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正易』의 입장에서 본 王龍溪의 易學思想

        임병학(Lim, Byeong-hak) 한국양명학회 2013 陽明學 Vol.0 No.36

        본 논문은 韓國易學인『正易』의 입장에서 陽明學에서『周易』을 체계적으로 해석한 대표적 학자인 王龍溪의 易學思想을 고찰하였다. 龍溪의 역학사상은 기본적으로 그의 스승인 王陽明의 易學觀을 계승하여, 易學의 두 견해인 象數易學과 義理易學을 자신의 心學的입장에서 하나로 통일하고 있다. 그는『周易』의 十翼가운데 특히 ‘大象辭’에서 밝힌 君子의 의리를 중시하여 『大象義述』을 지었을 뿐만 아니라 『先天後天解義』·『河圖洛書解義』· 『易與天地準一章大旨』· 『圖書先后天跋語』· 『太極亭記』등을 저술하여, 宋代 圖書象數易學의 핵심적 내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에 『正易』이 밝히고 있는 역학의 3대 근본 문제 즉, 첫째 易學은 聖人之學이라는 것이고, 둘째 干支度數와 河圖洛書를 통해 표상하는 易道가 曆數原理이며, 셋째 易學의 先後天論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제2장 良知와 易에서는 良知와 易을 동일시하면서 良知를 깨우친 자가 聖人이라 하여, 易學이 聖人之學임을 고찰하였으며, 제3장 良知와 先後天論에서는『先天後天解義』를 중심으로 『正易』의 先後天論과 龍溪의 先後天論을 비교?고찰하였다. 용계는 先天은 本體로, 後天은 作用으로 규정하고, 자신의 體用一源의 논리에 바탕하여 일체적인 관계로 설명하는 독창적인 해석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4장 良知와 河圖洛書論에서는『河圖洛書解義』을 중심으로 용계가 언급한 河圖洛書論의 『正易』的의미를 고찰하였다. 용계는 河圖와 洛書를 順逆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周易』 說卦제3장에 근거한 것이다. 易學에서 河圖洛書原理의 구체적인 내용은 『正易』을 통해 확연히 드러나기 때문에 『正易』의 내용과 용계의 河圖洛書論의 유사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 KCI등재

        「계사상(繫辭上)」 제4장과 『주역』의 학문체계 고찰

        임병학 ( Lim Byeong-hak ),유병헌 ( Yu Byung-hun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99

        본 논문은 「계사상」 제4장의 구조와 해석을 통해 『주역』의 학문체계와 易道를 고찰하였다. 「계사상」 제4장은 ‘易’ㆍ‘天地之道’ㆍ‘天文’ㆍ‘地理’ㆍ‘幽明’ㆍ‘終始’ㆍ‘死生’ㆍ‘氣’ㆍ‘魂’ㆍ‘鬼神’ㆍ‘神’ 등『주역』의 핵심적 개념을 온전히 담고 있다. 특히『주역』의 진리를 함축하고 있는 ‘易’의 철학적 의미를 처음으로 논하고 있다. 제4장 첫 번째 부분에서는 易道의 근원성과 주재성을 논하고, 그것이 八卦와 六爻重卦, 河圖ㆍ洛書의 數理로 표상됨을 밝히고 있다. ‘天文과 地理를 관찰하여 幽明의 연고를 아는 것’은 八卦와 연계되고, ‘原始反終의 終始를 통해 죽음과 삶의 말씀을 아는 것’은 六爻重卦를 통해 표상되며, ‘흐르는 혼은 변화가 되어 鬼神의 있는 그대로를 아는 것’은 河圖ㆍ洛書와 연계되는 것이다. 이는 「설괘」 제1장에서 논한 數理와 八卦 그리고 六爻重卦의 학문체계와 일치하는 것이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易道가 천지와 서로 같은 것으로, 인간 본성을 통해 드러남을 논하고 있다. 四象으로 작용하는 易道는 ‘仁에서 돈독한 것이라’의 仁을 통해 인간 본성인 知ㆍ義ㆍ禮ㆍ仁과 연계됨을 추론할 수 있다. 먼저 易이 천지와 같다는 것은 가장 근원적인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知’와, 만물과 인간을 진리의 세계로 건너게 해 주는 것은 ‘義’와, 널리 흘러가되 누설되지 않고 天命을 알아서 行하는 것은 ‘禮’와 연계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부분은 천지의 변화와 만물의 완성, 晝夜의 道와 易道는 형체가 없음을 논하여, 「계사상」 제4장의 첫 번째와 두 번째 부분을 종합ㆍ정리하고 있다. This thesis divided The first volume of Xici(繫辭) Chapter 4 into three major parts, and examined the academic system of the I-Ching and the content of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 (易道). In the first part, the origin and presiding features of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 is discussed, and as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it is represented as mathematical principle of the Eight Diagrams; the Providence of Guàxiàng, and Hetu-Luoshu. “Looking up contemplates the brilliant phenomena of heavens and looking down examines the definite arrangements of the earth, thus he knows the causes of darkness and light” is connected with Eight Diagrams, and “He traces things to their beginning and follows them to their end, thus he knows what can be said about death and life” is represented through Providence of Guàxiàng, and “the wandering away of the soul produces the change, thus he kn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ima and animus” is linked to the Hetu-Luoshu. In the second part,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 is shown to be the same as Heaven and Earth, and you can see the four figures of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 which unfold in Heaven and the Earth. It can be inferred that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 which acts as four figures linked to knowledge (知), righteousness (義), the proprieties (禮) , love(仁), is the reason for human nature through the benevolence of “and hence he can love”. First,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him and heaven and earth” contains the most fundamental meaning, and so it is connected with “knowledge”. “His knowledge embraces all things and his course is helpful to all under the sky” is connected with “righteousness”, and ‘He acts according to the exigency of circumstances without being carried away by their current” is linked to “the proprieties”.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 is revealed through human nature, and humans are aware of the truth and follow the four virtues. Finally, in the third part, the first and second parts of Chapter 4 of “The first volume of Xici” are summarized by discussing the change of the Heaven and the Earth and the completion of all things, and the lack of shape in the way of the day and night and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 From the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 is the metaphysical person and the president who transcends the law of the heavenly earth, and is the same as the heavenly earth, which is revealed through human nature. In general, the I-Ching is understood as a book that clarifies the laws of nature, heaven, and Earth but this is the standpoint of physicalness and remains in phenomenological thought.

      • KCI등재

        일반논문 : 사상철학(四象哲學)의 마음 연구(2) -문왕팔괘도(文王八卦圖)에 근거한 사상인(四象人)의 마음작용 고찰

        임병학 ( Byeong Hak L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0 No.-

        본고는 『周易』의 文王八卦圖에 근거하여 『性命論』에서 논한 好善之心·惡惡之心·誣世之心(邪心)·罔民之心(怠心)이 四象人(太陽人·太陰人·少陽人·少陰人)에게 있어서는 어떻게 작용되는가를 고찰하였다. 『성명론』에서는 호선지심·오악지심·사심·태심을 논하고는 있지만, 그것이 四象人에 있어서는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찾을 수 없고,『四端論』이하의 『東醫壽世保元』과 사상철학을 온전히 담고 있는 『格致藁』의 분석을 통해 사상의학의 기본인 마음작용과 생리·병리의 상관성을 추론할 수밖에 없다. 다만 『擴充論』마지막 문장에서 언급한 邪心(驕心·矜心·伐心·誇心)과 怠心(奪心·侈心·懶心·竊心)을 근거로 四象人의 마음과 병리를 연계하기도 하였지만, 이 부분을 연구자들은 사심과 태심이 裡病과 表病으로 드러난다고 선언적으로 이해하고, 논증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상철학과 사상의학을 연결하는 인간의 마음 작용을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론으로 문왕팔괘도에 근거한 사상인의 마음작용을 고찰한 것이다. 東武는 문왕팔괘도를 이용하여 직접 『성명론』을 주해하였고,『격치고』와 『사단론』·『臟腑論』의 내용을 통해서도 문왕팔괘도가 사상의학의 철학적 원리를 설명할수 있는 하나의 도구(툴)가 됨을 알 수 있다. 문왕팔괘도에 근거한 四象人의 마음 작용은 사상인의 애노희락에 배치된 好善·惡惡之心이 있고, 다음으로 사상인의 애노희락에 배치된 생리적 邪心·怠心이 작용하고, 마지막으로 『확충론』에서 논한 병리적 邪心·怠心으로 전개됨을 알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functions of Hosun(好善)·Oak(惡惡)·Sasim(私心)·Taesim(怠心) in Four shapes men(太陽人·太陰人·少陽人·少陰人) discussed in Sungmyoungron(性命論) that is based on the Diagram of King Wen`s eight trigram of I ching It was discussed about Hosun·Oak·Sasim·Taesim in Sungmyoungron, but there`s no concrete discussion about how it works in Four shapes men. so we can only assume interrelationship mind function, physiology and pathology, the basis of four shapes medicine through analysis of DonguiSuseBowon and Gyukchigo, put into entirely four shapes` philosophy. There is only one thing which researchers matched mind of four shapes men with pathology based on the Arrogance(驕心)·self-conceit(矜心)·violence(伐心)·extravagance(誇心) being Sasim(私心) and the dogmatic mind(奪心)·lofty mind(侈心)·lazy mind(懶心)·selfish mind(竊心) being Taesim(怠心) that is mentioned in the last sentence of Whoakchungron(擴充論). But because researchers understand disjunctively this part that Sasim and Taesim are exposed to an internal disease(裡病) and the surface disease(表病), so they can`t demonstrate. Accordingly, this study is one methodology that can understand four shapes philosophy and human`s mind function, connecting four shapes medicine through consider mind function of four shapes` men on the basis of the Diagram of King Wen`s eight trigram. Dongmu annotated Sungmyoungron directly making use of the Diagram of King Wen`s eight trigram, and said that the Diagram of King Wen`s eight trigram is as a tool to explain philosophical principle of four shapes medicine in Gyukchigo Yurak(儒略) and Sadanron(四端論)·Jangburon(臟腑論). This researcher could understand mind function of four shapes men to tri-level based on the Diagram of King Wen`s eight trigram. one level is Hosun·Oak deployed to each four shapes men, two level is Sasim·Taesim arrayed sorrow·anger·joy·pleasure(哀怒喜樂) of four shapes men. In third level, It made clear that Sasim·Taesim, mentioned in Whoakchungron is a final mind function.

      • KCI등재
      • KCI등재

        소강절의 상수역학(象數易學)이 한국 신종교에 미친 영향 -동학(東學)과 원불교(圓佛敎)를 중심으로-

        임병학 ( Byeong Hak Lim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8 No.-

        본 논문은 한국 신종교를 대표하는 동학과 원불교의 종교사상을 중심으로 소강절의 상수역학이 한국 신종교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소강절은 송대 이학(理學)의 성립에 기여한 인물들 가운데 하나로 그는 『주역』을 재해석하면서 역학의 독창적인 분야를 개척한 학자이다. 그는 세계를 나름대로 해석하고 인식하는 데에 관심을 가진 위대한 역학자(易學者)로 시간적인 면, 공간적인 면을 포괄하는 하나의 세계관을 정리하였으며, 그의 수리(數理)이론은 후대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강절의 자연에 대한 직관적 통찰인 관물(觀物)을 통해 천지(天地), 자연, 만물, 인간의 생성변화를 체용(體用)론과 수리론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상수역학(象數易學)을 전개함으로써 술수가 아닌 수리에 근거한 새로운 역학사상을 전개하였다. 소강절의 상수역학과 한국 신종교의 특징을 대응하여 보면, 선천도(先天圖)를 근거로 하는 선후천(先後天)의 문제가 후천개벽사상과, 유불도(儒佛道) 삼교의 융합적 역학사상은 삼교 융합과 회통을 추구한 종교사상과 대응 될 수 있다. 한국 신종교를 대표하는 동학과 원불교에서는 소강절의 선후천론을 수용하여, ‘다시개벽’과 ‘정신개벽’을 통해 삶의 주체인 인간의 윤리적 실천을 강조하는 후천개벽사상을 주창하고 있으며, 또 유불도(儒佛道) 삼교의 융합정신과 그 맥을 같이하여 삼교를 융합·회통하는 종교사상을 전개하고 있다. 또 소강절의 상수역학이 조선의 유학자들에게 유입되어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한국 신종교의 종교사상을 사상적 맥락에서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모색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that Sangsu I-Ching of Sogangjeol influenced Korea`s new religion with Donghak(東學) and Won Buddhism(圓佛敎) as the center. Sogangjeol contributed to conclution of Song dynasty ages`s Neo-Confucianism. He was a scholar that pioneered creative area of I-Ching and reinterpreted I-Ching. He was a great I-Ching scholar that was interested in analyzing and cognizing the world in his own way so his mathematical principle have been influencing later generation. Sogangjeol discussed heaven and earth, nature, all creature, generation change of human to ‘the thinganditsfunctions theory’ and ‘mathematical principle theory’ through intuitive insight about nature. His Sangsu I-Ching(I-Ching that embodied numbers) new I-Ching theory based on mathematical principle. Let`s see the feature of Sangsu I-Ching of Sogangjeol and Korea`s new religion in response. First, the problem of Seonhucheon based on Seoncheondo is messianic reformist idea. Second, I-Ching Thought that fused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can Corresponds to religious ideas. Donghak(東學) and Won Buddhism(圓佛敎) representing Korea`s new religion advocated messianic reformist idea that emphasises on ethical behavior of human through Recivilization and Spiritual Civilization via accepting Sogangjeol` Seonhucheon theory. And It is developing religion thought that fusing spirit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sync with Spirit of convergence of three religion. Also, this paper appeared that confusion scholar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understand how the Sangsu I-Ching of Sogangjeol. This is a basis that can understand refreshingly Korea`s new religion thought in the context of thought.

      • KCI등재

        계사하편 제1장과 卦象原理

        임병학(Lim Byeong-Hak) 새한철학회 2007 哲學論叢 Vol.4 No.50

        This study on the first chapter, the last volume of Xici(繫辭) in the I Ching is new attempting that is the study of I Ching. The first chapter of the last volume of Xici is the main discourse in Xici. The first chapter of the last volume of Xici is composed of a fundamental problem in the Book of Changes. The first chapter of the last volume of Xici tells on the Signs and Lines, on Creating and Acting. The first chapter of the last volume of Xici is composed of four equal parts, The first part is from "The eight trigrams are arranged" to "Good fortune and misfortune take effect through perseverance", The Second part is from "The tao of heaven and earth" to "become uniform through perseverance.", The third part is from "The Creative is decided" to "sages reveal themselves in the judgments.", The fourth part is from "It is great virtue of heaven and earth" to "by rectification of judgments". The first part explains the construction of Providence of Guàxiàng(卦象) that is composed of the images(xiàng 象) and lines(yáo 爻). Images are contained in the trigram from the Book of Changes. Lines are contained in the hexagrams from the Book of Changes. The second part explains the basis of Providence of Guàxiàng that is the tao of heaven and earth ; the tao of sun and moon. The third part symbolized Providence of Guàxiàng as The Creative and Receptive. It is based on the view expressed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 The fourth part explains the contents of Providence of Guàxiàng that is the humanity(rén 仁) and justice(yì 義) as the way of man. This is the thought on which the Book of Changes is based. 계사하편 제1장에서는 '象', '爻', '剛柔', '天地之道', '日月之道', '乾', '坤', '易', '簡','仁', '義' 등 周易이 표상하는 卦象原理의 중요 개념들을 밝히고 있기 때문에 하편 제1장의 연구를 통해 주역 의 학문적 체계를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편 제1장에서는 첫째로 괘상원리를 형성하는 '象'과 '爻'를 밝히고, 둘째로 괘상원리의 근거가 되는 天地·日月之道를 밝히고 있으며, 셋째로 괘상원리의 표상체계가 乾道와 坤道임을 밝히고, 넷째로 괘상원리의 내용이 仁과 義임을 밝히고 있다. 먼저 괘상원리를 형성하는 '象'과 '爻'는 각각 三爻單卦와 六爻重卦를 의미하는 것으로 象은 卦象으로 三才之道를 표상하는 三爻單卦인 八卦를 의미한다면, 爻는 六爻로 三才之道가 兩之작용하여 완성되는 六爻重卦를 의미한다고 하겠다. 또한 괘상원리의 三爻單卦와 六爻重卦는 體用關係로 卦體爻用의 관계라 하겠다. 둘째로 괘상원리의 근거인 天地·日月之道는 天道인 曆數原理를 말하는 것으로 曆數原理의 體十用九原理와 體五用六原理에 근거하여 괘상원리가 성립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셋째로 乾道와 坤道에 괘상원리가 집약되어 있으며, 乾道와 坤道의 내용이 易簡之德임을 밝혀 괘상원리가 人道인 四德原理를 표상하고 있다. 즉, 易簡之德은 인간 본래성이기 때문에 자신의 인격성을 상징적으로 표상한 것이 卦象原理임을 알 수 있다. 넷째로 괘상원리의 내용이 仁과 義임을 밝히고 있다. 仁과 義는 군자가 실천해야할 사명인 政治原理의 근거가 되며, 그 구체적 방법론을 理財(경제)·正辭(교육)·禁民爲非(형벌)로 밝히고 있다.

      • KCI등재

        『주역(周易)』의 하도락서론(河圖洛書論)에 근거한 복서(卜筮)와 왕래(往來),순역(順逆)의 의미 고찰

        임병학 ( Lim Byeong-ha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58 No.3

        본 논문은 『주역』의 河圖洛書論을 근거로 卜筮와 往來·順逆의 철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주역『에서 數理를 통해 易道를 표상하는 河圖와 洛書를 繫辭上제11장에서는 神物로 논하고, 계사상 제9장에서는 天地之數와 大衍之數를 통해 구체적으로 논하고 있다. 河圖는 陰陽이 만나는 五行원리를 표상하고 있다면, 洛書는 陰陽이 분리된 四象원리를 표상하고 있다. 또 繫辭下에서는 聖人이 神明원리를 자각하여 그린 河圖와 洛書에는 天道와 人道가 함께 들어 있다고 하였다. 』주역『에 등장하는 개념들 가운데 인식론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은 河圖·洛書의 神物과 관련된 것이다. 『주역』이 占書인 까닭은 하늘 뜻을 헤아려서 인간에게 알려주는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占은 대상적 시간을 헤아려 미래를 아는 것이 아니라, 河圖와 洛書의 이치를 통해 하늘의 뜻을 아는 행위이며, 그의 방법으로 논한 卜은 거북을 통해 상징되는 洛書를, 筮는 시초를 통해 상징되는 河圖를 말하는 것이다. 또 往來와 順逆은 河圖와 洛書의 작용을 말한 것으로 往은 지나간 과거가 아니라 洛書의 體十用九작용을, 來는 다가올 미래가 아니라 河圖의 體五用六작용을 의미하는 것이다. 河圖와 洛書가 서로 體用의 관계이듯이 근원적 입장에서는 하늘의 뜻이 인간으로 내재화되는 것이 往이고, 인간이 하늘의 뜻을 실천하며 살아가는 것이 來이지만, 인간의 입장에서는 往이 실천해가는 것이고, 來가 하늘의 뜻을 오는 것이다. 이에 往來는 天地가 사귀고, 上下가 뜻을 같이하는 작용이라 하였다. 또한 順은 往의 작용으로 헤아리는 것으로 洛書의 작용이기 때문에 하늘의 뜻이 인간의 심성에 내재화되는 것을 의미한다면, 逆은 來의 작용을 아는 것으로 河圖의 작용이기 때문에 자신의 행위를 통해 하늘의 뜻을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 This thesis is about meaning of Zhan(占)·WangLai(往來)· ShunNi(順逆) in I Ching based on the first volume of Xici(繫辭) chapter 9, Hetuluoshuron(河圖洛書論). In the first volume of Xici chapter 9, it said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Hetu and Luoshu through Tiandezhishu(天地之數) and Dayanzhishu(大衍之數). Hetu expresses the Five Elements principle that yin and yang are united. Luoshu expresses Sasang principle that yin and yang are separated. and Hetu and Luoshu have the way of Heaven and the way of human together. The difficult parts that we can’t easily understand with concepts in I Ching epistemologically are related with Hetu and Luoshu. The reason that the Book of change is a book on divination, it shows human disposition of Providence. Zhan is not knowing future by counting relative time but is knowing disposition of Providence through the logic of Hetu and Luoshu. Bu(卜), as a method of fortune-telling means Luoshu symbolizing turtle, Shi(筮) means Hetu symbolizing beginning. Also Wang(往) and Lai(來)·Shun(順) and Ni(逆) mean action of Hetu and Luoshu. Wang is not the past, but the Tishiyongjiu (體十用九) action of Luoshu. Lai is not future but Tiwuyonglu (體五用六) action of Hetu. Hetu and Luoshu are the thing and its functions each other. Wang is that disposition of Providence internalizes to human and human put disposition of Providence into practice from the point of view of original. But from the point of view of human, Wang is practice and Lai means disposition of Providence is coming. WangLai said Wang and Lai·Shun and Ni are action that Tian(天) and Di(地) are dating and, Shang(上) and Xia(下) share intentions. Because Shun is action of Luoshu, it means that disposition of Providence internalizes to human’s mind. Ni is action of Hetu and knowing action of Lai, so it means executing Providence through its own deed.

      • KCI등재

        『주역(周易)』의 하도(河圖)·낙서(洛書)와 「계사상(繫辭上)」 제9장 고찰

        임병학 ( Lim Byeong-hak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본 논문은 『주역』의 河圖와 洛書가 易道의 표상체계임을 밝히고, 「계사상」 제9장에서 논한 河圖洛書論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周易』에서 河圖와 洛書는 數로 구성된 그림으로 數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 라는 근본적인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설괘」 제1장에서는 성인이 天地之道를 주체적으로 자각하고, 그것을 河圖·洛書와 卦爻로 표상하였고 하였다. 「계사상」 제11장에서는 河圖·洛書를 직접 언급하면서 神物로 규정하고, 「계사상」 제9장에서는 一에서 十까지의 天地之數를 논하고 있다. 제9장에서는 河圖와 洛書의 理數를 통해 동양철학의 근본적 개념인 陰陽·五行·四象을 논하고 있다. 河圖는 五를 본체로 一·六 → 二·七 → 三·八 → 四·九 → 五·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음양의 합해져 五行이 운행되는 원리인 `體五用六`을 표상하고 있으며, 洛書는 十을 본 체로 九(一) → 八(二) → 七(三) → 六(四)의 四象작용을 표상하기 때문에 `體十用九` 원리를 표상하고 있다. 河圖와 洛書는 서로 체용의 관계로 하나이면서 둘인 관계이다. 河圖는 五를 本體로 一·六 → 二·七 → 三·八 → 四·九 → 五·十으로 마치지만, 十에서는 洛書로 되어 다시 十을 본체로 九(一) → 八(二) → 七(三) → 六(四) → 五로 마치고, 또 五에서 다시 河圖의 작용이 시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河圖는 음양의 합해져 전개되는 인격적 세계의 작용원리인 五行을 위주로 밝힌 그림이라면, 洛書는 음양이 합해지기 이전의 작용인 天道의 四象작용을 위주로 밝힌 그림이라 하겠다. This paper determined that Hetu(河圖)-Luoshu(洛書) of I Ching are a symbol system of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易道) and considered Hetu-LuoshuLun(河 圖洛書論) that examined in the first volume of Xici(繫辭) chapter 9. Hetu and Luoshu of I Ching are pictures being made up numbers. This paper started by asking what would want to expose through number is it. In Shuogua(說卦) Chapter 1, It said that Saint expressed Hetu-Luoshu and Guayao(卦爻) it after realized Tiandezhidao(天地之道) by himself. first volume of Xici Chapter 12 presents Hetu-Luoshu directly and characterized those as Shenwu (神物). first volume of Xici Chapter 9 treated Tiandezhishu(天地之數), from one to ten and dessert Yinyang(陰陽)·Wuxing(五行)·Sixiang(四象) that is fundamental concept of Eastern philosophy throughout Lishu(理數) of Hetu-Luoshu. Hetu attaches primary importance to five and acts as 一·六 → 二·七 → 三·八 → 四· 九 → 五·十. Also Hetu expresses `Tiwuyonglu(體五用六)` that is the principle, Wuxing(五行) runs by combining Yinyang(陰陽). Luoshu attaches primary importance to ten and represented Sixiang(四象)`s action of 九(一) → 八(二) → 七(三) → 六(四). Luoshu expresses `Tishiyongjiu(體十 用九)`. Hetu and Luoshu are relationships of Tiyong(體用) each other, as both one and two. Hetu turn on five and completed with 一·六 → 二·七 → 三·八 → 四·九 → 五·十. But In ten, it becomes to Luoshu and turn on five and completed with 九(一) → 八 (二) → 七(三) → 六(四) → 五. It starts action of Hetu at five again. Therefore Hetu is a picture that determined mainly with Wuxing, is an action principle of world of phenomenon from join Yinyang, but Luoshu is a pictures that determined mainly with Sixiang`s action of the way of heaven, is action before join Yinyang. In addition, Hetu and Luoshu is thing that Saint realized the principle of Shenming(神明), including the way of human(人道). Therefore noble man realizes the way of heaven throughout number and figure of Hetu-Luoshu and practices the way of human, is the way of human lif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