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Stufflebeam의 7-CIPP 평가 모형에 기초한 대학 학습동아리 프로그램 평가 준거 개발

        이성하(Lee, Sungha),최명숙(Choi, Myoungsook)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Stufflebeam's 7-CIPP 평가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 학습동아리 프로그램의 평가 준거를 개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대학 학습동아리와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대학 학습동아리 프로그램 평가 준거의 대영역 12개, 하위 영역 23개, 문항 82개를 추출하였다. 둘째, 1차 도출된 평가 준거는 교육전문가 6인의 검증을 받아 수정한 후에 Lawshe(1975)가 제시한내용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공식을 이용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셋째, 각 평가 요인의 적합도와 신뢰도 검정을 위해 4년제 A사립대의 학습동아리 프로그램 참가자 79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최종 개발된 대학 학습동아리 프로그램 평가 준거는 총 53문항이며, 그 중 상황 평가 준거는 10문항으로, 프로그램의 필요성, 목표 설정, 운영에 대한 개선점이 포함된다. 투입 평가준거는 17개 문항으로, 인적, 물적 자원의 적절성이 이에 속한다. 과정 평가 준거는 11개 문항으로, 인지적, 정의적, 관리적 교수․학습 활동의 적절성과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개선점이 포함된다. 산 출 평가 준거는 15개의 문항으로, 학습동아리 프로그램의 영향력, 효과성, 지속가능성, 학습전이성이 포함된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 차원에서의 학습동아리의 지원 방향을 결정하고, 프로그램의 운영과정에 도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대학 학습동아리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더욱 명확하게 규명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factors of college-level learning community program based on Stufflebeam’s 7-CIPP evaluation model. To achieve this, first, 12 main categories, 23 sub-categories and 82 evaluation factors were drawn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Second, the first version of factors were reviewed by six experts in education field and then tested a content validity using the Lawshe(1975)’s Content Validity Ratio(CVR) formula. Third, survey data of 798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learning community program of A university were analyzed to test the goodness of fit and reliability of evaluation model. Finally, a total of 53 factors were developed. The context evaluation included 10 factors regarding program needs, program goals, and improvement for the program. The input evaluation included 17 factors regarding the appropriateness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he process evaluation included 11 factors regarding the cognitive, affective, and administrative asp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 product evaluation included 15 factors, regarding influence, effectiveness, sustainablity, and learning transfer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identif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ystematically as well as to assist in implementing the program and in deciding the direction of the program.

      • KCI등재

        통합교육 연구의 국내 동향 분석 -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

        정미애 ( Jeung Miae ),최명숙 ( Choi Myoungsoo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음악교과 중심의 통합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음악 교과 중심의 통합 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를 탐색함으로써 다른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50개의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음악교과 중심 통합교육에 관련된 논문116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후 빈도분석을 활용하여 연도별, 학교급별, 학회지별,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주제별 동향은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여 핵심 주제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음악 교과 중심의 통합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2011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2011년부터 시작하여 2015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이후 다소 주춤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통합 교육은 주요한 교육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기에 통합 교육의 필요성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학교급은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초등, 중등, 대학 순으로 나타났다. 학회지로는 음악교육과 유아교육 관련 학회지에 가장 많이 등재되어 있었으며,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가 양적 연구에 비해 많았으며, 구체적으로 기법과 모형개발이 가장 많았다. 주요 연구주제는 이론적 탐색과 음악교과중심에서 교과와의 통합방식, 통합교육을 통한 효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음악 교과 통합교육 연구에 대한 연구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of integrated education centered on music subjects from 2011 to 2017.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other researches by exploring domestic studies related to integrated education centered on music subjects. For this purpose, 116 thes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in 50 domestic journals were selected as analysis subjects and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methodology,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trends. The trends of research themes were analyzed based on core theme words using contents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search related to integrated education centered on music subjects is conducted every year from 2011 to 2017. Especially, the most research started in 2011 and the most in 2015, and it shows a tendency to slow down somewhat. However, as the introdu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tegrated education is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main educational methods, so the need for integrated education is still required. Most of the school-level studies were directed at children, followed by elementary, middle, and college. The most widely used in the Journal of Music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the Journal, and the method of research was more qualitative than quantitative research. The main research themes were divided into theoretical exploration and integration with the curriculum centered on the music curriculum, and the effects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propose a research direction for future integrated research on music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대구교육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들의 만족도 조사

        김성훈(Kim Seonghoon),최명숙(Choi Myoungsook)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6 No.2

        This study used survey instruments to measure the degrees of student, parent and teacher satisfaction with school in the city of Daegu. For this purpose, an instrument was developed for each of the three groups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ll items on the instruments were scor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and were closely related to the educational policies and strategic plans of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educational policies and strategic plans considered for the survey consisted of four areas of (1) nurturing students for development of self-directing and creativity in learning and problem-solving, (2) building up students having the civil ethics and sound mind and body, (3) construction of healthy school communities seeking for accountability and professionalism in education, and (4) making educational environment high-tech, learner-centered, and safe. About 1% of the whole population of interest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for final analyses, responses from 4,623 (2,500 elementary, 1,175 middle, and 948 high school) students, 4,612 (2,506 elementary, 1,154 middle, and 952 high school) parents, and 2,823 (1,232 elementary, 532 middle, and 1,200 high school) teachers were used. The main results from the survey were as follows. For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school, the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were most satisfied with educational service and environment, and those of middle schools were more satisfied than those of high schools. Among the three groups, teachers reported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s, and stude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levels than parents. Among the four areas of the educational policies and plans, the third area of construction of healthy school communities was most highly rated by all the three groups. In addition, the following tendencies were found. The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of public schools were more satisfied with educational service and environment than those of private schools. More able students (i.e., better achievers in grade) were more satisfied with school than less able students. Female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with educational systems and environment than male teachers.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가 지각하는 대학 교직수업의 중요도, 만족도, 실행도 분석

        김예진 ( Kim Yejin ),최명숙 ( Choi Myoungsoo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2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대학 교직수업 의 중요도, 만족도, 실행도를 분석하고, 대학 교직과정 운영전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수업 및 교수자와 관련된 요인은 중요도와 만족도를 측정하고, 학습자 참여 태도와 관련된 요인은 중요도와 실행도를 측정하여 개선의 필요성이 높은 요 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14개 교직 수업 강좌의 수강생 43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수업 및 교수자 요인, 학습자 참여 태도 요인, 교직과정 운영 만족도와 관련 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30개 문항이다. 자료 분 석을 위하여 빈도분석, 대응표본 t-검정, 독립표본 t-검 정, IPA와 ISA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및 교수자와 관련된 모든 요 인에 있어서 중요도보다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중 개선이 필요한 요인은 교수자와 학 생간의 상호작용이었다. 둘째, 학습자 참여 태도와 관련된 요인 중 성실한 출석은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요인은 중요도보다 실행도 가 낮게 나타났다. 집중 개선이 필요한 요인은 학습 내 용의 주요 개념 및 원리를 파악하려는 노력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직과정 운영에 있어 예비교사는 충분한 진로 상담 및 임용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점과 교직과 정 운영에 있어 학생들의 의견 반영이 부족한 점이 가 장 큰 불만사항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importanc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f teacher training courses in their university programs. Specifically, we measured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class and the instructor, and measured the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learner`s participation attitude. For this study, we surveyed 434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14 teacher training cours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related to class and teacher, learner participation attitude, and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process. A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a paired sample t-test,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all factors related to teaching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the teaching. The factor that needed improvement was the quality of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Second,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learner`s participation attitude, the class attendance showed higher performance than importance, while other factors showed lower performance compared to importance. The factor that needed improvement was the effort to grasp the main concepts and principles of course content. Third, the two most common complaints report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a lack of sufficient career counseling and that the teaching courses did not adequately address their concerns.

      • KCI등재

        가상강좌 강의평가 도구개발 및 타당화

        박혜정(Park Haejung),최명숙(Choi Myoungsook),이규민(Lee Guemin)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가상강좌에 사용될 수 있는 강의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5년 1학기에 개설된 K대학의 가상강좌를 수강하는 학부생들이며 예비검사를 위해 406명이 참여하였고, 본 검사에서는 2,020명이 참여하여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67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포함하였다. 가상강의 평가 도구의 개발을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토대로 4개의 평가영역을 규명하고 영역별로 총 15개의 평가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문항을 이용하여 예비검사를 실시하였고, 문항 분석결과를 토대로 4개 영역에서 총 13개의 평가문항을 추출하였다. 확정된 최종 평가 문항으로 본 검사를 실시한 후 강의평가 도구의 타당화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문항난이도와 변별도, 문항 제거시 신뢰도, 내적 일관성 신뢰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화가능도 이론의 G-연구를 적용하여 평가 점수의 분산 비율을 추정해 본 결과, 교수자에 속한 학생들의 분산과 잔차 분산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화가능도 이론의 D-연구를 수행한 결과, 개발된 강의 평가 도구의 문항 수는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상강좌 당 학생 수가 50명이상 확보되어야 보다 신뢰로운 결과해석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한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측정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cyber course evaluation tool. The subjects were undergraduate students who took cyber courses at K univers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05. A preliminary tool, which includes 4 categories and 15 items, was developed through reviews of literature. Then, 406 students participated in evaluation with the tool and finally 4 categories and 13 items were set based on item and factor analyses. The final version of the tool was administered to 2,020 students. For item analysis and validation, item difficulty, item discrimination, reliability with item deletion,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ronbach"s α),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generalizability theory approach were adopted and SPSS, AMOS, urGENOVA, and GENOVA programs were used for the analyses.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item difficulty, item discrimination, reliability with item deletion,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seemed reasonable to support the good quality of items used in the tool. Second, the generalizability theory approach showed that the number of items (13 items) could be acceptable and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or per instructor) would be recommended to be more than 50 to obtain reliable result. Thir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measurement model conceptualized the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justified based upon several goodness of fit indices.

      • KCI등재
      • KCI등재

        구성주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수업에의 적용사례 : Case Studies

        최명숙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새로운 지식이론으로서, 교수-학습이론으로서 구성주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고 구성주의적 수업의 계획과 실행과정에서 교사가 지각한 학습효과와 문제점, 교사의 역할 및 태도 변화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대학원 석사과정에 재학중인 19명의 현장교사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대부분의 현장교사들은 구성주의의 이론적 의미와 교수원리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구성주의적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있어서 교사들의 역할변화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이러한 수업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교사의 심리적 부담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효과면에서나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으며, 수업의 실제적 체험을 통해 구성주의적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도 다소 수용적으로 변화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teachers understand constructivism and also to find out instructional difficulties, effectiveness, and teachers' attitudes when they apply the constructivist approach in their teaching. The subjects were 19 elementary or secondary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a graduate cours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teachers' responses to constructivism were mostly negative. In particular,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math and history teachers showed more negative responses than elementary, other subject teachers did. 2) Among the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instructional principles of constructivism into classroom teaching were the changes of a teachers' role. They didn't have much information what constructivism is and how it should be applied in their teaching. 3) The teachers' time and effort devoted and psychological pressure were significant. 4) In spite of those problems, some positive results were reported in instructional effectiveness and teachers' attitude. Finally, some teachers began to have rather positive attitude on the constructive approach. In conclusion, an effective teaching reflecting constructivism would not be possible without teachers' proper understanding of constructivism, changes in their attitude, and their continuous effort. Also, concrete strategies and examples need to be provided through various teacher training programs.

      • KCI등재후보

        홈페이지 만들기' 단원에서 웹을 활용한 개별화 수업의 효과

        최명숙,김령경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7 No.4

        본 연구는 중학교 컴퓨터 교과의 '홈페이지 만들기' 단원에서 개별화 수업과 교사 주도의 일제식 수업(전통적 수업)이 사전 컴퓨터 활용 경험에 따라 학업성취도와 흥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개별화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학습태도와 인식을 질적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중학교 2학년 204명의 여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개별화 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해 학업성취도와 흥미도에 있어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학습태도와 인식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이 많았다. 컴퓨터 사전 경험과 수업방법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instruction on students' achievement, course interest, attitude in Homepage Development lesson. A total of 204 eighth-graders in a girls'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dividualized group made significantly greater achievement and revealed higher course interest than the traditional group. Subjects in the individualized group also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instructional program than did the traditional group. Prior computer experience didn't hav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eaching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