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의수세보원』의 사상체질 심리유형 연구 - 조선 건국에 관한 역사적 인물 중심 -

        최구원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2 한국민족문화 Vol.82 No.-

        본 논문은 조선 건국에 관한 역사적 인물을 중심으로 이제마의 『동의수세보원』에서 밝힌 사상철학과 사상체질에 근거하여 사상체질별 심리유형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제마의 『동의수세보원』에 나타난 사상체질 의학적 논리의 바탕에는 인간의 심리유형에 대한 실용적이며 철학적인 사고가 중심이 되고 있기에, 체질적 특징에 따라 언행이 다르고 그에 따라 노력하고 경계해야 할 내용도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역사적 인물들의 말과 행동을 통해서 사상체질 및 그 심리유형을 밝힐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따라서 사상체질별 심리유형 10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정리하고 사료와 개인 문집 등에서 조선 건국에 관련한 동시대의 인물들인 이성계, 이방원, 정몽주, 정도전의 말과 행동 기록을 추출한 다음 항목마다 각 인물들의 말과 행동을 대응시켜 사상체질별 심리유형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그동안 역사적 인물들의 특징 및 이해 방면에서 단편적으로 이루어져 왔던 사상체질 변별에서의 특히 부족한 심리유형 부분을 보완하고 더욱 다각적으로 이해하여 종합적으로 인물들을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통해 자신의 마음을 스스로 성찰해보는 계기도 제시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사료의 기록이 지니는 한계성은 있으나 사상체질의학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시도한 것으로, 궁극적으로는 사상체질의학의 근본을 다시 세우고 사상체질의 연구 범주를 확장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 KCI등재

        분석심리학의 네 가지 유형론과 사상인의 마음작용

        최구원,임병학,오명진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8 嶺南學 Vol.0 No.65

        Sasang-philosophy discusses the mind practice of human with ‘four shapes’ and analytical psychology discusses the function of human mind with 'four typologies'. In this thesis, Sasang-philosophy and analytical psychology were compared with the mind practice of Sasangin and 'four typologies' of analytical psychology as a center. First, in Sasang-philosophy, Jangri(臟理) and Jangguk(臟局) are connected with oneself body and self of analytical psychology. The Jangri of Sasang-philosophy communicates with oneself body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Jangguk is communicating with self. Jangri that has a fundamental viewpoint of Sasang-philosophy is introversion, and Jangguk of phenomenal position is extroversion. Next, I examined the typology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the mind practice of Sasangin through the all sorts of emotion, temperament of Sasangin and intuition, thought, sensation, and emotion. Taeyangin can do the thinking part well but the do not well in sensory part and Soeumin can do the sensible part well but do not well at thinking part and the Soyangin does the intuitive part well and is not good at the emotional part, Taeeumin is good at the emotional part and is not good at the intuitive part. In addition, when I look at the mind practice of Sasangin in the relation of the office work, friend relationship, Dangyeo and dweling and the intuition, the accent, the sense, and the emotion, Taeyangin is good at extrovert thinking but not good at extroversion, Soeumin is a good outward sense, but do not extrovert thinking well, Soyangin is good at extroversion intuition but not at extrovert feelings, Taeumin is good at extrovert feelings but not at extrovert intui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to reveal that the Sasang-philosophy of Lee Je-Ma is beyond the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dimension, includ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mension. If Sasang-phlosophy and analytical psychology are studied and developed together, It will help not only to present the direction of life to many people who live in the world but also to healing the mind. 사상철학과 분석심리학은 ‘사상(四象)’과 ‘네 가지 유형론’으로 인간의 마음작용을 논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상인의 마음작용과 분석심리학의 네 가지 유형론을 중심으로 사상철학과 분석심리학을 비교 고찰하였다. 먼저 사상철학에서 장리(臟理)와 장국(臟局)은 분석심리학의 자기(自己)와 자아(自我)에 연결하여 고찰하였다. 사상철학의 장리는 분석심리학의 자기와, 장국은 자아의 의미가 서로 통하고 있다. 사상철학의 근원적 관점을 가지고 있는 장리는 내향성, 현상적 입장의 장국은 외향적 입장이 됨을 파악하였다. 다음 사상인의 애노희락과 직관⋅사고⋅감각⋅감정을 통해 사상인의 마음작용과 네 가지 유형론을 고찰하였다. 태양인은 사고적인 부분은 잘 할 수 있으나 감각적인 부분은 잘하지 못하고, 소음인은 감각적인 부분은 잘 할 수 있으나 사고적인 부분은 잘하지 못하고, 소양인은 직관적인 부분은 잘하고 감정적인 부분은 잘하지 못하고, 태음인은 감정적인 부분은 잘하고 직관적인 부분은 잘하지 못하는 것임을 알았다. 또한 인사유사(人事有四)인 사무⋅교우⋅당여⋅거처와 직관⋅사고⋅감각⋅감정의 관계에서 사상인의 마음작용을 보면, 태양인은 외향적 사고는 잘 하지만 외향적 감각은 잘하지 못하며, 소음인은 외향적 감각을 잘 하지만 외향적 사고는 잘하지 못하며, 소양인은 외향적 직관은 잘 하지만 외향적 감정은 잘하지 못하며, 태음인은 외향적 감정은 잘 하지만 외향적 직관은 잘하지 못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이제마의 사상철학이 생리적⋅병리적 차원을 넘어 심리적⋅정서적 차원을 모두 포함한 학문임을 밝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내면의 갈등 속에서 현대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삶의 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마음 치유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분석심리학의 네 가지 유형론과 사상인의 마음작용

        최구원 ( Choi Ku-won ),임병학 ( Lim Byeong-hak ),오명진 ( Oh Myong-ji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8 嶺南學 Vol. No.

        사상철학과 분석심리학은 ‘사상(四象)’과 ‘네 가지 유형론’으로 인간의 마음작용을 논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상인의 마음작용과 분석심리학의 네가지 유형론을 중심으로 사상철학과 분석심리학을 비교 고찰하였다. 먼저 사상철학에서 장리(臟理)와 장국(臟局)은 분석심리학의 자기(自己)와 자아(自我)에 연결하여 고찰하였다. 사상철학의 장리는 분석심리학의 자기와, 장국은 자아의 의미가 서로 통하고 있다. 사상철학의 근원적 관점을 가지고 있는 장리는 내향성, 현상적 입장의 장국은 외향적 입장이 됨을 파악하였다. 다음 사상인의 애노희락과 직관·사고·감각·감정을 통해 사상인의 마음 작용과 네 가지 유형론을 고찰하였다. 태양인은 사고적인 부분은 잘 할 수 있으나 감각적인 부분은 잘하지 못하고, 소음인은 감각적인 부분은 잘 할 수 있으나 사고적인 부분은 잘하지 못하고, 소양인은 직관적인 부분은 잘하고 감정적인 부분은 잘하지 못하고, 태음인은 감정적인 부분은 잘하고 직관적인 부분은 잘하지 못하는 것임을 알았다. 또한 인사유사(人事有四)인 사무·교우·당여·거처와 직관·사고·감각·감정의 관계에서 사상인의 마음작용을 보면, 태양인은 외향적 사고는 잘 하지만 외향적 감각은 잘하지 못하며, 소음인은 외향적 감각을 잘 하지만 외향적 사고는 잘하지 못하며, 소양인은 외향적 직관은 잘 하지만 외향적 감정은 잘하지 못하며, 태음인은 외향적 감정은 잘 하지만 외향적 직관은 잘하지 못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이제마의 사상철학이 생리적·병리적 차원을 넘어 심리적·정서적 차원을 모두 포함한 학문임을 밝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내면의 갈등 속에서 현대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삶의 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마음 치유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Sasang-philosophy discusses the mind practice of human with ‘four shapes’ and analytical psychology discusses the function of human mind with 'four typologies'. In this thesis, Sasang-philosophy and analytical psychology were compared with the mind practice of Sasangin and 'four typologies' of analytical psychology as a center. First, in Sasang-philosophy, Jangri(臟理) and Jangguk(臟局) are connected with oneself body and self of analytical psychology. The Jangri of Sasang-philosophy communicates with oneself body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Jangguk is communicating with self. Jangri that has a fundamental viewpoint of Sasang-philosophy is introversion, and Jangguk of phenomenal position is extroversion. Next, I examined the typology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the mind practice of Sasangin through the all sorts of emotion, temperament of Sasangin and intuition, thought, sensation, and emotion. Taeyangin can do the thinking part well but the do not well in sensory part and Soeumin can do the sensible part well but do not well at thinking part and the Soyangin does the intuitive part well and is not good at the emotional part, Taeeumin is good at the emotional part and is not good at the intuitive part. In addition, when I look at the mind practice of Sasangin in the relation of the office work, friend relationship, Dangyeo and dweling and the intuition, the accent, the sense, and the emotion, Taeyangin is good at extrovert thinking but not good at extroversion, Soeumin is a good outward sense, but do not extrovert thinking well, Soyangin is good at extroversion intuition but not at extrovert feelings, Taeumin is good at extrovert feelings but not at extrovert intui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to reveal that the Sasang-philosophy of Lee Je-Ma is beyond the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dimension, includ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mension. If Sasang-phlosophy and analytical psychology are studied and developed together, It will help not only to present the direction of life to many people who live in the world but also to healing the mind.

      • KCI등재

        「확충론」의 속임·모욕·도움·보호(欺·侮·助·保)와 사상인의 마음 작용

        임병학(林炳學),최구원(崔九元)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3

        본 논문은 「사단론」에서 논하고 있는 애노희락과 장국의 대소를 근거로 「확충론」의 속임․모욕․도움․보호와 사상인의 마음 작용을 고찰하였다. 「확충론」에서는 ‘태양인은 대중들이 서로 속이는 것을 슬퍼하고, 특별한 사람이 자기를 모욕하는 것에 성내며, 소양인은 대중들이 서로 모욕하는 것을 성내고, 다른 특별한 사람이 자기를 속이는 것을 슬퍼하며, 태음인은 대중들이 서로 도와주는 것을 기뻐하고, 다른 특별한 사람이 자기를 보호하는 것을 즐거워하며, 소음인은 대중들이 서로 보호하는 것을 즐거워하고 다른 특별한 사람이 자기를 돕는 것을 기뻐하는 것이다.’라고 하여, 사상인의 애노희락의 성性·정기情氣에 따라 속임·모욕·도움·보호(欺·侮·助·保)를 논하고 있다. 애노희락 성기의 속임·모욕·도움·보호와 사상인의 마음 작용을 통해, 태양인은 대중들이 서로 속이는 것은 잘 알지만 대중들이 서로 도움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소양인은 대중들이 서로 모욕하는 것은 잘 알지만 대중들이 서로 보호해 주는 것은 인지하는 못하고, 태음인은 대중들이 서로 도와주는 것은 잘 알지만 대중들이 서로 속이는 것은 인지하지 못하고, 소음인은 대중들이 서로 보호하는 것은 잘 알지만 대중들이 서로 모욕하는 것은 인지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애노희락 정기의 속임·모욕·도움·보호와 사상인의 마음 작용을 통해, 태양인은 특별한 사람이 자신을 모욕하는 것을 잘 성내지만 특별한 사람이 자신을 도와주는 것은 기뻐하지 못하며, 소양인은 특별한 사람이 자신을 속이는 것은 잘 슬퍼하지만 특별한 사람이 자신을 보호해 주는 것은 즐거워하지못하고, 태음인은 특별한 사람이 자신을 보호하는 것은 잘 즐거워하지만 특별한 사람이 자신을 속이는 것은 슬퍼하지 못하고, 소음인은 특별한 사람이 자신을 도와주는 것은 잘 기뻐하지만 특별한 사람이 자신을 모욕하는 것은 성내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상인의 마음 작용을 통해 삶을 어떤 마음의 자세로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사상철학의 근본 문제를 논한 것이다. 애노희락의 성·정기의 측면에서 잘 하지 못하는 것을 확충해 나간다면, 진정한 애노희락의 의미와 궁극적인 삶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deception·insulting·helping·protecting and the mind action of Sasangin(四象人) mentioned in the 「Whoakchungron(擴充論)」. The basic concept is based on the sorrow·anger· joy and pleasure of the 「Sadanron(四端論)」 and the size of organs. In 「Whoakchungron」, it reveals deception·insulting·helping·protecting based on the SeongQi(性氣) and JeongQi(情氣) of the sorrow·anger· joy and pleasure of Sasangin through it said that Taeyangin(太陽人) is sad to deceive each others. They get angry when a special person insults them. The Soyangin(少陽人) is angry about the public is insulting each other, and they feel sad when another special people deceive them. Taeumin(太陰人) is pleased when the public is helping each other, they rejoice when other special people protect him. Soeumin(少陰人) is delighted about the public protects one another and they delight in helping other special people. In Chapter 3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eption·in sulting·helping·protecting from SeongQi of the sorrow․anger·joy and pleasure and the mind action of Sasangin. Taeyangin know well that the public deceive each other, but they do not recognize that the public is helping each other. Soyangin knows that people are insulting each other, but can not recognize that they protect each other. Taeumin knows well that people help each other, but does not recognize that they are cheating each other. Soeumin knows that publics protect each other, but they do not perceive them insulting each other. In Chapter 4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action of Sasangin and the deception, insulting, helping and protecting of the sorrow·anger·joy and pleasure’s JeongQi. Taeyangin is well angry about someone insulting himself, but he is not pleased that a special person helps him. Soyangin is sad that a special person deceives him, but he doesn’t know that enjoy taking a special person’s protection. Taeumin is delighted that a special person protects him, but he is not grieve that a special person deceives himself. Soeumin is delighted that a special person helps him, but he cannot get angry with a special person insults himself. This study discusses the fundamental problem of Sasang philosophy(四象哲學) that is how to live through mind-action of Sasangin. So, if you expand on what you can’t do in terms of the sheer meaning of the sorrow·anger·joy and pleasure, you will find the meaning of the true meaning of the sorrow·anger·joy and pleasure and the essence of the ultimate life.

      • KCI등재

        "東醫壽世保元"의 마음론과 "孟子"의 상관성 고찰- 제3권 「公孫丑章句上」을 중심으로 -

        임병학,최구원,윤수정 사상체질의학회 2019 사상체질의학회지 Vol.31 No.1

        Objectives Lee Je-Ma’s Sasang-philosophy that was discussed in Donguisusebowon is Maeumron and Qi-philosophy. Sasang-philosophy has a direct origin to Mencius, which discusses the Maeumron of Confucianism.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aeumron of Donguisusebowon and Mencius Chapter 3 will be examined. Methods Materials and references were collected about the literature survey. Lee Je-Ma’s books such as Donguisusebowon, Gyeokchigo and a book of Confucianism including the Mencius. Results and Conclusions Hoyeonjiqi in ‘Sadanron’ of Donguisusebowon encompasses the Qi of metaphysical personality and physiological Qi, and it can be seen that it is the Qi that fuses body and mind together.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are directly linked to the personal mind of Sasangin. Unlike the mencius's four clues of virtue, the Sadan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large and small organs in four constitution such sa lungs, spleen, liver, and kidneys. Nex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esim of ‘Whoakchungron’ and greed of Mencius, if discuss a relationships between 'I understand language' and Taesim, Deceptive speech connects with the dogmatism of Soeumin, Licentious speech connects with indulgence of Taeumin, Crooked speech connects with laziness of Soyangin and Evasive speech connects with selfishness of Taeyangin.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king delight․gladness without real cause․idleness․arrogant and Taesim, taking Delight connects with the dogmatism of Soeumin, Gladness without real cause connects with selfishness of Taeyangin, Idleness connects with laziness of Soyangin, and Arrogant connects with indulgence of Taeumin. The next thing, people of Four types of ‘Gwangjeseol’ coincide with Mencius. Also Love benevolence and enjoy goodness, Envy benevolence and jealous talent in the ‘Gwangjeseol’ are able to find the source directly in Mencius.

      • KCI등재

        일원철학(一圓哲學)의 마음론과 사상인(四象人)의 마음공부(1) -『정전』 「제2 교의편」을 중심으로-

        임병학 ( Lim Byeong-hak ),최구원 ( Choi Ku-won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8

        본 논문은 『동의수세보원』에서 밝히고 있는 사상인의 마음작용을 바탕하여, 일원철학의 『정전』의 마음론으로 사상인의 마음공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일원철학과 사상철학은 마음학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또 『주역』의 음양(陰陽)사상을 근본으로 소태산은 정신개벽을 통해 인간의 종교적 심성과 윤리적 삶을 밝히고, 동무는 인간의 도덕적 마음에 근거한 사상의학(四象醫學)을 창안하였다. 특히 두 철학은 구한말 고통 받는 민중들의 삶을 극복하고자 하는 애민(愛民)의 마음에서 주창된 한국철학이다. 본 논문은 일원철학과 사상철학의 마음학을 융합한 첫 번째 연구로 일원철학의 근본 가르침인 사은과 사요, 그리고 팔조를 중심으로 사상인의 마음공부를 고찰하였다. 먼저 『정전』의 사은은 인의예지(仁義禮智)를 통해 사상인의 마음공부와 연결된다. 인(仁)은 부모은ㆍ의(義)는 법률은ㆍ예(禮)는 동포은ㆍ지(知)는 천지은과 결부되기 때문에 태양인은 법률은을 헤아리고 감사할 줄 아는 마음공부가 필요하며, 소음인은 동포 은혜에 대한 감사하는 마음공부가 있어야 하며, 소양인은 부모에 대한 공경하고 감사하는 마음공부가 필요하며, 태음인은 천지에 대한 감사하는 마음공부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 사요에서 자력 양성은 소양인의 나심(懶心)을 극복하는 마음공부가 되고, 지자 본위는 태양인의 절심(竊心)을 극복하는 마음공부가 되고, 타자녀 교육은 태음인의 치심(侈心)을 극복하는 마음공부가 되고, 공도자 숭배는 소음인의 탈심(奪心)을 극복하는 마음공부가 된다. 다음으로 팔조(八條)의 진행 사조에서 태양인은 모든 것을 이루려고 할 때 마음을 정하는 믿음이 있음이 필요하고, 소음인은 용감하고 굳세게 목표를 향하는 분심(憤心)을 가지는 마음공부가 필요하고, 소양인은 끝까지 목적을 이루게 하는 정성의 마음공부가 필요하고, 태음인은 모르는 것을 지혜롭게 알아내는 의단(疑端)을 가지는 마음공부가 필요한 것이다. 또 사연 사조에서 태음인은 치심이 생겨서 결정하지 못하는 불신의 마음이 있고, 소음인은 탈심하는 마음이 생겨서 모든 것을 자기 식대로 왜곡하려는 어리석음이 있고, 소양인은 게으름의 마음인 나심이 있고, 태양인은 모든 것을 탐하려는 탐욕심이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는 마음공부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the mind practice of Sasangin from the scriptures of Won-Buddhism of Il-Won Philosophy based on the mental factors of Sasangin that are determined in Donguisusebowon. Il-Won Philosophy and Sasang-philosophy have a common point in mind practice. Based on the Yin and Yang concept of Itching, Sotaesan (少太山) has revealed the religious mentality and ethical life of the human being through psychological creation, while Dongmoo (東武) invented Sasang medicine based on humanity’s moral mind. In particular, these two philosophies are Korean philosophies originated from the mind of love that seeks to help people to overcome the suffering of life. This thesis is the first attempt to integrate the Il-Won Philosophy and the Sasang philosophy. It examines the mind practice of Sasangin centering on The Fourfold Graces, The Four Essentials and The Eight Articles which are the basic teachings of the Il-Won Philosophy. First, The Fourfold Graces of Jungjeon are connected to the mind study of Sasangin through In-ui-ye-ji. Because the In is related to the grace of parents, the Ui colligates the grace of laws, Ye is coupled with the grace of fellow beings and Ji is connected to the grace of heaven and earth. So Taeyangin needs to study mind practice to know the grace of laws and appreciate them. Soeumin must do mind practice to appreciate the grace of fellow beings and Soyangin needs to perform mind practice about respect and gratitude for one’s parents. We can know that Taeeumin needs to improve the mind that expresses gratitude for heaven and earth. In the four Essentials, ‘The Developing Self-Power’ is a way to overcome the lazy mind of Soyangin. ‘The Primacy of the Wise’ becomes a way of the self-discipline of the mind to overcome the greedy mind of Taeyangin. ‘Educating Others’ Children’ is a great method of mind practice which overcomes the extravagant mind of Taeeumin. ‘Venerating the Public-Spirited’ is a way of mind practice that overcomes the dogmatism(奪心) of Soeumin. Next, in the proceedings of The Eight Articles(八條), Taeyangin needs to have the faith that sets the mind when trying to accomplish everything; Soeumin needs their mind practice to have zeal, with brave and strong intentions toward their goals; Soyangin needs to polish up the heart until the end to achieve the goal; and Taeumin has to discipline the mind with a suspicion of knowing that which he does not know wisely. Taeumin nreuires a mind practice that has doubts arising in one’s mind for knowing wisely what one does not know. In The Four Articles to Forsake, Taeumin has a mind of disbelief that cannot be determined because of indulgence(侈心), Soeumin has a foolish mind to distort everything in his own way because of having dogmatism(奪心), Soyangin has a lazy heart and Taeyangin has the greediness to want for everything, so the four Sasangins need mind practicing to remove these faults.

      • KCI등재
      • KCI등재

        사상철학과 차크라(Chakra) 체계의 몸·마음 이해와 그 상관성 고찰

        임병학(Lim, Byeong-Hak),최구원(Choi, Ku-W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8

        본 논문은 사상철학과 요가철학의 차크라 체계를 통해 인간의 몸과 마음에 대한 이해를 비교 고찰하였다. 차크라 체계에서는 몸과 마음․정신을 서로 연결하는 7가지 중요한 물라다라(mūlādhāra), 스와디스타나(svādhişţhāna), 마니푸라(maņipūra), 아나하타(anāhata), 비슈다(viśhuddha), 아즈나(ājñā), 사하스라라(sahasrāra) 차크라가 있다. 이들 차크라는 각각의 고유한 진동수를 가지고 있어서 해당되는 차크라 마다 신체기관이나 심리적 상태와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 사상철학의 구조를 차크라 체계에 연계하면, 사상인 장국의 대소는 제1차크라, 애노희락의 性氣와 情氣는 제2차크라, 사상인의 장리를 규정하는 폐비간신의 氣는 제3차크라, 함억제복과 두견요둔에 있는 性(邪心)과 命(怠心)은 제4차크라, 이목비구의 好善之心과 폐비간신의 惡惡之心은 제5차크라, 인간의 본성인 人事 有四는 제6차크라, 천도 운행의 기틀인 天機 有四는 제7차크라에 서로 상통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네 번째 아나하타 차크라는 일곱 차크라에서 上下를 연결하는 중요한 지점으로 사상철학의 함억제복과 두견요둔의 이중적인 마음작용과 연계되어 우리의 삶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상철학과 차크라 체계는 단순히 육체적 차원을 넘어 정신적․심리적․영적인 부분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최근 세계보건기구(WHO)가 건강을 정의하면서 종래의 육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에 덧붙여 영적 건강을 추가시킨 것과 일맥상통 한다. 한편 본 연구는 현대인의 몸과 마음의 치유에 활용되고 있는 차크라 체계와 상관성을 통해 사상철학의 본질적 가치를 드러내고, 사상철학이 사람들의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데 새로운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사상철학과 요가철학의 상관성이 밝혀짐으로써 한국철학의 보편성이 확보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understanding of human body and mind through the Chakra system of Sasang philosophy and yoga philosophy. In the chakra system, there are seven important things that connect the body, mind and spirit together : muladhara, svadhisthana, mamipura, anahata, vishuddha, ajna, and the sahasrara chakra. Each of these chakras has their own frequency, so that each chakra interacts with the body organs or psychological states. When the structure of Sasang philosophy is linked to the chakra system, the size of Sasangin’s organ participate in the first Chakra, SungGi(性氣)와 JungGi(情氣) of all sorts of emotion is in agreement with the second Chakra, the spirit of Pyebigansin(lung, spleen, liver and kidney) that defines management of Sasangin is in agreement with the third Chakra, Sung(性) and Myeong(命) in the Chin·Chest·Umbilicus·Abdomen(頷臆臍腹) and the Head·Shoulders·Waist·Buttocks(頭肩腰臀) are with the forth chakra, mind of Hosun(好善之心)of the Ears·Eyes·Nose·Mouth(耳目鼻口) and mind of Oak(惡惡之心) of the Lung·Spleen·Liver·Kidney(肺脾肝腎) are with the fifth chakra, Insa(人事) that is human nature, is with the sixth chakra and Chongi(天機), the basics of the way of heaven running communicate with the seventh chakra each other. Especially the fourth Anahata chakra is an important point connecting up and down in seven chakras. This is linked to the double-minded function of the Chin·Chest·Umbilicus·Abdomen and the Head·Shoulders·Waist·Buttocks of the Sasang philosophy. This has a profound impact on our lives. The Sasang philosophy and the chakra system are pursuing ment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aspects beyond merely physical dimension. This is in line with that recent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definnes about health adding spiritual health in addition to traditional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Meanwhile, this study reveals the essential value of Sasang philosophy through correlation with the chakra system which is used for healing body and mind of modern man. It is expected that Sasang philosophy will become the new foundation for healing people"s mind and body. And the relativity of Sasang philosophy and yoga philosophy is revealed, the universality of Korean philosophy will be sec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