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여성의 FMR1 유전자의 CGG 반복횟수 분포

        송경철(Kyung Chul Song),김광준(Gwang Jun Kim),황유진(Yu Jin Whang),최수란(Su Ran Choi),이순표(Soon Pyeu Lee),황병철(Byung Chul Whang),이의돈(Eyi Don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6

        연구 목적 : 취약 X 증후군은 FMR1 유전자 CGG 삼염기의 이상 반복에 의해 발생되며, 모체에서 삼염기의 반복횟수가 많을수록 다음 대에서 이상 반복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짐으로 질환의 발생위험도가 높다. 또한 이러한 FMR1 유전자 CGG 염기반복 횟수는 각 인종마다 차이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 여성의 CGG 삼염기 반복횟수 분포를 알아봄으로 취약 X 증후군의 위험율과 보인자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가천의대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한 정신지체가 없는 일반 여성 1000명의 혈액에서 백혈구를 채취하여 DNA를 분리하였고 중합효소 연쇄반응 (PCR)을 이용하여 FMR1 유전자의 CGG 삼염기 반복횟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 우리나라 여성의 FMR1 유전자의 CGG 삼염기 반복횟수는 6회에서 50회 사이에 존재하였으며, 삼염기 반복의 평균은 26.9회였다. 하나의 밴드가 나타난 경우는 6-20회 사이는 34명, 21-25회는 325명, 26-30회는 260명이었고, 31-35회는 145명, 36-50회는 3명이였으며, 13명에서는 밴드가 보이지 않았다. 또한 두 개 이상의 밴드가 나타난 경우는 446예 (22.3%)로 대부분 (396예)이 21-35회 사이에 존재하였다. 결론 : 우리나라 여성의 FMR1 유전자의 CGG 삼염기 반복횟수 분포는 21회에서 25회 사이가 가장 많았으며, 35회 미만이 전체의 97%를 차지하여 취약 X 증후군의 위험도는 다른 인종에 관한 보고와 비교하여 낮다고 볼 수 있다. Objective : Fragile X syndrome is the most common form of familial mental retardation, attributable to (CGG)n expansion in the FMR1 gen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certain the distribution of FMR1 CGG repeat in the general Korean women and to identify ethnic difference in FMR1 CGG repeat number. Material and method : Between January 1999 and December 1999, we evaluated 1,000 low risk women who visited Gachon Medical School Hospital. DNA samples were extracted from the venous bloods by routine methods, and G-C 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s were performed to evaluate FMR1 CGG repeat number. Results : Mean FMR1 CGG repeat number was 26.9 (6-50), single PCR bands were detected in 776 cases (77.7%). There were two more bands in 22.3% of the cases. Most of the cases are located between 21 and 35 repeats, especially 21-25 repeats. The pattern of distribution of CGG repeat is dispersed. In 13 cases, we could not obtain the PCR results. Conclusion : Low risk of transmission rate of the FRX in Korea can be expected.

      • KCI등재

        최신임상강좌 : 요실금 수술 후 발생한 배뇨장애의 처치

        구천회 ( Chun Hoe Ku ),황병철 ( Byung Chul Wh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9

        최근 요실금 수술이 증가함에 따라 수술 후 배뇨장애가 문제가 되고 있다. 요실금 수술 후 배뇨장애를 가진 환자는 주로 저장증상 또는 배뇨증상이 나타나며 진단을 위해서는 수술 전 환자의 배뇨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요실금 수술 후 배뇨장애의 진단은 병력 청취, 이학적 검사, 요검사, 잔뇨량 검사를 기초로 하며 요역동학 검사, 방광경 검사를 이용한 정보도 유용하다. 치료로는 우선 자가됴뇨, 수분제한, 항콜린성약제, 골반근육운동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며 효과가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한다. 이전 요실금 수술이 중부요도 슬링인지 다른 시술인지에 따라서 수술 시기 및 방법이 달라지므로 이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중부요도 슬링의 경우 빠른 시기에 테이프를 이완하거나 절단하는 방법으로 좋은 성적이 보고되고 있다. 요실금 수술 후 배뇨장애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수술 시 과도한 장력을 피하는 것이므로, 항상 이를 염두에 두고 수술을 시행하여야 하겠다.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surgery for incontinence, voiding dysfunction after anti-incontinence surgery will continue to be a problem. The patient with postoperative voiding dysfunction may present with primarily storage symptoms or voiding symptoms, or a combination of both. Detailed knowledge of the preoperative voiding status may aid in the diagnosis of voiding dysfunction. Diagnosis is based on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urinalysis and postvoid residual volume, but additional informations from urodynamic study and cystoscopy are useful. Patients with postoperative voiding dysfunction should be initially treated conservatively with intermittent or continuous catheterization, fluid restriction, anticholinergics and pelvic floor physiotherapy. When conservative treatment fails, surgical intervention should be done.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midurethral sling and other procedures because the timing and type of intervention vary. In case of midurethral sling, loosening or cutting the tape has had excellent results. Prevention of obstruction during surgery may be the best way to avoid reoperation.

      • KCI등재

        제왕절개 자궁적출술의 임상적 고찰

        김용욱(Yong Yook Kim),김석영(Suk Young Kim),황병철(Byung Chul Whang),이종민(Jong Min Lee),최유덕(Yu Duk Choi),한양석(Yang Seok Han),이지성(Ji Sung Lee),노성혁(Seong Hyeok Noh),김장수(Jang Su Kim),최태행(Tae Haeng Choi),최용민(Yong Mi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7

        목적 : 가천의대부속 길병원에서 시행되었던 제왕절개 자궁적출술의 빈도, 적응증, 임상경과 등을 조사, 분석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시행된 제왕절개 자궁적출술을 임상기록지를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결과 : 총 31,481예의 분만 중 제왕절개 자궁적출술의 빈도는 0.4%이었다. 17,829예의 제왕절개술에 의한 분만 중 100예(0.6%)에서, 13,652예의 질식분만 중 22예(0.2%)에서 제왕절개 자궁적출술이 있었다. 산모의 연령과 분만력이 증가함에 따라 제왕절개 자궁적출술의 빈도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P=0.001). 제왕절개 자궁적출술의 적응증 중 자궁무력증이 50예(41.9%)로 가장 많았고, 유착태반을 동반한 전치태반이 25예(20.5%), 유착태반이 14예(11.5%), 임신을 동반한 자궁근종이 11예(9.0%), 유착태반은 아니었으나 전치태반이 지혈이 안되어 자궁하부에서 지속적인 출혈이 있었던 것이 9예(7.4%), 자궁파열이 7예(5.7%), 자궁절개확장으로 인한 혈관손상이 6예(4.9%)의 순 이었다. 수혈량은 2예를 제외한 대부분의 환자에서 2pints에서부터 78pints까지 다량의 수혈을 요하였다. 주산기에 사망했던 경우는 자궁내 태아사망 3예(2.5%), 신생아 사망 4예(3.3%)로 주산기 사망률은 5.7%이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방광손상, 요관손상, 수술 후 발열, 범발성 혈관내 응고장애, 혈종, 창상파열, 울혈성심부전, 질 봉합부 출혈이었다. 산모 사망은 2예로 그 원인은 모두 방광후벽까지 감입된 전치태반으로 인한 과도한 출혈과 범발성 혈관내 응고장애이다. 결론 : 제왕절개 자궁적출술은 분만중 산모의 생명보존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 수술 수기는 대개 수술 전후의 이환율과 상당히 연관된다. 그러므로 산부인과 의사는 위험성이 있는 환자를 파악하고, 합병증을 예견할 수 있어야 된다. Objective : To study the prevalence, indications, and outcome of cesarean hysterectomy in women delivered at the Gil Medical Center, Gacheon Medical School. Method :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f all cases of cesarean hysterectomy performed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1999. Results : The incidence of cesarean hysterectomy was 0.4% (122/31,481). Cesarean hysterectomy was performed in 100 of 17,829 cesarean sections (0.6%) and in 22 of 13,652 vaginal deliveries(0.2%). The higher the age and the parity of patients, the higher the incidence of cesarean hysterectomy was noted. The most common indication of cesarean hysterectomy was uterine atony(50 cases, 41.9%), followed by 25 cases of placenta previa with adhesive placenta(20.5%), 14 cases of adhesive placenta(11.5%), 11 cases of uterine myoma with pregnancy(9.0%), 9 cases of uncontrolled bleeding with placenta previa(7.4%), 7 cases of uterine rupture(5.7%) and 6 cases of extension of uterine incision(4.9%). All patients who had cesarean hysterectomy received transfusion from 0 pint to 78 pints. Live births were 115 cases(94.3%) and 3 infants were still birth(2.5%). Four infants were dead during early neonatal period(3.3%), so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5.7%.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bladder injury, ureteral injury, febrile morbidity,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opathy, hematoma, wound disruption, postpartum cardiomyopathy, and vaginal stump bleeding. There was two maternal deaths due to acute, severe hemorrhage and DIC. Conclusion : Cesarean hysterectomy remains a necessary procedure for life saving during abdominal and vaginal deliveries. The procedure itself is usually associated with considerable perioperative morbidity. Obstetricians should identify patients at risk and anticipate the procedure and complications.

      • KCI등재

        건강한 고령 초산모에서 산모 연령이 임신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태은 ( Tae Eun Kim ),이순표 ( Soon Pyo Lee ),박종민 ( Jong Min Park ),황병철 ( Byung Chul Whang ),김석영 ( Suk Young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9 Perinatology Vol.20 No.2

        목적: 고령 초산모의 임신과 출산에 있어서 연령이 임신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임신 21주 이후 분만한 산모 중 초산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 이외에 산과적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최소화 하고자 심혈관계 기저질환이 없고, 임신 중 고혈압 질환이나 현성 및 임신성 당뇨와 같은 위험인자가 없는 건강한 초산모만으로 연구대상을 제한하였다. 이들 중 35세 이상인 산모 235명을 연구군으로 하였으며, 20세에서 34세까지의 산모 1571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임상적 특징 및 산과적 예후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제태연령이나 출생체중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군에서 제왕절개의 빈도가 의미있게 높았으며(60.4% vs 39.4%, P=0.000), 제왕절개의 적응증 중 기왕 자궁수술력이 있었던 경우, 전치태반인 경우의 빈도가 연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3.0% vs 0.2%, P=0.000, 9.4% vs 5.2%, P=0.011). 신생아 합병증에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산전합병증은 전치태반, 자궁근종의 빈도가 연구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6.0% vs 2.8%, P=0.010, 4.7% vs 1.2%, P=0.000), 산후합병증은 수술부위 감염의 빈도가 연구군에서 높게 나타났다(1.7% vs 0.3%, P=0.005). 결론: 심혈관계 기저질환이 없고, 임신 중 고혈압 질환이나 현성 및 임신성 당뇨와 같은 위험인자가 없는 건강한 고령 초산모에서 전치태반의 빈도 및 제왕절개의 빈도는 유의하게 증가하나 신생아 합병증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산전 및 산후 합병증 중 전치태반, 자궁근종, 수술부위 감염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조기진통, 조기양막파수, 산후출혈 등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고령의 초산모에서 단지 산모의 연령이 고령인 것이 산과적으로 고위험 요소는 아니며, 모든 고령 산모를 고위험 산모로 간주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pregnancy outcomes associated with delayed first childbearing Methods: We evaluated retrospectivel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egnancy outcomes in primiparous mothers who delivered a fetus after more than 21 weeks of gestation in our hospital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8. We enrolled only healthy primiparous mothers who have no underlying cardiovascular disease, hypertensive disorders complicating pregnancy and overt or gestational diabetes to remove the confounding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regnancy outcomes. Finally, 235 mothers aged 35 years and above and 1571 mothers aged 20~34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the control groups, respectively.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cesarean section in the study group. (60.4% vs 39.4%, P=0.000) The incidence of previous uterine operation history and placenta previa which were the indications of cesarean section were higher in the study group (3.0% vs 0.2%, P=0.000, 9.4% vs 5.2%, P=0.011). Antepartum and postpartum complications with the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rates in study group were placenta previa and uterine myoma (6.0% vs 2.8%, P=0.010, 4.7% vs 1.2%, P=0.000) and wound complications (1.7% vs 0.3%, P=0.005),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neonatal outcomes and other antepartum/postpartum complications, such as the incidence of preterm labor, PROM and postpartum bleeding, of two groups were comparab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Conclusion: Although incidence of placenta previa, cesarean section, uterine myoma and wound complication were higher in healthy old primiparous mothers, no differences were noted in neonatal outcomes compared to the young primiparous mothers. We conclude that elderly primiparous pregnancy in woman should not be considered as a high risk pregnancy on the basis of age alone.

      • KCI등재

        산전진단된 흉복부 해면성 림프관종

        김태은 ( Tae Eun Kim ),이순표 ( Soon Pyo Lee ),박종민 ( Jong Min Park ),황병철 ( Byung Chul Whang ),김석영 ( Suk Young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8

        Lymphangiomas are congenital anomalies of the lymphatic system in which abnormal lymphatic channels are localized to form a benign mass. Lymphangiomas are classified into 3 types: simple, cavernous, and cystic (=cystic hygroma). Mixed forms may coexist. Cavernous lymphangiomas are very rare variants and characterized by penetration through the subcutaneous area between the muscular septa. Lymphangiomas are typically presented in the head, neck and axillary region, while cavernous lymphangiomas most commonly occur in the thorax or retroperitoneum. Although there are many papers about the cystic hygroma, a few cases of fetal thoracoabdominal cavernous lymphangioma have been reported. Accurate prenatal diagnosis and anatomical evaluation are important for delivery planning and prompt postnatal resuscitation. The anomaly was assessed by two dimensional (2D), three dimensional (3D), and real-time multiplanar four dimensional (4D) ultrasound. This case report confirms the usefulness of the 3D, real-time multiplanar 4D ultrasound to assess the mass extension and relationship with adjacent structures. We present a case of fetal thoracoabdominal cavernous lymphangioma diagnosed by 2D, 3D, real-time multiplanar 4D ultrasound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임신 중기 양수의 이상 염색체 분석

        김광준(Gwang Jun Kim),최수란(Su Ran Choi),이순표(Soon Pyeu Lee),황병철(Byung Chul Whang),이의돈(Eyi Don Lee),김석영(Suk Young Kim),윤성준(Sung Jun Yoon),한은애(Eun Hye Han),안정렬(Jung Rerl Ahn),최유덕(Yu Duk Choi),최승헌(Seung Hyu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6

        목적 : 임신 중기 양수검사의 핵형 분석상 염색체 이상으로 나온 결과를 비정상 염색체 결과와 정상 변이형으로 대별한 후, 적응증과 나이에 따라 두 군의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1997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만 4년간 가천의과대학 길병원 산부인과에서 시행한 1,390건의 임신 중기 양수검사를 대상으로 산모의 연령, 검사의 적응증을 중심으로 양수검사의 결과와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양수검사의 핵형분석 결과 이상 염색체 핵형이 88예 (6.3%)였으며 이상 핵형 중 정상 변이형 (normal variant)이 29예 (2.1%)로 비정상 핵형은 59예 (4.2%)이였다. 비정상 핵형 중 상염색체 수적인 이상은 37 예 (62.7%), 성염색체 수적 이상은 7예 (11.9%)였다. 이상 염색체 핵형중 비정상 염색체는 산모의 연령이 40세 이후인 경우 발생율이 높았고, 초음파상 이상이 있었던 경우나 기형아 출산의 기왕력이 있었던 경우에 발생율이 높았으나, 정상 변이형은 나이나 적응증과 상관없이 발생하였다. 결론 : 염색체 검사의 결과 분석시, 염색체 이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정상변이형은 비정상 핵형과는 적응증과 산모의 나이와의 상관관계에 있어 서로 다른 결과를 보이므로 구별되어 분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bjective : To analyze cytogenetic results of prenatal genetic amniocentesis. Methods : From January 1997 to December 2000, We analyzed 1,390 cases of midtrimester amniocentesis which were done at Gil medical center of Gachon medical school according to its indications and maternal age. Results : Chromosomal aberrations were found in 88 cases (6.3%). Of all our chromosomal aberrations, 29 cases (2.1%) of normal variants and 59 cases (4.2%) of abnormal karyotypes were found. 37 cases of autosomal numerical abnormal karyotypes and 7 cases of sex chromosomal abnormal karyotypes were diagnosed. In abnormal karyotype group, the incidence was high after 40 years of maternal age and in abnormal ultrasound findings, but no such correlations were found in normal variant group. Conclusion : In analysis of midtrimester amniocentesis, it would be better to analyze separately abnormal karyotype group and normal variant group.

      • KCI등재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LAVH) 570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최장열 ( Jang Yeul Choi ),송정인 ( Jung In Song ),황병철 ( Byung Chul Whang ),이순표 ( Soon Pyo Lee ),최유덕 ( Yu Duk Choi ),박찬용 ( Chan Yong Park ),윤성준 ( Seong Jun Yo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0

        목적 :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부인과 환자에 있어서 환자들의 특징과 임상 결과를 보고하여 그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후향성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2001년 9월부터 2004년 2월까지 가천의과대학교 길병원 산부인과에서 골반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5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 출산력, 체중, 이전 수술 기왕력, 수술 적응증, 수술 결과, 그리고 수술 합병증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 평균 나이는 Objective :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 and characteristics of laparoscop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 in gynecologic patients. Methods : From September, 2001 to February, 2004, total 570 cases of patients were performed LAVH at Gacheon medi

      • KCI등재

        양막파수가 안된 양수과소증 임신에서 경복부 양수주입술이 주산기 예후에 미치는 영향

        김광준 ( Gwang Jun Kim ),윤성준 ( Sung Jun Yoon ),최수란 ( Su Ran Choi ),이순표 ( Soon Pyeu Lee ),황병철 ( Byung Chul Whang ),최유덕 ( Yu Duk Choi ),이의돈 ( Eyi Don Lee ) 대한주산의학회 2002 Perinatology Vol.13 No.1

        연구배경:양수과소증은 양막파열, 태아기형, 태반기능의 부전과 연관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예후가 좋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치료법으로 양수주입술이 고안되었으나 그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장기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목적:환자-대조군연구를 통해 양수주입술의 장기적 효과를 확인하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양수과소증으로 진단받은 73명의 단태임신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양막파열이 되었거나, 초음파검사상 중증태아기형이 확인된 경우는 제외시켰다. 양수 주입술 시행에 동의하여 양수주입을 시행한 21명을 연구군으로, 52명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양수주입은 31차례 시행되었다. 진단 시 평균 양수지수는 양수주입군 4.2(±1.6), 대조군 4.6±1.4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그 외 산모의 나이, 제태연령, 분만력등에서 두 군간 차이가 없었다. 결과:주입된 양수의 양은 평균 536ml(200~700)이였고, 소요시간은 61(±39.2)분이였으며, 주입후 양수지수는 평균 양수지수는 4.2에서 10.0으로 유의하게 상승되었다. 하지만 임신 결과 지표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다음과 같다: 1) 출생시 평균 제태기간은 양수주입군 36.3(±3.5)주, 대조군 37.2(±2.9)주였다. 2) 평균 체중은 양수주입군 2.54(±0.9)kg, 대조군 2.51(±0.8)kg였다. 3) 신생아 활력지수가 6점이하인 경우는 양수주입군이 1분-3/17, 5분-0/17, 대조군이 1분-6/44, 5분-1/49였다. 4) 수술적 분만빈도는 양수주입군이 0.79, 대조군이 0.65였다. 5) 두 군 모두 2예의 태아사망이 있었다. 결론 : 양수과소증에서 경복부 양수주입술의 장기적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Objective: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ipartum efficiency of amnioinfusion in oligohydramnios without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Methods:73 singleton pregnant women with oligohydramnio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omen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were excluded. 21 women were treated with transabdominal amnioinfusion 31 times and 52 women were closely observed without amnioinfusion. Mean amniotic fluid index, mean gestational age, mean maternal age and the parity at the time of diagnosis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both groups. Results:Mean amounts of infused artificial amniotic fluid was 536ml(200-700), the mean time consumed was 61(±39.2)min. After infusion, mean amniotic fluid index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4.2(±1.6) to 10.0(±2.9). But we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gnancy outcomes. The outcomes are as follows:1)Mean gestational age at birth was 36.3(±3.5) weeks in amnioinfusion group and 37.2(±2.9) weeks in control group. 2) Mean birth weight was 2.54(±0.9)kg versus 2.51(±0.8)kg. 3) The proportions of poor Apgar score at 1 minute and 5 minu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4) Cesarean section rate was 0.79 versus 0.65. 5.There were two still births in both groups. Conclusion:Transabdominal amnioinfusion in oligohydramnios has little effects in improving longterm pregnancy outcomes.

      • KCI등재

        임신 중기 양수검사후 태아손실과 관련된 인자

        김광준(Gwang Jun Kim),김용욱(Yong Yook Kim),김석영(Suk Young Kim),박찬용(Chan Yong Park),이향미(Hyang Mi Lee),황병철(Byung Chul Whang),이선(Sun Lee),김영진(Young Jin Kim),최승헌(Seung Hun Choi),이순표(Soon Pyo Lee),이종민(Jong Min L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6

        목적 : 임신 중기 진단적 양수검사후 태아손실과 관련있는 요인들을 알아 보고자하였다. 연구방법 : 1996년 12월부터 1998년 8월 까지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 중기에 양수검사를 시행한 산모 503명중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던 단태임신 412예에서의 임신경과를 산모의 나이, 검사의 적응증, 제태연령, 검사시 천자침의 태반관통여부, 양수의 색, 천자침의 태아접촉등의 요인에 대하여 Student t-test, chi-square 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 산모 412명의 평균연령은 31.8세였고, 산모의 연령증가시 검사후 임신경과가 나빴다. 검사 적응증이 신경관결손인 산모군은 다른 적응증을 가진 산모군에 비해 임신경과가 나빴으며, 다갈색으로 변색된 양수를 추출한 경우 임신경과가 나빴다. 제태 연령, 천자 침의 태반통과여부, 천자 침의 태아 접촉등은 임신경과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 : 산모의 연령증가, 높은 신경관결손 위험도가 검사의 적응증일때와 다갈색으로 변색된 양수등은 임신중기 양수검사 후 태아손실과 관련있는 인자로 볼 수 있다. Objective: To evaluate factors associated with fetal losses following mid-trimester diagnostic amniocentesis.Methods: 412 pregnancy outcomes following amniocentesis were analyzed for each variables(maternal age, gestational age, indication for the amniocentesis, placental penetration by aspiration needle, needle touch by the fetus, color of amniotic fluid) with statistical methods(student t-test,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est).Results: Mean maternal age was 31.8±4.9 years, fetal loss rate was increased slightly with the age of the mother. If the indications were abnormally high maternal serum alpha-fetoprotein level, the pregnancy courses after the procedure were worse than other indication groups. In cases of discolored amniotic fluid, the dark brown discoloration made the pregnancy outcome poor. Gestational age at the time of the procedure, penetration of the placenta by the aspirating needle, needle touch during the procedure by the fetus, did not influence the outcomes after the procedure. Conclusion: Maternal age, indication as neural tube defect in triple test and dark brown discoloration of amniotic fluid are associated with fetal losses following mid-trimester diagnostic amniocentesis.

      • KCI등재

        환상투열 절제술의 임상적 고찰

        최용민(Yong Min Choi),노성혁(Seong Hyeok Noh),정희환(Hee Hwan Chung),이종민(Jong Min Lee),김용욱(Yong Yook Kim),이선(Sun Lee),김영진(Young Jin Kim),이지성(Jee Sung Lee),황병철(Byung Chul Whang),박찬용(Chan Yong Park),최유덕(Yu Duk C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2

        목적: 연구는 환상투열 절제술후 경계부위 침윤이 자궁경부상피내종양 및 자궁경부 미세침윤암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과 경계부위 침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7년 3월 1일부터 1998년 9월 30일까지 가천의과대학 부속길병원에서 환상투열 절제술을 시행받은 1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분석이 시행되어졌다. 경계부위 침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종적으로 127명이 자궁경부상피내종양(CIN)으로, 30명이 자궁경부 미세침윤암으로, 3명이 자궁경부 만성염증으로 진단되어졌다. 2. 경계부위 침윤이 없었던 경우는 81%이었고, 침윤이 있었던 경우는 19%이었다. 3. 경계부위 침윤이 없었던 129례중에서 잔류병소가 발견된 경우는 한 례도 없었으며, 경계부위 침윤이 있었던 31례중 9례에서 잔류병소가 발견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잔류율은 6.2%이었다. 4. 자궁경부 상피내종양에서 경계부위 침윤이 있었던 19례중 3례에서 잔류병소가 발견되었고 경계부위 침윤이 없었던 경우에는 잔류병소가 발견되지 않아 잔류율은 2.6%이었다. 5. 경계부위 침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위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되어져 조직병리소견의 정도, 선침범, 폐경, 질확대경 검사에 대한 적정성 여부가 경계부위 침윤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으나 분만방법과 HPV감염은 유의하게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결론 : 환상투열 절제술은 자궁경부 상피내종양의 치료에서 경계부위 침윤이 있더라도 낮은 잔류율 때문에 추적관찰이 이루어지면 불필요한 전자궁 적출술을 줄일 수 있는 충분한 방법이며, 미세침윤암의 치료에서 경계부위 침윤이 없고 림프-혈관계 침윤이 없을 때 추적관찰이 이루어지면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Objective: To evaluate how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after LLETZ affect treatment of CIN and microinvasive cervical cancer, and several factors affecting the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Method: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in 160 patients that underwent LLETZ at Gachon Medical College, Gil Medical Center from March, 1997 to September , 1998. The several factors affecting the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were analyzed.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127 patients were diagnosized finally with CIN, 30 patients with microinvasive SCC and 3 patients with chronic inflammation. 2. The rate of the negative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was 81% and that of the positive was 19%. 3. No case among 129 cases with the negative resection margin had residual lesion, but 9 cases among 31 cases with the positive resection margin had residual lesion. As a whole, the rate of residual lesion was 6.2%. 4. In CIN, 3 cases of 19 cases with the positive resection margin had residual lesion, but none with the negative resection margin had. 5. The degree of histopathology, glandular involvement, menopause, colposcopic evaluation were correlated with the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but delivery mode and HPV infection not correlated. Conclusion: LLETZ is a enough method to reduce unnecessary hysterectomy in the treatment of CIN, if followed up, in spite of the positive resection margin because of low rate of lesidual lesion, and is a effective method in the treatment of microinvasive cervical cancer when the case with negative resection margin and no lymphovascular invasion was followed 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