byung Chul Whang),이의돈(Eyi Don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6

        연구 목적 : 취약 X 증후군은 FMR1 유전자 CGG 삼염기의 이상 반복에 의해 발생되며, 모체에서 삼염기의 반복횟수가 많을수록 다음 대에서 이상 반복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짐으로 질환의 발생위험도가 높다. 또한 이러한 FMR1 유전자 CGG 염기반복 횟수는 각 인종마다 차이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 여성의 CGG 삼염기 반복횟수 분포를 알아봄으로 취약 X 증후군의 위험율과 보인자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가천의대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한 정신지체가 없는 일반 여성 1000명의 혈액에서 백혈구를 채취하여 DNA를 분리하였고 중합효소 연쇄반응 (PCR)을 이용하여 FMR1 유전자의 CGG 삼염기 반복횟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 우리나라 여성의 FMR1 유전자의 CGG 삼염기 반복횟수는 6회에서 50회 사이에 존재하였으며, 삼염기 반복의 평균은 26.9회였다. 하나의 밴드가 나타난 경우는 6-20회 사이는 34명, 21-25회는 325명, 26-30회는 260명이었고, 31-35회는 145명, 36-50회는 3명이였으며, 13명에서는 밴드가 보이지 않았다. 또한 두 개 이상의 밴드가 나타난 경우는 446예 (22.3%)로 대부분 (396예)이 21-35회 사이에 존재하였다. 결론 : 우리나라 여성의 FMR1 유전자의 CGG 삼염기 반복횟수 분포는 21회에서 25회 사이가 가장 많았으며, 35회 미만이 전체의 97%를 차지하여 취약 X 증후군의 위험도는 다른 인종에 관한 보고와 비교하여 낮다고 볼 수 있다. Objective : Fragile X syndrome is the most common form of familial mental retardation, attributable to (CGG)n expansion in the FMR1 gen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certain the distribution of FMR1 CGG repeat in the general Korean women and to identify ethnic difference in FMR1 CGG repeat number. Material and method : Between January 1999 and December 1999, we evaluated 1,000 low risk women who visited Gachon Medical School Hospital. DNA samples were extracted from the venous bloods by routine methods, and G-C 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s were performed to evaluate FMR1 CGG repeat number. Results : Mean FMR1 CGG repeat number was 26.9 (6-50), single PCR bands were detected in 776 cases (77.7%). There were two more bands in 22.3% of the cases. Most of the cases are located between 21 and 35 repeats, especially 21-25 repeats. The pattern of distribution of CGG repeat is dispersed. In 13 cases, we could not obtain the PCR results. Conclusion : Low risk of transmission rate of the FRX in Korea can be expected.

      • KCI등재

        근치적 자궁경부절제술 후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임신 2분기 분만 후 시행한 복식 자궁경부원형결찰술로 만삭 출산한

        송지은 ( Ji Eun Song ),이근영 ( Keun Young Lee ),최수란 ( Su Ran Cho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5

        The ultimate goal of radical trachelectomy is to have a viable pregnancy. However, extremely short cervix following radical trachelectomy could result in cervical incompetence and nonviable preterm delivery. Although prophylactic cerclage is placed at the time of radical trachelectomy, it might not be suffi cient to prolong pregnancy until term. We report a successful term pregnancy after transabdominal cerclage with previous second trimester loss following vaginal radical trachelectomy.

      • KCI등재

        자궁외임신의 최근 8년간의 임상적 고찰

        박성호 ( Sung Ho Park ),나연식 ( Yon Sik Na ),정지윤 ( Ji Yoon Jung ),양성천 ( Seong Cheon Yang ),최수란 ( Su Ran Choi ),김성주 ( Sung Joo Kim ),장봉림 ( Pong Rheem Jang ),권용일 ( Yong Il Kw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2

        목적: 자궁외임신에 대한 임상 및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그 조기진단과 적정한 치료법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한림대학교 의료원의 자궁외임신 환자의 의무기록지를 조사하였다. 결과: 자궁외임신의 빈도는 13.6개의 분만당 1건이었고 호발 연령은 26~30세였다(29.5%). 위험인자는 과거 복부나 골반수술 병력(37.0%), 인공유산 병력(30.8%) 골반염 병력(12%), 난관불임술 병력(9.6%) 순이었다. 증상은 무월경(88.7%), 하복통(81.2%), 질출혈(60%) 순으로 나타났으며, 증상 발현은 마지막 생리시작일 후 6~8주가 47%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혈색소는 10 gm/dL 이상이 79%였고 8 gm/dL 이하가 3.9%였다. 발생부위는 난관에 89%, 자궁각에 7.2%, 난소에 1.1%, 자궁경부에 2.7%였다. 수술은 복강경이 755예(71.6%), 개복술이 273예(25.9%), 소파수술이 26예(2.5%)에서 행해졌다. 수술 시 난관 절제가 82.4%로 가장 많았고, Methotrexate(MTX) 치료는 13예 (1.21%)에서 성공적으로 행해졌다. 결론: 자궁외임신의 조기진단은 혈청 β-hCG와 질초음파를 함께 이용하는 것이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되며 치료는 복강경수술이 개복술에 비해 입원기간 및 합병증을 낮출 수 있어 향후 치료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The study was designed to ascertain a proper method of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ectopic pregnancy by analyzing its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were diagnosed to ectopic pregnancy at Hallym medical center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 2000 to December 31, 2007 have been reviewed. Results: The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was 7.3% (1,067) out of 14,519 deliveries. The most frequent age group was 26~30 (29.5%). Risk factors they had were previous histories of abdominal or pelvic surgery (37.0%), artificial abortion (30.8%), pelvic inflammatory disease (12%), and tubal sterilization (9.6%). Most frequent clinical symptoms were amenorrhea (88.7%), lower abdominal pain (81.2%), and vaginal spotting (60.0%). Percentage of patients with hemoglobin level over 10.0 gm/dL was 79% and below 8.0 gm/dL 3.9%. The clinical symptoms of ectopic pregnancy most commonly occurred after 6~8 weeks from last menstrual period (47%). Ectopic gestation was implanted on the fallopian tube in 89%, cornus in 7.2%, ovary in 1.1% and the cervix in 2.7%. Laparosopic surgeries were performed in 755 cases (71.6%) and laparotomies in 273 cases (25.9%) and dilatation and curettages in 26 cases (2.5%). Salpingectomy was performed most frequently (82.4%). Methotrexate (MTX) treatment was successful in 13 cases (1.21%). Conclusion: The early diagnosis of ectopic pregnancy is most useful when serum β-hCG and vaginal sonography are used together. Laparoscopy would be a preferred method because of its short hospitalization period and low complication rate compared with laparotomy in ectopic pregnancy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