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축구선수들의 스트레스 요인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이순표(Lee Soon-Pyo),김영수(Kim Young-Soo),이상돈(Rhee Sang-Don) 한국체육과학회 2008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7 No.4

        This research wished to examine stressor and disposal methods of stress in training and game situation of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and high school soccer players, examines closely whether these disposal method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and high school soccer players.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and high school soccer players from 226 players were divided(115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111 high school soccer players). This was measured through fator analysis and the gained result gave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leading general causes of stress for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and high school soccer players were similar. Losing the game, especially when the player perceived that it was due to their own mistakes, contributed to a higher stress factor. The palyers who did not exhibit their abilities during game play also had higher stress. Likewise stress increased when spectators neglected to affirm the palyer or placed blame on the player.

      • KCI등재

        산전진단된 흉복부 해면성 림프관종

        김태은 ( Tae Eun Kim ),이순표 ( Soon Pyo Lee ),박종민 ( Jong Min Park ),황병철 ( Byung Chul Whang ),김석영 ( Suk Young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8

        Lymphangiomas are congenital anomalies of the lymphatic system in which abnormal lymphatic channels are localized to form a benign mass. Lymphangiomas are classified into 3 types: simple, cavernous, and cystic (=cystic hygroma). Mixed forms may coexist. Cavernous lymphangiomas are very rare variants and characterized by penetration through the subcutaneous area between the muscular septa. Lymphangiomas are typically presented in the head, neck and axillary region, while cavernous lymphangiomas most commonly occur in the thorax or retroperitoneum. Although there are many papers about the cystic hygroma, a few cases of fetal thoracoabdominal cavernous lymphangioma have been reported. Accurate prenatal diagnosis and anatomical evaluation are important for delivery planning and prompt postnatal resuscitation. The anomaly was assessed by two dimensional (2D), three dimensional (3D), and real-time multiplanar four dimensional (4D) ultrasound. This case report confirms the usefulness of the 3D, real-time multiplanar 4D ultrasound to assess the mass extension and relationship with adjacent structures. We present a case of fetal thoracoabdominal cavernous lymphangioma diagnosed by 2D, 3D, real-time multiplanar 4D ultrasound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복강 파종을 유발하는 부인암에 대한 수술적 치료

        이상현 ( Sang Hyun Lee ),최장열 ( Jang Yeul Choi ),송정인 ( Jung In Song ),차용원 ( Yong Won Cha ),이광범 ( Kwang Beum Lee ),이종민 ( Jong Min Lee ),윤성준 ( Sung Jun Yoon ),김석영 ( Suk Young Kim ),이순표 ( Soon Pyo Lee ),이지성 대한산부인과학회 200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8 No.3

        목적: 진행된 부인암 환자들에서 optimal 종양감축술을 시행한 군과 suboptimal 종양감축술을 시행한 군간의 효율 (efficacy)과 이환율 (morbidity)을 비교하고, optimal 종양감축술 시행에 제한적인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8년부터 2003년까지 가천의대 길병원 산부인과에서 32명의 난소암환자, 4명의 난관암환자, 3명의 원발성 복막암 환자에서 종양감축술을 시행하였다. 이들 중 38명은 FIGO Stag Objectiv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efficacy and morbidity of optimal debulking operation with those of suboptimal operation for patients with advanced gynecologic malignancies and to establish the precluding factors for performing the o

      • KCI등재

        건강한 고령 초산모에서 산모 연령이 임신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태은 ( Tae Eun Kim ),이순표 ( Soon Pyo Lee ),박종민 ( Jong Min Park ),황병철 ( Byung Chul Whang ),김석영 ( Suk Young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9 Perinatology Vol.20 No.2

        목적: 고령 초산모의 임신과 출산에 있어서 연령이 임신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임신 21주 이후 분만한 산모 중 초산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 이외에 산과적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최소화 하고자 심혈관계 기저질환이 없고, 임신 중 고혈압 질환이나 현성 및 임신성 당뇨와 같은 위험인자가 없는 건강한 초산모만으로 연구대상을 제한하였다. 이들 중 35세 이상인 산모 235명을 연구군으로 하였으며, 20세에서 34세까지의 산모 1571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임상적 특징 및 산과적 예후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제태연령이나 출생체중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군에서 제왕절개의 빈도가 의미있게 높았으며(60.4% vs 39.4%, P=0.000), 제왕절개의 적응증 중 기왕 자궁수술력이 있었던 경우, 전치태반인 경우의 빈도가 연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3.0% vs 0.2%, P=0.000, 9.4% vs 5.2%, P=0.011). 신생아 합병증에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산전합병증은 전치태반, 자궁근종의 빈도가 연구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6.0% vs 2.8%, P=0.010, 4.7% vs 1.2%, P=0.000), 산후합병증은 수술부위 감염의 빈도가 연구군에서 높게 나타났다(1.7% vs 0.3%, P=0.005). 결론: 심혈관계 기저질환이 없고, 임신 중 고혈압 질환이나 현성 및 임신성 당뇨와 같은 위험인자가 없는 건강한 고령 초산모에서 전치태반의 빈도 및 제왕절개의 빈도는 유의하게 증가하나 신생아 합병증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산전 및 산후 합병증 중 전치태반, 자궁근종, 수술부위 감염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조기진통, 조기양막파수, 산후출혈 등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고령의 초산모에서 단지 산모의 연령이 고령인 것이 산과적으로 고위험 요소는 아니며, 모든 고령 산모를 고위험 산모로 간주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pregnancy outcomes associated with delayed first childbearing Methods: We evaluated retrospectivel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egnancy outcomes in primiparous mothers who delivered a fetus after more than 21 weeks of gestation in our hospital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8. We enrolled only healthy primiparous mothers who have no underlying cardiovascular disease, hypertensive disorders complicating pregnancy and overt or gestational diabetes to remove the confounding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regnancy outcomes. Finally, 235 mothers aged 35 years and above and 1571 mothers aged 20~34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the control groups, respectively.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cesarean section in the study group. (60.4% vs 39.4%, P=0.000) The incidence of previous uterine operation history and placenta previa which were the indications of cesarean section were higher in the study group (3.0% vs 0.2%, P=0.000, 9.4% vs 5.2%, P=0.011). Antepartum and postpartum complications with the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rates in study group were placenta previa and uterine myoma (6.0% vs 2.8%, P=0.010, 4.7% vs 1.2%, P=0.000) and wound complications (1.7% vs 0.3%, P=0.005),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neonatal outcomes and other antepartum/postpartum complications, such as the incidence of preterm labor, PROM and postpartum bleeding, of two groups were comparab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Conclusion: Although incidence of placenta previa, cesarean section, uterine myoma and wound complication were higher in healthy old primiparous mothers, no differences were noted in neonatal outcomes compared to the young primiparous mothers. We conclude that elderly primiparous pregnancy in woman should not be considered as a high risk pregnancy on the basis of age alone.

      • KCI등재

        초극소 치골상 복식절개하 질식 자궁절제술에 대한 검토

        최유덕 ( Yu Duk Choi ),이순표 ( Soon Pyo Lee ),석원익 ( Won Ik Seo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2

        목적 : 복식 자궁절제술이 금기에 해당하는 양성질환에 시도한 새로운 질식자궁 절제 수술법의 안정성과 효용성에 대한 검토를 목적한다.졓米?및 방법 : 2002년 2월 1일부터 2002년 7월 10일까지 가천의대 길병원 산부인과에서 무작위 연속적으로 초극소 치골상 복식절개하 자궁절제술 (MAVH)을 시행 받은 7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의 안정성과 유용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 치골상부 치모선에 평행으로 약 2-2.5 cm 정도의 극소절개 Objective : To review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a new vaginal hysterectomy method, Minilaparatom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MAVH), tried on benign diseases with?indication of abdominal hysterectomy. Materials & Methods : The analysis of th

      • KCI등재

        임상 ; 조기분만과 만삭분만 산모의 모발에서 측정한 중금속 농도의 비교

        김석영 ( Suk Young Kim ),이글라라 ( Clara Lee ),이호형 ( Ho Hyoung Lee ),황병철 ( Byung Chul Hwang ),이순표 ( Soon Pyo Lee ),박종민 ( Jong Min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4

        목적: 산모의 영양상태는 태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산모의 영양상태뿐만이 아니라 산모 체내의 유해한 중금속도 태아의 발육에 영향을 미친다. 이전의 연구에서 산모의 중금속이 높을수록 태아의 발육지연이나 조기분만의 비 율이 높아진다는 보고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 여러 연구에서 산모의 중금속의 농도와 태아의 발육지연이나 조기분만 과의 관계에 대해 일치할 만한 결과를 내놓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조기분만과 정상분만 산모간에 중금속 농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3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본원을 방문한 52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임신주수 37주를 기준으로 조기분만군과 정상분만으로 나누어 두군을 비교 평가하였다. 조기분만군은 23명, 정상분만군은 29명 이었다. 중금속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모발 미네랄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머리카락을 이용한 모발미네랄 검사의 항목으로는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구리, 아연 등 15가지 영양 미네랄을 검사하였으며 중금속으로는 안티몬, 우라늄, 비소, 베릴륨, 수은 카드뮴, 납, 알루미늄의 7가지 중금속이 검사항목에 포함되어 있으며 그 외에 백금, 니켈등 14가지 기타 미네랄을 검사하였다. 결과: 모발 미네랄 검사를 통해 산모의 모발에서 얻은 검체의 중금속 농도를 비교했을 때, 수은, 알루미늄, 납 성분이 조기분만군과 정상분만군 모두에서 검출되었으나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중금속은 없었다. 결론: 모발 미네랄 검사를 통해 산모의 몸속에 중금속이 축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비록 조기분만군과 정상분만 군 간의 농도를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중금속의 노출이 태아의 발달 이상이나 분만 시 여러 합병증을 야기시킨다는 여러 논문들의 연구결과를 볼때 중금속의 악영향을 간과할 수는 없었다. Objectives: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s of heavy metal exposure on adverse birth outcomes are still inconsistent. Heavy metal exposure would be related to decreased birth weight and a shortened gestational age. The aim of this work was to investigate maternal hair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relation to gestational age at delivery. Methods: A total of 52 maternal hair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Gil hospital, Korea. Delivery before 37 weeks of gestation was defined as preterm and delivery after 37 weeks of gestation was defined as full-term delivery. We gathered the specimens from maternal hair approaching delivery. 23 samples were taken from preterm delivered mothers and 29 samples from full term delivered mothers. We evaluated maternal specimen by hair tissue mineral analysis to measure heavy metal concentrations accumulated for more than several months.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Chisquare test,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W test. Results: Heavy metal was revealed in pregnant women`s hair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vels of heavy metal and gestational age at delivery. Compared numbers of preterm delivery and fullterm delivery by stratified by heavy metal concentrations did not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s: This study does not show any strong relationship between delivery outcome and heavy metal measured by hair tissue mineral analysis. Further prospective studies with serial measures of cord blood heavy metal level and hair its levels may be required.

      • KCI등재

        분만기 주위에 실시한 응급 자궁 절제술에 대한 연구

        박혜원 ( Hye Won Park ),이경훈 ( Gyeong Hun Lee ),김석영 ( Seok Yeong Kim ),이순표 ( Soon Pyo Lee ) 대한주산의학회 2008 Perinatology Vol.19 No.3

        목적: 분만기 주위 응급 자궁 절제술의 산과적 특징 및 위험 인자를 분석하여 출혈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5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시행된 159예의 분만기 주위 응급 자궁절제술에 대해 출혈 양에 따라 2,000 mL 미만 (A군), 2,000~4,000 mL (B군), 4,000 mL 이상(C군)으로 분류하였고, 각 군의 발생 빈도, 산모 나이, 출산력, 분만 주수, 분만방법, 수혈량, 입원기간, 자궁 절제술의 적응증 및 모성 합병증을 분만대장 및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후향적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분만기 주위 응급 자궁절제술의 빈도는 0.34% (159/46,666)로, 제왕 절개술 후에 0.47% (120/25,591), 질식 분만 후에 0.19% (39/21,075)를 보였다. 출혈량에 따라 분류한 각 군간의 산모 나이, 출산력, 분만 주수, 입원 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출혈량이 많을수록 제왕절개 분만 후 자궁절제술의 빈도가 높았다(p<0.05). A군에서 가장 많은 적응증은 자궁 무력증(47.19%)이었고, B군과 C군에서는 유착 태반(48.08%, 50.0%)이었다. 다량 실혈로 인한 수술 중 및 수술 후 합병증이 증가하였고 범발성 응고 장애, 폐렴, 비뇨기계 손상 등이 관찰되었다. 결론: 분만기 주위 응급 자궁 절제술은 제왕절개를 포함한 기왕 자궁내 손상에 따른 태반 유착과 관련이 있었으며 나아가 출혈량의 증가를 동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ssociated risk factors for emergency peripartum hysterectomy classified by the amounts of blood loss. Material and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59 cases of peripartum hysterectomy among 46,666 deliveries, from Jan. 1995 to Dec. 2005 at the Dept. of Ob. & Gy. of Graduate School of Medicine,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We divided the 159 cases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amounts of blood loss, which were group A as less than 2,000 mL of blood loss, group B as 2,000 to 4,000 mL of blood loss, and group C as more than 4,000 mL. The incidence, the type of delivery, the amounts of transfusion, the operative indication and the complications of peripartum hysterectomy were evaluated. Results: The incidence of peripartum hysterectomy was 0.34% (159/46,666) and 0.47% in cases of cesarean section and 0.19% in vaginal delivery, respectively. There was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age, parity, gestational age, hospital stay and amount of blood loss. The increments of blood loss correlated to the frequency of peripartum hysterectomy after cesarean section (p<0.05). The most common operative indication in group A was uterine atony (47.19%), and those in group B and C were adherent placentation (48.08%, 50.00%).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ccording to excessive bleeding were increased, and DIC, pulmonary infection, urethral and bladder injury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in group C than in group A. Conclusion: The emergency peripartum hysterectomy was related to adherent placentation and was accompanied with increased blood loss.

      • KCI등재

        폐경에 따른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상 AGUS 의 임상 분석

        석원익(Won Ik Seok),이광범(Kwang Byum Lee),이종민(Jong Min Lee),엄기남(Gi Nam Um),윤성준(Seong Jun Yoon),최수란(Soo Lan Choi),김석영(Seok Young Kim),김광준(Kwang Jun Kim),이순표(Soon Pyo Lee),이지성(Jee Seong Lee),박찬용(Chan Yong Pa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6

        목적 : 폐경상태에 따른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상 AGUS의 조직학적 결과 및 진단적 접근방법의 차이에 대한 임상적 중요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AGUS로 진단된 104명 중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87명을 대상으로 폐경상태에 따른 조직학적 결과 및 진단 방법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결과 : AGUS로 진단된 87명 중 폐경기 이전의 환자와 폐경 후 환자는 각각 46예 (52.9%)와 41예 (47.1%) 이었다. 87명중 70명 (80.5%)에서 중요한 조직학적 소견을 보였고, 이중 침윤성 질환을 보인 폐경기 이전 및 폐경 후 환자는 각각 19명 (41.3%)과 31명 (75.6%)으로, 폐경 후 환자에서 폐경기 이전 환자에 비하여 침윤성 암종이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다 (P=0.002). 또한 진단방법의 평가에 있어 폐경 후 환자에서 폐경기 이전 환자에 비하여 제2군의 검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필요하였다 (P=0.018). 결론 :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상 AGUS는 추후의 조직검사에서 비침윤성 및 침윤성 병변의 높은 빈도와 관련되어 있다. 특히 폐경 후 환자에서는 제 1군의 검사 후 설명되지 않는 AGUS 환자에서 자궁경 및 자궁내막 병변의 잠재성의 병리상태 뿐만 아니라 드물지만 위장관, 난관, 난소 또는 유방 등 자궁 이외의 병변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검사가 추천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AGUS including histologic results and diagnostic modalities according to menopausal status. Methods : One hundred and four patients with AGUS were identified. Corresponding biopsies were available for 87 of these cases. The evaluation for histologic results and diagnostic modalities was made according to menopausal status. Results : Among the 87 patients with AGUS, the number of premenopausal and menopausal patients were 46 (52.9%) and 41 (47.1%), respectively. Over all, 70 (80.5%) of 87 patients were found to have important histologic findings and of them, premenopausal and menopausal patients with invasive diseases were 19 (41.3%) and 31 (75.6%)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hologic findings between premenopausal and menopausal patients indicating more invasive lesions in menopausal than premenopausal patients (p=0.002). For the evaluation of diagnostic modality, the second arm was significantly more needed for menopausal than premenopausal patients (p=0.018). Conclusion : AGUS on pap smear represents a cytologic diagnosis associated with high incidence of underlying preinvasive and invasive lesions, especially in postmenopausal patients. Thus aggressive work-up is recommended to rule out the potential pathologic conditions in endocervix, endometrium and rarely extrauterine lesions such as gastrointestinal, tubal, ovarian or breast in patients otherwise unexplained AGUS after careful first arm work-up.

      • KCI등재

        자궁 질에 발생한 위장관기질종양

        하승연 ( Seung Yeon Ha ),이기범 ( Ki Beom Lee ),이순표 ( Soon Pyo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10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 is a mesenchymal tumor that usually arises with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However extra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EGIST) is a rare tumor (5%), especially few cases of EGIST arising in vagina have currently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vaginal GIST. A 49-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vaginal mass for three weeks. The mass was located posterolateral vagina near to introitus and 3.0 × 2.5 cm in size. Histological examination showed hypercelluar spindle cell proliferation and more than 10 mitoses per 50 high power fields. They were positive for c-kit (CD 117) and CD34. Surgery i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and long term follow up is warra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