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周易』의 河圖洛書論에 근거한『正易』의 八卦圖에 대한 고찰

        임병학(林炳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0 No.-

        본 논문은 『주역』의 하도낙서론(河圖洛書論)을 근거로 『정역』의 팔괘도(八卦圖)에 대하여 고찰하였다.『정역』에서는 소강절의 복희선천팔괘도와 문왕후천팔괘도 그림은 받아 들였지만, 팔괘도의 이름에서 선천(先天)과 후천(後天)을 사용하지 않고, 제3의 정역팔괘도(正易八卦圖)를 그리고 있다. 『주역』「계사상」 제9장에서는 하도 55(五十有五)와 낙서 45(四十有五) 그리고 대연지수(大衍之數) 50(五十)을 논하고 있는데, 이것이 3개의 팔괘도와 서로 결부되는 것이다.『정역』의 팔괘도에서 복희팔괘도는 대연지수와 결부되고, 문왕팔괘도에는 낙서의 수를 직접 배치하고, 정역팔괘도는 하도와 결부되는 것이다. 복희팔괘도에서는 십(十)과 오(五)를 상징하는 건괘(☰)와 곤괘(☷)를 남북의 중심축으로 진괘(☳)와 손괘(☴), 감괘(☵)와 이괘(☲), 간괘(☶ )와 태괘(☱)가 대응하고 있다. 팔괘의 괘상이 안에서 밖으로 향해 있어 내면의 인격성을 자각하기보다 대상세계를 향하고 있기 때문에 아직 인격성이 드러나지 않은 자연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특히 복희팔괘도를 설명한 「설괘」 제3장에서는 하도낙서의 왕래(往來) · 순역(順逆)작용을 논하여 팔괘도를 하도낙서와 결부시켜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문왕팔괘도에서는 낙서의 수를 팔괘에 직접 배정하여 천도(天道)의 사상작용을 표상하고 있다. 문왕팔괘도에서는 팔괘의 괘상이 안에서 밖으로 향해있지만 그 합은 십(十)이기 때문에 단순히 내면의 인격성을 자각하지 못한 것이 아니라, 오(五)를 완전히 귀체시킨 천의 작용으로 양과 양, 음과 음이 서로 등을 대고 있는 괘도이다. 정역팔괘도에서는 이천(二天,☰)과 칠지(七地,☷)의 원천화(原天火)를 부가하여, 일(一)부터 십(十)까지 수를 팔괘에 결부시켜 하도의 수와 일치하고 있다. 또 팔괘의 괘상이 밖에서 안으로 향해 있고, 팔괘가 서로 마주보면서 합덕하고 있다. 정역팔괘도는 하도와 같이 음양이 합덕된 오행(五行)작용을 표상하는 괘도인 것이다. This paper is about Eight trigram(八卦圖) of Zhengyi based on Hetu(河圖)-Luoshu(洛書) of I Ching. There are Fuhsi’s eight trigram of Front Heaven (伏羲先天八卦圖) and King wen’s eight trigram of Rear Heaven(文王後天八卦圖) in Shaoyong (邵雍) picture in Zhengyi(『정역』). Ilbu(일부) didn’t use Front Heaven(先天) and Rear Heaven(後天) in names of Eight trigram, but drew a third Zhengyi’s eight trigram(正易八卦圖). There are commented Hetu 55, Luoshu 45, and DayanZhishu(大衍之數) 50 the first volume of Xici(繫辭) chapter 9 and they are related to three of Eight trigram. In other words, Fuhsi’s eight trigram(伏羲八卦圖) are connected to DayanZhishu, the number is placed in King wen’s eight trigram(文王八卦圖) directly Luoshu and Zhengyi’s eight trigram colligates Hetu. Qian(乾,☰) and Kun(坤,☷) that are symbols of 10 and 5, are in the center axis of the north-south and Zhen(震, ☳) corresponds to Xun(巽,☴ ), Kan(坎,☵) responds to Li(離,☲), and Gen(艮,☶) copes with Dui(兌,☱). Yaoxiang(卦象) of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八卦) faces from in to out, so it means natural condition because it’s heading to objective world than aware of inside. Especially, it’s discussing about WangLai(往來)·ShunNi(順逆) action of Hetu-Luoshu in Shuogua(說卦) chapter 3, that explained Fuhsi’s eight trigram. That provides clues that can understand by connecting Eight trigram and Hetu-Luoshu. lbu represented Sixiang(四象) action of the way of Heaven(天道) through assigned numbers of Luoshu to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in King wen’s eight trigram. Yaoxiang of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heads to outside, but the total is ten, it’s not realising personality but is a hanging picture that Yang(陽), Yang and Yin(陰), Yin are back to back is action of heaven. In Zhengyi’s eight trigram, Yuantianhuo(原天火) of Ertian(二天,☰) and Qide(七地,☷) were added and by the number from one to ten connecting to 팔괘, agree with the number of Hetu. And Yaoxiang of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heads for inside from outside and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s form a whole looking each other. Zhengyi’s eight trigram is a hanging picture that presenting the Five Elements action balanced of yin and yang.

      • KCI등재

        「확충론」의 속임·모욕·도움·보호(欺·侮·助·保)와 사상인의 마음 작용

        임병학(林炳學),최구원(崔九元)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3

        본 논문은 「사단론」에서 논하고 있는 애노희락과 장국의 대소를 근거로 「확충론」의 속임․모욕․도움․보호와 사상인의 마음 작용을 고찰하였다. 「확충론」에서는 ‘태양인은 대중들이 서로 속이는 것을 슬퍼하고, 특별한 사람이 자기를 모욕하는 것에 성내며, 소양인은 대중들이 서로 모욕하는 것을 성내고, 다른 특별한 사람이 자기를 속이는 것을 슬퍼하며, 태음인은 대중들이 서로 도와주는 것을 기뻐하고, 다른 특별한 사람이 자기를 보호하는 것을 즐거워하며, 소음인은 대중들이 서로 보호하는 것을 즐거워하고 다른 특별한 사람이 자기를 돕는 것을 기뻐하는 것이다.’라고 하여, 사상인의 애노희락의 성性·정기情氣에 따라 속임·모욕·도움·보호(欺·侮·助·保)를 논하고 있다. 애노희락 성기의 속임·모욕·도움·보호와 사상인의 마음 작용을 통해, 태양인은 대중들이 서로 속이는 것은 잘 알지만 대중들이 서로 도움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소양인은 대중들이 서로 모욕하는 것은 잘 알지만 대중들이 서로 보호해 주는 것은 인지하는 못하고, 태음인은 대중들이 서로 도와주는 것은 잘 알지만 대중들이 서로 속이는 것은 인지하지 못하고, 소음인은 대중들이 서로 보호하는 것은 잘 알지만 대중들이 서로 모욕하는 것은 인지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애노희락 정기의 속임·모욕·도움·보호와 사상인의 마음 작용을 통해, 태양인은 특별한 사람이 자신을 모욕하는 것을 잘 성내지만 특별한 사람이 자신을 도와주는 것은 기뻐하지 못하며, 소양인은 특별한 사람이 자신을 속이는 것은 잘 슬퍼하지만 특별한 사람이 자신을 보호해 주는 것은 즐거워하지못하고, 태음인은 특별한 사람이 자신을 보호하는 것은 잘 즐거워하지만 특별한 사람이 자신을 속이는 것은 슬퍼하지 못하고, 소음인은 특별한 사람이 자신을 도와주는 것은 잘 기뻐하지만 특별한 사람이 자신을 모욕하는 것은 성내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상인의 마음 작용을 통해 삶을 어떤 마음의 자세로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사상철학의 근본 문제를 논한 것이다. 애노희락의 성·정기의 측면에서 잘 하지 못하는 것을 확충해 나간다면, 진정한 애노희락의 의미와 궁극적인 삶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deception·insulting·helping·protecting and the mind action of Sasangin(四象人) mentioned in the 「Whoakchungron(擴充論)」. The basic concept is based on the sorrow·anger· joy and pleasure of the 「Sadanron(四端論)」 and the size of organs. In 「Whoakchungron」, it reveals deception·insulting·helping·protecting based on the SeongQi(性氣) and JeongQi(情氣) of the sorrow·anger· joy and pleasure of Sasangin through it said that Taeyangin(太陽人) is sad to deceive each others. They get angry when a special person insults them. The Soyangin(少陽人) is angry about the public is insulting each other, and they feel sad when another special people deceive them. Taeumin(太陰人) is pleased when the public is helping each other, they rejoice when other special people protect him. Soeumin(少陰人) is delighted about the public protects one another and they delight in helping other special people. In Chapter 3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eption·in sulting·helping·protecting from SeongQi of the sorrow․anger·joy and pleasure and the mind action of Sasangin. Taeyangin know well that the public deceive each other, but they do not recognize that the public is helping each other. Soyangin knows that people are insulting each other, but can not recognize that they protect each other. Taeumin knows well that people help each other, but does not recognize that they are cheating each other. Soeumin knows that publics protect each other, but they do not perceive them insulting each other. In Chapter 4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action of Sasangin and the deception, insulting, helping and protecting of the sorrow·anger·joy and pleasure’s JeongQi. Taeyangin is well angry about someone insulting himself, but he is not pleased that a special person helps him. Soyangin is sad that a special person deceives him, but he doesn’t know that enjoy taking a special person’s protection. Taeumin is delighted that a special person protects him, but he is not grieve that a special person deceives himself. Soeumin is delighted that a special person helps him, but he cannot get angry with a special person insults himself. This study discusses the fundamental problem of Sasang philosophy(四象哲學) that is how to live through mind-action of Sasangin. So, if you expand on what you can’t do in terms of the sheer meaning of the sorrow·anger·joy and pleasure, you will find the meaning of the true meaning of the sorrow·anger·joy and pleasure and the essence of the ultimate life.

      • KCI등재

        『周易』에서 본 少太山의 발심 呪文과 大覺 직후 해석된 두 구절의 교리적 함의

        임병학(林炳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3 No.-

        본 논문은 『주역』의 입장에서 소태산의 발심 주문과 대각 직후 해석된 두 구절이 가지고 있는 교리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소태산의 발심 주문은 바로 22세부터 시작된 구도에서 떠오른‘우주신 적기적기(宇宙神 適氣適氣)’·‘시방신 접기접기(十方神 接氣接氣)’와‘일타동공 일타래(一陀同功 一陀來) 이타동공 이타래 …… 십타동공 십타래’이며, 대각 직후 해석된 두 구절은 『동경대전』의‘오유영부 기명선약 기형태극 우형궁궁(吾有靈符 其名仙藥 其形太極 又形弓弓)’와 『주역』의‘대인 여천지합기덕 여일월합기명 여사시합기서 여귀신합기길흉(大人 與天地合其德 與日月合其明 與四時合其序 與鬼神合其吉凶)’이다. 먼저 발심 주문에서‘우주신 적기적기’가 천원(天圓)의 이치를 담고 있는 우주신을 통해 일원상의 진리를 자각한 것이라면,‘시방신 접기접기’는 지방(地方)의 이치를 담고 있는 시방(十方)을 통해 사은의 진리를 자각된 것이다. 또 대각 직후 해석된 『동경대전』의 구절은 태극(太極)과 궁궁(弓弓)을 통해 일원상의 진리를 확인한 것이고, 『주역』의 구절은 인의예지(仁義禮智) 사덕(四德)을 함축하는 내용으로 사은의 진리를 확인한 것이다. 원불교학에서 일원상과 사은의 진리는 모두 앞에 법신불이 붙는 가장 근원적인 교리이기 때문에 항상 동시적으로 자각되고 확인되었음을 알 수 있다. 원불교는 한국에서 자생한 깨우침의 종교이자 동양철학임에도 불구하고, 동양철학의 근본이 되는 『주역』의 학문적 원리에 근거한 연구가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Sotaesan’s Balsim invocation and the doctrinal implication of two passages that interpreted immediately after his perception of absolute truth from the point of view of I-Ching. Sotaesan’s Balsim invocation came from seeking the truth at the age of 22 years old. That is‘Ujusin Jeoggijeoggi’·‘Sibangsin Jeobgijeobgi’‘Iltadong-gong Iltalae itadong-gong Italae……Sibtadong-gong Sibtalae.’Two passages that interpreted immediately after his perception of absolute truth are‘Oyuyeongbu Gimyeongseon-yag Gihyeongtaegeug Uhyeong-gung-gung’of Dong-gyeongdaejeon and‘Daein Yeocheonjihabgideog Yeoil-wolhabgimyeong Yeosasihabgiseo Yeogwisinhabgigilhyung’of I-Ching. First, it means that‘Ujusin Jeoggijeoggi’in Balsim invocation revealed the truth of monism through a cosmic deity containing the reasoning of rounded sky. ‘Sibangsin Jeobgijeobgi’means that truth of four graces revealed from the ten directions that contains the meaning of squared ground. And the verse of the Donggyeongdaejeon(『東經大全』), interpreted immediately after his perception of absolute truth is to confirm the truth of monism through the Taegeuk(太極) and gung-gung(弓弓). The verse of the I-Ching contains the implication of inuiyeji(仁禮義智) and are a confirmation of the truth of four graces. In Won-Buddhism, the truth of one cirle shape(Ilwonsang) and the truth of four graces are the most fundamental doctrine that Beopssinbul(法身佛) prefix to their front. Won-Buddhism is a self-begotten religion and oriental philosophy in Korea, but there was no research based on the academic principle of I-Ching which is the basis of Eastern philosophy until now. So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s a special meaning.

      • KCI등재

        『周易』으로 해석한 고구려의 祭天儀禮와 三足烏

        임병학(林炳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7 No.-

        본 논문은 동북아 고대의 근원적 사상을 담고 있는 『주역』을 바탕으로 고구려의 제천의례와 삼족오의 철학적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주역』은 천도(天道) 운행의 원리와 인간 삶의 깊은 이치를 담고 있기 때문에 수천 년 동안 동북아의 문화 발전 과정에서 가장 근원적인 학문이다. 『주역』이 점서(占書)라는 의미도 새롭게 이해해야 한다. 점(占)이나 무(巫)의 한자 속에는 벌써 하늘과 인간의 소통이라는 의미가 들어 있다. 고대사회는 물론이고 지금의 제천의례는 모두 하늘의 뜻과 소통하고자 하는 인간의 행위이다. 제례(祭禮)와 복서(卜筮)는 하늘과 인간의 소통이라는 입장에서 공통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고대의 제천의례는 천명(天命)을 받은 후손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주역』의 천명사상에 근거한 것이다. 하늘에 제사를 올리는 것은 천명(天命)에 순응하는 것이자, 바른 정치를 행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고구려의 제천의례에서 모신 제(帝, 天神)와 지신(地神, 社稷)은『 주역』의 여러 곳에 밝힌 것으로 역학적(易學的) 해석이 가능한 것이다. 또 고구려의 제천의례에서 행한 집단 무도(舞蹈)는 ‘북치고 춤추는 행위를 통해 하늘의 신명(神明)을 다한다.’는 「계사상」의 내용과 일치하고 있다. 특히 제천의례에서 희생(犧牲)으로 사용된 돼지는 『주역』에서 하늘의 뜻을 대행하는 감괘(坎卦)를 상징하고 있다. 즉, 돼지는 하늘의 뜻을 상징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제사에 사용된 것이다. 고구려의 제천의례에서는 돼지와 사슴을 함께 사용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지만,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통해 돼지만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고구려의 삼족오와 『주역』의 역도(易道)에서는 삼족오는 새로 하늘의 소리를 전하는 천사(天使)이기 때문에 인류 역사에서는 성인(聖人)을 상징한다고 하겠다. 또 삼족오와 두꺼비가 같이 등장하여 일월의 음양원리를 담고 있으며, 삼족오가 해 가운데 존재하여 그 자체적으로 음양의 원리를 표상하고 있다. 삼족오의 삼(三)은 하늘의 수로 세상의 모든 이치의 근본이 되기 때문에 『주역』의 삼재지도(三才之道)를 그대로 상징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Heaven-Worshipping Rites of Koguryo and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Samzoko based on the I-Ching which contains the ancient ideology of Northeast Asia. I-ching is the most fundamental academic discipline in Northeast Asia"s cultural development process for thousands of years because it has a deep sense of human life and the principle of the running on the way of Heaven. The meaning of the divination book about I-Ching must also be understood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In the Chinese characters of divination(占) and shaman(巫), there is already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between heaven and human. As well as the ancient society, mordern Jecheon rituals also are all human’s acts to communicate with the will of heaven. The ritual, divination, and the exorcism have a something in common in terms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heaven and human being. Ancient Heaven-Worshipping Rites are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he chosen people of I-Ching as a confirmation that the priest is a descendant of the heavenly. It means that rite for heaven is to conform to God"s will and to do the right politics. In the Heaven-Worshipping Rites of Goguryeo, the god of the sky and the god of the earth are revealed in many places in I-Ching , and it is possible to be interpreted into I-Ching order. The group dance performed at Heaven-Worshipping Rites in Goguryeo is consistent with I-Ching doctrine of "responding the god of heaven through dancing and drumming." Especially, the pig used as a sacrifice in Heaven-Worshipping Rites symbolizes the the Kan(坎) Trigram that deputize for heavenly will in I-Ching . In other words, pigs are traditionally used for sacrifices because they symbolize the will of heaven. In the Heaven-Worshipping Rites of Goguryeo, we understand that pigs and deer are used together as sacrofices, but we can see that we only used pigs through Samguksagi and Samgukyusa . Next, in Samzoko of Goguryeo and in the logic of I-Ching , Samzoko is a messenger bird of the command of heaven, so it is said to symbolize a saint in human history. In addition, the Samzoko and the toad appear together in Goguryeo tomb murals and contain the yin and yang principles of the lunisolar, and the Samzoko is in the middle of the sun and represents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itself. The three of the Samzoko are symbolic of Samjaejido of I-Ching because it is the base of all the things in the world as the number of the sky.

      • KCI등재

        위장조영검사에서 피폭선량 저감

        임병학(Byung-Hak Lim),천권수(Kwon Su Chon) 한국방사선학회 2017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1 No.2

        위장조영검사는 위내시경검사에 비해 비침습적이고, 일시적인 변비나 복통 외에 특별한 부작용이 없어 위내시경 검사가 어려운 환자나 노약자에게 유용하며, 위의 전체 모습을 볼 수 있어 병변의 위치를 정확히 묘사할 수 있는 장점으로 현재 상부위장관 질환의 진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수검자의 위장조영 검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검사 중 부적절한 움직임과 호흡조절로 피폭선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위장조영검사 수검자의 검사에 대한 이해를 도와 검사 중 적절한 협조를 유도하고, 재촬영 건수의 감소와 검사 시간의 단축, 수검자의 피폭선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위장조영검사의 검사 과정과 주의사항을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검사 전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시청하게 함으로써, 동영상을 이용한 사전교육이 검사시간 단축과 재촬영 건수, 피폭선량 감소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30대부터 80대까지 각각 20명씩 선출한 120명을 대상으로 교육 전·후의 피폭선량과 검사 시간, 재촬영 건수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 연령대 평균으로 나타낸 교육 전 수검자의 피폭선량은 3171.83 µGy·m², 교육후 수검자의 피폭선량은 2931.73 µGy·m²로 나타났고, 검사시간은 교육 전 8.05 min, 교육 후 6.75 min으로 나타났으며, 재촬영 건수는 교육 전 1.68건, 교육 후 1.22건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영상 교육을 이용하여 위장조영검사 수검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위장조영검사에 대한 사전 정보제공이 위장조영검사 수검자의 검사시간 단축, 재촬영 건수와 피폭선량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is non-invasive examination, and it is useful for patients or elderly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in endoscopic examination because of absence of any side effects other than temporary constipation or abdominal pain. The entire imag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can be seen and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diagnosis of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radiation dose increases due to improper movement and breath control, when examination is carried out by lack of understanding the overall inspection process for the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In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examination, to induce appropriate cooperation during examination, to reduce the number of retakes and shorten examination time, and to reduce dose of the subject, the procedure and precautions of the gastrointestinal test were made as a movie. We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pre-education using the movie to reduce the inspection time, the number of re-shoots, and the reduction of exposure dose by watching the movie during the waiting time before examination. 120 patients that were selected each 20 patients aged from 30s to 80s were evaluated were evaluated for exposure dose, examination time, and the number of retakes before and after the movie training. The radiation dose, the examination time, and the number of retakes were respectively 3171.83 µGy·m 2 and 2931.73 µGy·m 2 , 8.05 min, and 6.75 min, and 1.68 times and 1.22 times before and after movie training.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ovie training on the gastrointestinal examination influences the reduction of the examination time, the number of retakes and the reduction of the radiation dose.

      • KCI등재

        『주역(周易)』의 하도락서론(河圖洛書論)에 근거한 복서(卜筮)와 왕래(往來),순역(順逆)의 의미 고찰

        임병학 ( Lim Byeong-ha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58 No.3

        본 논문은 『주역』의 河圖洛書論을 근거로 卜筮와 往來·順逆의 철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주역『에서 數理를 통해 易道를 표상하는 河圖와 洛書를 繫辭上제11장에서는 神物로 논하고, 계사상 제9장에서는 天地之數와 大衍之數를 통해 구체적으로 논하고 있다. 河圖는 陰陽이 만나는 五行원리를 표상하고 있다면, 洛書는 陰陽이 분리된 四象원리를 표상하고 있다. 또 繫辭下에서는 聖人이 神明원리를 자각하여 그린 河圖와 洛書에는 天道와 人道가 함께 들어 있다고 하였다. 』주역『에 등장하는 개념들 가운데 인식론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은 河圖·洛書의 神物과 관련된 것이다. 『주역』이 占書인 까닭은 하늘 뜻을 헤아려서 인간에게 알려주는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占은 대상적 시간을 헤아려 미래를 아는 것이 아니라, 河圖와 洛書의 이치를 통해 하늘의 뜻을 아는 행위이며, 그의 방법으로 논한 卜은 거북을 통해 상징되는 洛書를, 筮는 시초를 통해 상징되는 河圖를 말하는 것이다. 또 往來와 順逆은 河圖와 洛書의 작용을 말한 것으로 往은 지나간 과거가 아니라 洛書의 體十用九작용을, 來는 다가올 미래가 아니라 河圖의 體五用六작용을 의미하는 것이다. 河圖와 洛書가 서로 體用의 관계이듯이 근원적 입장에서는 하늘의 뜻이 인간으로 내재화되는 것이 往이고, 인간이 하늘의 뜻을 실천하며 살아가는 것이 來이지만, 인간의 입장에서는 往이 실천해가는 것이고, 來가 하늘의 뜻을 오는 것이다. 이에 往來는 天地가 사귀고, 上下가 뜻을 같이하는 작용이라 하였다. 또한 順은 往의 작용으로 헤아리는 것으로 洛書의 작용이기 때문에 하늘의 뜻이 인간의 심성에 내재화되는 것을 의미한다면, 逆은 來의 작용을 아는 것으로 河圖의 작용이기 때문에 자신의 행위를 통해 하늘의 뜻을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 This thesis is about meaning of Zhan(占)·WangLai(往來)· ShunNi(順逆) in I Ching based on the first volume of Xici(繫辭) chapter 9, Hetuluoshuron(河圖洛書論). In the first volume of Xici chapter 9, it said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Hetu and Luoshu through Tiandezhishu(天地之數) and Dayanzhishu(大衍之數). Hetu expresses the Five Elements principle that yin and yang are united. Luoshu expresses Sasang principle that yin and yang are separated. and Hetu and Luoshu have the way of Heaven and the way of human together. The difficult parts that we can’t easily understand with concepts in I Ching epistemologically are related with Hetu and Luoshu. The reason that the Book of change is a book on divination, it shows human disposition of Providence. Zhan is not knowing future by counting relative time but is knowing disposition of Providence through the logic of Hetu and Luoshu. Bu(卜), as a method of fortune-telling means Luoshu symbolizing turtle, Shi(筮) means Hetu symbolizing beginning. Also Wang(往) and Lai(來)·Shun(順) and Ni(逆) mean action of Hetu and Luoshu. Wang is not the past, but the Tishiyongjiu (體十用九) action of Luoshu. Lai is not future but Tiwuyonglu (體五用六) action of Hetu. Hetu and Luoshu are the thing and its functions each other. Wang is that disposition of Providence internalizes to human and human put disposition of Providence into practice from the point of view of original. But from the point of view of human, Wang is practice and Lai means disposition of Providence is coming. WangLai said Wang and Lai·Shun and Ni are action that Tian(天) and Di(地) are dating and, Shang(上) and Xia(下) share intentions. Because Shun is action of Luoshu, it means that disposition of Providence internalizes to human’s mind. Ni is action of Hetu and knowing action of Lai, so it means executing Providence through its own deed.

      • KCI등재

        『주역(周易)』의 하도(河圖)·낙서(洛書)와 「계사상(繫辭上)」 제9장 고찰

        임병학 ( Lim Byeong-hak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본 논문은 『주역』의 河圖와 洛書가 易道의 표상체계임을 밝히고, 「계사상」 제9장에서 논한 河圖洛書論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周易』에서 河圖와 洛書는 數로 구성된 그림으로 數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 라는 근본적인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설괘」 제1장에서는 성인이 天地之道를 주체적으로 자각하고, 그것을 河圖·洛書와 卦爻로 표상하였고 하였다. 「계사상」 제11장에서는 河圖·洛書를 직접 언급하면서 神物로 규정하고, 「계사상」 제9장에서는 一에서 十까지의 天地之數를 논하고 있다. 제9장에서는 河圖와 洛書의 理數를 통해 동양철학의 근본적 개념인 陰陽·五行·四象을 논하고 있다. 河圖는 五를 본체로 一·六 → 二·七 → 三·八 → 四·九 → 五·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음양의 합해져 五行이 운행되는 원리인 `體五用六`을 표상하고 있으며, 洛書는 十을 본 체로 九(一) → 八(二) → 七(三) → 六(四)의 四象작용을 표상하기 때문에 `體十用九` 원리를 표상하고 있다. 河圖와 洛書는 서로 체용의 관계로 하나이면서 둘인 관계이다. 河圖는 五를 本體로 一·六 → 二·七 → 三·八 → 四·九 → 五·十으로 마치지만, 十에서는 洛書로 되어 다시 十을 본체로 九(一) → 八(二) → 七(三) → 六(四) → 五로 마치고, 또 五에서 다시 河圖의 작용이 시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河圖는 음양의 합해져 전개되는 인격적 세계의 작용원리인 五行을 위주로 밝힌 그림이라면, 洛書는 음양이 합해지기 이전의 작용인 天道의 四象작용을 위주로 밝힌 그림이라 하겠다. This paper determined that Hetu(河圖)-Luoshu(洛書) of I Ching are a symbol system of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易道) and considered Hetu-LuoshuLun(河 圖洛書論) that examined in the first volume of Xici(繫辭) chapter 9. Hetu and Luoshu of I Ching are pictures being made up numbers. This paper started by asking what would want to expose through number is it. In Shuogua(說卦) Chapter 1, It said that Saint expressed Hetu-Luoshu and Guayao(卦爻) it after realized Tiandezhidao(天地之道) by himself. first volume of Xici Chapter 12 presents Hetu-Luoshu directly and characterized those as Shenwu (神物). first volume of Xici Chapter 9 treated Tiandezhishu(天地之數), from one to ten and dessert Yinyang(陰陽)·Wuxing(五行)·Sixiang(四象) that is fundamental concept of Eastern philosophy throughout Lishu(理數) of Hetu-Luoshu. Hetu attaches primary importance to five and acts as 一·六 → 二·七 → 三·八 → 四· 九 → 五·十. Also Hetu expresses `Tiwuyonglu(體五用六)` that is the principle, Wuxing(五行) runs by combining Yinyang(陰陽). Luoshu attaches primary importance to ten and represented Sixiang(四象)`s action of 九(一) → 八(二) → 七(三) → 六(四). Luoshu expresses `Tishiyongjiu(體十 用九)`. Hetu and Luoshu are relationships of Tiyong(體用) each other, as both one and two. Hetu turn on five and completed with 一·六 → 二·七 → 三·八 → 四·九 → 五·十. But In ten, it becomes to Luoshu and turn on five and completed with 九(一) → 八 (二) → 七(三) → 六(四) → 五. It starts action of Hetu at five again. Therefore Hetu is a picture that determined mainly with Wuxing, is an action principle of world of phenomenon from join Yinyang, but Luoshu is a pictures that determined mainly with Sixiang`s action of the way of heaven, is action before join Yinyang. In addition, Hetu and Luoshu is thing that Saint realized the principle of Shenming(神明), including the way of human(人道). Therefore noble man realizes the way of heaven throughout number and figure of Hetu-Luoshu and practices the way of human, is the way of human life.

      • KCI등재

        연구논문 : 『주역』의 하도낙서론(河圖洛書論)과 방원(方圓)의 역학적(易學的) 의미

        임병학 ( Byeong Hak Lim ),곽우철 ( Woo Chul Kwock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4 No.-

        본고는 『주역』의 河圖洛書論에 근거하여 선진유학에서 논의된 方圓(規矩)의 역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주역』에서는 天地之數와 大衍之數를 통해 天地之道를 표상하는 河圖·洛書를 논하고, 이것을 方圓으로 상징됨을 밝히고 있다. 天地人 三才之道로 논한 『주역』의 학문적 체계에서 天道는 시작과 끝을 알 수 없는 영원한 시간의 세계이기 때문에 圓으로 상징하고, 地道(人道 포함)는 上下 四方으로 확산되는 공간의 세계이기 때문에 方으로 상징하였다. 특히 『맹자』에서 논한 ‘規矩는 方圓의 지극함이오 聖人은 人倫의 지극함이다’는 선진유학에서 方圓의 철학적 의미를 직접 밝힌 것으로 하도·낙서와 方圓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그림쇠는 방의 지극함이다’는 시작과 끝이 없는 영원한 시간의 세계가 상하 사방의 공간 세계가 드러남을 밝힌 것인데, 이는 河圖의 작용이 10을 본체로 하여 9 → 8 → 7 → 6 → 5 → 4 → 3 → 2으로 전개되어 마지막에는 1(洛書, 작용의 기본수)로 전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곱자는 원의 지극함이다’는 상하 사방의 공간의 세계를 그리는 곱자를 통해 하늘의 뜻이 밝혀지게 됨을 밝힌 것인데, 이는 洛書의 작용이 1에서 2 → 3 → 4 → 5 → 6 → 7 → 8 → 9로 전개되어 마지막에는 10(河圖, 본체수)으로 완성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周易』 重地坤卦()에서 논한 ‘곧고 방정하고 위대한 것이다’를 통해 인간과 天地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즉, 方圓의 그림을 통해 보면, 直은 그대로 직각(ㄴ)으로 인간을 상징하고, 이것이 상(ㄱ)·하(ㄴ)로 합해져 方의 사방(□)이 그려져 地道를 상징하고, 이 四方에서 다시 大인 乾道가 원( ○ )으로 그려져지면서 直과 方이 天道로 완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이 자기 자각을 통해 地道와 天道가 완성된다는 철학적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또 하늘은 圓(○)으로 그리고 땅은 方(□)으로 표시되어 天地와 乾坤의 관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天地人 三才之道의 내용이 되고 있지만, 인간을 중심으로 天地의 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사실은 圓은 方을 내포하는 관계이어야 하지, 圓이 方에 내포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This study was considered about meaning of square and circle that discussed in Confucianism was based on Hetu-Luoshu of I-ching in the I-ching’s aspect. In I-ching, Hetu-Luoshu represented morality of heaven and earth(天地) through the principle of heaven and earth and principle of Daeyeun(大衍). That is, it makes clear that Hetu-Luoshu is a symbol of square and acircle. The ways of Heaven symbolizes acircle because of a world of time that can’t know the beginning and the end. The ways of earth symbolizes square because of a world of space that spread to top and bottom and all directions. Especially, in Mencius, it clarifies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square and circle directly. ‘Compass is square extremely’ means that eternal time is exposed to a world of space of top, bottom and all directions. this is that action of Hetu makes 10 primary object to spread out 9 → 8 → 7 → 6 → 5 → 4 → 3 → 2 and arrive to 1(Luoshu). And ‘Square is circle extremely’ means that will of heaven becomes clear through square drawing space world of top, bottom and all directions this mean that action of Luoshu makes 1 primary object to spread out 2 → 3 → 4 → 5 → 6 → 7 → 8 → 9 and complete to 10(Hetu). Besides we can understand relations human and heaven and earth through the Book of Changes’s The Khwan Hexagram. When we see the picture of square and acircle, upright is a right angle like it is and symbolizes human. If this combines top and bottom, it will become square of square and symbolizes the ways of earth. When QianDao(乾道) is drawn to circle at these four directions, the ways of heaven which means Dae(大) will complete. Therefore, we can understand philosophical meaning that the ways of earth reveals through human’s consciousness and the Heavenly way is completed through the ways of earth.

      • KCI등재

        『正易』의 입장에서 본 王龍溪의 易學思想

        임병학(Lim, Byeong-hak) 한국양명학회 2013 陽明學 Vol.0 No.36

        본 논문은 韓國易學인『正易』의 입장에서 陽明學에서『周易』을 체계적으로 해석한 대표적 학자인 王龍溪의 易學思想을 고찰하였다. 龍溪의 역학사상은 기본적으로 그의 스승인 王陽明의 易學觀을 계승하여, 易學의 두 견해인 象數易學과 義理易學을 자신의 心學的입장에서 하나로 통일하고 있다. 그는『周易』의 十翼가운데 특히 ‘大象辭’에서 밝힌 君子의 의리를 중시하여 『大象義述』을 지었을 뿐만 아니라 『先天後天解義』·『河圖洛書解義』· 『易與天地準一章大旨』· 『圖書先后天跋語』· 『太極亭記』등을 저술하여, 宋代 圖書象數易學의 핵심적 내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에 『正易』이 밝히고 있는 역학의 3대 근본 문제 즉, 첫째 易學은 聖人之學이라는 것이고, 둘째 干支度數와 河圖洛書를 통해 표상하는 易道가 曆數原理이며, 셋째 易學의 先後天論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제2장 良知와 易에서는 良知와 易을 동일시하면서 良知를 깨우친 자가 聖人이라 하여, 易學이 聖人之學임을 고찰하였으며, 제3장 良知와 先後天論에서는『先天後天解義』를 중심으로 『正易』의 先後天論과 龍溪의 先後天論을 비교?고찰하였다. 용계는 先天은 本體로, 後天은 作用으로 규정하고, 자신의 體用一源의 논리에 바탕하여 일체적인 관계로 설명하는 독창적인 해석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4장 良知와 河圖洛書論에서는『河圖洛書解義』을 중심으로 용계가 언급한 河圖洛書論의 『正易』的의미를 고찰하였다. 용계는 河圖와 洛書를 順逆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周易』 說卦제3장에 근거한 것이다. 易學에서 河圖洛書原理의 구체적인 내용은 『正易』을 통해 확연히 드러나기 때문에 『正易』의 내용과 용계의 河圖洛書論의 유사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 KCI등재

        ��正易��에서 본 ‘윷놀이’의 易學的 의미

        임병학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4 선도문화 Vol.16 No.-

        윷놀이는 한국인의 뜻과 사유체계를 담고 있는 한국 고유의 전통놀이로 그 철학적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易學的 입장에서 논의되어 왔다. 즉, 윷을 만드는데 윷가락은 박달나무 한 가지를 꺾은 것은 太極을 상징하고, 이를 반으로 나누는 것은 兩儀(陰陽)가 되고, 다른 한 가지를 반으로 나누어 네 개의 윷가락이 된 것은 四象이 되고, 이 윷가락을 던져서 나오는 경우의 수가 다섯이니 五行을 상징하고, 또 윷말은 四象으로 나누어진 것이 양편이 되니 八卦를 상징된다고 하였다. ��正易��은 先秦易學인 ��周易��을 철저히 계승하면서 天道인 天之曆數를 干支度數와 數理체계인 河圖洛書로 표상하고 있기 때문에 ��정역��의 입장에서 윷놀이를 이해할 때 그 철학적 의미가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윷은 우주 만물의 生長成의 변화와 인간 삶의 흥망성쇠가 농축되어 있는 우리의 전통놀이로 ��정역��이 표상하는 역학의 학문적 표상체계를 통해 그 구체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으며, 특히 윷과 ��정역��는 모두 근본적으로 數理體系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윷놀이 자체로 易學的 의미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먼저 윷놀이를 구성하는 3가지 요소인 윷가락과 윷말 그리고 윷판은 天地人 三才之道로 이해할 수 있다. 윷가락은 天道에 대응되는데 그 수가 4개인 것은 天道의 四象작용을 상징하며, 윷말은 人道로 땅에서 하늘의 뜻을 대행하는 존재인 인간에 대응되는데 실존적 존재인 인간은 음양작용이 기본이 되어 四象作用을 하기 때문에 8개의 윷말이 윷판에서 작용하는 것이다. 또 윷판은 地道에 대응되는데 地道는 天道가 드러나는 장으로 구체적인 공간 속에서 전개되기 때문에 땅에 29점을 찍어서 그린 것이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 윷을 구성하는 윷가락과 윷말 그리고 윷판은 ��정역��이 밝히고 있는 易學의 학문적 표상체계인 干支度數의 원리를 그대로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제어 : 易學, ��정역��, 윷놀이, 윷판, 四象, 干支度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